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박병호

덤프버전 :

분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박병호(동명이인) 문서
박병호(동명이인)번 문단을
박병호(동명이인)# 부분을
, 2023년 활약상에 대한 내용은 박병호/선수 경력/2023년 문서
#s-번 문단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펼치기 · 접기 ]

박병호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박병호의 수상 경력 / 보유 기록
[ 펼치기 · 접기 ]

파일:2014 인천 아시안게임 로고.svg
2014 인천 아시안게임 야구 종목
금메달
2014

파일:WBSC 프리미어 12 엠블럼.svg
2015 프리미어 12
우승반지
2015

파일: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로고.svg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 야구 종목
금메달
2018

파일:WBSC 프리미어 12 엠블럼.svg
2019 프리미어 12
은메달
2019

||
[ 펼치기 · 접기 ]

#000,#e5e5e5 ||<tablewidth=100%> {{{-2 1982}}} ||<width=20%> {{{-2 1983}}} ||<width=20%> {{{-2 1984}}} ||<width=20%> {{{-2 1985}}} ||<width=20%> {{{-2 1986}}} || ||<rowbgcolor=#fff,#191919> [[김용달|{{{#000,#e5e5e5 김용달}}}]][br]{{{-2 [[LG 트윈스|{{{#000,#e5e5e5 MBC 청룡}}}]]}}} || [[신경식(야구)|{{{#000,#e5e5e5 신경식}}}]][br]{{{-2 [[두산 베어스|{{{#000,#e5e5e5 OB 베어스}}}]]}}} || [[김용철(야구)|{{{#000,#e5e5e5 김용철}}}]][br]{{{-2 [[롯데 자이언츠|{{{#000,#e5e5e5 롯데 자이언츠}}}]]}}} || [[김성한|{{{#000,#e5e5e5 김성한}}}]][br]{{{-2 [[KIA 타이거즈|{{{#000,#e5e5e5 해태 타이거즈}}}]]}}} || [[김성한|{{{#000,#e5e5e5 김성한}}}]][br]{{{-2 [[KIA 타이거즈|{{{#000,#e5e5e5 해태 타이거즈}}}]]}}} || || {{{-2 1987}}} ||<width=20%> {{{-2 1988}}} ||<width=20%> {{{-2 1989}}} ||<width=20%> {{{-2 1990}}} ||<width=20%> {{{-2 1991}}} || ||<rowbgcolor=#fff,#191919> [[김성한|{{{#000,#e5e5e5 김성한}}}]][br]{{{-2 [[KIA 타이거즈|{{{#000,#e5e5e5 해태 타이거즈}}}]]}}} || [[김성한|{{{#000,#e5e5e5 김성한}}}]][br]{{{-2 [[KIA 타이거즈|{{{#000,#e5e5e5 해태 타이거즈}}}]]}}} || [[김성한|{{{#000,#e5e5e5 김성한}}}]][br]{{{-2 [[KIA 타이거즈|{{{#000,#e5e5e5 해태 타이거즈}}}]]}}} || [[김상훈(1960)|{{{#000,#e5e5e5 김상훈}}}]][br]{{{-2 [[LG 트윈스|{{{#000,#e5e5e5 LG 트윈스}}}]]}}} || [[김성한|{{{#000,#e5e5e5 김성한}}}]][br]{{{-2 [[KIA 타이거즈|{{{#000,#e5e5e5 해태 타이거즈}}}]]}}} || || {{{-2 1992}}} ||<width=20%> {{{-2 1993}}} ||<width=20%> {{{-2 1994}}} ||<width=20%> {{{-2 1995}}} ||<width=20%> {{{-2 1996}}} || ||<rowbgcolor=#fff,#191919> [[장종훈|{{{#000,#e5e5e5 장종훈}}}]][br]{{{-2 [[한화 이글스|{{{#000,#e5e5e5 빙그레 이글스}}}]]}}} || [[김성래|{{{#000,#e5e5e5 김성래}}}]][br]{{{-2 [[삼성 라이온즈|{{{#000,#e5e5e5 삼성 라이온즈}}}]]}}} || [[서용빈|{{{#000,#e5e5e5 서용빈}}}]][br]{{{-2 [[LG 트윈스|{{{#000,#e5e5e5 LG 트윈스}}}]]}}} || [[장종훈|{{{#000,#e5e5e5 장종훈}}}]][br]{{{-2 [[한화 이글스|{{{#000,#e5e5e5 한화 이글스}}}]]}}} || [[김경기|{{{#000,#e5e5e5 김경기}}}]][br]{{{-2 [[현대 유니콘스|{{{#000,#e5e5e5 현대 유니콘스}}}]]}}} || || {{{-2 1997}}} ||<width=20%> {{{-2 1998}}} ||<width=20%> {{{-2 1999}}} ||<width=20%> {{{-2 2000}}} ||<width=20%> {{{-2 2001}}} || ||<rowbgcolor=#fff,#191919> [[이승엽|{{{#000,#e5e5e5 이승엽}}}]][br]{{{-2 [[삼성 라이온즈|{{{#000,#e5e5e5 삼성 라이온즈}}}]]}}} || [[이승엽|{{{#000,#e5e5e5 이승엽}}}]][br]{{{-2 [[삼성 라이온즈|{{{#000,#e5e5e5 삼성 라이온즈}}}]]}}} || [[이승엽|{{{#000,#e5e5e5 이승엽}}}]][br]{{{-2 [[삼성 라이온즈|{{{#000,#e5e5e5 삼성 라이온즈}}}]]}}} || [[이승엽|{{{#000,#e5e5e5 이승엽}}}]][br]{{{-2 [[삼성 라이온즈|{{{#000,#e5e5e5 삼성 라이온즈}}}]]}}} || [[이승엽|{{{#000,#e5e5e5 이승엽}}}]][br]{{{-2 [[삼성 라이온즈|{{{#000,#e5e5e5 삼성 라이온즈}}}]]}}} || || {{{-2 2002}}} ||<width=20%> {{{-2 2003}}} ||<width=20%> {{{-2 2004}}} ||<width=20%> {{{-2 2005}}} ||<width=20%> {{{-2 2006}}} || ||<rowbgcolor=#fff,#191919> [[이승엽|{{{#000,#e5e5e5 이승엽}}}]][br]{{{-2 [[삼성 라이온즈|{{{#000,#e5e5e5 삼성 라이온즈}}}]]}}} || [[이승엽|{{{#000,#e5e5e5 이승엽}}}]][br]{{{-2 [[삼성 라이온즈|{{{#000,#e5e5e5 삼성 라이온즈}}}]]}}} || [[양준혁|{{{#000,#e5e5e5 양준혁}}}]][br]{{{-2 [[삼성 라이온즈|{{{#000,#e5e5e5 삼성 라이온즈}}}]]}}} || [[김태균|{{{#000,#e5e5e5 김태균}}}]][br]{{{-2 [[한화 이글스|{{{#000,#e5e5e5 한화 이글스}}}]]}}} || [[이대호|{{{#000,#e5e5e5 이대호}}}]][br]{{{-2 [[롯데 자이언츠|{{{#000,#e5e5e5 롯데 자이언츠}}}]]}}} || || {{{-2 2007}}} ||<width=20%> {{{-2 2008}}} ||<width=20%> {{{-2 2009}}} ||<width=20%> {{{-2 2010}}} ||<width=20%> {{{-2 2011}}} || ||<rowbgcolor=#fff,#191919> [[이대호|{{{#000,#e5e5e5 이대호}}}]][br]{{{-2 [[롯데 자이언츠|{{{#000,#e5e5e5 롯데 자이언츠}}}]]}}} || [[김태균|{{{#000,#e5e5e5 김태균}}}]][br]{{{-2 [[한화 이글스|{{{#000,#e5e5e5 한화 이글스}}}]]}}} || [[최희섭|{{{#000,#e5e5e5 최희섭}}}]][br]{{{-2 [[KIA 타이거즈|{{{#000,#e5e5e5 KIA 타이거즈}}}]]}}} || [[최준석|{{{#000,#e5e5e5 최준석}}}]][br]{{{-2 [[두산 베어스|{{{#000,#e5e5e5 두산 베어스}}}]]}}} || [[이대호|{{{#000,#e5e5e5 이대호}}}]][br]{{{-2 [[롯데 자이언츠|{{{#000,#e5e5e5 롯데 자이언츠}}}]]}}} || || {{{-2 2012}}} ||<width=20%> {{{-2 2013}}} ||<width=20%> {{{-2 2014}}} ||<width=20%> {{{-2 2015}}} ||<width=20%> {{{-2 2016}}} || ||<rowbgcolor=#fff,#191919> [[박병호|{{{#000,#e5e5e5 박병호}}}]][br]{{{-2 [[키움 히어로즈|{{{#000,#e5e5e5 넥센 히어로즈}}}]]}}} || [[박병호|{{{#000,#e5e5e5 박병호}}}]][br]{{{-2 [[키움 히어로즈|{{{#000,#e5e5e5 넥센 히어로즈}}}]]}}} || [[박병호|{{{#000,#e5e5e5 박병호}}}]][br]{{{-2 [[키움 히어로즈|{{{#000,#e5e5e5 넥센 히어로즈}}}]]}}} || [[에릭 테임즈|{{{#000,#e5e5e5 테임즈}}}]][br]{{{-2 [[NC 다이노스|{{{#000,#e5e5e5 NC 다이노스}}}]]}}} || [[에릭 테임즈|{{{#000,#e5e5e5 테임즈}}}]][br]{{{-2 [[NC 다이노스|{{{#000,#e5e5e5 NC 다이노스}}}]]}}} || || {{{-2 2017}}} ||<width=20%> {{{-2 2018}}} ||<width=20%> {{{-2 2019}}} ||<width=20%> {{{-2 2020}}} ||<width=20%> {{{-2 2021}}} || ||<rowbgcolor=#fff,#191919> [[이대호|{{{#000,#e5e5e5 이대호}}}]][br]{{{-2 [[롯데 자이언츠|{{{#000,#e5e5e5 롯데 자이언츠}}}]]}}} || [[박병호|{{{#000,#e5e5e5 박병호}}}]][br]{{{-2 [[키움 히어로즈|{{{#000,#e5e5e5 넥센 히어로즈}}}]]}}} || [[박병호|{{{#000,#e5e5e5 박병호}}}]][br]{{{-2 [[키움 히어로즈|{{{#000,#e5e5e5 키움 히어로즈}}}]]}}} || [[강백호(야구선수)|{{{#000,#e5e5e5 강백호}}}]][br]{{{-2 [[kt wiz|{{{#000,#e5e5e5 kt wiz}}}]]}}} || [[강백호(야구선수)|{{{#000,#e5e5e5 강백호}}}]][br]{{{-2 [[kt wiz|{{{#000,#e5e5e5 kt wiz}}}]]}}} || || {{{-2 2022}}} ||<width=20%> {{{-2 2023}}} || ||<rowbgcolor=#FFFFFF,#191919> [[박병호|{{{#000000,#E5E5E5 박병호}}}]][br]{{{-2 [[kt wiz|{{{#000000,#E5E5E5 kt wiz}}}]]}}} || [[오스틴 딘|{{{#000,#e5e5e5 오스틴}}}]][br]{{{-2 [[LG 트윈스|{{{#000,#e5e5e5 LG 트윈스}}}]]}}} ||





