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덤프버전 :

국명·지명 한자 약칭
[ 펼치기 · 접기 ]

대륙
· · ·
아시아유럽(구라파)아프리카아메리카오스트레일리아
국가
· · ·
[1]
· ·
[2]
남한(한국)북한(조선)중국중화민국(대만)[3]일본
· ·
몽골(몽고)미국영국캐나다(가나다)오스트레일리아(호주)
· · ·
프랑스(불란서)독일오스트리아(오지리)이탈리아(이태리)네덜란드(화란)
西 ·
스페인(서반아)포르투갈(포도아)러시아(노서아·아라사)인도인도네시아(인니)
· ·
말레이시아태국필리핀(비율빈)베트남(월남)이집트(애급)
· ·
폴란드(파란)아일랜드(애란)덴마크(정말)스웨덴(서전)노르웨이(나위·낙위)
·
그리스(희랍)핀란드(분란)남아공벨기에(백이의)헝가리(흉아리·홍아리)
西西
스위스(서서)튀르키예(토이기)멕시코(묵서가)브라질(파서)아르헨티나(아근정)
사라진 나라
·
가야고구려 · 고려백제신라조선
로마 제국(대진)소련프로이센류큐
지명
滿
아시아태평양만주캘리포니아로스앤젤레스샌프란시스코
워싱턴 D.C.모스크바베를린로마런던
[1] 일본에서 중국을 가리키는 말로 가끔 쓰인다.[2] 주로 일본 내부에서 쓰인다.[3] 華와 臺는 둘 다 대만의 약칭이지만 뉘앙스가 다른데, 華는 중화민국을 강조하는 뉘앙스라면 臺는 대만을 강조하는 뉘앙스이다.



흰 백
부수
나머지 획수
白, 0획
총 획수
5획
중학교
-
일본어 음독
ハク, ビャク
일본어 훈독
しろ, (しら), しろ-い,
あき-らか, せりふ, もう-す
-
표준 중국어
bái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획순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부수
5. 유의자
6. 상대자
7.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편집]


흰 백(白). '희다', '깨끗하다', '명백(明白)하다', '설명하다', '아뢰다' 등의 뜻이 있다. 그래서 '아뢸 백'이라고도 하는데, 이 뜻으로는 '주인백', '관리소장백'과 같이 쓴다.


2. 상세[편집]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희다아뢰다
중국어표준어bái
광동어baak6
감어pah7 / pet6
객가어pha̍k
진어bai1 / bieh5
민북어bà̤[文] / bā, bà[白]
민동어bĕk[文] / băh[白]
민남어pe̍k[文] / pe̍h[白]
오어baq (T5)
상어be6
일본어음독ハク, ビャク
훈독しろ, (しら), しろ-い,
あき-らか, しら-げる
せりふ, もう-す
베트남어bạch

유니코드 상에서는 U+767D에 배정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HA(竹日)로 입력한다.

파일:白_자원.jpg
상형자 또는 상형+지사로 보는데 갑골문의 자형(字形)을 봐도 워낙 간단해 무엇을 상형한 것인지 알기 힘들다 보니 여러 의견이 있다.
문자학계에서 논의되고 있는 주요 학설로는

  • 촛불의 심지가 타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보아 '밝다'는 의미로 출발해 '희다'는 의미로 확장된 것이라는 설.
  • 해골(骸骨)의 모양을 본뜬 것이라는 설(시라카와 시즈카)[1]. 해골의 색은 흰색이므로 여기에서 '희다'의 뜻이 나왔다고 보는 것이다.
  • 엄지손가락의 모양을 본뜬 것이라는 설(곽말약). 엄지손가락은 손가락의 우두머리이니 '우두머리[2]'의 뜻이 나왔고, 손톱의 색으로부터 '희다'의 뜻이 나왔다고 보는 것이다.
  • 잣의 모양을 본뜬 것으로 柏(잣나무 백)의 본자(本字)로 보는 설[3]
  • 쌀의 모양을 본뜬 것이라는 설[4]. 쌀은 흰 색이므로 이로부터 '희다'의 뜻이 되었다는 것이다.

등이 있다.

이 중 문자학계에서 가장 지지를 받고 있는 학설은 '엄지손가락 설'이다. '우두머리'의 뜻까지 모두 깔끔하게 설명된다.

(날 일) 위에 선이 짤막하게 그려져 있는 형태로 되어 있어서 갑골문이 발견되기 전에는 햇빛이 밝게 비치는 모습을 묘사했다고 보는 설이 지배적이었으나, 발견된 갑골문의 자형이 日과는 거리가 있어서 이 설은 논파되었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3.2. 고사성어/숙어[편집]




3.3. 인명[편집]




백(성씨) 문서 참조.

3.4. 지명[편집]




3.5. 창작물[편집]




3.6. 기타[편집]




4. 부수[편집]


