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로버트 매킴슨

덤프버전 :


파일:Annie_Award.png
윈저 맥케이상
[ 펼치기 · 접기 ]

20세기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1972년1973년1974년
맥스 플라이셔데이브 플라이셔월터 란츠텍스 에이버리프리즈 프레렝
1974년1975년
척 존스아트 배빗윈저 맥케이그림 네트윅월트 디즈니
1975년1976년
존 허블리페이스 허블리노먼 맥라렌로버트 캐넌휴 하먼
1976년1977년
루돌프 이징마이클 말테스조지 팔워드 킴볼윌리엄 해나
1977년
조셉 바베라멜 블랭크오스카 피싱거빌 스콧밀트 칼
1978년
제이 워드어브 아이웍스딕 휴머칼 스탈링한스 콘리드
1979년1980년
클라이드 제로니미빌 멜렌데즈매 퀘스텔오토 메스머올리 존스턴
1980년1981년
프랭크 토머스칼 하워드폴 줄리안라번 하딩T. 히
1981년1982년
빌 피트빌 타이틀라존 휘트니켄 헤리스켄 엔더슨
1982년1983년
브루노 보제토준 포레이도날드 W. 그레이엄마크 데이비스에릭 라슨
1983년
프레드 무어클라렌스 내쉬볼프강 레이더먼레오 살킨스티븐 보수스토
1983년1984년
윌프레드 잭슨다우스 버틀러데이비드 핸드잭 키니마이클 라
1984년1985년
로버트 매킴슨리처드 윌리엄스해밀턴 러스크로버트 아벨프레스턴 블레어
1985년
조 그랜트존 핼러스스털링 홀러웨이짐 맥도날드필 먼로
1985년1986년
벤 워셤프레더릭 백샤머스 컬해니윌리엄 T. 허츠이르벤 스펜스
1986년1987년
에머리 호킨스존 란즈베리폴 드리센잭 해나빌 리틀존
1987년1988년
모리스 노블켄 오코너노먼 퍼거슨멜 쇼랠프 박시
1988년1989-1990년
밥 크렘펫티사 데이비드가와모토 기하치로버질 로스아트 클로키
1989-1990년
힉스 로키알렉스 로비돈 메식데즈카 오사무레스터 노브로스
1991년
레이 해리하우젠허버트 클린밥 커츠유리 노르슈테인조 시라쿠사
1991년1992년1993년
루스 키산레스 클라크스탠 프레버그데이비드 힐버만조지 더닝
1993년1994년
로이 E. 디즈니잭 잰더에드 베네딕트아서 데이비스장 밴더 필
1995년1996년
줄스 엥겔반스 게리댄 맥로린메리 블레어버니 매티슨
1996년1997년1998년
타카모토 이와오윌리스 H. 오브라이언마이런 왈드먼폴 윈첼에위빈드 얼
1998년1999년
미야자키 하야오어니스트 핀토프레이 패터슨마르셀 얀코비츠콘 페더슨
2000년
노먼 맥케이브호이트 커틴루실 블리스

21세기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2001년2002년
빌 저스티스피트 알바라도밥 기븐스진 하젤튼플로이드 노먼
2002년2003년2004년
셔먼 형제진 디치존 헨치썰 라벤스크로프트돈 블루스
2004년2005년
버지니아 데이비스아놀드 스탱코니 콜프레드 크리펜타이러스 웡
2006년2007년
안드레아스 데자겐디 타르타콥스키빌 플림턴존 케인메이커글렌 킨
2007년2008년2009년
존 크릭팔루시마이크 저지존 라세터닉 파크팀 버튼
2009년2010년
제프리 카첸버그브루스 팀브래드 버드에릭 골드버그맷 그레이닝
2011년2012년
월터 페리고이뵈르게 링로널드 설테리 길리엄오스카 그릴로
2012년2013년2014년
마크 헨오토모 카츠히로스티븐 스필버그필 티페트디디에 브루너
2014년2015년
돈 러스크리 멘델슨조 랜프트필 로먼타카하타 이사오
2016년2017년
데일 베어캐롤라인 리프오시이 마모루제임스 백스터스티븐 힐렌버그
2017년2018년2019년
웬디 틸비
아만다 포비스
랄프 이글스톤안드레아 로마노프랭크 브랙스톤곤 사토시
2019년2020년
헨리 셀릭론 클레먼츠존 머스커윌리 이토수 C. 니콜스
2020년2021년2022년
브루스 W. 스미스루벤 A. 아퀴노릴리언 슈워츠스즈키 토시오피트 닥터
2022년
에블린 램바트크레이그 맥크라켄






1. 개요
2. 생애
3. 작품 목록
4. 여담
5. 관련 인물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Robert McKimson

본명은 Robert Porter McKimson Sr이며 미국 콜로라도 주 출신의 애니메이터 & 애니메이션 감독. 1910.10.13. ~ 1977.09.26.