||


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
2012,13 KBO 리그 MVP

파일:KBO 로고(세로형, 2013~2021).svg KBO 포스트시즌
2019 준플레이오프 MVP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2012,13,14,15,19,22 KBO 리그 홈런 1위

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
2012~2015 KBO 리그 타점왕

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
2013 KBO 리그 득점왕

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
2012, 2013, 2018 KBO 리그 장타율왕

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
2018 KBO 리그 출루율왕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2023 KBO 수비상 1루수 부문

||



||
[ 펼치기 · 접기 ]

1991년1992년1993년1994년1995년
김홍기
태평양 / 8개
길홍규
OB / 5개
김원근 외
4명(A)
5개
이전진 외
1명(B)
5개
이보형
OB / 8개
1996년1997년1998년1999년2000년
공의식
현대 / 14개
임노병
LG / 16개
안재만
LG / 12개
추성건
두산 / 12개
문희성
두산 / 14개
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
강병식
상무 / 9개
정원석
1명(C)
9개
장익현
상무 / 10개
김재구
상무 / 13개
최길성
LG / 13개
2006년2007년2008년2009년2010년
김상현
상무 / 23개
최형우
2명(D)
22개
박병호
1명(E)
24개
조영훈
경찰 / 24개
최주환
상무 / 24개
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
문선재
상무 / 21개
김회성
경찰 / 18개
최승준
LG / 19개
김사연
KT / 23개
한동민
상무 / 21개
2016년2017년2018년2019년2020년
이성곤
경찰 / 19개
윤대영
경찰 / 24개
이성규
경찰 / 31개
허정협
1명(F)
10개
이재원
LG / 13개
2021년2022년2023년2024년2025년
이재원
LG / 16개
김민혁
2명(G)
10개
홍성호
두산 / 15개
A: 김원근, 황대연(빙그레), 소상영(OB), 김성기(LG)
B: 이전진, 곽연수(OB)
C: 정원석(상무), 윤형국(SK)
D: 최형우, 곽용섭(경찰), 박석민(상무)
E: 박병호(상무), 조영훈(경찰)
F: 허정협(고양), 국해성(두산)
G: 김민혁, 홍성호(두산), 주성원(고양)





파일:KBO 퓨처스리그 엠블럼.svg
2008 KBO 퓨처스 북부리그 타점왕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width=20%><rowbgcolor=#fff,#191919> 2009년 ||<width=20%> 2010년 ||<width=20%> 2011년 ||<width=20%> 2012년 ||<width=20%> 2013년 ||
|| 김상현
,KIA 타이거즈 / 내야수, ||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 내야수, || 윤석민
,KIA 타이거즈 / 투수, ||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 내야수, ||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 내야수, ||
||<rowbgcolor=#fff,#191919>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 서건창
,넥센 히어로즈 / 내야수, ||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 내야수, || 최형우
,삼성 라이온즈 / 외야수, || 양현종
,KIA 타이거즈 / 투수, || 김재환
,두산 베어스 / 외야수, ||
||<rowbgcolor=#fff,#191919>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양현종
,KIA 타이거즈 / 투수, || 최형우
,KIA 타이거즈 / 지명타자, || 이정후
,키움 히어로즈 / 외야수, || 이정후
,키움 히어로즈 / 외야수, || 노시환
,한화 이글스 / 내야수, ||