 [  214 부수  ] 
1획1 2 3 4 丿 5 (乚) 6
2획7 8 9 (𠆢, 亻) 10 11 12 13 14 15 16 17 18 (刂) 19 20 21 22 23 24 25 26 (㔾) 27 28 29
3획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孑) 40 41 42 43 (尣) 44 45 46 47 (川) 48 49 50 51 52 53 广 54 55 56 57 58 (彑, ⺕) 59 60
4획61 (忄, ⺗) 62 63 64 (扌) 65 66 (攵) 67 68 69 70 71 (旡) 72 73 74 75 76 77 78 (歺) 79 80 81 82 83 84 85 (氵, 氺) 86 (灬) 87 (爫, ⺥) 88 89 90 (丬) 91 92 93 (牜) 94 (犭)
5획95 96 (王) 97 98 99 100 101 102 103 (⺪) 104 105 106 107 108 109 (罒) 110 111 112 113 (⺬, 礻) 114 115 116 117
6획118 (⺮) 119 120 (糹) 121 122 (罒, 罓, 㓁) 123 (⺶, ⺷) 124 125 (耂) 126 127 128 129 130 (月, ⺝) 131 132 133 134 (𦥑) 135 136 137 138 139 140 (⺿, 艹, 䒑) 141 142 143 144 145 (衤) 146 (覀)
7획147 148 149 (訁)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𧾷) 158 159 160 161 162 (⻍, ⻌) 163 (⻏) 164 165 166
8획167 (釒) 168 169 170 (⻖) 171 172 173 (⻗) 174 175
9획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𩙿, 飠) 185 186
10획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1획195 196 197 198 鹿 199 200
12획201 202 203 204 15획211
13획205 206 207 208 16획212 213
14획209 210 17획214
참고문서 : 부수 · 한자/목록/부수별 · 강희자전
 [  위치별 주요 부수  ] 
파일:chineseleft.png · · · · · · · · · · · · · · 月/⺼ · · · · · · ⻞/飠 · · · · · · · ⺬/礻 · · · · · · · · · · · · · · ·
파일:chineseright.png · · · · · · · · · · · · · · · · ·
머리파일:chinesetop.png⺿/艹 · · · · · 𠆢 · 爫/⺥ · · · · ·
파일:chinesebottom.png · · · · · · · · · · · · ·
받침파일:chinesepartialsur2.png⻍/⻌ · · · ·
파일:chinesepartialsur1.png广 · · · · · · 파일:chinesepartialsur3.png ·
파일:chinesesurrounding.png파일:chinesepartialsur5.png ·
파일:chinesepartialsur6.png파일:chinesepartialsur7.png
그외파일:chinesebetween.png
파일:chinesetopbottom.png

 [  수록자 보기  ] 
1획1 2 3 4 丿 5 (乚) 6
2획7 8 9 (𠆢, 亻) 10 11 12 13 14 15 16 17 18 (刂) 19 20 21 22 23 24 25 26 (㔾) 27 28 29
3획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孑) 40 41 42 43 (尣) 44 45 46 47 (川) 48 49 50 51 52 53 广 54 55 56 57 58 (彑, ⺕) 59 60
4획61 (忄, ⺗) 62 63 64 (扌) 65 66 (攵) 67 68 69 70 71 (旡) 72 73 74 75 76 77 78 (歺) 79 80 81 82 83 84 85 (氵, 氺) 86 (灬) 87 (爫, ⺥) 88 89 90 (丬) 91 92 93 (牜) 94 (犭)
5획95 96 (王) 97 98 99 100 101 102 103 (⺪) 104 105 106 107 108 109 (罒) 110 111 112 113 (⺬, 礻) 114 115 116 117
6획118 (⺮) 119 120 (糹) 121 122 (罒, 罓, 㓁) 123 (⺶, ⺷) 124 125 (耂) 126 127 128 129 130 (月, ⺝) 131 132 133 134 (𦥑) 135 136 137 138 139 140 (⺿, 艹, 䒑) 141 142 143 144 145 (衤) 146 (覀)
7획147 148 149 (訁)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𧾷) 158 159 160 161 162 (⻍, ⻌) 163 (⻏) 164 165 166
8획167 (釒) 168 169 170 (⻖) 171 172 173 (⻗) 174 175
9획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𩙿, 飠) 185 186
10획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1획195 196 197 198 鹿 199 200
12획201 202 203 204 15획211
13획205 206 207 208 16획212 213
14획209 210 17획214
참고문서 : 부수 · 한자/색인/부수별 · 강희자전




5. 유의자[편집]


  • 희다
  • 아뢰다
    • (아뢸 주)


6. 상대자[편집]


  • /𪒫[⿰黑僉](검을 검)
  • 𪐡[⿱大黑](검을 견)
  • (검을 곤)
  • 𪒭[⿰黑禽](검을 금)
  • (검을 기/희)
  • 𪓃[⿰黑襄](검을 냥)
  • (검을 담, 오디 심)
  • (검을 답)
  • 𪒴[⿰黑臺]/𪑠[⿰黑隶](검을 대)
  • 𪑋[⿰黑寽](검을 랄)
  • (검을 려)
  • (검을 로)
  • 𪑯[⿰黑律](검을 루)
  • 𪒜[⿰黑惠](검을 말)
  • 𪑥[⿰黑⿱犬目](검을 묵)
  • (검을 상)
  • 𪐧[⿰黑予](검을 서)
  • (검을 안/인)
  • /(검을 암)
  • 𪐭[⿰黑兮](검을 예)
  • /(검을 울)
  • (검을 이)
  • (검을 익)
  • (검을 잉)
  • 𪑳[⿰黑貞](검을 진)
  • 𪑨[⿰黑柰]/𪑂[⿰黑杀](검을 찰)
  • 𪒙[⿰黑最](검을 촬)
  • (검을 출)
  • (검을 치)
  • (검을 현)
  • 𪑕[⿰黑昏](검을 혼)
  • (검을 흑)


7.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절구 구)
  • (날 일)
  • (스스로 자)
  • (일백 백)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8 06:25:46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文] A B C 문독[白] A B C 백독[1] 혼비백산(魂飛魄散)에서처럼 혼백(魂魄)에서 魂을 '영혼', 魄을 '뼈'로 보면 설득력이 있다.[2] 청동기물 금문(金文)에서 伯 자의 의미로도 통용되었다.[3] 전국시대 죽간문에 白 자를 柏 자의 가차(假借)로 쓰인 용례가 있다.[4] 食(먹을 식) 자에 白이 들어있는 것을 근거로 한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