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연호/일본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연호

{#FFF [[파일:천황기.svg
일본의 연호}}}
[ 펼치기 · 접기 ]

다이카(大化) 하쿠치(白雉) - 슈초(朱鳥) - 다이호(大宝) 게이운(慶雲) 와도(和銅)
와도(和銅) 레이키(霊亀) 요로(養老) 진키(神亀) 덴표(天平) 덴표칸포(天平感宝) 덴표쇼호(天平勝宝) 덴표호지(天平宝字) 덴표진고(天平神護) 진고케이운(神護景雲) 호키(宝亀) 덴오(天応) 엔랴쿠(延暦)
엔랴쿠(延暦) 다이도(大同) 고닌(弘仁) 덴초(天長) 조와(承和) 가쇼(嘉祥) 닌주(仁寿) 사이코(斉衡) 덴난(天安) 조간(貞観) 간교(元慶) 닌나(仁和) 간표(寛平) 쇼타이(昌泰) 엔기(延喜) 엔초(延長) 조헤이(承平) 덴교(天慶) 덴랴쿠(天暦) 덴토쿠(天徳) 오와(応和) 고호(康保) 안나(安和) 덴로쿠(天禄) 덴엔(天延) 조겐(貞元) 덴겐(天元) 에이간(永観) 간나(寛和) 에이엔(永延) 에이소(永祚) 쇼랴쿠(正暦) 조토쿠(長徳) 조호(長保) 간코(寛弘) 조와(長和) 간닌(寛仁) 지안(治安) 만주(万寿) 조겐(長元) 조랴쿠(長暦) 조큐(長久) 간토쿠(寛徳) 에이쇼(永承) 덴기(天喜) 고헤이(康平) 지랴쿠(治暦) 엔큐(延久) 조호(承保) 조랴쿠(承暦) 에이호(永保) 오토쿠(応徳) 간지(寛治) 가호(嘉保) 에이초(永長) 조토쿠(承徳) 고와(康和) 조지(長治) 가쇼(嘉承) 덴닌(天仁) 덴에이(天永) 에이큐(永久) 겐에이(元永) 호안(保安) 덴지(天治) 다이지(大治) 덴쇼(天承) 조쇼(長承) 호엔(保延) 에이지(永治) 고지(康治) 덴요(天養) 규안(久安) 닌페이(仁平) 규주(久寿) 호겐(保元) 헤이지(平治) 에이랴쿠(永暦) 오호(応保) 조칸(長寛) 에이만(永万) 닌난(仁安) 가오(嘉応) 조안(承安) 안겐(安元) 지쇼(治承) 요와(養和) 주에이(寿永) 겐랴쿠(元暦)
겐랴쿠(元暦) 분지(文治) 겐큐(建久) 쇼지(正治) 겐닌(建仁) 겐큐(元久) 겐에이(建永) 조겐(承元) 겐랴쿠(建暦) 겐포(建保) 조큐(承久) 조오(貞応) 겐닌(元仁) 가로쿠(嘉禄) 안테이(安貞) 간키(寛喜) 조에이(貞永) 덴푸쿠(天福) 분랴쿠(文暦) 가테이(嘉禎) 랴쿠닌(暦仁) 엔오(延応) 닌지(仁治) 간겐(寛元) 호지(宝治) 겐초(建長) 고겐(康元) 쇼카(正嘉) 쇼겐(正元) 분오(文応) 고초(弘長) 분에이(文永) 겐지(建治) 고안(弘安) 쇼오(正応) 에이닌(永仁) 쇼안(正安) 겐겐(乾元) 가겐(嘉元) 도쿠지(徳治) 엔쿄(延慶) 오초(応長) 쇼와(正和) 분포(文保) 겐오(元応) 겐코(元亨) 쇼추(正中) 가랴쿠(嘉暦) 겐토쿠(元徳)
남조
겐코(元弘)
북조
겐토쿠(元徳) 쇼쿄(正慶)
겐코(元弘)쇼쿄(正慶)
겐코(元弘) 겐무(建武)
남조
엔겐(延元) 고코쿠(興国) 쇼헤이(正平) 겐토쿠(建徳) 분추(文中) 덴주(天授) 고와(弘和) 겐추(元中)
북조
겐무(建武) 랴쿠오(暦応) 고에이(康永) 조와(貞和) 간노(観応) 분나(文和) 엔분(延文) 고안(康安) 조지(貞治) 오안(応安) 에이와(永和) 고랴쿠(康暦) 에이토쿠(永徳) 시토쿠(至徳) 가케이(嘉慶) 고오(康応) 메이토쿠(明徳)
메이토쿠(明徳) 오에이(応永) 쇼초(正長) 에이쿄(永享) 가키쓰(嘉吉) 분안(文安) 호토쿠(宝徳) 교토쿠(享徳) 고쇼(康正) 조로쿠(長禄) 간쇼(寛正) 분쇼(文正) 오닌(応仁)
오닌(応仁) 분메이(文明) 조쿄(長享) 엔토쿠(延徳) 메이오(明応) 분키(文亀) 에이쇼(永正) 다이에이(大永) 교로쿠(享禄) 덴분(天文) 고지(弘治) 에이로쿠(永禄) 겐키(元亀)
겐키(元亀) 덴쇼(天正) 분로쿠(文禄) 게이초(慶長)
게이초(慶長) 겐나(元和) 간에이(寛永) 쇼호(正保) 게이안(慶安) 조오(承応) 메이레키(明暦) 만지(万治) 간분(寛文) 엔호(延宝) 덴나(天和) 조쿄(貞享) 겐로쿠(元禄) 호에이(宝永) 쇼토쿠(正徳) 교호(享保) 겐분(元文) 간포(寛保) 엔쿄(延享) 간엔(寛延) 호레키(宝暦) 메이와(明和) 안에이(安永) 덴메이(天明) 간세이(寛政) 교와(享和) 분카(文化) 분세이(文政) 덴포(天保) 고카(弘化) 가에이(嘉永) 안세이(安政) 만엔(万延) 분큐(文久) 겐지(元治) 게이오(慶応)
일세일원제
메이지(明治) 다이쇼(大正) 쇼와(昭和) 헤이세이(平成) 레이와(令和)




