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프리즈 프레렝

덤프버전 :

파일:Annie_Award.png
윈저 맥케이상
[ 펼치기 · 접기 ]

20세기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1972년1973년1974년
맥스 플라이셔데이브 플라이셔월터 란츠텍스 에이버리프리즈 프레렝
1974년1975년
척 존스아트 배빗윈저 맥케이그림 네트윅월트 디즈니
1975년1976년
존 허블리페이스 허블리노먼 맥라렌로버트 캐넌휴 하먼
1976년1977년
루돌프 이징마이클 말테스조지 팔워드 킴볼윌리엄 해나
1977년
조셉 바베라멜 블랭크오스카 피싱거빌 스콧밀트 칼
1978년
제이 워드어브 아이웍스딕 휴머칼 스탈링한스 콘리드
1979년1980년
클라이드 제로니미빌 멜렌데즈매 퀘스텔오토 메스머올리 존스턴
1980년1981년
프랭크 토머스칼 하워드폴 줄리안라번 하딩T. 히
1981년1982년
빌 피트빌 타이틀라존 휘트니켄 헤리스켄 엔더슨
1982년1983년
브루노 보제토준 포레이도날드 W. 그레이엄마크 데이비스에릭 라슨
1983년
프레드 무어클라렌스 내쉬볼프강 레이더먼레오 살킨스티븐 보수스토
1983년1984년
윌프레드 잭슨다우스 버틀러데이비드 핸드잭 키니마이클 라
1984년1985년
로버트 매킴슨리처드 윌리엄스해밀턴 러스크로버트 아벨프레스턴 블레어
1985년
조 그랜트존 핼러스스털링 홀러웨이짐 맥도날드필 먼로
1985년1986년
벤 워셤프레더릭 백샤머스 컬해니윌리엄 T. 허츠이르벤 스펜스
1986년1987년
에머리 호킨스존 란즈베리폴 드리센잭 해나빌 리틀존
1987년1988년
모리스 노블켄 오코너노먼 퍼거슨멜 쇼랠프 박시
1988년1989-1990년
밥 크렘펫티사 데이비드가와모토 기하치로버질 로스아트 클로키
1989-1990년
힉스 로키알렉스 로비돈 메식데즈카 오사무레스터 노브로스
1991년
레이 해리하우젠허버트 클린밥 커츠유리 노르슈테인조 시라쿠사
1991년1992년1993년
루스 키산레스 클라크스탠 프레버그데이비드 힐버만조지 더닝
1993년1994년
로이 E. 디즈니잭 잰더에드 베네딕트아서 데이비스장 밴더 필
1995년1996년
줄스 엥겔반스 게리댄 맥로린메리 블레어버니 매티슨
1996년1997년1998년
타카모토 이와오윌리스 H. 오브라이언마이런 왈드먼폴 윈첼에위빈드 얼
1998년1999년
미야자키 하야오어니스트 핀토프레이 패터슨마르셀 얀코비츠콘 페더슨
2000년
노먼 맥케이브호이트 커틴루실 블리스

21세기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2001년2002년
빌 저스티스피트 알바라도밥 기븐스진 하젤튼플로이드 노먼
2002년2003년2004년
셔먼 형제진 디치존 헨치썰 라벤스크로프트돈 블루스
2004년2005년
버지니아 데이비스아놀드 스탱코니 콜프레드 크리펜타이러스 웡
2006년2007년
안드레아스 데자겐디 타르타콥스키빌 플림턴존 케인메이커글렌 킨
2007년2008년2009년
존 크릭팔루시마이크 저지존 라세터닉 파크팀 버튼
2009년2010년
제프리 카첸버그브루스 팀브래드 버드에릭 골드버그맷 그레이닝
2011년2012년
월터 페리고이뵈르게 링로널드 설테리 길리엄오스카 그릴로
2012년2013년2014년
마크 헨오토모 카츠히로스티븐 스필버그필 티페트디디에 브루너
2014년2015년
돈 러스크리 멘델슨조 랜프트필 로먼타카하타 이사오
2016년2017년
데일 베어캐롤라인 리프오시이 마모루제임스 백스터스티븐 힐렌버그
2017년2018년2019년
웬디 틸비
아만다 포비스
랄프 이글스톤안드레아 로마노프랭크 브랙스톤곤 사토시
2019년2020년
헨리 셀릭론 클레먼츠존 머스커윌리 이토수 C. 니콜스
2020년2021년2022년
브루스 W. 스미스루벤 A. 아퀴노릴리언 슈워츠스즈키 토시오피트 닥터
2022년
에블린 램바트크레이그 맥크라켄




