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척 존스

덤프버전 :

척 존스의 주요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파일:oscar_logo.svg

아카데미 공로상
[ 펼치기 · 접기 ]

20세기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1927/1928년1928/1929년1929/1930년1930/1931년
워너 브라더스찰리 채플린없음
1931/1932년1932/1933년1934년1935년1936년
월트 디즈니없음셜리 템플데이비드 와크 그리피스시간의 행진
1936년1937년
W. 하워드 그린
해럴드 로슨
에드가 버겐W. 하워드 그린현대미술관 영화도서관맥 세네트
1938년
J. 아서 볼월트 디즈니디아나 더빈
미키 루니
고든 제닝스 외 10인올리버 T. 마쉬
앨런 데이비
1938년1939년
해리 워너더글러스 페어뱅크스주디 갈랜드윌리엄 카메론 멘지스영화구호기금
1939년1940년1941년
테크니컬러 USA밥 호프네이선 레빈슨월트 디즈니
윌리엄 가리티
존 N. A. 호킨스
RCA
레오폴드 스토코프스키와 그의 동료들
1941년1942년
레이 스콧영국 정보부샤를 부아예노엘 코워드메트로 골드윈 메이어
1943년1944년1945년
조지 팔밥 호프마가렛 오브라이언리퍼블릭 스튜디오
대니얼 J. 블룸버그
리퍼블릭 스튜디오 사운드 부서
월터 웡거
1945년1946년
내가 사는 집 (영화)페기 앤 가너해롤드 러셀로런스 올리비에에른스트 루비치
1946년1947년
클로드 자먼 주니어제임스 바스켓윌리엄 니콜라스 세릭
앨버트 E. 스미스
조지 커크 스푸어
빌과 쿠 (영화)구두닦이 (영화)
1948년1949년
월터 웡거무슈 빈센트 (영화)시드 그라우만아돌프 주커진 허솔트
1949년1950년
프레드 아스테어세실 B. 드밀자전거 도둑 (영화)루이스 B. 메이어조지 머피
1950년1951년1952년
말라파가의 벽 (영화)진 켈리라쇼몽 (영화)메리안 C. 쿠퍼밥 호프
1952년1953년
해럴드 로이드조지 미첼조셉 M. 쉔크금지된 게임 (영화)20세기 폭스
1953년1954년
벨 & 하웰 컴퍼니조셉 브린피트 스미스부스 & 롬 컴퍼니대니 케이
1954년
켐프 니버그레타 가르보존 휘틀리빈센트 윈터지옥문 (영화)
1955년1956년1957년
사무라이 i: 미야모토 무사시 (영화)에디 캔터영화 및 텔레비전 기술자 협회길버트 M. 앤더슨찰스 브래킷
1957년1958년1959년1960년
B. B, 카헤인모리스 슈발리에버스터 키튼리 드 포레스트게리 쿠퍼
1960년1961년
스탠 로렐헤일리 밀스윌리엄 L. 헨드릭스프레드 L. 메츨러제롬 로빈스
1962년1963년1964년1965년1966년
없음윌리엄 J. 터틀밥 호프야키마 카넛
1966년1967년1968년1969년
Y. 프랭크 프리먼아서 프리드존 챔버스오나 화이트케리 그랜트
1970년1971년1972년
릴리안 기시오슨 웰스찰리 채플린찰스 S. 보렌에드워드 G. 로빈슨
1972년1973년1974년
앙리 랑글로아그루초 막스하워드 혹스장 르누아르메리 픽포드
1976년1977년1978년
없음마가렛 부스월터 란츠로런스 올리비에킹 비더
1978년1979년1980년1981년
현대미술관 영화과할 엘리아스알렉 기네스헨리 폰다바버라 스탠윅
1982년1983년1984년1985년
미키 루니할 로치제임스 스튜어트국립예술기금폴 뉴먼
1985년1986년1987년1988년
알렉스 노스랄프 벨라미없음코닥캐나다 국립영화위원회
1989년1990년1991년1992년
구로사와 아키라소피아 로렌머나 로이사티야지트 레이페데리코 펠리니
1993년1994년1995년1996년
데보라 카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커크 더글러스척 존스마이클 키드
1997년1998년1999년2000년
스탠리 도넌엘리아 카잔안제이 바이다잭 카디프어니스트 리먼

21세기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2001년2002년2003년2004년
시드니 포이티어로버트 레드포드피터 오툴블레이크 에드워즈시드니 루멧
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
로버트 올트먼엔니오 모리코네로버트 F. 보일없음로렌 바콜
2009년2010년
로저 코먼고든 윌리스케빈 브라운로장뤽 고다르일라이 월랙
2011년2012년
제임스 얼 존스딕 스미스돈 앨런 페네베이커할 니덤조지 스티븐스 주니어
2013년2014년
안젤라 랜스버리스티브 마틴피에로 토시장클로드 카리에미야자키 하야오
2014년2015년2016년
모린 오하라스파이크 리제나 로우랜즈성룡린 스털마스터
2016년2017년
앤 V. 코츠프레더릭 와이즈먼찰스 버넷오웬 로이즈먼도날드 서덜랜드
2017년2018년2019년
아녜스 바르다마빈 레비랄로 쉬프린시실리 타이슨데이비드 린치
2019년2020년2021년
웨스 스투디리나 베르트뮐러없음새뮤얼 L. 잭슨일레인 메이
2021년2022년2023년
리브 울먼피터 위어유잔 팔시다이앤 워런





파일:Annie_Award.png
윈저 맥케이상
[ 펼치기 · 접기 ]