현재 일본의 연호
(れい ( ( (ねん
레이와 6년
2019년 5월 1일 ~ 현재

1. 개요
2. 사용 역사
3. 변경 원칙
3.1. 혁명개원
3.2. 즉일 개원
4. 역대 연호
5. 현황
6. 여담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일본의 연호를 기술하는 문서이다.

연호를 일본에서는 원호((げん(ごう)라고 부른다. 한국에서 서력기원을 약칭하여 흔히들 서기(西紀)라고 하는 것과 달리 일본에서는 서력(西暦)이라고 하는데, 연호를 서력에 대응하여 화력(((れき)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2. 사용 역사[편집]


일본645년 고토쿠 천황이 즉위하며 처음으로 다이카(大化)라는 연호를 채택했다.[1] 650년에는 하쿠치(白雉)라고 개원했지만 654년에 연호 사용을 중지했다. 686년 덴무 천황이 죽음을 앞두고 잠깐 슈초(朱鳥)라는 연호를 사용했지만 사용기간은 고작해야 한 달 보름에 불과했다. 701년 몬무 천황이 다이호(大宝) 연호를 채택한 이후로는 오늘날까지 끊임없이 연호를 사용한다.


3. 변경 원칙[편집]



3.1. 혁명개원[편집]


일본에는 새 천황이 즉위할 때, 나라에 자연재해가 계속될 때 개원(연호변경)하는 관례가 있었다.[2]

신유(辛酉)년과 갑자(甲子)년에 개원하는 관례도 있었는데 이를 '혁명개원(革命改元)'이라 부른다. 두 해가 역학적으로 큰 변화의 때라 '역성혁명의 변화'가 일어날까 봐 미리 연호를 바꾸어 차단하겠다는 주술적인 의도였다.[3] 이 관습은 <역위(易緯)>[4]라는 중국 도참설 서적에 근거한 것이다. <역위>에는 "辛酉爲革命, 甲子爲革令"(신유년에는 혁명, 갑자년에는 혁령이 된다.) 하는 구절이 있다. 일본 조정은 혁명의 해를 앞두고 여러 학자들에게 연호를 무엇으로 바꾸면 좋을지 생각을 적어 올리라고 하였는데, 이때 학자들이 올린 글을 혁명감문(革命勘文) 또는 혁령감문(革令勘文)이라고 불렀다.[5]