프리즈 프레렝
Friz Freleng
파일:Friz_Freleng_4419.jpg
본명이사도어 프리즈 프레렝
Isadore Friz Freleng
출생1905년 8월 21일[1]
미국 미주리 캔자스 시티
사망1995년 5월 26일 (향년 89세)
미국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

신체NNNcm, NNkg, 혈액형
가족이름 (관계)
학력학교명 학부명 (학과명1 · 학과명2 / 재학 여부)
종교종교
직업애니메이터 & 애니메이션 감독
소속소속
서명
파일:Friz_Freleng_1923_signature.png
1. 개요
2. 생애
3. 제작 작품
5. 여담
6. 관련 인물
7.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미국 미주리 주 출신의 애니메이터 & 애니메이션 감독.


2. 생애[편집]


프리즈의 부모는 각각 폴란드우크라이나에서 태어난 유대인이였는데, 본인을 출산하기 이전에 미국으로 이민을 가서 결혼하여 부부가 되었다고 한다. 프리즈가 처음 애니메이션 활동을 시작한 곳은 United Film Ad Service였으며, 그곳에서 휴 하먼과 어브 아이웍스를 처음 만나게 되었다. 1923년에 어브와 친했던 월트 디즈니할리우드로 이사한 무렵, 캔자스에서 같이 일했던 동료 애니메이터들한테서 스튜디오 합류 요청을 제안받았으나, 여러 외부 작업들을 하다가 1927년이 되어서 현장에 합류하게 된다.

월트 디즈니 스튜디오에 합류한 뒤엔 스튜디오가 제작하고 있던 앨리스 코미디(Alice Comedy)와 오스왈드 래빗 단편 제작에 참여해 원화 애니메이터로 활동했다가, 월트 디즈니와 결별한 프리즈는 휴 하먼과 루돌프 아이징과 같이 자체 애니메이션 제작사 설립을 희망하여 보스코(Bosko)란 새 캐릭터가 출연하는 단편 영화를 제작했다. 프리즈는 당시의 경제 사정상으론 혹시나 카툰 제작 작업이 큰 진전을 보이지 못할까 우려하여, 여러 매체들을 읽으면서 실업률을 살펴보다 찰스 민츠(Charles Mintz)가 제작하던 크레이지 캣(Krazy Kat) 애니메이션 제작을 위해 잠시 뉴욕으로 이사하기도 했었다. 뉴욕에서의 애니메이터 생활은 행복하지 않았으나 또 다른 기회를 얻을 때까지 최선을 다해 작업했다고 하며, 하먼-아이싱 콤비와 만든 보스코 영화가 마침내 워너 브라더스에서 루니 툰이란 단편 애니메이션 시리즈의 제작자로 배정된 리언 슐레진저에게 매각하였단 소식을 접하게 된다. 처음엔 하먼-아이징 콤비가 있던 캘리포니아로 떠나는 것을 꺼렸지만, 루니 툰 제작 참여를 위해 곧 출발했다고 한다.