파일:일구상 로고.jpg 2012, 2013, 2015 일구상 최고 타자상


파일:PLAYERS_CHOICE_AWARDS_LOGO_1.png2013, 2015 플레이어스 초이스 어워드 올해의 선수상(넥센, 미네소타)

파일:PLAYERS_CHOICE_AWARDS_LOGO_1.png2013, 2015 플레이어스 초이스 어워드 스타 플레이어상(넥센, 미네소타)

파일:조아제약 프로야구대상.jpg 2014, 2015, 2018, 2022 조아제약 프로야구대상 최고타자상

파일:리얼글러브 어워드 로고.png 2022 마구마구 리얼글러브 어워드 리얼글러브 1루수

KBO 보유 기록
한 시즌 최다 타점146타점[1]
한 시즌 최다 루타377루타[2]
통산 최다 홈런왕6회
통산 최다 타점왕4회[3]
2년 연속 50홈런2014년~2015년
3년 연속 40홈런2014년~2015년, 2018년[4]
5년 연속 100타점2012년~2015년, 2018년[5]
9년 연속 20홈런2012년~2015, 2018~2022년[6]
한 시즌 국내 선수 최다 삼진161삼진[7]
[1] 2015년 기록[2] 2015년 기록[3] 이만수, 이승엽과 타이기록[4] 2016년~2017년 MLB 진출[5] 2016년~2017년 MLB 진출[6] 2022년 6월 21일 기록[7] 2015년 기록, 전체 1위는 2000년 톰 퀸란의 173삼진.

박병호의 역임 직책 / 역대 등번호
[ 펼치기 · 접기 ]
||
[ 펼치기 · 접기 ]


||


LG 트윈스 등번호 25번
마틴
(2004)
박병호
(2005~2006)
이학준
(2007)
최승준
(2008)
박병호
(2009~2011.7.31)
김성현
(2011.8.1~2011)
넥센 히어로즈 등번호 52번
강병우
(2010~2011.6.6)
박병호
(2011.8.1~2015)
임시결번
미네소타 트윈스 등번호 52번
브라이언 던싱
(2009~2015)
박병호
(2016)
잭 라텔
(2018~2020)
{{{#fff [[넥센 히어로즈|넥센]] / [[키움 히어로즈|키움 히어로즈]] 등번호 52번}}}
임시결번박병호
(2018~2021)
결번
kt wiz 등번호 52번
정주후
(2020.8.3~2021)
박병호
(2022~)
현역

A대표팀 참가 경력
[ 펼치기 · 접기 ]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333><width=20%><colcolor=#09539D,#ddd> 투수 ||<colbgcolor=#FFFFFF,#191919><colcolor=#09539D,#61ABF6> 1 안지만 · 11 이재학 · 12 임창용 · 21 유원상
22 이태양 · 23 차우찬 · 29 김광현 · 42 홍성무
51 봉중근 · 54 양현종 · 63 한현희 ||
|| 포수 || 20 이재원 · 47 강민호 ||
|| 내야수 || 3 김민성 · 7 김상수 · 13 황재균
16 강정호 · 17 오재원 · 52 박병호 ||
|| 외야수 || 25 나지완 · 31 손아섭 · 48 나성범
49 민병헌 · 50 김현수 ||
||<-2>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5 류중일
투수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1 조계현
타격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7 윤영환
수비 · 주루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6 류지현 ||
||<-3><bgcolor=#09539D>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역대 로스터 ||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333><width=20%><colcolor=#09539D,#ddd> 투수 ||<colbgcolor=#FFFFFF,#191919><colcolor=#09539D,#61ABF6> 11 이대은 · 19 이태양 · 22 우규민 · 23 차우찬
28 장원준 · 29 김광현 · 38 정대현
42 조상우 · 45 임창민 · 48 이현승
55 심창민 · 57 정우람 · 67 조무근 ||
|| 포수 || 25 양의지 · 47 강민호 ||
|| 내야수 || 3 박병호 · 7 김상수 · 8 정근우 · 10 이대호
14 허경민 · 16 황재균 · 24 오재원 · 52 김재호 ||
|| 외야수 || 15 이용규 · 17 나성범 · 31 손아섭
49 민병헌 · 50 김현수 ||
||<-2>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7 김인식
투수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90 선동열
배터리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6 김동수
타격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8 이순철
작전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7 김광수
수비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1 김평호
불펜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4 송진우 ||
||<-3><bgcolor=#09539D>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역대 로스터 ||



||
[ 펼치기 · 접기 ]

투수1 임찬규 · 30 최원태 · 38 임기영 · 42 장필준
45 이용찬 · 50 박종훈 · 51 최충연 · 54 양현종
57 정우람 · 61 함덕주 · 66 박치국
포수20 이재원 · 25 양의지
내야수2 오지환 · 7 김하성 · 8 안치홍
10 황재균 · 13 박민우 · 52 박병호
외야수17 이정후 · 22 김현수
C
· 31 손아섭
32 김재환 · 58 박해민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90 선동열
투수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1 이강철
투수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2 정민철
타격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8 김재현
배터리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92 진갑용
작전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6 류지현
주루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7 이종범



||
[ 펼치기 · 접기 ]

