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가나가와현 제11구

덤프버전 :


미나미칸토 지방 국회의원
치바현, 가나가와현, 야마나시현
[ 중의원 의원 ]

치바 1구치바 2구치바 3구치바 4구치바 5구
다지마 가나메고바야시 다카유키마쓰노 히로카즈노다 요시히코에리 아르피야
치바 6구치바 7구치바 8구치바 9구치바 10구
와타나베 히로미치사이토 겐혼조 사토시오쿠노 소이치로하야시 모토오
치바 11구치바 12구치바 13구치바 14구가나가와 1구
모리 에이스케하마다 야스카즈마츠모토 히사시공석1시노하라 고
가나가와 2구가나가와 3구가나가와 4구가나가와 5구가나가와 6구
스가 요시히데나카니시 겐지와세다 유키사카이 마나부후루카와 나오키
가나가와 7구가나가와 8구가나가와 9구가나가와 10구가나가와 11구
스즈키 게이스케에다 겐지류 히로후미다나카 가즈노리고이즈미 신지로
가나가와 12구가나가와 13구가나가와 14구가나가와 15구가나가와 16구
아베 도모코후토리 히데시아카마 지로고노 다로고토 유이치
가나가와 17구가나가와 18구가나가와 19구가나가와 20구야마나시 1구
마키시마 카렌야마기와 다이시로공석1공석1나카타니 신이치
야마나시 2구
호리우치 노리코
비례 1비례 2비례 3비례 4비례 5
호시노 츠요시나카타니 카즈마아마리 아키라카네무라 류나아키모토 마사토시
비례 6비례 7비례 8비례 9비례 10
후루야 노리코야타가와 하지메미타니 히데히로아오야기 요이치로시이 카즈오
비례 11비례 12비례 13비례 14비례 15
요시이에 히로유키후지마키 켄타나카야마 노리히로츠노다 히데오나카지마 카즈히토
비례 16비례 17비례 18비례 19비례 20
스즈키 아츠시카도야마 히로유키야마자키 마코토야마모토 토모히로타카야 료
비례 21비례 22
아사카와 요시하루사쿠라다 요시타카
일본 공산당의 당색은 #db001c이나, 자민당과의 구별을 위해 #9f001c로 표기함.
[1] 2022년에 공직선거법 개정안이 통과되어 신설된 지역구임.

{{{-1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선거구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가나가와현 제11구
神奈川県第11区
||
파일:shuinsen_Kanagawa11.svg
선거인 수374,938명 (2021)
상위 도도부현가나가와현
하위 행정구역요코스카시, 미우라시
국회의원

고이즈미 신지로




1. 개요[편집]


가나가와현의 미우라 반도 지역 대부분[1]요코스카시, 미우라시를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고이즈미 준이치로의 지역구였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고이즈미 준이치로 전 내각총리대신의 차남인 자유민주당 소속 고이즈미 신지로다.


2. 상세[편집]


다른 선거구들처럼 자유민주당 성향이 강하지만, 이 선거구의 가장 큰 특징은 고이즈미 준이치로 前 총리 일가가 중선거구제 시절부터 4대에 걸쳐서 세습한 선거구라는 점이다. 고이즈미 마타지로 - 고이즈미 준야 - 고이즈미 준이치로 - 고이즈미 신지로 4대가 1908년부터 현재까지 116년 동안 이 지역을 기반으로 국회의원을 지냈다.

고이즈미 가문 사람이 이 지역 선거구의 의원이 아니었던 때는 고이즈미 마타지로 의원이 미군정 하에서 공직 추방으로 인해 물러났던 1945년~1952년과 고이즈미 준이치로가 아버지의 급서로 인해 첫 출마를 하였다가 낙선한 3년 정도였고, 그 다음 선거에서는 중의원에 입성했다.

다만 중선거구제 당시에는 해당 선거구가 포함된 舊 가나가와 2구가 자민당 약세지역인지라[2] 고이즈미 준이치로도 상술했듯 처음 선거에서는 낙선했고, 4명을 뽑는 선거구에서 1위로 당선된 적이 9번 치른 선거 중에서 2번밖에 없었다. 舊 가나가와 2구는 요코하마시의 바깥을 빙 둘러싼 형태로 구성된 선거구라 남북으로 길이가 길었고 지역별 문화 차이가 크게 났다. 그래서 공업도시이자 도쿄의 베드타운인 대도시 가와사키시, 휴양지이자 부촌인 가마쿠라시, 역시 휴양지인 즈시시 등 자민당의 지지율이 낮은 지역의 인구가 많았다.

해당 지역은 현재 가나가와 4구, 가나가와 9구처럼 非자민당계열 의원들이 재직중이거나, 가나가와 10구[3]처럼 과거 격전지였던 곳이다. 그러나 소선거구제로 선거제도가 개편되어 분구된 이후로는 고이즈미 가문의 텃밭인 요코스카시[4]와 시골 미우라시만 남아서 압도적인 자민당 표밭으로 등극했다.

소선거구제 도입 이후 고이즈미 준이치로가 4선, 고이즈미 준이치로의 정계은퇴 이후에는 차남인 고이즈미 신지로가 지역구를 물려받아 4선을 했다. 고이즈미 가문의 텃밭이기에 민주당 돌풍이 불었던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도 이곳이 무풍지대임을 입증하듯 신지로를 해당 선거에서 네 명뿐이었던 자민당 소속 첫 당선자 중 한 명으로 만들어 줬다. 이후로도 선거 때마다 득표율을 70% 넘게 기록하는 등 지역구에서 열렬한 지지를 보내고 있다.