하먼-아이싱 콤비가 애니메이션 제작 예산 문제로 리언과 충돌을 빚은 이후 리언 슐레진저 프로덕션을 떠나자, 이들만큼 경험 많은 디렉터(감독)가 없었던 제작 현장에서 톰 팔머(Tom Palmer)가 해고당한 빈자리를 대신해 애니메이션 감독 중 1명(나머지는 얼 듀발(Earl Duvall), 잭 킹(Jack King))으로 내정되어 활동하게 된다. 감독으로 활동하면서 프리즈는 거친 작업을 맡는 관리자로서의 명성을 얻기 시작했고 그가 거느린 애니메이션 유닛 부서는 지속적인 고품질의 단편 애니들을 만들어나갔는데, 1937년 가을 프레드 큄비가 메트로 골드윈 메이어 카툰 스튜디오에서 새 카툰을 제작하기 위해 급여 인상 조건하의 활동 제안을 받아들여 리언 슐레진저 프로덕션을 떠나 캡틴과 아이들(The Captain and The Kids)이란 스트립 코믹 원작 단편 카툰 시리즈에서 감독을 맡아 활동했다.

하지만 MGM의 애니메이션 감독으로써 이직한 지 얼마 지나지 않은 1939년 4월 중순, MGM 카툰 스튜디오를 떠나 워너 브라더스(의 리언 슐레진저 프로덕션으)로 다시 이직해 You Ought to Be in Pictures를 제작하면서 다시금 자신만의 창의성과 코미디 스타일을 구현해 가기 시작했다. 몇년 간 빠르게 연출력을 다진 프리즈는 레이아웃 아티스트로 (워너 브라더스 카툰즈에서) 활동하던 하울리 프랫과 공동으로 요세미티 샘을 디자인했으며, 실베스터 & 트위터, 스피디 곤잘레스를 수정한 디자인으로 탈바꿈해 데뷔시켰다. 제2차 세계대전 중엔 척 존스, 밥 크렘펫 등과 함께 이등병 스나푸란 전시 선전 애니메이션 제작에 참여한 일도 있었으며, 매카시즘이 광풍을 휩쓸던 1950년대 초반엔 Alfred P. Sloan Foundation(앨프리드 솔런 재단)의 후원 하에 3편의 자본주의 선전 단편 애니를 제작하기도 했다.

텔레비전의 보급과 파라마운트 판결의 여파와 영화 티켓 가격 인상 등의 영향으로 영화계의 수익이 감소하게 되어 1963년에 워너 브라더스 카툰즈가 폐쇄된 이후, 해나-바베라 프로덕션의 요기 베어의 첫번째 극장판에서 스토리 감독으로 잠깐 활동한 뒤에 (프리즈) 본인의 동료이자 전임 상사 데이비드 H. 드파티와 함께 애니메이션 제작사 드파티-프레렝 엔터프라이즈를 설립했다. (같은 년도에) 워너 브라더스가 다시 애니메이션 스튜디오를 열기로 결정하자 (1966년까지) 약 3년간 루니 툰 & 메리 멜로디즈 단편의 하청 작업을 담당했으며, 1963년 유나이티드 아티스트로부터 핑크 팬더란 실사 영화에 나올 오프닝 타이틀 애니메이션 제작을 의뢰받았을 때 하울리와 같이 타이틀에서 나올 핑크 팬더란 캐릭터를 디자인하였다.

영화가 개봉한 뒤 핑크 팬더란 캐릭터가 사회적인 주목을 얻자 이를 감지한 유나이티드 아티스트의 의뢰를 수용해 1964년 The Pink Phink란 단편 애니메이션을 제작하였는데, (해당 단편이) 1965년 아카데미상 최우수 단편 애니메이션 부문에서 수상하게 되자 핑크 팬더 시리즈를 포함한 오리지널 캐릭터들이 주역을 맡는 여러 단편 애니메이션 시리즈를 만들게 되면서 드파티-프레렝이 폐업한 1980년까지 관련 작품들을 줄곧 제작하기도 했다.[2]