투수11 조상우 · 19 고우석 · 21 하재훈 · 23 차우찬
29 김광현 · 33 이승호 · 35 문경찬
41 이영하 · 45 이용찬 · 46 원종현
50 박종훈 · 54 양현종 · 61 함덕주
포수10 박세혁 · 25 양의지
내야수2 박민우 · 7 김상수 · 12 황재균 · 13 허경민
14 최정 · 16 김하성 · 52 박병호
외야수3 민병헌 · 17 강백호 · 22 김현수
32 김재환 · 37 박건우 · 51 이정후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4 김경문
타격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8 김재현
투수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3 최일언
배터리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96 진갑용
작전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7 김종국
수비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5 이종열
불펜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92 최원호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역대 로스터



||
[ 펼치기 · 접기 ]

투수1 고영표 · 18 정우영 · 19 고우석 · 21 박세웅
29 김광현 · 30 소형준 · 34 김원중 · 45 이용찬
46 원태인 · 48 이의리 · 54 양현종 · 57 김윤식
59 구창모 · 61 곽빈 · 65 정철원
포수25 양의지 · 56 이지영
내야수2 김혜성 · 7 김하성 · 10 오지환 · 11 에드먼
14 최정 · 50 강백호 · 52 박병호
외야수17 박해민 · 22 김현수 · 37 박건우
47 나성범 · 51 이정후 · 53 최지훈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1 이강철
타격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7 김기태
투수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91 정현욱
배터리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0 진갑용
작전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2 김민호
수비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6 김민재
불펜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1 배영수
QC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8 심재학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역대 로스터




파일:박병호 다음스포츠.jpg
kt wiz No.52
박병호
朴炳鎬|Park Byeong-Ho
출생1986년 7월 10일 (37세)
전라북도 부안군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학력영일초[1] - 영남중 - 성남고 - (전주대)
신체185cm|107kg[2]B형#혈액형
포지션1루수, 지명타자
투타우투우타
프로입단2005년 1차 지명 (LG)
소속팀LG 트윈스 (2005~2011)
넥센 히어로즈 (2011~2015)
미네소타 트윈스 (2016~2017)
넥센-키움 히어로즈 (2018~2021)
kt wiz (2022~)
병역상무 피닉스 야구단 (2007~2008)[3]
계약2022 - 2024 / 30억원[4]
연봉7억원 (FA, 2023년)
등장곡빅뱅 - 《뱅뱅뱅
P.O.D - 《Boom》
응원가찬송가 성인들이 행진할 때[5][6]
Ava Max - 《Kings & Queens[7][8]
-
[ LG 트윈스 시절 응원가 ]
Village People - 《Macho Man[1][2]
[1] 가사는 안타 박병호(박병호~오) 날려버려 날려버려 박병호(박병호~오) 안타 박병호(박병호~오) 날려버려 박병호~ (안타!)[2] 원곡이 신경현의 그 체고의 포수 응원가가 맞다. 오히려 웅장한 분위기라 무게감 있는 거포들에게 안성맞춤이라는 평이 많았다. 이후로 김재율에게 잠시 넘어가기도.

-
[ 미네소타 트윈스 시절 응원가 ]
성인들이 행진할 때[1][2]
[1] 참고[2] 밑의 히어로즈 시절 응원가와 같은데 키는 낮아졌다(B♭에서 A♭). 가사는 오오오오! (홈런) 오오오오! (홈런) 미네소타 트윈스 병호~ 오오오오~ 오오오~ 오오오(Park!) 미네소타 트윈스 병호~

-
[ 히어로즈 시절 응원가 ]
성인들이 행진할 때[1]
크시코스의 우편마차[2]
클론 - 《너의 생일엔》[3]
[1] 이 응원가는 박병호가 이적해오기 전까지 장영석 응원가였다. 가사는 오오오오! (홈런) 오오오오! (홈런) 히어로즈 박병호~ 오오오~ 오오오오오오 히어로즈 박병호 원래는 B장조였다가 어느순간부터 B♭장조로 낮췄다.[2] 참고로 김정석 응원단장이 2018 시즌 때 맞추어 새 응원가를 만들었다. 기존 '성자들이 행진할 때'와 겸용한다. 가사는 넥센의 박병호 승리를 위해 히어로즈의 박 병 호 오오 오오 홈런 박병호 히어로즈의 박 병 호 날려버려 날려버려 박!병!호! 현재는 아예 안쓰이는 응원가이다.[3] 응원구호가 따로 있는데, 클리프 브룸바가 쓰던 걸 이어받아서 썼다. 그러나 저작권 때문인지 언제부턴가 쓰이지 않고 있다. 구호는 홈!런! 홈!런! 홈!런! 박병호!
링크파일:kt wiz 엠블럼.svg
정보 더 보기
[ 펼치기 · 접기 ]

가족부모님, 형 박병갑

배우자 이지윤(2011년 12월 10일 결혼 ~ 현재)[1]
아들 박승리(2014년 8월 8일생)[2]
종교개신교
취미플레이스테이션[3]
소속사파일:리코스포츠에이전시 로고.svg[[파일:리코스포츠에이전시 로고 화이트.svg

[1] #[2] #[3] 한창 안좋을 때는 프로야구 스피리츠를 즐겨 했는데, 그 때 좋다는 선수들은 죄다 트레이드해온 듯.

