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인히어런트 바이스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 2016년 BBC는 177명의 국제 영화 평론가들을 대상으로 사상 최고의 21세기 영화 100편을 선정했다.
1위멀홀랜드 드라이브
2위화양연화
3위데어 윌 비 블러드
4위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5위보이후드
6위이터널 선샤인
7위트리 오브 라이프
8위하나 그리고 둘
9위씨민과 나데르의 별거
10위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11위인사이드 르윈
12위조디악
13위칠드런 오브 맨
14위액트 오브 킬링
15위4개월, 3주... 그리고 2일
16위홀리 모터스
17위판의 미로
18위하얀 리본
19위매드 맥스: 분노의 도로
20위시네도키, 뉴욕
21위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
22위사랑도 통역이 되나요?
23위히든
24위마스터
25위메멘토
26위25시
27위소셜 네트워크
28위그녀에게
29위월-E
30위올드보이
31위마가렛
32위타인의 삶
33위다크 나이트
34위사울의 아들
35위와호장룡
36위팀북투
37위엉클 분미
38위시티 오브 갓
39위뉴 월드
40위브로크백 마운틴
41위인사이드 아웃
42위아무르
43위멜랑콜리아
44위노예 12년
45위가장 따뜻한 색, 블루
46위사랑을 카피하다
47위리바이어던
48위브루클린
49위언어와의 작별
50위자객 섭은낭
51위인셉션
52위열대병
53위물랑 루즈
54위원스 어폰 어 타임 인 아나톨리아
55위이다
56위베크마이스터 하모니즈
57위제로 다크 서티
58위물라데
59위폭력의 역사
60위징후와 세기
61위언더 더 스킨
62위바스터즈: 거친 녀석들
63위토리노의 말
64위그레이트 뷰티
65위피쉬 탱크
66위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봄
67위허트 로커
68위로얄 테넌바움
69위캐롤
70위우리가 들려줄 이야기
71위타부
72위오직 사랑하는 이들만이 살아남는다
73위비포 선셋
74위스프링 브레이커스
75위인히어런트 바이스
76위도그빌
77위잠수종과 나비
78위더 울프 오브 월 스트리트
79위올모스트 페이머스
80위리턴
81위셰임
82위시리어스 맨
83위A.I.
84위그녀
85위예언자
86위파 프롬 헤븐
87위아멜리에
88위스포트라이트
89위머리 없는 여인
90위피아니스트
91위엘 시크레토: 비밀의 눈동자
92위비겁한 로버트 포드의 제시 제임스 암살
93위라따뚜이
94위렛미인
95위문라이즈 킹덤
96위니모를 찾아서
97위백인의 것
98위
99위이삭 줍는 사람들과 나
100위카를로스
레퀴엠
토니 에드만
같이 보기: 미국 영화, 21세기 영화, 코미디 영화, 비영어권 영화, 21세기 TV 시리즈



--
인히어런트 바이스 (2014)
Inherent Vice
파일:인히어런트바이스.jpg
제작사IAC Films
랫팩-듄 엔터테인먼트
Ghoulardi Film Company
배급사파일:미국 국기.svg 워너 브라더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워너 브라더스 코리아
장르범죄, 드라마, 미스테리, 멜로
감독폴 토머스 앤더슨
제작폴 토머스 앤더슨
조앤 셀러
다니엘 루피
각본폴 토머스 앤더슨
출연진호아킨 피닉스, 조쉬 브롤린, 캐서린 워터스턴, 리즈 위더스푼, 오웬 윌슨, 베네치오 델 토로, 마야 루돌프
개봉일자파일:미국 국기.svg 2014년 12월 12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5년 2월 26일
촬영로버트 엘스윗
음악조니 그린우드
화면 비율 1.85 : 1
러닝 타임 149분
제작비2,000만 달러
북미 박스오피스 $8,110,975 (최종)
월드 박스오피스 $14,710,975 (최종)
대한민국 총 관객수 282명 (최종)
상영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영등위_18세이상_2021.svg 청소년 관람불가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R등급 로고.svg

1. 개요
2. 예고편
3. 상세
4. 평가



1. 개요[편집]


제87회 아카데미 시상식 각색상, 의상상 후보작

폴 토머스 앤더슨의 2014년 영화. 국내에는 대표작 '제49호 품목의 경매'로 잘 알려진 작가 토머스 핀천의 동명 소설을 영화로 각색한 작품이다. 핀천 소설들은 그 길이와 난해함으로 제대로 영화화된적이 없는데 핀천 소설 최초로 영화화된 작품이다.[1] 주연 배우는 《마스터》에서 같이 호흡을 맞춘 바 있는 호아킨 피닉스. 그외에도 조시 브롤린, 리스 위더스푼, 에릭 로버츠,오웬 윌슨,베네치오 델 토로 같은 조연들이 대거 등장한다.