1979년에 3편의 루니 툰 스페셜 단편 애니메이션을 제작해 준 프리즈는, 드파티-프레렝 엔터프라이즈가 마블 코믹스에 매각된 그 년도에 워너 브라더스 애니메이션으로 이직하였으며 1983년까지 루니 툰 단편을 총집편으로 편집하고 새로운 애니메이션 시퀀스를 삽입한 극장판을 1년에 1편씩 총 3편을 책임 제작자의 직위로써 제작에 임하게 된다. 1986년 프리즈는 자신의 비서한테 제작자의 직책을 넘겨준 뒤 애니메이션 업계에서 은퇴를 하였다.

1995년 5월 26일, 프리즈가 노후 생활을 보내고 있던 로스앤젤레스에서 자연사로 세상을 떠난 소식이 전해지자 카툰네트워크는 그의 이름과 출생년도가 삽입된 ID 방송자료를 제작해 방영하면서 프리즈를 추모했으며, 수수께끼 명탐정 실베스터 & 트위티 TVA와 단편 애니 From Hare to Eternity의 크레딧에서 프리즈의 이름을 헌정하며 그의 업적을 기렸다. 프리즈의 시신은 힐사이드 기념 공원 묘지에 안장되었다.


3. 제작 작품[편집]


  • 앨리스 코미디(1923~1926)
  • 오스왈드 래빗(1927~1928)
  • 루니 툰 & 메리 멜로디즈(1933~1967)
  • The Captain and Kids(1938~1939)
  • 핑크 팬더 시리즈(1964~1978)
  • 드파티-프레렝 엔터프라이즈 책임 제작자 참여 작품들(1963~1980)
  • Bugs Bunny's Looney Christmas Tales, Bugs Bunny Christmas Carol, Fright Before Christmas(1979)
  • Daffy Duck's Easter Special(1980)
  • The Looney Looney Looney Bugs Bunny Movie(1981)
  • Bugs Bunny's 3rd Movie: 1001 Rabbit Tales(1982)
  • Daffy Duck's Fantastic Island(1983)


4. 다큐멘터리[편집]


  • The Boys From Termite Terrace, Bugs Bunny: Superstar(1975)
  • Friz on Film(2006)


5. 여담[편집]


  • 일부 캐릭터는 본인을 모티브로 한 캐리커쳐로 디자인했다고 하는데, 핑크 팬더의 빅노우즈와 루니 툰의 요세미티 샘이다. 후자는 생전에 스스로 연관된 유사성을 농담삼아 부인했었지만, 루니 툰 골든 컬렉션 DVD 내부의 부가영상이자 한 다큐멘터리에 수록된 인터뷰에서 업계인들은 프리즈 본인(의 애니메이션 감독으로서 휘하 부서의 애니메이터들에게 종종 잦은 지시를 내렸던 완벽주의적인 면모)을 모티브로 한 캐리커쳐가 맞다고 증언했으며, 프리즈의 딸은 확실히 샘의 모티브가 아버지한테서 영향을 받았음을 인정한 바 있다.

  • 자신이 데뷔시킨 요세미티 샘은 1950년대부터 엘머 퍼드의 역할을 대체하였는데, 이는 엘머가 너무 불쌍하고 벅스한테 위협적이지 않은 캐릭터라서 오히려 벅스가 엘머를 속이는 것처럼 보여 안타깝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새 적대자로 요세미티 샘이란 캐릭터를 만들어 출연시키게 되었다고 한다.[3] 비슷한 시기엔 포키 피그도 벅스 버니나 대피 덕 같은 캐릭터들처럼 개성있게 느껴지지 않다고 평가하게 되어 프리즈는 자신이 포키 피그의 창작자였음에도 불구하고 1950년대부턴 조연으로써의 역할로만 작품들에 간헐적으로 출연시키기도 했다.

  • 루니 툰의 애니메이션 감독 중에서 작품 내의 배경에 적대자 캐릭터들이 사망하여 지옥으로 가는 전개를 가장 많이 다룬 연출가였었다.