20세기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1972년1973년1974년
맥스 플라이셔데이브 플라이셔월터 란츠텍스 에이버리프리즈 프레렝
1974년1975년
척 존스아트 배빗윈저 맥케이그림 네트윅월트 디즈니
1975년1976년
존 허블리페이스 허블리노먼 맥라렌로버트 캐넌휴 하먼
1976년1977년
루돌프 이징마이클 말테스조지 팔워드 킴볼윌리엄 해나
1977년
조셉 바베라멜 블랭크오스카 피싱거빌 스콧밀트 칼
1978년
제이 워드어브 아이웍스딕 휴머칼 스탈링한스 콘리드
1979년1980년
클라이드 제로니미빌 멜렌데즈매 퀘스텔오토 메스머올리 존스턴
1980년1981년
프랭크 토머스칼 하워드폴 줄리안라번 하딩T. 히
1981년1982년
빌 피트빌 타이틀라존 휘트니켄 헤리스켄 엔더슨
1982년1983년
브루노 보제토준 포레이도날드 W. 그레이엄마크 데이비스에릭 라슨
1983년
프레드 무어클라렌스 내쉬볼프강 레이더먼레오 살킨스티븐 보수스토
1983년1984년
윌프레드 잭슨다우스 버틀러데이비드 핸드잭 키니마이클 라
1984년1985년
로버트 매킴슨리처드 윌리엄스해밀턴 러스크로버트 아벨프레스턴 블레어
1985년
조 그랜트존 핼러스스털링 홀러웨이짐 맥도날드필 먼로
1985년1986년
벤 워셤프레더릭 백샤머스 컬해니윌리엄 T. 허츠이르벤 스펜스
1986년1987년
에머리 호킨스존 란즈베리폴 드리센잭 해나빌 리틀존
1987년1988년
모리스 노블켄 오코너노먼 퍼거슨멜 쇼랠프 박시
1988년1989-1990년
밥 크렘펫티사 데이비드가와모토 기하치로버질 로스아트 클로키
1989-1990년
힉스 로키알렉스 로비돈 메식데즈카 오사무레스터 노브로스
1991년
레이 해리하우젠허버트 클린밥 커츠유리 노르슈테인조 시라쿠사
1991년1992년1993년
루스 키산레스 클라크스탠 프레버그데이비드 힐버만조지 더닝
1993년1994년
로이 E. 디즈니잭 잰더에드 베네딕트아서 데이비스장 밴더 필
1995년1996년
줄스 엥겔반스 게리댄 맥로린메리 블레어버니 매티슨
1996년1997년1998년
타카모토 이와오윌리스 H. 오브라이언마이런 왈드먼폴 윈첼에위빈드 얼
1998년1999년
미야자키 하야오어니스트 핀토프레이 패터슨마르셀 얀코비츠콘 페더슨
2000년
노먼 맥케이브호이트 커틴루실 블리스

21세기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2001년2002년
빌 저스티스피트 알바라도밥 기븐스진 하젤튼플로이드 노먼
2002년2003년2004년
셔먼 형제진 디치존 헨치썰 라벤스크로프트돈 블루스
2004년2005년
버지니아 데이비스아놀드 스탱코니 콜프레드 크리펜타이러스 웡
2006년2007년
안드레아스 데자겐디 타르타콥스키빌 플림턴존 케인메이커글렌 킨
2007년2008년2009년
존 크릭팔루시마이크 저지존 라세터닉 파크팀 버튼
2009년2010년
제프리 카첸버그브루스 팀브래드 버드에릭 골드버그맷 그레이닝
2011년2012년
월터 페리고이뵈르게 링로널드 설테리 길리엄오스카 그릴로
2012년2013년2014년
마크 헨오토모 카츠히로스티븐 스필버그필 티페트디디에 브루너
2014년2015년
돈 러스크리 멘델슨조 랜프트필 로먼타카하타 이사오
2016년2017년
데일 베어캐롤라인 리프오시이 마모루제임스 백스터스티븐 힐렌버그
2017년2018년2019년
웬디 틸비
아만다 포비스
랄프 이글스톤안드레아 로마노프랭크 브랙스톤곤 사토시
2019년2020년
헨리 셀릭론 클레먼츠존 머스커윌리 이토수 C. 니콜스
2020년2021년2022년
브루스 W. 스미스루벤 A. 아퀴노릴리언 슈워츠스즈키 토시오피트 닥터
2022년
에블린 램바트크레이그 맥크라켄





||
[ 펼치기 · 접기 ]

이름척 존스
CHUCK JONES
분야파일: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영화 심볼.jpg 영화
입성날짜1995년 2월 13일
위치7007 Hollywood Blvd.





척 존스
Chuck Jones
파일:Chuck jones.jpg
본명찰스 마틴 존스
Charles Martin Jones
국적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출생1912년 9월 21일
미국 워싱턴 스포케인
사망2002년 2월 22일 (향년 89세)
미국 캘리포니아 뉴포트 비치[1]
학력캘리포니아 예술학교
직업애니메이터, 작가, 영화제작자, 각본가, 만화가, 화가
활동1933년 ~ 2000년
배우자도로시 웹스터 (1935~1978)
마리안 던 (1981~2002)
링크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LinkedIn 아이콘.svg[2]
서명
파일:척 존스 서명.png

1. 생애
2. 연출 특징
3. 여담
4. 관련 인물
5. 관련 영상들
6. 연출 & 제작 작품들



1. 생애[편집]


척 존스가 태어난 지 몇년 후 가족들은 캘리포니아 주로 이사를 갔는데, 자서전 Chuck Amuck에 의하면 본인이 지닌 미술 재능은 사업을 실패한 기업인이였던 아버지가 종종 쓸모없어진 연필, 문구들을 집으로 들고 와서 나눠줬는데 이때 그림들을 그리게 된 영향으로 축적되었다고 밝혔다. 또한 미술 학교의 수업에서 한 교수가 학생들에게 가치있는 것을 그리기 전에 10만장의 졸작들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한 것에도 커다란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

시나드 예술학교(Chouinard Art Institute)[3]를 졸업한 후엔 어브 아이웍스의 스튜디오에서 셀화 세탁을 맡으며 일했는데, 여기서 첫번째 부인인 도로시 웹스터를 만났다. 얼마 뒤(1933년), 루니 툰 단편을 제작하던 워너 브라더스 내부 스튜디오인 리언 슐레진저 프로덕션에 이직하여 보조 애니메이터로 일하기 시작해 1935년에는 애니메이터로 승진하였고, 이 때 텍스 에이버리의 '에이버리 유닛' 중 1명으로 배정되었다. 당시 워너브라더스 내부 스튜디오엔 새로 일하는 애니메이터들이 머물 작업 공간이 협소해진 상황이라 스튜디오 근처의 소규모 작업소로 이동해 밥 크렘펫, 버질 로스, 시드 서덜랜드 등과 같이 일하게 되었다. 이 작업소는 터마이트 테라스(Termite terrace)란 별명이 붙여지게 된다.