헤이안 시대의 학자 미요시 키요유키(三善清行, 847-918)가 주장하여 신유년이 되는 901년을 엔기(延喜) 원년으로 개원한 데서 혁명개원이 시작했다.[6] 원래 혁명과 혁령은 동의어지만, <역위>의 표현에 따라 신유혁명, 갑자혁령이라고 쓴다. 혁령보단 혁명이 더 대중적인 단어이므로 '갑자혁명'이라고 쓰는 경우도 왕왕 있지만 '신유혁령'이라고 쓰는 경우는 없다.[7] 신유년으로부터 3년 뒤면 갑자년이다. 따라서 혁명개원 관습을 철저히 지킨다면, 신유년에 개원하여도 연호를 최대 3년밖에 사용하지 못하고 또 바꿔야 한다.

혁명개원이 처음 실시된 이후 개원이 이루어지지 않았던 것은 신유년 중에는 1561년, 1621년, 갑자년 중에서는 1564년이었다. 이중 1561년, 1564년에는 당시 무로마치 막부의 쇼군이었던 아시카가 요시테루가 개원에 소극적이었기에 이루어지지 않았다.[8]

이러한 관습들은 메이지 유신 이후 일세일원제[9]가 확립되어 사라졌다.


3.2. 즉일 개원[편집]


유신 이후로 일본은 군주가 사망하면 즉일개원(即日改元)한다. 선왕이 죽은 뒤 새 연호에 관한 포고령을 내려, 포고령을 내린 그날부터 새 연호를 사용함을 가리킨다. 포고령이 발표되는 날은 선왕이 죽은 날, 혹은 그 다음 날이다. 중국식으로는 훙월칭원법(薨月稱元法)에 해당한다. 군주가 죽음을 훙薨이라 한다. 군주가 죽은 그 달에 연호를 바꾸는 것. 군주가 죽은 다음 달부터 새 연호를 사용하면 유월칭원법(踰月稱元法)이라 부른다.

한반도에서는 고려시대의 원 간섭기 이전까지는 대체로 즉위년칭원법을 사용하였으나 이후부터는 유년칭원법(踰年稱元法)을 사용했다. 이는 선왕이 죽은 해에는 그대로 선왕의 연호를 사용하고 그 다음 해부터 새 연호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 방법을 따른다면 후계왕이 즉위한 해는 새 연호의 원년이 아니라 구 연호의 마지막 해가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래서 흔히 즉위년과 새 연호의 원년을 구분하여 말한다. 동아시아에서는 유년칭원법이 유교의 전통적인 예법이었다. 선왕이 죽은 날 바로 새 연호를 반포, 시행함은 유교식 원칙에 어긋난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원칙적으로는 안 되지만 편의상 구 연호의 마지막 해와 새 연호의 원년을 서로 혼용하여 사용하곤 한다. 즉 헤이세이 1년(원년) 7월 1일을 쇼와 64년 7월 1일이라고도 한다는 것.


4. 역대 연호[편집]




4.1. 아스카 시대[편집]


연호한자한국 음시작종료기간군주비고
다이카大化대화645년 7월 17일
(다이카 원년 6월 19일)
650년 3월 22일
(다이카 6년 2월 15일)
4년 250일고토쿠
덴노
다이카 개신에 의한 일본 최초의 연호
하쿠치白雉백치650년 3월 22일
(다이카 6년 2월 15일)
654년 11월 24일
(하쿠치 5년 10월 10일)
4년 249일
연호 사용 중지
슈초朱鳥주조686년 8월 14일
(슈초 원년 7월 20일)
686년 10월 1일
(슈초 1년 9월 9일)
1개월 18일덴무
덴노
연호 사용 중지
다이호大宝대보701년 5월 3일
(다이호 원년 3월 21일)
704년 6월 16일
(다이호 4년 5월 10일)
3년 46일몬무
덴노
다이호 율령의 반포
게이운慶雲경운704년 6월 16일
(다이호 4년 5월 10일)
708년 2월 7일
(게이운 5년 1월 11일)
3년 237일게이운의 개혁
와도和銅화동708년 2월 7일
(게이운 5년 1월 11일)
715년 10월 3일
(와도 8년 9월 2일)
7년 241일겐메이
덴노


4.2. 나라 시대[편집]


