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테리 길리엄

덤프버전 :


파일:Annie_Award.png
윈저 맥케이상
[ 펼치기 · 접기 ]

20세기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1972년1973년1974년
맥스 플라이셔데이브 플라이셔월터 란츠텍스 에이버리프리즈 프레렝
1974년1975년
척 존스아트 배빗윈저 맥케이그림 네트윅월트 디즈니
1975년1976년
존 허블리페이스 허블리노먼 맥라렌로버트 캐넌휴 하먼
1976년1977년
루돌프 이징마이클 말테스조지 팔워드 킴볼윌리엄 해나
1977년
조셉 바베라멜 블랭크오스카 피싱거빌 스콧밀트 칼
1978년
제이 워드어브 아이웍스딕 휴머칼 스탈링한스 콘리드
1979년1980년
클라이드 제로니미빌 멜렌데즈매 퀘스텔오토 메스머올리 존스턴
1980년1981년
프랭크 토머스칼 하워드폴 줄리안라번 하딩T. 히
1981년1982년
빌 피트빌 타이틀라존 휘트니켄 헤리스켄 엔더슨
1982년1983년
브루노 보제토준 포레이도날드 W. 그레이엄마크 데이비스에릭 라슨
1983년
프레드 무어클라렌스 내쉬볼프강 레이더먼레오 살킨스티븐 보수스토
1983년1984년
윌프레드 잭슨다우스 버틀러데이비드 핸드잭 키니마이클 라
1984년1985년
로버트 매킴슨리처드 윌리엄스해밀턴 러스크로버트 아벨프레스턴 블레어
1985년
조 그랜트존 핼러스스털링 홀러웨이짐 맥도날드필 먼로
1985년1986년
벤 워셤프레더릭 백샤머스 컬해니윌리엄 T. 허츠이르벤 스펜스
1986년1987년
에머리 호킨스존 란즈베리폴 드리센잭 해나빌 리틀존
1987년1988년
모리스 노블켄 오코너노먼 퍼거슨멜 쇼랠프 박시
1988년1989-1990년
밥 크렘펫티사 데이비드가와모토 기하치로버질 로스아트 클로키
1989-1990년
힉스 로키알렉스 로비돈 메식데즈카 오사무레스터 노브로스
1991년
레이 해리하우젠허버트 클린밥 커츠유리 노르슈테인조 시라쿠사
1991년1992년1993년
루스 키산레스 클라크스탠 프레버그데이비드 힐버만조지 더닝
1993년1994년
로이 E. 디즈니잭 잰더에드 베네딕트아서 데이비스장 밴더 필
1995년1996년
줄스 엥겔반스 게리댄 맥로린메리 블레어버니 매티슨
1996년1997년1998년
타카모토 이와오윌리스 H. 오브라이언마이런 왈드먼폴 윈첼에위빈드 얼
1998년1999년
미야자키 하야오어니스트 핀토프레이 패터슨마르셀 얀코비츠콘 페더슨
2000년
노먼 맥케이브호이트 커틴루실 블리스

21세기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2001년2002년
빌 저스티스피트 알바라도밥 기븐스진 하젤튼플로이드 노먼
2002년2003년2004년
셔먼 형제진 디치존 헨치썰 라벤스크로프트돈 블루스
2004년2005년
버지니아 데이비스아놀드 스탱코니 콜프레드 크리펜타이러스 웡
2006년2007년
안드레아스 데자겐디 타르타콥스키빌 플림턴존 케인메이커글렌 킨
2007년2008년2009년
존 크릭팔루시마이크 저지존 라세터닉 파크팀 버튼
2009년2010년
제프리 카첸버그브루스 팀브래드 버드에릭 골드버그맷 그레이닝
2011년2012년
월터 페리고이뵈르게 링로널드 설테리 길리엄오스카 그릴로
2012년2013년2014년
마크 헨오토모 카츠히로스티븐 스필버그필 티페트디디에 브루너
2014년2015년
돈 러스크리 멘델슨조 랜프트필 로먼타카하타 이사오
2016년2017년
데일 베어캐롤라인 리프오시이 마모루제임스 백스터스티븐 힐렌버그
2017년2018년2019년
웬디 틸비
아만다 포비스
랄프 이글스톤안드레아 로마노프랭크 브랙스톤곤 사토시
2019년2020년
헨리 셀릭론 클레먼츠존 머스커윌리 이토수 C. 니콜스
2020년2021년2022년
브루스 W. 스미스루벤 A. 아퀴노릴리언 슈워츠스즈키 토시오피트 닥터
2022년
에블린 램바트크레이그 맥크라켄