[4]
초창기(1940년)에 연출한 단편 중 하나로 생전 척이 자서전에서 직접 흑역사평가했던 작품이었다. 제목은 Elmer's Candid Camera.

1936년엔 감독으로 승진한 밥 크렘펫의 '크렘펫 유닛' 휘하 애니메이터로도 활동했으며, 이듬해(1937년) 감독에 등단함으로써 디렉터의 직위에 올랐다. 1940년대 초엔 스튜디오 내부의 애니메이터 노동조합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당시 프로듀서이던 리언 슐레진저가 잠시 리언 슐레진저 프로덕션을 폐쇄하는 등의 마찰도 겪었으며, 자신은 연출가로 활동하던 중이었기 때문에 (노동조합에) 가입하지는 못했었다고 한다.[5] 진주만 공습 직후 미국이 제2차 세계대전에 참전한 영향으로 닥터 수스와 협력해 워너브라더스의 해외 주둔 미군 병영 보급용 선전 애니메이션 이등병 스나푸(private snafu)의 감독진 중 1명으로도 일했고, 1940년대 후기부터 50년대까지 척 본인이 창작해낸 루니 툰 캐릭터들의 디자인과 그들이 나오는 단편들의 연출을 맡았다.

워너 브라더스가 1953년 3D 영화 제작을 이유로 몇달 간 워너 브라더스 카툰즈를 폐쇄하자, 월트 디즈니 프로덕션으로 이직해 4개월간 잠자는 숲속의 미녀의 애니메이터로 참여한 일이 있었다.[6] 같은 해 스튜디오가 다시 개업한 뒤론 남은 1950년대를 워너 브라더스에서 활동했으며, 1962년 중반에 아내 도로시와 UPA에서 제작한 영화 gay purr-ee의 시나리오를 작업했던 경력이 독점 계약을 위반한 정황을 워너브라더스가 파악하였으며, 오랜 논의를 진행한 이후 척은 워너 브라더스 카툰즈에서 해고당했다. 같은 해엔 레스 골드먼과 함께 1960년 설립된 시브 타워 12 프로덕션이란 회사를 인수해 4년 동안 톰과 제리 단편 시리즈를 제작하였으며[7], MGM 휘하 스튜디오에서 활동할 당시엔 TV 스페셜 애니 How the Grinch Stole Christmas!와 단편 애니메이션 영화 2편을 제작하기도 했다.

1970년 mgm 카툰 스튜디오가 폐쇄되자 제작하고 있던 the cat in the hat 애니메이션 제작 작업을 부득이하게 멈춰야만 했고, 척은 척 존스 엔터프라이즈란 명칭의 애니메이션 제작사를 설립하여 tv 스페셜 애니메이션의 제작에 집중하였다. 그러다 1976년쯤에 워너 브라더스로 복귀해 1990년대 후기까지 여러 루니 툰 단편 애니들과 벅스 버니/로드 러너 무비[8]의 감독을 담당했다. 이듬해엔 시카고-트리뷴 ny 뉴스 신디케이트에서 1년간 코믹을 연재했었는데, 연재가 끝난 년도(1978년)에 도로시가 세상을 떠나자 1981년, 코믹 '릭 오 셰이'의 작가인 마리안 던과 결혼하였다.

1980, 90년대엔 딸 린다 존스가 설립한 린다 존스 엔터프라이즈에 자신이 제작한 작품들과 그를 패러디한 그림을 그리는 등의 삽화 활동과 그렘린 1편에서의 카메오 출연, 후속편을 비롯한 여러 영화에서의 애니메이션 시퀀스 감독을 맡는 등 말년까지 업계 내외적으로 활동을 이어나갔다.[9] 2002년 2월 22일, 캘리포니아 뉴포트비치에 있는 자택에서 일어난 심부전으로 인해 의식을 회복하지 못하고 사망하였으며, 유골화장되어 해안가에서 흩뿌려졌다. 당시 카툰네트워크는 그를 추모하는 문구와 함께 척의 초상화를 첨부한 20초 분량의 세그먼트를 방영하였다.


2. 연출 특징[편집]


척이 감독 활동 초창기에 연출한 단편들은 디즈니 작품의 영향이 상당히 짙었었지만, 1942년 개봉된 The Dover Boys & The Draft House & Hold the Lion, Please! 편들에서부터 프로토타입 리미티드 애니메이션 기법과 시나리오 전개 변경, 캐릭터 성향 조정으로 조금씩 연출 스타일을 변화시키기 시작했고, 1948년부턴 디즈니 애니메이터들의 드로잉 연출에서 다시 영감을 얻어 자신의 시그니처 스타일을 개발하여 작품 내에서 삽입하게 된다.[10] 루니 툰 팬층에서도 인기도가 높은 척 존스의 단편들은 (다수가 척의 연출 기법이 확립된) 1948년 이후에 개봉된 작품들이 많이 거론되며, 2010년 발간된 the 100 greatest looney tunes cartoons에서 투표로 뽑힌 단편들 중에서 척의 작품들은 1948년 이후의 작품들이 상당수가 선발되었다.

