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비겁한 로버트 포드의 제시 제임스 암살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 2016년 BBC는 177명의 국제 영화 평론가들을 대상으로 사상 최고의 21세기 영화 100편을 선정했다.
1위멀홀랜드 드라이브
2위화양연화
3위데어 윌 비 블러드
4위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5위보이후드
6위이터널 선샤인
7위트리 오브 라이프
8위하나 그리고 둘
9위씨민과 나데르의 별거
10위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11위인사이드 르윈
12위조디악
13위칠드런 오브 맨
14위액트 오브 킬링
15위4개월, 3주... 그리고 2일
16위홀리 모터스
17위판의 미로
18위하얀 리본
19위매드 맥스: 분노의 도로
20위시네도키, 뉴욕
21위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
22위사랑도 통역이 되나요?
23위히든
24위마스터
25위메멘토
26위25시
27위소셜 네트워크
28위그녀에게
29위월-E
30위올드보이
31위마가렛
32위타인의 삶
33위다크 나이트
34위사울의 아들
35위와호장룡
36위팀북투
37위엉클 분미
38위시티 오브 갓
39위뉴 월드
40위브로크백 마운틴
41위인사이드 아웃
42위아무르
43위멜랑콜리아
44위노예 12년
45위가장 따뜻한 색, 블루
46위사랑을 카피하다
47위리바이어던
48위브루클린
49위언어와의 작별
50위자객 섭은낭
51위인셉션
52위열대병
53위물랑 루즈
54위원스 어폰 어 타임 인 아나톨리아
55위이다
56위베크마이스터 하모니즈
57위제로 다크 서티
58위물라데
59위폭력의 역사
60위징후와 세기
61위언더 더 스킨
62위바스터즈: 거친 녀석들
63위토리노의 말
64위그레이트 뷰티
65위피쉬 탱크
66위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봄
67위허트 로커
68위로얄 테넌바움
69위캐롤
70위우리가 들려줄 이야기
71위타부
72위오직 사랑하는 이들만이 살아남는다
73위비포 선셋
74위스프링 브레이커스
75위인히어런트 바이스
76위도그빌
77위잠수종과 나비
78위더 울프 오브 월 스트리트
79위올모스트 페이머스
80위리턴
81위셰임
82위시리어스 맨
83위A.I.
84위그녀
85위예언자
86위파 프롬 헤븐
87위아멜리에
88위스포트라이트
89위머리 없는 여인
90위피아니스트
91위엘 시크레토: 비밀의 눈동자
92위비겁한 로버트 포드의 제시 제임스 암살
93위라따뚜이
94위렛미인
95위문라이즈 킹덤
96위니모를 찾아서
97위백인의 것
98위
99위이삭 줍는 사람들과 나
100위카를로스
레퀴엠
토니 에드만
같이 보기: 미국 영화, 21세기 영화, 코미디 영화, 비영어권 영화, 21세기 TV 시리즈




비겁한 로버트 포드의 제시 제임스 암살(2007)
The Assassination of Jesse James by the Coward Robert Ford
파일:external/pds21.egloos.com/f0034959_4fe72c12ae274.jpg
1. 개요
2. 예고편
3. 여담



1. 개요[편집]


2007년에 개봉한 미국의 영화이다. 론 한센이 쓴 동명의 소설을 원작이다. 연출 앤드류 도미니크[1], 음악은 호주 출신 록 뮤지션 닉 케이브가 담당했다. 제작에 리들리 스콧이 소유한 스콧 프리 프로덕션이 관여했다.[2]

2007년 베니스 영화제 경쟁 부문에 초청되었으며 브래드 피트가 남우주연상을 수상했다.

제시 제임스는 19세기 후반의 실존인물로, 당시 서부의 로빈훗이라는 별명[3]으로 불리던 유명한 갱단 두목이다. 그런 제시 제임스를 동경하던 젊은이 로버트 포드(1862~1892)가 제임스의 갱단에 들어가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렸다. 브래드 피트가 제시 제임스를, 케이시 애플렉이 로버트 포드를 연기했다. 샘 록웰, 제레미 레너도 출연한다.

제목이 스포일러로 제시 제임스는 로버트 포드에게 살해당했고 로버트 포드도 10년 뒤 에드워드 오켈리에게 살해되었다. 그리고 오켈리는 12년 뒤 경찰과 총격전을 벌이다 사살됐다. 참고로 로버트 포드와 같이 제시 제임스를 살해한 형 찰스 포드(1857~1884)는 1884년 총으로 자살했다.


2. 예고편[편집]





3. 여담[편집]


  • 꽤나 마니악한 영화지만 수작이라는 평을 받는다. 국내에는 극장 개봉 없이 DVD로만 출시했는데, 본 사람들은 호평을 하는 편. 로버트 포드를 연기한 케이시 애플렉 역시 당해 여러 시상식의 남우조연상에 노미네이트되었다.

  • 촬영을 담당한 로저 디킨스의 촬영에 대해 호평하는 사람이 많을뿐만 아니라 명실상부 그의 최고작 중 하나로 인정받고 있다.

  • 3천만 달러 제작비를 들여 전세계에서 1500만 달러 수익에 그쳐 흥행에는 실패해 앤드류 도미니크는 또다서 5년간 공백기를 가져야만 했다. 이후 브레드 피트와 다시 의기투합하여 찍은 킬링 소프틀리가 그럭저럭 흥행했지만 다시 신작이 나오는데 4년간 공백기를 가져야 했다.



[1] 뉴질랜드 출신으로, 호주에서 찍은 차퍼로 주목을 받았지만 한동안 영화를 못 만들다 브래드 피트의 도움으로 이 영화를 만들게 되었다. 브래드 피트와는 후속작 킬링 소프틀리에서도 같이 작업했다.[2] 스토커(2013년 영화) 제작.[3] 하지만 부풀려졌다느니 전혀 믿을 수 없는 거짓말이라는 반론도 많다. 특히 이후 남북전쟁에서 남부를 지원했다거나 노예제를 옹호하고 무법자가 된 후에는 민간인 살해도 거리끼지 않았단 점이 알려지며 이미지가 크게 나빠진 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