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나라현 제2구

덤프버전 :


긴키 지방 국회의원
시가현, 교토부, 오사카부, 효고현, 나라현, 와카야마현
[ 중의원 의원 ]

시가 1구시가 2구시가 3구시가 4구교토 1구
오오카 도시타카우에노 겐이치로다케무라 노부히데고테라 히로오카츠메 야스시
교토 2구교토 3구교토 4구교토 5구교토 6구
마에하라 세이지이즈미 겐타기타카미 게이로혼다 다로야마노이 가즈노리
오사카 1구오사카 2구오사카 3구오사카 4구오사카 5구
이노우에 히데타카모리시마 다다시사토 시게키미노베 테루오구니시게 도루
오사카 6구오사카 7구오사카 8구오사카 9구오사카 10구
이사 신이치오쿠시타 타케미츠우루마 조지아다치 야스시이케시타 타쿠
오사카 11구오사카 12구오사카 13구오사카 14구오사카 15구
나카츠카 히로시후지타 후미타케이와타니 료헤이아오야기 히토시우라노 야스토
오사카 16구오사카 17구오사카 18구오사카 19구효고 1구
기타가와 가즈오바바 노부유키엔도 다카시이토 노부히사이사카 노부히코
효고 2구효고 3구효고 4구효고 5구효고 6구
아카바 가즈요시세키 요시히로후지이 히사유키다니 고이치이치무라 고이치로
효고 7구효고 8구효고 9구효고 10구효고 11구
야마다 겐지나카노 히로마사니시무라 야스토시도카이 기사부로마쓰모토 다케아키
효고 12구나라 1구나라 2구나라 3구와카야마 1구
야마구치 쓰요시마부치 스미오다카이치 사나에타노세 타이도하야시 유미
와카야마 2구와카야마 3구
이시다 마사토시니카이 도시히로
비례 1비례 2비례 3비례 4비례 5
미키 케오쿠노 신스케와다 유이치로야나기모토 아키라타케우치 유즈루
비례 6비례 7비례 8비례 9비례 10
사쿠라이 슈스미요시 히로키오구시 마사키고쿠타 케이지호리 겐지
비례 11비례 12비례 13비례 14비례 15
호리바 사치코고바야시 시게키우마시마 토모코모리야마 히로유키엔도 료타
비례 16비례 17비례 18비례 19비례 20
다나카 히데유키이치타니 유이치로무네키요 코이치나카시마 히데키와니부치 요코
비례 21비례 22비례 23비례 24비례 25
미야모토 타케시토쿠나가 히사시모리야마 마사히토이케하타 코타로타니가와 토무
비례 26비례 27비례 28
아카기 마사유키사이토 알렉스오이시 아키코
일본 공산당의 당색은 #db001c이나, 자민당과의 구별을 위해 #9f001c로 표기함

{{{-1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선거구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나라현 제2구
奈良県第2区
||




1. 개요[편집]


나라현의 중부 지역을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총무대신을 역임한 자유민주당 소속 다카이치 사나에.


2. 상세[편집]


천리교의 총본부가 있는 텐리시가 이 지역구에 있다. '텐리'라는 이름 자체가 천리(天理)를 일본어로 읽은 것이다. 현역 의원인 다카이치 사나에도 천리교 신도이며, 지역구의 천리교 영향력이 막강하다. 다카이치 사나에는 처음에는 1구에서 정치를 시작했으며, 이후 2003년 제43회 총선에서 민주당 마부치 스미오 후보에게 패배한 후 이 지역구로 옮겨왔다.

초기에는 자민당과 민주당의 경합 선거구였으나, 이 지역구도 민주당이 특히 간사이 지역에서 처참하게 몰락하면서 이제는 자민당 강세 선거구가 되었다. 다카이치 사나에도 당 총재선거에 출마해 선전하는등 정치적 거물로 성장중이라 야권세가 약해지고 있다.


3. 역대 국회의원[편집]


파일:Japan_gov_logo.png 나라현 제2구 역대 국회의원
선거연도의원명소속정당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1996년다키 마코토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0년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3년나카무라 데쓰시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5년다카이치 사나에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9년다키 마코토

[1]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2년다카이치 사나에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4년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7년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21년


4. 역대 선거 결과[편집]



4.1.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나라현 제2구
야마토코리야마시, 텐리시, 이코마시, 야마베군, 이코마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다키 마코토
(滝実)
65,679표1위


41.27%당선
파일:신진당 로고 반전.png카마타 히로타카
(鎌田博貴)
45,837표2위


28.80%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우카가미 세츠코
(宇賀神せつ子)
24,476표3위


15.38%낙선
파일:민주당(일본 1996년) 로고.svg다나카 타다미츠
(田中惟允)
17,513표4위


11.00%낙선
파일:덕주회.png오카이 야스히로
(岡井康弘)
5,641표5위

자유연합

3.54%낙선
유효표 수223,395표투표율
57.56%
선거인 수294,130인

4.2.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나라현 제2구
야마토코리야마시, 텐리시, 이코마시, 야마베군, 이코마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다키 마코토
(滝実)
71,146표1위


42.39%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나카무라 데쓰시
(中村哲治)
63,707표2위


37.96%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이토 마사아키
(伊藤正明)
26,546표3위