2. 생애[편집]


어린 시절 10년간 미술 교육을 받은 이후, 1929년부터 월트 디즈니 프로덕션에서 딕 런디의 어시스턴트 애니메이터로 처음 활동한 매킴슨은 이듬해 캘리포니아에서 제인 그레이(Jane Gray)가 설립 자금을 지원한 로머 그레이 스튜디오로 일자리를 옮겼다. 설립 당시 불어온 대공황의 영향으로 스튜디오가 애니메이션을 제작할 무렵 영화사와 배급 계약을 체결하지 못한 난국 속에서 매킴슨은 휴 하먼과 루돌프 아이싱이 감독으로 일하던 리언 슐레진저 프로덕션으로 이직하여 원화 애니메이터 활동으로 본격적인 경력을 시작했다.

워너 브라더스에서 쌓은 몇년 간의 애니메이터 경력으로 인해 매킴슨은 리언 슐레진저 프로덕션의 수석 애니메이터로 인지도를 높여갔으며, 1938년 리언 슐레진저한테 디렉터(감독직) 승진을 제안받았지만 그를 거절하고 척 존스한테 양보해준 일이 있었다. 이후 1944년 후반 프랭크 태쉬린이 영화 감독으로써의 활동을 위해 워너 브라더스를 떠나자 이전에 들었던 제안을 마침내 받아들여 애니메이션 감독으로 활동하게 된다.

1953년 워너 브라더스가 주목받고 있던 3D 영화 제작을 이유로 몇달 간 워너 브라더스 카툰즈를 폐쇄하고 활동하던 애니메이터들을 모두 해고했을 때 매킴슨은 외부 스튜디오에서 올즈모빌 광고 애니메이션을 만들면서 일했으며, 워너 브라더스 카툰즈가 다시 개업하자 서둘러 유닛을 재결성한 척과 프리즈 프레렝과는 달리 대부분의 팀원들이 다른 외부 스튜디오에서 근무를 진행 중인 관계로 (새로 애니메이션 유닛을 구성하기 전까지) 4편의 단편에서 유일한 원화 애니메이터로써 애니메이션 원화를 그리기도 했다.

1963년에 워너 브라더스 카툰즈가 폐쇄되자, 프리즈와 데이비드 H. 드파티가 설립한 드파티-프레렝 엔터프라이즈에 합류해 The Inspector 단편 제작에 참여하다 1964 ~ 1967년 루니 툰 & 메리 멜로디즈 단편의 하청 제작에 임하기도 했다. 워너 브라더스-세븐 아츠 애니메이션이 개업한 1967년부턴 메인 스태프로 합류했지만 얼마 못가 스튜디오가 문을 닫고 루니 툰 & 메리 멜로디즈 제작이 종료되자 잠시 휴식기를 가진 후 1972년 드파티-프레렝에 복귀해 핑크 팬더 시리즈 제작에 참여하게 된다.

1977년 9월 29일, 프리즈 & 데이비드 콤비와 같이 점심을 먹던 와중에 나타난 심장마비로 인해 쓰러진 매킴슨은 의식을 회복하지 못하고 세상을 떠났다. 그가 잘 알던 의사한테 건강하다는 진찰을 받고 프리즈한테 자신의 가족력을 무척 자랑스럽게 말한지 이틀 만에 벌어진 일이었다.[1]


3. 작품 목록[편집]




4. 여담[편집]


  • 워너 브라더스 카툰즈에서 루니 툰 & 메리 멜로디즈 제작에 참여한 메이저 연출가 중에서 인터뷰 영상자료가 없는 연출가이기도 한다. 원래 1975년에 개봉된 UA다큐멘터리 영화 벅스 버니 슈퍼스타에 수록될 관련 인터뷰 영상자료에 출연할 예정이었지만 조율 과정에서 불발되었으며, 1977년에 세상을 떠나 다른 감독들처럼 매킴슨 자신의 영화를 제작하지 못한 여력도 있었기 때문으로 매킴슨의 작품에 대한 연출 기법과 자신의 애니메이션 활동에 대한 비화는 1969년 애니메이션 역사가 마이클 배리어와 진행한 인터뷰랑 루니 툰 DVD에 수록된 아들 로버트 매킴슨 주니어의 인터뷰 영상, 그가 저술한 전기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 매킴슨이 디자인한 캐릭터는 포그혼 레그혼, 허너리 호크[2], 히페티 호퍼, 태즈메이니아 데블, 스피디 곤잘레스[3], 실베스터 주니어 등이 있다.