연호한자한국 음시작종료기간군주비고
레이키霊亀영귀715년 10월 3일
(와도 8년 9월 2일)
717년 12월 14일
(레이키 3년 11월 17일)
2년 74일겐쇼
덴노
요로養老양로717년 12월 14일
(레이키 3년 11월 17일)
724년 3월 3일
(요로 8년 2월 4일)
6년 82일요로 율령의 반포
진키神亀신귀724년 3월 3일
(요로 8년 2월 4일)
729년 9월 2일
(진키 6년 8월 5일)
5년 185일쇼무
덴노
덴표天平천평729년 9월 2일
(진키 6년 8월 5일)
749년 5월 4일
(덴표 21년 4월 14일)
19년 250일덴표 문화(天平文化)의 어원
덴표칸포天平感宝천평감보749년 5월 4일
(덴표 21년 4월 14일)
749년 8월 19일
(덴표칸포 1년 7월 2일)
3개월 16일
덴표쇼호天平勝宝천평승보749년 8월 19일
(덴표칸포 1년 7월 2일)
757년 9월 6일
(덴표쇼호 9년 8월 18일)
8년 19일고켄
덴노
덴표호지天平宝字천평보자757년 9월 6일
(덴표쇼호 9년 8월 18일)
765년 2월 1일
(덴표호지 9년 1월 7일)
7년 151일고켄
덴노
,
준닌
덴노
덴표진고天平神護천평신호765년 2월 1일
(덴표호지 9년 1월 7일)
767년 9월 13일
(덴표진고 3년 8월 16일)
2년 225일쇼토쿠
덴노
진고케이운神護景雲신호경운767년 9월 13일
(덴표진고 3년 8월 16일)
770년 10월 23일
(진고케이운 4년 10월 1일)
3년 42일
호키宝亀보귀770년 10월 23일
(진고케이운 4년 10월 1일)
787년 1월 30일
(호키 12년 1월 1일)
16년 104일코닌
덴노
텐오天応천응781년 1월 30일
(호키 12년 1월 1일)
782년 9월 30일
(텐오 2년 8월 19일)
1년 244일
엔랴쿠延暦연력782년 9월 30일
(텐오 2년 8월 19일)
806년 6월 8일
(엔랴쿠 25년 5월 18일)
23년 258일간무
덴노
시가현의 유명 고찰 엔랴쿠지(延曆寺)의 어원


4.3. 헤이안 시대[편집]