Terry Gilliam
테리 길리엄
파일:테리 길리엄.jpg
본명Terence Vance Gilliam
테런스 밴스 길리엄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

(1940 ~ 2006)
파일:영국 국기.svg

(1968 ~ )[1]
출생1940년 11월 22일 (83세)
미국 미네소타 주 미네아폴리스
신장175cm
직업코미디언, 배우, 영화감독, 애니메이터, 극작가 등
활동1968 ~
소속몬티 파이선
배우자매기 웨스튼(1973 ~ )
자녀3명
학력옥시덴탈 칼리지(정치학 / 문학사)

1. 개요
2. 특징
3. 돈키호테 슬럼프
4. 몬티 파이선으로서의 활동
5. 감독



1. 개요[편집]


미국 출신 영국의 코미디언, 작가, 영화 제작자, 애니메이션 제작자. 몬티 파이선의 유일한 미국 출신 일원이었다.

주로 애니메이션 작업을 하였다. 스페인 종교재판 에피소드에서는 Cardinal Fang으로 출연했다.


2. 특징[편집]


데이비드 린치, 팀 버튼, 데이비드 크로넨버그 등과 함께 할리우드에서 작품성 있는 영화를 만드는 거장 대우를 받는 감독으로, 위 세 감독과 유사하게 현실과 현실이 아닌 판타지적인 세계를 연결하면서 현실을 비꼬는 소위 포스트모더니즘적인 영화를 만드는 감독으로 유명하고, 그의 영화들은 대부분 지식인들이나 영화 평론가들에게 컬트적인 인기와 찬사를 받고 있다.

원래 포토 코믹 작가 겸 애니메이터로 커리어를 시작했으며, 후에 몬티 파이선에서 같이 활동한 존 클리즈하고도 이 시기에 처음 만났다. 만화를 만들던 잡지가 폐간한 뒤에는 영국으로 이주해 ITV의 어린이 프로그램에서 애니메이션을 만들다가 같은 프로그램에 출연한 배우들과 함께 몬티 파이선에 합류한다.

몬티 파이선 시리즈로 팍 하고 떴고, 그 명성으로 장편 영화를 만들기 시작했다. 이후 브라질에서 평론가들과 컬트 영화 팬들에게 극찬을 받으며 대가로서 명성을 얻기 시작했고 피셔킹, 12 몽키즈, 라스베가스의 공포와 혐오 같은 영화들을 만들었다.


3. 돈키호테 슬럼프[편집]


그렇지만 "돈키호테를 죽인 사나이"가 엎어지고 나서 하락세다. 2009년에 나온 파르나서스 박사의 상상극장 평을 보면 이거 굿이라도 해야 하는 게 아닐까라는 생각이 든다. 라 만차 이전의 영화들을 보면 알겠지만, 뭔가 뒤틀리고 기발한 영화를 찍던 감독이 블록버스터에 삼켜져서 모난 부분이 다 깎여 평범한 돌로 변한 느낌이 난다.

사실상 이건 할리우드의 농간에 지나지 않는다. 최근 들어서 조금 시들해졌지만, 2000년대 이후 할리우드 영화판은 공룡기업과 상업성에 치중한 나머지 평균 이하의 괴작들이 쏟아져 나왔다. 아타리 쇼크처럼, 많이 대충 만들면 알아서 사가겠지와 비슷한 맥락으로 빵빵 터트리고 유명인들만 나오면 되겠지 하는 수준으로 영화를 만들었고 이게 대세였던 나머지, 정작 기발하고 기괴하지만 창의적이고 개성있는 영화를 기업들이 눈 여겨 보지 않았을 뿐이다. 테리 길리엄은 몬티 파이튼 시절에도 기괴한 애니메이션을 거침없이 내놓았던 사람이고, 기괴하고 기발해서 내쫓는거지 재미 없다고 내쫓는게 아니다.