1. 개요
2.1. 수상 내역
4. 여담
4.1. 별명
4.2. 결혼
5. 관련 문서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박병호는 나보다 더 위대한 선수일지 모른다. 은퇴할 쯤엔 나보다 더 뛰어난 선수가 돼 있을 거다."

- 이승엽, 2015년 인터뷰

kt wiz 소속 1루수.

2005년에 1차지명을 받으며 LG 트윈스에 입단하였고 2011 시즌 도중에 넥센 히어로즈로 트레이드되며 잠재력이 터져 2012~15 시즌동안 4년 연속 홈런왕을 기록하였다.

이러한 활약을 바탕으로 2016 시즌을 앞두고 포스팅 시스템을 통해 미네소타 트윈스와 계약하며 강정호에 이어 포스팅 시스템을 통해 메이저리그에 진출한 두번째 한국인 타자(야수)가 되었다.

2018 시즌을 앞두고 2년만에 친정 넥센으로 다시 복귀했으며 2021 시즌까지 4시즌 동안 넥센-키움 히어로즈 선수로 뛰다가 2022 시즌을 앞두고 FA 자격을 얻어 kt wiz와 3년 총액 30억원에 계약하며 이적했다.

통산 최다인 6회[9] 홈런왕을 기록했으며, KBO 리그 최초 4년 연속 홈런왕 및 2년 연속 50홈런, 9년 연속 20홈런의 기록도 보유하고 있다.


2. 선수 경력[편집]


||


2.1. 수상 내역[편집]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svg
박병호의 KBO 수상 경력
2005수상 기록 없음
2006수상 기록 없음
2007수상 기록 없음
2008수상 기록 없음
2009수상 기록 없음
2010수상 기록 없음
2011수상 기록 없음
2012KBO 리그 MVP / 골든 글러브 (1루수) / 홈런 1위 / 타점 1위 / 장타율 1위
2013KBO 리그 MVP / 골든 글러브 (1루수) / 홈런 1위 / 타점 1위 / 득점 1위 / 장타율 1위 / 웨스턴 올스타
2014골든 글러브 (1루수) / 홈런 1위 / 타점 1위 / 웨스턴 올스타
2015홈런 1위 / 타점 1위
2016미국 진출
2017
2018골든 글러브 (1루수) / 출루율 1위 / 장타율 1위 / 나눔 올스타
2019골든 글러브 (1루수) / 홈런 1위 / 준플레이오프 MVP / 나눔 올스타
2020수상 기록 없음
2021수상 기록 없음
2022골든 글러브 (1루수) / 홈런 1위 / 드림 올스타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박병호의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수상 경력
20142014 인천 아시안 게임 금메달
20152015 WBSC 프리미어 12 우승
2018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금메달
20192019 WBSC 프리미어 12 준우승


3. 플레이 스타일[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박병호/플레이 스타일#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kt 병호.jpg
몸쪽 공을 쳐내고, 특유의 눕는 듯한 자세
루틴 및 타격자세 관련 영상[10]


4. 여담[편집]















2014년 7월 22일, 조선일보의 Q&A 코너에 뜬금 등장했다. 사실 2014년 여름 넥센 히어로즈는 우천으로 인해 일요일 경기를 제대로 치르지 못했다. 심지어 직접 로그인해서 물어봤다.(현재는 대부분의 기기에서는 들어가지지 않는다.)








파일:external/lh5.googleusercontent.com/%25EB%25B0%2595%25EB%25B3%2591%25ED%2598%25B8%25EC%258B%25B8%25EC%259D%25B4%25EB%258B%25B5%25EC%259E%25A5.gif

경기 중 헛스윙을 하자 스스로를 바보라고 하며 자책하는 박병호. 많은 선수들이 경기중 식빵을 굽는 것이 심심치않게 포착되는 반면 박병호는 욕이 연상되는 입모양을 한 적이 없다. 심지어 사구에 맞고 벤치클리어링을 나가는 상황인데도 중계상으로 욕설을 하는 입모양이 보이지 않았다.