1940년대 해나-바베라 콤비의 톰과 제리로 업계 전반에서 추격물 신드롬이 활발하던 무렵엔 패러디이면서도 내부 설정 & 공식을 꼼꼼하지만 매우 단순화시킨 추격물 로드 러너를 제작했으며, 비슷한 시기에 창작해낸 와일 E. 코요테, 페페 르퓨, 찰리 독, 미시건 프록 등은 목표를 시도하지만 결코 동정받지 못하는 결과와 캐릭터의 표정, 행동의 묘사를 섬세히 표현해 내면적인 목적[11]을 적절하게 조합하여 드러냄과 동시에 배경 설정으로 무거운 조크를 덧입히는 연출을 연이어 시도해 나갔다.

캐릭터를 디자인하는 과정에선 화성인 마빈이나 High Note 편에서 등장한 캐릭터들처럼 얼굴의 일부 기관들이 없는 캐릭터를 창작하는 등의 포스트모더니즘적인 단순화가 1940년대 후기부터 더욱 두드러졌는데, 이는 업계 내외에서 1940년대 초에 큰 주목을 받은 UPA(United Productions of America)보다 조금 앞서서 시도한 프로토타입 리미티드 애니메이션 기법의 부분적인 영향도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척의 작품에서 보다 두드러진 캐릭터의 엄격한 공식 설정과 그에 어우러진 포스트모더니즘 디자인 & 개그 연출, 냉소적인 시나리오 설정은 당시의 아카데미 관계자들도 여러모로 눈여겨 보던 작품이 되어갔는데, 애니메이션 단편 영화 부문에서 총 8편이나 척의 작품이 지명되었었고, 두 차례나 트로피가 수여되기까지 했다.[12] 1960년대 후반부턴 애니메이션 역사가들과의 교류를 이어가면서 척의 작품들이 이들의 비평이 담긴 애니메이션 전문 잡지에 차츰 언급되기 시작했고, 1974년 윈저 매케이 어워드 수여, 1993년 오글소프 대학 명예 학위 수여, 1988년 자그레브 국제 애니메이션 영화제 일생 공로상 수여, 할리우드 명예의 전당 인물 선정, 1996년 아카데미 공로상 수여 등의 다양한 어워드에서 공헌을 인정받으면서 20세기 애니메이션 발전에 크게 기여한 역사적 권위자로 평가받게 되었다.

척 존스가 확립시켰던 캐릭터 구조(냉소적인 성격을 지닌 독설가이지만 무슨 일이 터지면 자기 이익에 앞장서서 행동하는 대피 덕)도 유명해져 1960년 방영된 벅스 버니 쇼부터 시작해 2011년 방영한 루니 툰 - 벅스 버니와 대피 덕까지 루니 툰 애니메이션 관련 미디어 믹스 매체에서 공식으로 활용되었었다.


3. 여담[편집]


  • 1940~50년대 당시 제작된 루니 툰 단편들을 그림체로 잘 살펴보면 척이 연출한 작품들을 쉽게 구분해낼 수 있다.이미지 이미지 이는 프리즈 프레랭, 로버트 매킴슨 등이 연출한 작품들과도 확연히 캐릭터들의 표정이 차이가 나 있다.

  • 황금기에 활동한 미국인 애니메이터 중에선 현대기까지 장수한 애니메이터 중 1명이었다.[13] 또한 루니 툰을 만들던 워너 브라더스 애니메이터 중 유일하게 아카데미상을 수여받은 애니메이터이다. 1996년에 수여받았으며, 황금기의 미국 애니메이터 중에선 아카데미상을 수여받은 몇 안 되는 연출가이기도 했다.[14] 말년까지 현역으로 활동한 여력 덕분에 척 본인을 촬영한 인터뷰 영상 자료들과 기사 자료들, 관련된 도서 자료들이 상대적으로 많이 존재한다.

  • 195~60년대 당시 태동하던 미국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에 대해 훗날 인터뷰에서 'illustrated radio'(편집된 라디오)라 발언하며 매우 부정적인 평가를 내렸다.chuck jones conversation 64페이지 사실 척 존스가 작업해왔던 극장용 애니메이션들에 비하면 동화 프레임도 적고 작붕도 심하며 퀄리티가 떨어지는지라 어쩔 수 없긴 하다. 그래서인지 1970년대에 한창 TV판 애니메이션들을 제작했을 때는 해나-바베라 프로덕션, 필메이션 등의 메이저 스튜디오에서 활동하지 않고 직접 척 존스 엔터프라이즈라는 스튜디오를 설립해 20분 이상의 긴 분량의 TV 스페셜 애니메이션을 주로 만들었었다.

  • 인터뷰 자료들과 자신의 전기 등에서 1980년대 중반과 그 이후에 제작된 현대기의 TV 애니메이션들도 많이 시청하지 않았는지 거의 언급하진 않았다. 언급한 작품들은 랄프 박시마이티 마우스 1987년 TVA[15]와 1990년대의 한 인터뷰에서 언급한 맷 그레이닝이 일했던 폭스에서 방영한 심슨 가족이 전부. 다만 극장판 애니메이션들은 말년까지 시청했었으며, 1998년 벅스 라이프를 보러 갈 때 극장 앞에서 모습을 드러낸 사진을 구글링에서 찾아볼 수 있다.

  • 생전의 한 인터뷰에서 자신이 1948년 이전에 작업한 작품들 대다수를 싫어한다고 언급한 적이 있었는데, 줄거리의 전개가 느렸던 것과 (여러 점에서) 디즈니 작품들을 닮은 듯한 부분이 있었다는 것이 그 이유가 되었음을 밝히기도 했다.