지금은 좀 그런 경향이 시들해졌다한들, 블레이드 러너 2049의 흥행 참패처럼 입을 모아 명작이라고 해놓고 정작 찾아보지 않았던 관객들이나 기업들을 보면 과연 이 양반의 영화가 극장에 걸리는 건 고사하고 만들 수나 있는지 의심스럽다.

암튼 파르나서스 찍고 나서 돈키호테를 재도전한다고 한다. 과거 그 인원 그대로. 그러나 진척이 또 안 됐는지 제로법칙의 비밀이라는 신작을 만들어 내놨다. 이번에도 평은 그저 그렇다.

영화 제작 과정이 심각할 정도로 곡절 많은 사람으로도 유명하다. 브라질 제작 비화나 돈키호테 좌초는 이미 잘알려졌다. 제작사와 심한 갈등을 겪으며 만든 바론의 대모험도 제작사의 변덕때문에 홍보도 없이 개봉해 흥행에 참패, 심지어 전성기 작품인 피셔 킹하고 12 몽키즈, 라스베가스의 공포와 혐오, 그림 형제 모두 한번씩 엎어질 뻔했다. 그나마 파르나서스 박사의 상상극장이 무난하게 제작되는 줄 알았는데 히스 레저가 제작도중에 사망해 각본을 변경해야 했다.

아마존 스튜디오와 협력해서 몇번이나 엎어졌던 돈키호테 영화화가 다시금 최종확정됐지만 돈키호테를 맡은 배우가 암으로 촬영이 중단되었다. 그리고 배우가 사망하면서 더욱 미궁으로 빠져들었다.

2016년 4월 총 제작비는 1천 3백만 달러로 그해 9월 촬영이 재개될 예정이였지만 영화 프로듀서가[2] 돈이 없는데 돈 있다고 구라를 쳤다는 사실이 들통나서 또 엎어졌다. 완전 엎어진 건 아니라고 한다. 길리엄 왈, 이 영화 완성하기 전엔 못 죽는다고. 다행히 다른 프로듀서로 교체된 뒤에 3월부터 촬영이 시작되었다. 최종 캐스팅은 아담 드라이버, 조나단 프라이스[3], 스텔란 스카르스고르드, 올가 쿠릴렌코로 확정되었다. 그리고 6월 4일, 드디어 촬영이 종료되었다고 한다. 현재 개봉일자를 논의 중이라고. 최근 길리엄 영화들이 국제 영화제에 초청받은걸 생각해보면 베를린 영화제칸 영화제에서 공개될 가능성이 높았다. 실제로 2018 칸영화제에서 시사회를 열 예정이였지만 상기한 프로듀서의 거짓말에 발목이 잡히는 바람에 상부에서 빼버렸다고 한다.

이외에도 맡을 뻔 했지만 놓친 영화로는 본인이 자신이 없어 거절했다가 지금도 후회하고 있는 누가 로져 래빗을 모함했나, 방대한 원작을 살리기 위해 TV시리즈로 만들걸 제안했다가 워너 브라더스에서 짤린 왓치맨[4], 원작자 J. K. 롤링이 직접 감독직을 제안했지만 길리엄을 못 미더워한 워너가 거부한 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 등이 있다.

사실 길리엄 영화가 돈은 많이 드는데 자기 개성과 철학이 너무 강해서 상업적으로 어디다 써먹을 수 없는 영화라는 감이 커서 고생이 심한 감이 있다. 아닌 게 아니라 SF의 최고 걸작 중 하나로 꼽히는 브라질은 1500만 달러의 제작비로 만들어 미국에서 1000만 달러에 약간 못 미치는 흥행 성적을 낸 저주받은 걸작의 대명사가 되어 버렸고, 1998년 작 라스베가스의 공포와 혐오는 1850만 달러의 제작비로 만들어 1068만 달러밖에 못 벌었다. 그러나 이보다 더 심하게 망한 케이스가 있으니, 1988년 작 바론의 대모험(The Adventures of Baron Munchausen). 원래 예산의 2배에 육박하는 4700만 달러의 제작비로 만들었더니만 좋은 평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미국에서의 흥행 성적은 800만 달러. 이 손실은 인플레이션을 반영하면 2014년 기준으로 7800만 달러에 육박하는 금액으로 역대 망한 영화 42위라고 한다. 그래도 꼭 망한 영화만 있는 것은 아니라서, 초기작인 <시간 도둑들>은 500만 달러의 예산으로 미국에서 4000만 달러 넘게 벌었고, 1991년 작 피셔 킹은 2400만 달러의 제작비로 4200만 달러 정도의 준수한 흥행 성적을 거두었으며, 12 몽키즈 같은 경우는 2950만 달러의 제작비로 월드와이드 1억 6884만 달러를 벌었다.