박병호의 3점 홈런
2015 WBSC 프리미어 12 결승전










4.1. 별명[편집]








파일:attachment/박병호/Example.jpg

















4.2. 결혼[편집]


2011년 3월 21일 KBS N SPORTS 前 아나운서인 이지윤 아나운서와 사귄다는 소식이 인터넷에 올라오자 네이버, 다음 실시간 검색어에 올라왔다. 아직 연애 초반이라 조심스러운 분위기...인 것 같았지만 사실은 이미 이 때부터 결혼 준비에 들어갔다고 한다. 발목 뼛조각 제거 수술을 받은 후, 2011년 12월 10일에 결혼했다. 김태균, 김석류 부부에 이은 야구 선수와 아나운서의 결혼이다.

사귀기 시작한 무렵에 백화점에서 데이트를 하다가 마침 그 백화점 영화관에서 영화를 보고 나오던 모 해설위원 부부와 모 기자와 엘리베이터에서 딱 마주쳤는데 다음날 이지윤 아나운서가 모 해설위원에게 전화연락을 해서 둘이 열심히 잘 사귀어보려고 하는 것이니 비밀을 좀 지켜달라고 신신당부했다고 한다. 아마도 멘탈게임인 야구의 특성상 열애설 같은 것으로 박병호가 시달릴 것을 본인이 막았던 모양으로, 이래저래 내조의 여왕이라 할 수 있다.

파일:external/lh5.googleusercontent.com/memo.jpg
KBS N SPORTS의 팟캐스트인 니케아 3회에 특별게스트로 출연한 이지윤 아나운서의 말에 의하면 다른 선수들은 이지윤 아나운서의 싸이월드 쪽지로 친하게 지내자는 둥 일촌하자는 둥 했는데 박병호는 싸이쪽지로 정중하게 돌직구를 던졌고[20] 그 진지함에 이끌려 이지윤 아나운서는 박병호를 만나기 시작했고 만남을 가지면서 결혼해야 할 사람 같다는 느낌을 받았다고 한다. 이지윤 아나운서가 성격상 하나를 파면 확실하게 파야 되는 성격인데 지금은 내조에 집중하고 있다고 한다. 특히 박병호가 운동선수인만큼 식사에 신경을 많이 쓰고 있다고. 어느 정도냐 하면 박병호가 먹는 식사에는 메인 요리가 반드시 존재해야 하며 그 메인 요리는 일주일 간 두 번 다시 식탁에 발을 들여놓지 못하는 엄격함을 자랑한다. 박병호가 2012년에 괴물이 된 데에는 다 이유가 있었다.

2014년 8월 7일 6타수 무안타 4피삼진(삼진-삼진-삼진-3땅-삼진-중플)이라는 최악의 모습을 보였는데 알고보니 아내 이지윤 전 아나운서의 출산예정일이 임박했기 때문이었다 한다. 그리고 다음날 아빠 됐다는 기사가 올라오며 사실로 밝혀졌고, 역시나 같은 날 언제 그랬냐는듯 35호 홈런을 때려내며 부진에서 탈출했다. 이로써 쑥쑥이는 아빠가 2년 연속 홈런왕, KBO MVP, KBO 골든글러브 수상자에 KBO 통산 4번째로 3년 연속 30홈런을 달성한 국가대표 4번타자, 엄마 이지윤은 전직 아나운서...[21]


5. 관련 문서[편집]




6. 둘러보기[편집]