4. 관련 인물[편집]


  • 영향을 받은 인물
    • 윈저 매케이(Winsor Mccay)[16]
    • 월트 디즈니[17]
    • 찰리 채플린
    • 버스터 키튼
    • 메리 픽포드
    • 로이드 해밀턴
    • 막스 형제[18]
    • 마크 트웨인[19]
    • 윌리엄 해나 & 조셉 바베라[20]

  • 동료
    • 텍스 에이버리[21]
    • 프리즈 프레렝 : 서로 말년까지 교류한 척의 (또다른) 절친이자 동료 애니메이션 감독.
    • 로버트 매킴슨[22]
    • 리처드 윌리엄스 : 크리스마스 캐롤(1971), 누가 로저 래빗을 모함했나?(1988) 공동 애니메이션 제작.
    • 닥터 수스[23]
    • 멜 블랭크
    • 준 포레이
    • 썰 라벤스크로프트
    • 레스 골드먼(Les Goldman)[24]
    • 스탠 프리버그(Stan Freberg)
    • 칼 W. 스털링(Carl W. Stalling)[25]
    • 밀트 프랭클린(Milt Franklyn)[26]
    • 돈 메식(Don Messick)[27]
    • 도스 버틀러(Daws Butler)[28]
    • 조지 셸던(George Selden)[29]
    • 유진 포더니(Eugene Foddany)[30]
    • 딘 엘리엇(Dean Elliott)[31]
    • 워드 킴벌(Ward Kimball)[32]
    • 보리스 칼로프[33]

  • 전 동료
    • 밥 크렘펫[36][37]
    • 로버트 저메키스[38]
    • 프랭크 태슐린(Frank Tashlin)[39]
    • 월트 켈리(Walt Kelley)[40]
    • 빌 멜렌데즈[41]

  • 상사
    • 어브 아이웍스 : 척이 현장에서 처음 일했던 스튜디오의 설립자 & 애니메이션 감독.
    • 리언 슐레진저(Leon Schlesinger)[42]
    • 에드워드 셀저(Edward Selzer)
    • 존 W. 버튼(John W. Burton)
    • 잭 L. 워너(Jack Warner) & 해리 워너(Harry Warner)[43]

  • 기용한 애니메이터, 연출가
    • 마이클 몰티즈(Michael Maltese)[44]
    • 테드 피어스(Tedd Pierce) : 1950년대 초반까지 척의 일부 작품에서 스토리 작가를 맡았다.
    • 밥 기븐스(Bob Givens)
    • 마사 시걸(Martha Sigall)
    • 켄 해리스(Ken Harris)
    • 모리스 노블(Maurice Noble) : 1952년 이후 개봉된 척의 상당수 작품들에서 레이아웃을 맡음.
    • 로버트 그리브록[45]
    • 벤 워셤(Ben Washam)
    • 로버트 캐넌(Robert Cannon)
    • 필 먼로(Phil Monroe)
    • 리로이 바한
    • 에이브 레비타우(Abe Revitow)
    • 배질 데이비도비치
    • 루디 라리바(Ruby Rariva)
    • 샤머스 컬헤인(Shamus Culhane)[46]
    • 그레그 포드(Greg Ford) : 척의 말년기 작품들에서 원화 애니메이터로 참여했다.
    • 톰 레이(Tom Ray)
    • 폴 줄리언(Paul Jullian)[47]

  • 추종자
    • 랄프 박시
    • 로빈 윌리엄스[48]
    • 레너드 말틴
    • 로저 이버트
    • 마이클 배리어(Michael Barrier)[49]
    • 제리 벡(Jerry Beck)[50]
    • 맷 그레이닝
    • 우피 골든버그
    • 존 크릭팔루시
    • 에릭 골드버그
    • 글렌 킨(Glene Kean)
    • 스티븐 스필버그[51]
    • 조 단테
    • 존 라세터
    • 론 하워드
    • 로저 메이어(Roger Mayer)
    • 롭 밍코프(Rob Mynkoff)[52]
    • 로디 맥도웰
    • 조지 루카스
    • 키타쿠보 히로유키


5. 관련 영상들[편집]



1996년 아카데미상 시상식 영상 중 일부. 로빈 윌리엄스가 사회자를 맡았다.


유튜버 Every Frame a Painting의 영상. 한글자막이 지원된다.


6. 연출 & 제작 작품들[편집]


  • 루니 툰 단편 카툰 209편(루니 툰/에피소드 문서 참조.) - 척 존스의 명실상부한 대표작.
  • 톰과 제리 단편 카툰 34편(톰과 제리/에피소드 문서 참조.) - 본인은 저평가했지만 또다른 수작으로 평가받는 작품.
  • UPA 제작 카툰 Hell-Bent for Election(1944), Gay Purr-ee(1962)[53]
  • Adventures of the Road Runner(1962) - 척이 최초로 연출한 총집편 애니메이션 영화
  • Bugs Bunny/Road Runner movie(1979) - 척이 두 번째로 연출한 총집편 애니메이션 영화.
  • The Bear That Wasn't(1967)[54]
  • How the Grinch Stole Christmas(1966) - 최초로 제작을 맡은 닥터 수스 원작의 TV 스페셜 애니메이션. 척 존스의 명성 높은 또다른 대표작.
  • The Pogo Special Birthday Special(1969)[55]
  • The Phantom Tollbooth(1970) - 애니메이션 피쳐 감독, 제작
  • Horton Hears a Who!(1970) - 두 번째로 닥터 수스 원작을 기반으로 제작한 TV 스페셜 애니메이션.
  • 모자쓴 고양이(1971)[56]
  • A Cricket in Times Square(1973), A Very Merry Cricket(1973), Yankee Doodle Cricket(1975)[57]
  • Rikki-Tikki-Tavi(1975), The White Seal(1975), Mowgli's Brothers(1976)[58]
  • The Great Santa Claus Caper(1978), The Pumpkin Who Couldn't Smile(1979) - 래기디 앤과 앤디 시리즈 tv 스페셜 애니메이션.
  • Daffy Duck for President(1997)[59]
  • For Centi-mental Reasons(1949), The Dot and The Line(1965), So much for So little(1949) [60]
  • Bugs and Daffy's Carnival of the Animals(1976)[61]
  • A Connecticut Rabbit in King Arthur's Court(1978)
  • Freeze Frame(1979)
  • Duck Dodgers and the Return of the 24½th Century(1980)[62]
  • Bugs Bunny's Bustin' Out All Over(1980) - tv 스페셜[63]
  • Chariots of Fur(1994), Another Froggy Evening(1995), Superior Duck(1996), From Hare to Eternity(1997) - 감독, 제작자, 작가
  • Father of the Bird(1997), Pullet Surprise(1997) - 제작자
  • Peter and the Wolf(1995)[64]
  • The Timber Wolf(2001) - 척의 실질적인 유작. 웹 플래시 애니메이션.