2. 예고편[편집]




3. 상세[편집]


플롯과 전체적인 작품의 성격은 챈들러 이후로 정착된 하드보일드 추리소설과 필름 누아르의 성격을 따르는 다소 평이한 작품같지만, 히피 문화가 시들어가던 1970년이라는 배경 [2], 원작자 핀천의 난해한 스타일, 그리고 원작을 충실히 재현하기 위해 사용된 앤더슨의 연출이 어우러져 상당히 독특한 작품이 되었다.

작품의 도입부는 궁지에 빠진 신비스러운 미인 의뢰인과 그녀의 전남친 사립탐정이라는 아주 익숙한 구도로 이루어져 있지만, 점점 이야기가 흘러가면 흘러갈수록 누아르적인 똥폼은 별로 보이지 않는다. 되려 그 당시의 시대상을 독특한 감각으로 재구성하여, 관객마저도 주인공처럼 약을 빤 것 같은 기분으로 젖어들어가게 만드는 한편, 챈들러 스타일의 배배꼬인 플롯으로 보는 사람의 머릿속을 복잡하게 만든다.

평자들 사이에서는 하워드 혹스빅 슬립#1946년로버트 알트만기나긴 이별이 자주 언급된다.

원작자 토머스 핀천카메오로 출연했다는 루머는 있으나, 사실인지는 불명확하다. 단순히 카더라가 아니라 조쉬 브롤린한테서 언급된거라서 화제가 되었으나 앤더슨 본인은 아무런 코멘트를 내놓지 않았다.


4. 평가[편집]






관객들의 예상을 좋은 의미로든, 나쁜 의미로든 깨부셔버리는 진상들, 핀천의 작품 스타일이 그대로 묻어나는 각종 음모론들, 분명 선정적인데 선정적으로 보이지 않는 각종 신들 때문에 보고나면 문자 그대로 벙찌게 되버린다.

마약과 히피를 사랑하는 PTA의 애정이 듬뿍 담긴 작품이기도 하다. 이제 그도 맛탱이가 갔다! 라고 평받을 정도로 막나가는 영화기도 하지만 여전히 미국의 근현대사에 대한 시적인 통찰은 날카롭다. 거의 모든 장면의 흐름과 진행이 그가 직접 선곡한 음악의 다양한 리듬에 정확히 맞아들어가는 기묘한 경험을 할 수 있다. 술에 취한 채 보면 영화 속 인물들과 동일화된 경험도 가능하다.

여러모로, 그냥 즐겁게 스트레스 풀려고 들어온 관객들 취향에는 전혀 들어맞지않는 별미같은 영화. 감독의 스타일 자체가 일반적인 대중성 따위는 별로 의식하지 않고, 자기가 찍고 싶은 영화를 찍는 감독이긴 하지만, 이 작품은 특히 원작에 대한 애착이 있는 소설 독자, 필름 누아르에 관심이 있는 영화팬, 그냥 PTA 팬과 같이 취향이 뚜렷한 사람들만을 위한 영화가 되어버렸다.

그 결과 이 감독의 작품들 중에서도 흥행성적은 최악 수준.. 제작비 2000만 달러의 절반인 1000만 달러 정도밖에 안되는 성적을 거뒀다. 한국에서도 개봉 예정이였다가 곧바로 DVD/다운로드 직행.

평론가 사이에서도 호불호가 상당히 갈리는 작품으로 걸작이라고 하는 평론가도 있고, 졸작이라 하는 평론가가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01:26:43에 나무위키 인히어런트 바이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사실 이 소설이 그나마 대중친화적이라는 평을 받긴 했다.[2] 아예 작정하고 도입부에 연원일과 배경을 박아놓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