파일:KBO 리그 로고(1982~2012).svg 2012년 5월 KBO 리그 월간 MVP
정성훈
(LG 트윈스)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박석민
(삼성 라이온즈)
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 2013년 9월 KBO 리그 월간 MVP
손아섭
(롯데 자이언츠)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유희관
(두산 베어스)
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 2014년 5월 KBO 리그 월간 MVP
유희관
(두산 베어스)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찰리
(NC 다이노스)
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 2015년 7월 KBO 리그 월간 MVP
김태균
(한화 이글스)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해커
(NC 다이노스)
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 2018년 8월 KBO 리그 월간 MVP
로맥
(SK 와이번스)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한동민
(SK 와이번스)
[1] 원래 광명시에 있는 하안초등학교에 다니면서 광명리틀야구단에서 야구를 시작했으나 초등학교 4학년 때 야구단이 해체되면서 집에서 가장 가까운 영일초등학교로 전학을 갔다.[2] 실제로 비시즌 때는 120kg 가까이 된다고 한다! 미네소타 시절에는 110kg 가까이 됐고 3, 4월 시즌 초반에 벌크업한 근육이 빠지기 전에 몸무게가 110kg가 조금 넘는다고 한다.[3] 2006년 11월 27일 ~ 2008년 11월 10일[4] 계약금 7억원 / 연봉 총액 20억원 / 옵션 3억원[5] 오오오오! (홈런) 오오오오! (홈런) kt wiz 박병호~ 오오오~ 오오오오오오 kt wiz 박병호[6] 히어로즈 시절과 응원가가 같다. 차이점은 히어로즈 부분이 kt wiz로 바뀌었다. 키도 높아졌다.(B♭에서 C)[7] KT위즈 박병호 승리를 위하여 워어어 x4[8] 롯데 자이언츠 나승엽의 응원가와 상당히 유사하다. 그러나 나승엽의 응원가는 구단 자작곡이지만 박병호의 응원가는 원곡이 있다.[9] 2012~15, 19, 22시즌[10] 박병호가 홈런왕이 될 수 있었던 결정적 계기이기도 한 티라노 타법이라고 불리는 타격폼. 우타자의 기준으로, 오른쪽팔을 몸에 붙이고, 오로지 빠른 힙턴과 허리힘을 이용해 몸쪽공에 대처하는 타격법. 몸쪽에 붙은 팔이 티라노사우루스의 짧은 팔과 비슷하다고 해서 붙여진 타법이다. KBO에서 몸쪽 공에 잘 대처하는 선수는 그리 많지 않다. 이승엽은 몸쪽공을 대처할 방법을 끝내 찾지 못 해 일본프로야구에서 실패했고, 양준혁의 경우는 KBO에서 활동한 18년 동안 몸쪽공 대처하는 방법을 몰라 커트만 해댔었다고 밝혔다. 박병호는 그 몸 쪽으로 오는 공을 커트가 아니라 홈런을 만들어 버린다며 경악했다. 사실 LG 트윈스 시절에도 4경기 연속 홈런을 칠 때 절반은 몸 쪽 공이었으니... 하일성은 2014년에 박병호의 타격을 보고 "박병호 선수는 홈런을 치고 나서 허리가 뒤로 제껴지잖아요? 그게 진짜 좋은 거예요."라는 극찬을 남겼다.[11] 사이드킥으로 함께 이적해 온 심수창도 넥센 이적 직후 호투를 거듭하며 18연패를 끊어냈고 넥센을 떠난 이후 롯데와 한화에서 전천후 투수로 활약했다.[12] 당시 넥센 히어로즈이장석 대표도 이 네티즌을 잘 알고 있으며, 2015년 3월 8일 열린 kt wiz와의 시범경기 자체 중계에서 공개로 경고를 날렸다. 시즌이 개막한 시점에서 추가적으로 구단에서 조치한 바는 확인되지는 않았으나 이 문제에 대해서 구단에서 계속해서 주시하고 있었다는 점은 분명하다.[13] 확실한 점은 위에 언급한 네티즌을 제외하더라도 네이버에서의 박병호에 대한 근거없는 비방은 선을 넘어버린 상황이라는 것이다. 넥센빠라면 네이버 기사 제목에 박병호라는 이름이 박혀 있다면 열기 전에 다시 한 번 생각해 볼 것. 목동드립을 포함한 말도 안 되는 비방글은 물론이고, 그것을 팩트라면서 동조하는 다른 찌질이들과 그에 대항하는 네티즌들이 치고박고 싸우는 상황으로 인해 크게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다. 사실로 입증된 근거를 들어서 비판을 하는 게 무슨 문제냐고 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명예훼손은 사실을 들어서 비판을 하더라도 그것이 피해자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다고 보면 성립이 된다. 허위사실의 경우 더 강하게 처벌받을 뿐이다. 특히 네이버와 같은 포털사이트에서 댓글은 불특정 다수가 열람할 수 있기 때문에 파급력이 엄청나고 그로 인해 별도로 정보통신망법상 명예훼손죄에 따라 더 강하게 처벌받을 수가 있다. 특히 현재 박병호에 대한 정당한 비판이라고 하는 부분은 자료의 앞뒤를 다 자르고 안 좋은 부분만 부각시키는 전형적인 취사선택이다. 그것이 얼마나 위험한 행위인지는 해당 문서를 볼 것.[14] 이승엽팬서비스 논란, 김상현음란행위 논란, 김재환도핑 전적, 최정은 팬 폭행 사건이 있다.[15] 당시 1번 타자 이정후, 2번 타자 김하성, 3번 타자 김현수는 모두 최고의 활약을 펼쳤다.[16] "아니 박병호는 어떻게 이딴 글러브로 수비를 존나 잘할까"라고 인스타에 글러브와 함께 게시했다. 문제는 그 글러브가 박동원이 박병호에게 받아서 신동수에게 선물한 건데 신동수가 '이딴 글러브'라고 무시한 것이다. 잘한다는 돌려서 칭찬하는 듯한 모습과 함께 선물을 한 호의를 무시한 행동을 동시에 한 것.[17] 다만, 이것은 오타니가 너무 강력한 점이 컸다. 박병호가 빠른공에 약했다기에는 160km 직구와 148km의 포크볼을 던졌으며, 대한민국은 오타니에게 7회까지 노히트 노런을 내주고 있었다.[18] 이정후가 영상 통화를 통해 박찬혁을 소개해줬다고 한다.[19] 염재신, 염성열, 염석민 등.[20] LG 트윈스 시절 룸메이트였던 이병규에게 속마음을 털어놨고, 그는 '남자답게 밀어 붙여라'라고 조언 했다고.[21] 거기다가 둘 다 군대를 다녀왔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9 19:46:29에 나무위키 박병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