7. 다큐멘터리[편집]


  • Chuck Amuck: The Movie(1991)
  • Chuck Jones: Extremes and InBetweens(2000)
  • Chuck Jones: Memories of Childhood(2009)

[1] #[2] 전부 척 존스 센터의 링크이다.[3] 훗날 칼아츠로 교명이 변경된 대학교이자 전신.[4] 참고로 이때 벅스 버니엘머 퍼드의 외형은 50년대 이후 작품과 비교하면 많이 다르며, 벅스의 경우 목소리가 조금 낮았다.[5] 애니메이터 마사 시걸의 언급(2005년).[6] https://www.mouseplanet.com/8944/Chuck_Jones__Four_Months_At_Disney 링크 참조.[7] 해당 년도에 워너 브라더스 카툰즈는 폐쇄되어 이듬해부터 3년간(1966년까지) 루니 툰 제작은 외주 애니메이션 스튜디오가 담당했다. 시브 타워 12 프로덕션은 1964년 mgm에 인수되어 명칭이 바뀌었다.[8] 척 존스 자신의 일부 작품들(1948년 이후 개봉된 자신의 작품들)을 모은 총집편 영화.[9] 1996년 개봉된 루니 툰 단편 From Hare to Eternity에선 전년도에 작고한 동료 연출가 프리즈 프레렝의 이름이 배 갑판에 새겨져 있다.[10] 루니 툰 단편들의 제작 이후 개봉되기까지의 기간 일정은 평균 1년 반에서 2년 남짓이었으므로 빠르게 잡아도 1949년 중기에 개봉했던 단편들부터의 연출부터 이러한 기조가 확립되었다고 보면 된다.[11] 페페 르퓨의 애정 행각, 코요테의 로드러너 잡기, 미시건 프록의 노래 부르기 등등.[12] 1949년 for centi-mental reasons, 1965년 the dot and the line.[13] 다른 사례 중 유명한 사람들은 윌리엄 해나 & 조셉 바베라 콤비가 있었다.[14] 나머지 연출가 중 유명한 사람들은 월트 디즈니와 월터 란츠가 있다.[15] 존 크릭팔루시가 인터뷰에서 언급한 바에 따르면 내용에서 씹는(어떤 상대방을 풍자하는) 느낌이 있다고 고평가했었다고 한다.[16] 윈저가 연출한 애니메이션이 상영된 이후 윈저의 추종자들이 그가 그것을 어떻게 했는 지에 대해 알아내는 데 거의 20년이 걸렸으며, 애니메이션은 윈저 매케이와 월트 디즈니이고 어느 쪽을 먼저 해야 할지 잘 모르겠다고 윈저에 대해 언급한 적이 있다.[17] 척은 1997년 (자신의) 85번째 생일 기념회에서 수년 간 여러 번 편지를 써가면서 월트와 상시적인 교류를 이어갔고, 어느날 월트가 자신에게 유일하게 편지를 쓰는 애니메이터("Well, of course, you're the only animator that ever wrote to me!")라 칭찬했었다고 발언한 적이 있다. 잠자는 숲속의 미녀(애니메이션) 제작 과정에서 잠시 휘하 애니메이터로 일한 경력도 있었다.[18] 벅스 버니를 디자인하는 과정에서 척을 포함한 많은 워너 브라더스 카툰즈의 스탭이 이 콤비의 영향을 받았다.[19] 와일 E. 코요테를 디자인하는 과정에서 트웨인이 저술한 작품들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20] 척이 제작한 로드러너 시리즈의 모티브가 된 작품을 연출한 제작자 콤비. 훗날 인터뷰에서 척 자신이 만든 톰과 제리 시리즈에 대해 캐릭터의 역동성을 완전히 이해하지 못했으며 당시에 다른 기회가 있었다면 또다른 많은 일을 했을 것이라고 언급하며 낮게 평가하였고, 텔레비전 아카데미 웹페이지에 수록된 본인의 말년 인터뷰에서도 간략하게 말하고 넘어가기도 했다.[21] 1935년에 리언 슐레진저 프로덕션에서 만나 같이 일하면서부터 인연을 쌓은 평생의 친구. 1941년 에이버리가 mgm으로 이직하여 현장을 떠난 일도 있었지만, 1975년에 밥 크렘펫에 대한 비판적 견해를 담은 편지#를 보낸 일도 있었고, 같은 해에 자신들의 작품을 모티브로 한 팬 영화(Rabbit Habit Cartoon)을 감상하러 같이 영화제에 갔던 일도 있었다. 에이버리가 세상을 떠나자 로스엔젤레스 트리뷰 신문지에 다음의 추모사를기사 이미지 게재하여 에이버리가 본인의 작품에 남겼던 6가지의 영향점을 서술하기도 했다.[22] 1962년 척 본인이 해고당하기 전까지 같은 스튜디오에서 근무해 애니메이터 유닛을 운영하는 디렉터로써 서로 안면이 짙은 동료였다. 다만 1971년 마이클 베리어와의 인터뷰에서 척이 표현한 캐릭터 연출은 내심 좋아하지 않았다고 말하기도 했으며, 데뷔 초창기와 혼재된 성향의 캐릭터 연출을 주로 발휘하였다. 1960년대 초기부턴 프리즈가 설립한 회사(드파티-프레렝 엔터프라이즈)가 만든 작품들에서 주로 활동하였다.[23] 1940년대 초기 전시 상황 때에 선전 애니메이션 제작 과정에서 서로 만나 인연을 쌓았다. 훗날 그린치 TV 스페셜(1966년작)과 호튼 TV 스페셜(1970년작)을 같이 제작하기도 했다. 