4. 몬티 파이선으로서의 활동[편집]


테리 길리엄은 1969~1974년까지 방영하며 인기를 끈 BBC의 코미디 프로그램인 "몬티 파이선의 날아다니는 서커스" 의 일원으로서 활동하였다. 그러나 코미디언으로서의 활약은 별로 없으며, 주된 업무는 스케치와 스케치를 연결해주는 애니메이션의 제작이었다. 다만 스페인 종교재판에선 주역인 3인방 종교재판관 중 한명인 팽으로 출연한 바 있다.

파일:external/pds26.egloos.com/c0026297_51e232bb6b24e.jpg
↑ 41화에서는 길리엄이 말을 한다! 시인으로 등장하여 시(오지만디아스)를 낭독하는데, 1분가량 이어지는 길리엄의 대사에 출연자들과 관객들이 대환호.

길리엄의 애니메이션은 셀화가 아니라 "컷아웃" 기법[5]으로 제작된 것으로서, 길리엄 자신이 그린 기묘한 느낌의 그림에다 각종 미술작품이나 삽화의 컷아웃을 뒤섞은 독특한 분위기로 유명하다.

파일:external/pds21.egloos.com/c0026297_51e232baea4c8.jpg
↑ 35화에서는 자신이 제작한 애니메이션으로 등장.

길리엄이 자신의 애니메이션 기법을 설명한 동영상이 있으니 흥미가 있다면 보자. 그림만 봐도 어떻게 하는지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해당 영상

길리엄은 몬티 파이선의 영화 작품들의 감독으로서도 활약하여, "라이프 오브 브라이언"[6]을 제외한 모든 영화작품들을 테리 존스와 함께 감독하였다.[7]


5. 감독[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2 10:27:49에 나무위키 테리 길리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출생은 미국이지만 1968년 영국 국적을 취득, 2006년 조지 W. 부시 행정부에 항의하기 위한 목적으로 미국 국적을 포기하기까지 2중 국적이었다. 몬티 파이선 멤버들이 "징병을 피해 도망쳐온 미국 친구"라 놀려대는 걸 보면 월남전을 반대하는 병역 거부자였던 모양이다.[2] 파올로 브랑코라는 포르투갈 영화계에서 거물 프로듀서다. 영화사상 최고령 감독으로 유명한 마노엘 드 올리베이라와 라울 루이즈, 페드로 코스타 같은 감독들 제작자로 유명했으며, 지금도 데이비드 크로넨버그코스모폴리스라던가 여러 국제 합작 영화 프로듀서로 활동하고 있다.[3] 돈키호테 역.[4] 결국 TV 시리즈로 나오긴 한다.[5] 그림을 부위별로 잘라내 각 부위를 움직여가며 프레임을 촬영하므로써 애니메이션 효과를 창출하는 기법. 애니메이션과 특촬의 중간쯤에 위치하는 기법이다. 미국 애니메이션인 "사우스파크"도 컷아웃 기법으로 만들어졌다. 후기 시즌엔 컴퓨터 애니메이션으로 작업으했다. 또한 샤프트와의 협업으로 유명한 듀오 극단 이누카레도 테리 길리엄의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6] 테리 존스 감독.[7]몬티 파이톤의 삶의 의미는 도입부인 "크림슨 영구 보험" 만 감독을 맡았다.[8] 한국 개봉이 늦었지 제작년도 자체는 그림 형제랑 똑같다. 그림 형제가 엎어질 위기에 처하자 후다닥 찍은 영화. 참고로 사일런트 힐 영화판의 '그' 소녀 조델 퍼랜드가 주인공으로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