15.82%낙선
파일:덕주회.png오카이 야스히로
(岡井康弘)
6,418표4위

자유연합

3.82%낙선
유효표 수219,295표투표율
59.09%
선거인 수294,417인

4.3.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나라현 제2구
야마토코리야마시, 텐리시, 이코마시, 야마베군, 이코마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나카무라 데쓰시
(中村哲治)
83,168표1위


48.39%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다키 마코토
(滝実)
73,646표2위


42.85%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미야모토 지로
(宮本次郎)
15,044표3위


8.75%낙선
유효표 수297,345표투표율
60.31%
선거인 수296,265인

4.4.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나라현 제2구
야마토코리야마시, 텐리시, 이코마시, 야마베군, 이코마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다카이치 사나에
(高市早苗)
92,096표1위


44.53%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나카무라 데쓰시
(中村哲治)
72,074표2위
34.85%낙선
파일:신당일본 로고.png다키 마코토
(滝実)
29,995표3위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bc002d,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신당일본)]14.50%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나카노 아케미
(中野明美)
12,657표4위
6.12%낙선
유효표 수182,453표투표율
71.03%
선거인 수297,385인

4.5.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나라현 제2구
야마토코리야마시, 텐리시, 이코마시, 야마베군, 이코마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다키 마코토
(滝実)
98,728표1위
46.53%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다카이치 사나에
(高市早苗)
94,879표2위
44.71%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니시 후미코
(西ふみ子)
15,626표3위
7.36%낙선
파일:행복실현당 로고.svg다나카 타카코
(田中孝子)
2,971표4위
1.40%낙선
유효표 수297,345표투표율
72.60%
선거인 수298,265인


4.6.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나라현 제2구
야마토코리야마시, 텐리시, 이코마시, 야마베군, 이코마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다카이치 사나에
(高市早苗)
86,747표1위
46.71%당선[a]
파일:일본유신회(2012년) 심볼.png나미카와 켄
(並河健)
45,014표2위
24.24%낙선[2]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햐쿠타케 타케루
(百武威)
22,321표3위
12.02%낙선[3]
파일:일본 미래당 로고.png나카무라 데쓰시
(中村哲治)
19,200표4위
10.34%낙선[4]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나카노 아케미
(中野明美)
12,444표5위
6.70%낙선
유효표 수245,905표투표율
63.90%
선거인 수297,375인

4.7.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나라현 제2구
나라시 일부(츠케무라 행정센터 관내), 야마토코리야마시, 텐리시, 카시바시, 야마베군, 이코마군, 시키군, 키타카츠라기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다카이치 사나에
(高市早苗)
96,218표1위
61.31%당선[a]
파일:생활의당 로고.png나카무라 데쓰시
(中村哲治)
38,781표2위
24.71%낙선[5]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이즈미 노부타케
(和泉信丈)
21,937표3위
13.98%낙선
유효표 수148,367표투표율
55.40%
선거인 수295,929인


4.8.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나라현 제2구
나라시 일부(옛 츠게무라 지역), 야마토코리야마시, 텐리시, 카시바시, 야마베군, 이코마군, 시키군, 키타카츠라기군
이름소속정당득표수
(득표율)
순위당선 여부비고
다카이치 사나에
(高市早苗)
자유민주당124,508
(60.1%)
1위당선공명당 추천
마쓰모토 마사유키
(松本昌之)
희망의 당52,384
(25.3%)
2위낙선
시모토리 준이치
(霜鳥純一)
일본 공산당30,356
(14.6%)
3위낙선
유효표 수207,248투표율 54.89%
유권자 수389,051


4.9.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나라현 제2구
{{{#fff
나라시 일부(옛 츠게무라 지역), 야마토코리야마시, 텐리시,
카시바시, 야마베군, 이코마군, 시키군, 키타카츠라기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다카이치 사나에
(高市早苗)
141,8581위
64.64%당선[a]
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이오쿠 미사토
(猪奥美里)
54,3262위
24.75%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미야모토 지로
(宮本次郎)
24,2853위
10.61%낙선
유효표 수219,469투표율
58.69%
선거인 수383,875

여당인 자민당에서는 현역 의원이자 현직 당 정무조사회장인 다카이치 사나에 의원이 재출마한다.

제1야당 입헌민주당에서는 국회의원 비서를 지낸 이오쿠 미사토 후보를 공천했다. 공산당은 이 지역구에서는 후보 단일화 없이 나라현의회 의원을 지낸 미야모토 지로 후보를 별도 공천했다.

투표 결과, 자민당 다카이치 사나에 후보가 압승했다. 다카이치 당선인이 총선에 앞서 출마했던 당대표 선거에 출마하며 낙선하긴 했지만 덕분에 지역 정치인을 벗어나 전국적 인지도를 쌓은 덕분에 선거기간 중에는 지역구 유세 대신 자민당 내 다른 후보들을 위해 지원유세를 다닌 상황이었음에도 불구하고 2, 3위의 석패율제 당선도 허락하지 않고 무난히 당선되었다.

4.10.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자유민주당에서는 다카이치 사나에 의원이 재출마한다.

일본 유신회에서는 세포 연구소 직원을 거쳐 사단법인 부대표를 역임한 핫토리 치카 후보가 출마한다.

공산당에서는 저번 선거에도 나온 미야모토 지로 전 나라현의원이 재출마한다.
[1] 고이즈미 준이치로의 우정 민영화에 반대해 자민당을 나와 '신당일본'이라는 정당을 창당했다가 민주당에 입당했다.[a] A B C 추천[2] 추천[3] 추천[4] 추천[5]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