전자의 스페셜은 21년간 CBS에서 크리스마스 스페셜로 재방송되었을 만큼 TV 스페셜의 마스터피스로 유명해졌지만, 척의 예술 스타일에 대해선 공감하지 않았다고 언급해서 훗날 이에 대해 척 본인이 인터뷰에서 짤막하게 해명한 일이 있었다.[24] 1960년대 중후기에 척과 같이 활동했던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시브 12 타워 프로덕션의 제작자.[25] 루니 툰 & 메리 멜로디즈 단편의 1930년대 후기 ~ 50년대 중기 음악 작곡가.[26] 루니 툰 & 메리 멜로디즈 단편의 1954년 ~ 1962년 음악 작곡가.[27] 척의 일부 TV 스페셜 애니메이션에서 배역을 맡은 성우.[28] 척의 1970년대 TV 스페셜 애니에서 배역을 맡은 성우.[29] 척이 TV 스페셜 애니들을 제작할 때 공동으로 각본을 집필한 경력이 있다.[30] 1966년 그린치 스페셜 TV 애니메이션의 음악 작곡가.[31] 척이 1970년대에 제작한 스페셜 TV 애니메이션들에서 음악 작곡을 전담했다.[32] 척이 잠시 디즈니에서 활동했을 때, 같은 유닛의 애니메이터로 일했던 경력이 있다.[33] 1966년 그린치 스페셜 TV 애니 제작 과정에서 서로 교류를 가졌다.[34] 밥의 모친이 당시 제작자 리언 슐레진저와 친분이 있던 사이라 다소 편애받는데 유리한 위치에 있었다는 후문도 있었다. 10년간 같이 스튜디오에서 일한 성우 멜 블랭크도 자서전에서 함께 일해야 했던 최악의 감독이자 이기주의자라고 서술하였다.[35] 이에 크렘펫과 친한 동료인 애니메이션 역사가 밀턴 그레이는 에세이에서(마이클 배리어 홈페이지 참조) 업계에서의 라이벌에 의한 고의적이고 악의적인 비방 캠페인이라고 반론했으며, 당시 에이버리의 비극적인 가정 생활로 인해 쉽게 편을 들게끔 유도시켰고, 밥이 척의 비난을 알아챘지만 그에 대처하지 않고 오히려 깊게 슬퍼하였으며 척에 대해서도 나쁜 말을 한 적이 없다고 말하였다. 척이 라이벌인 밥에게 위협을 느끼고 행동한 것은 부끄러운 일이지만 척과 밥의 작품에 대해서 계속 찬사받기를 바란다고 말미에 언급하기도 했다.[36] 크렘펫이 워너를 떠난 이듬해(1946년)와 1960년대 후기에 한 잡지와 bugs bunny the superstar(1975년 다큐멘터리 영화)에서 동료 감독들의 기여를 포함하지 않고 자신이 벅스 버니와 포키 피그의 창시자라 강조하며 말한 것을 두고 이듬해(1970년)에 자기중심적이라고 디스한 인터뷰가 있으며[34], 1975년부터 척 본인을 만났던 팬들에게 (텍스 에이버리한테 보낸) 편지를 복사해 나눠주기도 했다.[35] 2020년대 현재는 많은 세월이 지나고 모든 관련자들이 세상을 떠나면서 논쟁의 불씨도 사그라들었으며, 팬덤에서도 척과 밥의 작품에 대해 호평하는 사람들이 각각 늘어나면서 재발할 여지조차 사라지는 상황에 있다. 사건이 빚어진 뒤로 척 본인이 제작한 (1979년의 총집편 극장판을 포함한) 저술한 전기들, 다큐멘터리 자료에서도 크렘펫에 대한 일체의 언급을 하지 않았으며, 공식적으로 절연한 사이는 아니었지만 둘 다 사망하기 전까지 화해를 이루지 못했다.[37] 한창 논쟁이 빚어질 당시에 생존해 있던 프레렝과 매킴슨 등의 다른 루니 툰 연출가들은 어느 한 쪽을 편향해 옹호하진 않고 척처럼 크렘펫을 비난하진 않았으며, 에이버리도 척의 편지에 반응한 것에 대해 2년 후 밥의 지인한테 사과하는 모습을 보였는데, 이로 집어본다면 인터뷰 당시의 크렘펫은 루니 툰 제작에 참여하면서 발휘한 (자신의) 재능에 취해 여러모로 이기적이고 허세스러운 면모를 보였던 것은 사실이며, 이에 대해 척이 다소 과민하게 반응하여 크렘펫한테 오해를 풀기 위해서 같이 만나 대화하려는 모습을 보이지 않고 편지를 적어 마구잡이로 비난을 저질렀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완전한 진실은 둘이 세상을 떠난 현재 알 수 없더라도 초창기 미국 애니메이션 커뮤니티에선 화젯거리가 되었으며, 이 시기에 척이나 크렘펫과 각각 교류하던 애니메이션 역사가 & 평론가들의 인터뷰가 잡지 매체에 기고되기도 했다.[38] 누가 로져 래빗을 모함했나?에서 척은 애니메이션 컨설턴트로 스태프롤의 크레딧에 표기되었지만, 만화 주인공보다 실사의 영웅이 공감이 더 가는 영화가 뭔가 잘못됐다고 자서전에서 영화를 디스했으며 그것을 명예롭게 설정한 오랜 카툰에 대한 역겹고 재치 없는 오해라고 주장했다. 그리고 원래 리처드와 자신이 함께 계획했던 피아노 애니메이션 시퀀스를 (자신들과의 상의 없이) 갈아엎고 변경한 것에 대해 리처드의 창의적인 입력을 강탈했다고 저메키스를 맹렬히 비판했었다.[39] 태슐린은 척이 제작한 the beat that wasn't에 대해 자신의 작품에 대한 요점을 완전히 놓쳤다고 보았고, 곰이 담배를 무는 것에 대해 심리적인 성인으로 만들었다고 주장하여 크레딧에 나온 본인의 이름을 없앨 소송을 하려 했으나 원하는 것보다 문제가 더 많단 이유로 보류했을 만큼 말년엔 원만하지 못했다.