  • 루니 툰 & 메리 멜로디즈 단편 중에서 아카데미상을 가장 많이 수여받은 (작품을 연출한) 감독이였었다. (1947년, 1955년, 1959년 총 3회) 동시에 1968년 Banned cartoon으로 지정되어 TV 방영이 제한된 금지된 11편(Censored Eleven) 중에 가장 많은 단편들을 연출한 감독이기도 하였다.

  • 그의 작품에서 데뷔한 캐릭터는 포키 피그, 트위티 버드 & 실베스터[4], 스피디 곤잘레스[5], 할머니(그래니)[6] 등이 있다.

  • 1946년 개봉된 프리즈 자신의 작품 Rhapsody rabbit이 이듬해 개봉한 해나-바베라 콤비의 작품 The Cat Concerto와 표절 시비가 빚어진 소동이 있었다. 애니메이션 역사가 제리 벡(Jerry Beck)이 운영하는 카툰리서치 닷컴에서 활동하는 한 애니메이션 역사가가 게재한 관련 자료에 의하면 후자가 개봉될 당시에 그를 직접 감상한 후 불쾌한 표정으로 짧막한 말만 했었다고 한다. 물론 당시에만 이랬던 것이었는지 해나-바베라 콤비와는 이후 텔레비전기에 여러 시리즈를 공동 제작하는 등 원만한 교류를 유지했으며, 해나-바베라 콤비는 프리즈가 작고했던 당시에 그를 추모하는 그림 카드를 그리기도 했다.

  • 황금기 당시 루니 툰에서 활동한 메이저 연출가 중에선 유일하다시피한 음악 작곡가 출신이자 바이올리니스트 출신인 관계로 가장 음악적 재능이 뛰어나 자신의 연출 작품들에서 음악적 기법을 활용한 개그 & 슬랩스틱을 종종 묘사했었으며, 음악에 관련된 작품들을 가장 많이 연출한 감독이였음이 훗날 현대기에 재조명받기도 했다. 음악을 주제로 다룬 작품들은 Rhapsody in Rivet(1941), Pigs in a Polka(1943), Rhapsody Rabbit(1946), Back Alley Oproar(1948), Pizzicato Pussycat(1955), The Three Little Bops(1957), The Pied Piper of Guadalupe(1961) 등이 있다.

6. 관련 인물[편집]


  • 동료
    • 텍스 에이버리
    • 척 존스
    • 밥 크렘펫
    • 윌리엄 해나 & 조셉 바베라[7]
    • 데이비드 H. 드파티(David H. Depatie) : 드파티-프레렝 엔터프라이즈의 공동 설립자.
    • 로버트 매킴슨
    • 멜 블랭크
    • 준 포레이
    • 아서 Q. 브라이언(Arthur Q. Bryan) : 엘머 퍼드를 맡았던 초대 전담 성우.
    • 스탠 프리버그(Stan Freberg)
    • 헨리 맨시니

  • 상사
    • 리언 슐레진저(Leon Schlesinger) : 루니 툰 & 메리 멜로디즈의 초대 제작자.
    • 에드워드 셀저(Edward Selzer) : 루니 툰 & 메리 멜로디즈의 2대 제작자.
    • 존 W. 버튼(John W. Burton) : 루니 툰 & 메리 멜로디즈의 3대 제작자.
    • 잭 레너드 워너(Jack L. Warner, 잭 워너)[8]
    • 프레드 큄비(Fred Quimby)[9]

  • 전 동료
    • 월트 디즈니[10]]
    • 휴 하먼(Hugh Harman) & 루돌프 아이싱(Rudolf Ising) : 루니 툰의 초대 감독.
    • 어브 아이웍스
    • 프랭크 태쉬린(Frank Tashlin)
    • 벤 하더웨이(Ben Hardaway)[11]