특히 48회 중원선 당시 고이즈미 신지로가 자기 지역구 유세는 한 두번 정도만 하고 다른 지역구 유세를 돌았는데도, 득표율 78%를 기록했을 정도로 지역 기반이 강력하다. 보통 일본도 그렇고 대한민국도 그렇지만 텃밭에 선거구를 둔 경우 접전지나 열세 지역에 출마하는 후보들을 지원유세하는 비율이 높은 편이다.


3. 역대 국회의원[편집]




4. 역대 선거 결과[편집]



4.1.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가나가와현 제11구
요코스카시, 미우라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고이즈미 준이치로118,955표1위


58.16%당선
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미야지 타다츠구53,523표2위


26.17%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요시다 미츠타카27,518표3위


13.45%낙선
파일:덕주회.png하타 세이이치4,552표4위

자유연합

2.23%낙선
유효표 수204,548표투표율
선거인 수


4.2.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가나가와현 제11구
요코스카시, 미우라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고이즈미 준이치로157,335표1위


69.03%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사와키 유스케42,707표2위


18.74%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세토 가즈히로27,890표3위


12.24%낙선
유효표 수227,932표투표율
선거인 수


4.3.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가나가와현 제11구
요코스카시, 미우라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고이즈미 준이치로174,374표1위


74.42%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사와키 유스케46,290표2위


19.76%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세토 가즈히로13,632표3위


5.82%낙선
유효표 수234,296표투표율
선거인 수


4.4.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가나가와현 제11구
요코스카시, 미우라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고이즈미 준이치로197,037표1위


73.16%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사이토 츠요시50,551표2위


18.77%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세토 가즈히로11,377표3위


4.22%낙선
아마키 나오토7,475표4위

무소속

2.78%낙선
하시바 세이조2,874표5위

무소속

1.07%낙선
유효표 수269,314표투표율
선거인 수


4.5.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가나가와현 제11구
요코스카시, 미우라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고이즈미 신지로150,893표1위


57.09%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요코쿠메 카즈히토96,631표2위


36.56%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이토 쇼코12,601표3위
4.77%낙선
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츠루카와 아키히사2,375표4위
0.90%낙선
이와타 요시노부1,830표5위
0.69%낙선
유효표 수264,330표투표율
선거인 수


4.6.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가나가와현 제11구
요코스카시, 미우라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고이즈미 신지로184,360표1위
79.86%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하야시 고타25,134표2위
10.89%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사이다 미치오17,740표3위
7.68%낙선
모리모토 도시히데2,131표4위
0.92%낙선
이와타 요시노부1,489표5위
0.64%낙선
유효표 수230,854표투표율
61.19%
선거인 수389,013인


4.7.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가나가와현 제11구
요코스카시, 미우라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고이즈미 신지로168,953표1위
83.28%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세토 가즈히로33,930표2위
16.72%낙선
유효표 수202,883표투표율
54.50%
선거인 수384,363인

당선 확정 후 연설하는 고이즈미 신지로


4.8.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가나가와현 제11구
요코스카시, 미우라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고이즈미 신지로154,761표1위
78.02%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하야시 노부아키21,874표2위
11.03%낙선
파일:희망의당(2017년) 로고 하얀색.svg마시로 료18,583표3위
9.37%낙선
労働아쿠쓰 다카유키3,133표4위
1.58%낙선
유효표 수198,351표투표율
52.11%
선거인 수386,677인

고이즈미 신지로가 무려 78%라는 압도적인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이 당시 신지로는 선거기간 동안 자기 지역구 유세는 한 두번 정도만 하고 다른 지역구 지원 유세를 뛰었는데도, 넘사벽 득표율을 보이며 탄탄한 지역 기반을 다시 한번 보여줬다.

당선이 확정된 후 연설하는 고이즈미 신지로


4.9.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가나가와현 제11구
요코스카시, 미우라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고이즈미 신지로147,634표1위
79.17%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하야시 노부아키38,843표2위
20.83%낙선
유효표 수186,477표투표율
52.21%
선거인 수374,938인

워낙 고이즈미 가문의 지지기반이 강력하기 때문에 이번 중원선도 고이즈미 신지로 의원의 손쉬운 당선이 예상된다. 얼마나 득표할지, 과연 전국 최고 득표율을 차지할지만이 이 선거구의 관심사이다.

실제로 입헌민주당등 대부분의 야당들이 후보를 공천하지 않았다. 공산당만 하야시 노부아키 후보를 공천, 고이즈미 신지로와 1대1로 맞붙는다.

예상대로, 고이즈미 신지로 후보가 5선에 성공했다.

당선이 확정된 후 연설하는 고이즈미 신지로

[1] 미우라 반도 서쪽의 미우라군 지역은 4구에 속한다.[2] 당시 가나가와 2구의 터줏대감 중 하나인 타카와 세이치가 처음에는 자민당 소속으로 국회의원직을 역임했지만 1976년부터 1993년에 이르는 기간 동안 신자유클럽-진보당 등 야당 소속으로 국회의원직을 역임했기 때문이기도 했다. 나카소네 야스히로때 신자유클럽이 자민당과 연립정권을 구성하면서 잠시 각료를 지낸적이 있지만 그 기간을 제외하면 야당 국회의원이었다. 이 사람이 자민당 지지층 상당수를 가져갔긱때문에 야당의 우세지역이 된것이다. 참고로 타카와 세이치는 고노 요헤이의 사촌이다.[3] 공산당 의원이 석패율로 당선된 곳이다.[4] 해상자위대 요코스카지방대, 주일미군 요코스카 미국 해군 기지가 여기에 있으며 제7함대의 모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