[40] 1969년에 척이 제작한 자신의 작품 포고(Pogo)를 기반으로 한 TV 스페셜 애니메이션에 대해, 그가 작품에 있었던 모든 선명함을 제거한다고 언급하면서 혹평했고 자신이 직접 작품의 애니화를 위해 말년까지 아내와 함께 작업했다고 한다.[41] 1941년 월트 디즈니 프로덕션 애니메이터 파업 이후, 해고당한 빌이 리언 슐레진저 프로덕션에 이직했을 때 척과 그가 이끌던 유닛을 살펴본 뒤 자신과 스타일이 어울리지 않다고 판단해 크렘펫의 휘하 애니메이터로써 활동을 시작했었다.[42] 척이 감독으로 승진한 초창기에 연출한 작품들에서 나타난 척의 연출 스타일이 개성적이지 않다고 평가했고 제작 과정에서 많은 예산을 소모해 싫어하였으며, 2차례나 리언한테 해고당할 뻔한 일이 있었다. 1941~2년 사이에 해고당할 뻔했던 비화가 유명하지만, 존 크릭팔루시의 2004년 인터뷰에 의하면 1940년 작품 Tom Thumb in Trouble를 만들던 과정에서 해고당할 위기에 있었으며, 리언 슐레진저 프로덕션 내부의 다른 감독들이 그가 곧 좋은 감독이 될 것이라고 리언한테 변호해 준 덕분에 넘어갔었다고 한다.[43] 워너 브라더스의 공동 창립자이자 형제 경영자. 위의 세 제작자들과는 다르게 현장에서 서로 직접 대면한 경험은 1953년, 1번밖에 없었다고 한다.[44] 척 본인이 연출한 많은 작품들에서 기용한 스토리 전담 작가. 팬들 중에선 몰티즈가 해나-바베라로 이직한 이후(1963 ~ 1967년에 척이 제작한 톰과 제리 단편 시리즈와 1979년 공개된 벅스 버니/로드 러너 무비, 돌아온 24 반세기의 덕 다저스는 몰티즈가 작가로 참여했으므로 제외.)와 그가 세상을 떠난 1979년 이후에 척이 감독한 작품들에서 스토리가 전반적으로 가벼워졌다고 평가하는 사람들도 있다.[45] 척의 일부 작품에서 레이아웃을 맡았으며, 1950년대 중반부턴 로버트 매킴슨의 작품에서 레이아웃을 맡았다.[46] 척의 1944년 작품(bugs bunny and the three bears)에서 원화 애니메이터로 참여했다.[47] 워너 브라더스 카툰즈의 애니메이터이자 캐릭터 로드 러너의 배역을 담당한 성우.[48] 1996년 아카데미 시상식 진행자로써 척에게 공로상 트로피를 전달하기 얼마 전에 그를 애니메이션계의 오슨 웰스(The Orson Welles of Animation)라고 고평가하는 등 속사포로 애드립을 말하여 청중을 웃음짓게 하였다.[49] 1966년에 미국 최초의 애니메이션 전문 잡지 Funnyworld를 발간한 미국인 애니메이션 역사가.[50] 웹사이트 카툰리서치 닷컴(Cartoon Research)을 운영 중인 미국인 애니메이션 역사가.[51] 도서 Chuck Amuck: The Life and Times of an Animated Cartoonist에서 척 존스에 대해 "월트 디즈니가 내게 꿈꾸는 법을 알려준 최초의 애니메이터였다면, 척 존스는 그 꿈을 비웃게 만들어준 최초의 애니메이터"란 평가를 내렸으며, 1990년대와 2000년대에 제작된 척의 다큐멘터리 인터뷰에서도 출연하여 자신한테 준 영향을 밝히기도 했다.[52] 디즈니 작품 라이온 킹을 연출한 애니메이션 감독.[53] 후자는 척 존스가 해고된 원인을 제공함. 원래는 UPA의 작품들을 전담으로 배급했던 컬럼비아 픽처스가 배급할 예정이었으나, 1001 Arabian Nights(1959)의 흥행 실패로 워너브라더스가 대신 배급을 맡았다.[54] MGM에서 일할 때 만든 단편 애니메이션. 루니 툰 스태프였던 프랭크 태슐린의 작품이 원작.[55] 감독 & 제작자 & 성우, 애니메이터 월트 켈리의 작품을 원작으로 함.[56] 본래는 MGM 사내 스튜디오에서 제작 예정이었지만 스튜디오가 폐업한 여파로 드파티-프레렝 엔터프라이즈가 제작함, 척은 스토리보드만 담당.[57] 조지 셸던 원작의 크리캣 시리즈를 모티브로 한 tv 스페셜 애니메이션.[58] 러디어드 키플링의 작품들을 원작으로 한 tv 스페셜 애니메이션들.[59] 애니메이션은 당초 2000년에 공개될 예정이었지만 개봉 일정이 2004년으로 연기되었다.[60] 각각 아카데미 상 애니메이션 단편 영화 부문, 애니메이션 다큐멘터리 영화 부문 수상 작품들.[61] 워너 브라더스 복귀 후 처음으로 제작한 루니 툰 애니메이션.[62] Duck Dodgers in the 24½th Century(1953)의 속편.[63] 스페셜 내부의 세 단편 애니들(Spaced Out Bunny, Soup or Sonic, Portrait of the Artist as a Young Bunny)을 제작.[64]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피터와 늑대를 원작으로 한 ABC TV 스페셜 애니메이션.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8 13:04:50에 나무위키 척 존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