  • 기용한 애니메이터, 연출가
    • 하울리 프랫(Hawley Pratt) : 프리즈의 작품에서 20년간 레이아웃과 캐릭터 디자이너를 맡은 애니메이터.
    • 게리 치니쿼이(Gerry Chiniquy) : 프리즈의 작품에서 주로 일한 원화 애니메이터.
    • 필 먼로(Phil Monroe)
    • 버질 로스(Virgil Ross)
    • 워렌 포스터(Warren Foster) : 프리즈의 1950년대 작품에서 활동한 스토리 작가.
    • 테드 피어스(Tedd Pierce) : 1940년대에 프리즈의 일부 작품에서 활동한 스토리 작가.
    • 아트 데이비스(Art Davis) : 1950년대부터 프리즈의 작품에서 주로 활동한 애니메이터.
    • 칼 W. 스텔링(Carl W. Stalling) : 루니 툰의 초대 음악 감독.
    • 밀트 프랭클린(Milt Franklyn) : 루니 툰의 2대 음악 감독.
    • 윌리엄 라바(William Lava) : 루니 툰의 3대 음악 감독.
    • 넬슨 신


7. 관련 문서[편집]





[1] 출생 년도에 대해서 1905년에 태어났는지, 1906년에 태어났는지에 대해 자료에 따라 엇갈려 표기되기도 했다.[2] 스타워즈 4에서 나오는 라이트세이버의 특수 효과 애니메이션을 조지 루카스의 의뢰로 드파티-프레렝 내부 직원이었던 넬슨 신이 제작하여 제공해 준 일도 있었다고 한다.[3] 프리즈 자신이 감독으로 연출한 1959년 작품 Person to Bunny 편에서 TV 프로그램 사회자가 벅스한테 엘머 퍼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질문하자 내가 만난 사냥꾼 중에서 가장 멍청한 사냥꾼이었다고 답변한 바람에 방송을 보고 열받은 엘머가 직접 벅스 버니의 집을 찾아 샷건을 겨누고 위협하면서 사과를 요구한 장면도 있었다.[4] 밥 크렘펫이 창작한 모티브 캐릭터들의 최종 수정 디자인.[5] 로버트 매킴슨이 창작한 모티브 캐릭터들의 최종 수정 디자인.[6] 텍스 에이버리가 연출한 1937년 작품에서 처음 나왔었지만 단 1번밖에 등장하지 않아 사실상 프리즈 프레렝의 캐릭터로 평가하는 사람들도 있다.[7] 1960년대 초기와 1970년대 후기에 공동으로 작품을 작업한 경력이 있다. 존 크릭팔루시가 이들과 서로 만난 인터뷰 기사 일부를 본인의 블로그(John K Stuff)에 올린 게시물도 있는데 구글로 검색하면 열람할 수 있다.(전문 기사는 모종의 이유로 삭제된 상태이다.)[8] 워너 브라더스의 공동 설립자이자 초대 CEO. 스탭들과 같이 직접 (그를) 스튜디오에서 만날 수 있었던 사례는 1953년 1번뿐이었다고 한다.[9] MGM 카툰 스튜디오의 제작자. 프리즈가 MGM에 이직한 지 얼마 못 지나 워너 브라더스로 복귀해 오랜 커넥션은 유지하지 못했다.[10] 스튜디오에서 같이 일할 당시 오스왈드 래빗 제작 작업 중에 월트한테 강요받은 일들이 많았었고, 그가 자신에게 화해하는 내용의 편지를 전하기도 했지만 이내 다시 괴롭힘을 당하게 되어 결별했으며 프리즈는 월트를 좋아하지 않았다고 한다.(생전 애니메이션 역사가 마이클 배리어와의 인터뷰에서 언급.[11] 벅스 버니의 이름의 모티브가 된 애니메이터. 1940년부턴 월터 란츠 프로덕션으로 이직해 딱따구리(애니메이션)에서 작가이자 우디의 성우로 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