연호한자한국 음시작종료기간군주비고
다이도大同대동806년 6월 8일
(엔랴쿠 25년 5월 18일)
810년 10월 20일
(다이도 5년 9월 19일)
4년 136일헤이제이
덴노
코닌弘仁홍인810년 10월 20일
(다이도 5년 9월 19일)
824년 2월 8일
(코닌 15년 1월 5일)
13년 115일사가
덴노
코닌격식의 편찬
덴초天長천장824년 2월 8일
(코닌 15년 1월 5일)
834년 2월 14일
(덴초 11년 1월 3일)
10년 7일준나
덴노
조와承和승화834년 2월 14일
(덴초 11년 1월 3일)
848년 7월 16일
(조와 15년 6월 13일)
14년 157일닌묘
덴노
조와의 변
가쇼嘉祥가상848년 7월 16일
(조와 15년 6월 13일)
851년 6월 1일
(가쇼 4년 4월 28일)
1년 321일
닌주仁寿인수851년 6월 1일
(가쇼 4년 4월 28일)
854년 12월 23일
(닌주 4년 11월 30일)
3년 207일몬토쿠
덴노
사이코斉衡제형854년 12월 23일
(닌주 4년 11월 30일)
857년 3월 20일
(사이코 4년 2월 21일)
2년 89일
덴난天安천안857년 3월 20일
(사이코 4년 2월 21일)
859년 5월 20일
(텐난 3년 4월 15일)
2년 62일
조간貞観정관859년 5월 20일
(텐난 3년 4월 15일)
877년 6월 1일
(조간 19년 4월 16일)
18년 13일세이와
덴노
조간격식의 편찬
간교元慶원경877년 6월 1일
(조간 19년 4월 16일)
885년 3월 11일
(간교 9년 2월 21일)
7년 286일요제이
덴노
닌나仁和인화885년 3월 11일
(간교 9년 2월 21일)
889년 5월 30일
(닌나 5년 4월 27일)
4년 82일고코
덴노
교토의 유명 고찰 닌나지(仁和寺)의 어원
칸페이寛平관평889년 5월 30일
(닌나 5년 4월 27일)
898년 5월 20일
(칸페이 10년 4월 26일)
8년 358일우다
덴노
쇼타이昌泰창태898년 5월 20일
(칸페이 10년 4월 26일)
901년 8월 31일
(쇼타이 4년 7월 15일)
3년 105일다이고
덴노
쇼타이의 변
엔기延喜연희901년 8월 31일
(쇼타이 4년 7월 15일)
923년 5월 29일
(엔기 23년 4월 11일)
21년 277일신유년의 첫 번째 혁명개원. 엔기격식의 편찬. 다이고 덴노 치세의 대표적인 연호로 다이고 덴노 치세 전반을 엔기의 치라고 함일
엔초延長연장923년 5월 29일
(엔기 23년 4월 11일)
931년 5월 16일
(엔초 9년 4월 26일)
7년 355일
조헤이承平승평931년 5월 16일
(엔초 9년 4월 26일)
938년 6월 22일
(조헤이 8년 5월 22일)
7년 40일스자쿠
덴노
조헤이의 난
텐교天慶천경938년 6월 22일
(조헤이 8년 5월 22일)
947년 5월 15일
(텐교 10년 4월 22일)
8년 330일텐교의 난
텐랴쿠天暦천력947년 5월 15일
(텐교 10년 4월 22일)
957년 11월 21일
(텐랴쿠 11년 10월 27일)
10년 194일무라카미
덴노
무라카미 덴노 치세의 대표적인 연호로 무라카미 덴노의 치세 전반을 텐랴쿠의 치라고 함일
텐토쿠天徳천덕957년 11월 21일
(텐랴쿠 11년 10월 27일)
961년 3월 5일
(텐토쿠 5년 2월 16일)
3년 106일
오와応和응화961년 3월 5일
(텐토쿠 5년 2월 16일)
964년 8월 19일
(오와 4년 7월 10일)
3년 169일신유년의 혁명개원
코호康保강보964년 8월 19일
(오와 4년 7월 10일)
968년 9월 8일
(코호 5년 8월 13일)
4년 21일갑자년의 첫 번째 혁령개원
안나安和안화968년 9월 8일
(코호 5년 8월 13일)
970년 5월 3일
(안와 3년 3월 25일)
1년 238일레이제이
덴노
안나의 변
텐로쿠天禄천록970년 5월 3일
(안와 3년 3월 25일)
974년 1월 16일
(텐로쿠 4년 12월 20일)
3년 260일엔유
덴노
텐엔天延천연974년 1월 16일
(텐로쿠 4년 12월 20일)
976년 8월 11일
(텐엔 4년 7월 13일)
2년 209일
조겐貞元정원976년 8월 11일
(텐엔 4년 7월 13일)
978년 12월 31일
(조겐 3년 11월 29일)
2년 143일
덴겐天元천원978년 12월 31일
(조겐 3년 11월 29일)
983년 5월 29일
(덴겐 6년 4월 15일)
4년 151일
에이칸永観영관983년 5월 29일
(덴겐 6년 4월 15일)
985년 5월 19일
(에이칸 3년 4월 27일)
1년 357일
칸와寛和관화985년 5월 19일
(에이칸 3년 4월 27일)
987년 5월 5일
(칸와 3년 4월 5일)