  • 매킴슨이 연출한 단편에선 중년 남성 연령대의 단역 캐릭터가 적으로 나오는 작품들이 상대적으로 많으며, 이들이 등장하는 경우엔 대체로 심술적이면서 오만하거나 자부심 높은 성격으로 벅스 버니 등의 주역들을 노리거나 하대하면서 어리석은 면모로 도전을 걸어오다 패배하는 구도의 전개로 진행되는 경향이 있다.

  • 1950년대부터 두드러진 현재의 루니 툰 캐릭터들의 성격을 좋아하지 않게 되면서 가급적 이전의 성향으로 바꾸는 시도를 했었다고 1969년 마이클 배리어(Michael Barrier)와 진행한 인터뷰에서 밝힌 일이 있었다. 그래서 매킴슨의 작품에 등장하는 대피 덕은 거만하고 위트 있지만 데뷔 초창기(1930년대 후반 ~ 1940년대 중반)처럼 마구 날뛰는 모습으로 나오는 단편들이 많으며 벅스 버니 등의 캐릭터들도 보다 활동적인 성격을 지니며 짖궂은 면모가 강조되는 경향이 있다.[4] 인터뷰에선 1963년 이후 개봉된 루니 툰 단편들에서 기존 캐릭터들이 하차하여 더 이상 등장하지 않게끔 결정한 방향과 이들을 대신해 새롭게 출연한 캐릭터들, 워너 브라더스-세븐 아츠 애니메이션에서 변경된 애니메이션 제작 작업 방식을 매우 싫어했다고 한다.

  • 로머 그레이 스튜디오에서 일할 당시, 뇌진탕을 입는 사고를 당한 적이 있었는데 아이러니하게도 이로 인해 더 나은 시각적 재능을 가지면서 보다 많은 애니메이션 작업을 할 수 있게 되어, 감독 데뷔 전까진 워너 브라더스 스튜디오에서의 수석 애니메이터로써 활동하며 리언 슐레진저 프로덕션 내부에서 유명세를 넓히는 계기가 되었다.

  • 매킴슨이 연출한 몇몇 작품에선 활동 당시의 인기 TV쇼 프로그램 잭 베니 쇼에 출연한 잭 베니(Jack Benny)를 포함한 여러 유명 배우들이 성우로 출연한 일도 있었다.


5. 관련 인물[편집]



  • 전 동료
    • 딕 런디(Dick Lundy)
    • 휴 하먼(Hugh Harman) & 루돌프 아이싱(Rudolf Ising)

  • 상사
    • 리언 슐레진저(Leon Schlesinger)
    • 에드워드 셀저(Edward Selzer)
    • 존 W. 버튼(John W. Burton)
    • 잭 L. 워너(Jack L. Warner)
    • 월트 디즈니

  • 기용한 애니메이터, 연출가
    • 테드 피어스(Tedd Pierce)
    • 워렌 포스터(Warren Foster)
    • 밥 기븐스(Bob Givens)
    • 빌 멜렌데즈
    • 로버트 그리브로크(Robert Gribbroek)
    • 매니 굴드(Manny Gould)
    • 롯 스크라이브너(Rod Scribner)
    • 리차드 비켄바흐(Richard BekenBach)
    • 이지 엘리스(Izzy Ellis)
    • 칼 W. 스털링(Carl W. Stalling)
    • 밀트 프랭클린(Milt Franklyn)
    • 윌리엄 라바(William Lava)


6.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5 19:22:40에 나무위키 로버트 매킴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실제로 로버트와 같은 시기에서 애니메이터로 일했던 그의 형제 찰스 매킴슨(Charles Mckimson)과 토머스 매킴슨(Thomas Mckimson)은 1990년대까지 살아 있었다.[2] 원래는 척 존스가 프로토타입 디자인을 그렸지만 본인의 작품들에선 거의 드물게 출연시켰고, 매킴슨의 작품에 참여한 분량이 많은 관계로 루니 툰 팬덤에서는 사실상 매킴슨의 캐릭터로 판단해 평가하는 사람들도 있다.[3] 프리즈 프레렝이 최종 버전으로 수정하기 이전의 프로토타입 디자인이었다.[4] 루니 툰 골든 컬렉션 DVD 내부에 수록된 부가영상 Behind the tunes 시리즈 중 로버트 매킴슨을 주된 주제로 다룬 한 에피소드의 영상자료 인터뷰에선 그러한 경향이 매킴슨의 상사격 연출가인 밥 크렘펫의 영향에서 비롯된 것이 아닐까 추측하는 언급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