1년 352일가잔
덴노
에이엔永延영연987년 5월 5일
(칸와 3년 4월 5일)
989년 9월 10일
(에이엔 3년 8월 8일)
2년 130일이치조
덴노
에이소永祚영조989년 9월 10일
(에이엔 3년 8월 8일)
990년 11월 26일
(에이소 2년 11월 7일)
1년 78일
쇼랴쿠正暦정력990년 11월 26일
(에이소 2년 11월 7일)
995년 3월 25일
(쇼랴쿠 6년 2월 22일)
4년 121일
조토쿠長徳장덕995년 3월 25일
(쇼랴쿠 6년 2월 22일)
999년 2월 1일
(조토쿠 5년 1월 13일)
3년 315일
조호長保장보999년 2월 1일
(조토쿠 5년 1월 13일)
1004년 8월 8일
(조호 6년 7월 20일)
5년 191일
칸코寛弘관홍1004년 8월 8일
(조호 6년 7월 20일)
1013년 2월 8일
(칸코 9년 12월 25일)
8년 187일
조와長和장화1013년 2월 8일
(칸코 9년 12월 25일)
1017년 5월 21일
(조와 6년 4월 23일)
4년 104일산조
덴노
칸닌寛仁관인1017년 5월 21일
(조와 6년 4월 23일)
1021년 3월 17일
(칸닌 5년 2월 2일)
3년 302일고이치조
덴노
지안治安치안1021년 3월 17일
(칸닌 5년 2월 2일)
1024년 8월 19일
(지안 4년 7월 13일)
3년 157일신유년의 혁명개원
만주万寿만수1024년 8월 19일
(지안 4년 7월 13일)
1028년 8월 18일
(만주 5년 7월 25일)
4년갑자년의 혁령개원
조겐長元장원1028년 8월 18일
(만주 5년 7월 25일)
1037년 5월 9일
(조겐 10년 4월 21일)
8년 267일
조랴쿠長暦장력1037년 5월 9일
(조겐 10년 4월 21일)
1040년 12월 16일
(조랴쿠 4년 11월 10일)
3년 223일고스자쿠
덴노
조큐長久장구1040년 12월 16일
(조랴쿠 4년 11월 10일)
1044년 12월 16일
(조큐 5년 11월 24일)
4년 1일
칸토쿠寛徳관덕1044년 12월 16일
(조큐 5년 11월 24일)
1046년 5월 22일
(칸토쿠 3년 4월 14일)
1년 158일
에이쇼永承영승1046년 5월 22일
(칸토쿠 3년 4월 14일)
1053년 2월 20일
(에이쇼 8년 1월 11일)
6년 277일고레이제이
덴노
텐기天喜천희1053년 2월 20일
(에이쇼 8년 1월 11일)
1058년 9월 19일
(텐기 6년 8월 29일)
5년 213일
고헤이康平강평1058년 9월 19일
(텐기 6년 8월 29일)
1065년 9월 4일
(고헤이 8년 8월 2일)
6년 353일
지랴쿠治暦치력1065년 9월 4일
(고헤이 8년 8월 2일)
1069년 5월 6일
(지랴쿠 5년 4월 13일)
3년 246일
엔큐延久연구1069년 5월 6일
(지랴쿠 5년 4월 13일)
1074년 9월 16일
(엔큐 6년 8월 23일)
5년 135일고산조
덴노
엔큐의 선정(延久の善政)
조호承保승보1074년 9월 16일
(엔큐 6년 8월 23일)
1077년 12월 5일
(조호 4년 11월 17일)
3년 82일시라카와
덴노
조랴쿠承暦승력1077년 12월 5일
(조호 4년 11월 17일)
1081년 3월 22일
(조랴쿠 5년 2월 10일)
3년 109일
에이호永保영보1081년 3월 22일
(조랴쿠 5년 2월 10일)
1084년 3월 15일
(에이호4년 2월 7일)
2년 360일신유년의 혁명개원
오토쿠応徳응덕1084년 3월 15일
(에이호4년 2월 7일)
1087년 5월 11일
(오토쿠 4년 4월 7일)
3년 58일갑자년의 혁령개원
칸지寛治관치1087년 5월 11일
(오토쿠 4년 4월 7일)
1095년 1월 23일
(칸지 8년 12월 15일)
7년 260일호리카와
덴노
카호嘉保가보1095년 1월 23일
(칸지 8년 12월 15일)
1097년 1월 3일
(카호 3년 12월 17일)
1년 347일
에이초永長영장1097년 1월 3일
(카호 3년 12월 17일)
1097년 12월 27일
(에이초 2년 11월 21일)
11개월 25일
조토쿠承徳승덕1097년 12월 27일
(에이초 2년 11월 21일)
1099년 9월 15일
(조토쿠 3년 8월 28일)
1년 263일
코와康和강화1099년 9월 15일
(조토쿠 3년 8월 28일)
1104년 3월 8일
(코와 6년 2월 10일)
4년 177일
초지長治장치1104년 3월 8일
(코와 6년 2월 10일)
1106년 5월 13일
(초지 3년 4월 9일)
2년 67일
가쇼嘉承가승1106년 5월 13일
(초지 3년 4월 9일)
1108년 9월 9일
(가쇼 3년 8월 3일)
2년 121일
텐닌天仁천인1108년 9월 9일
(가쇼 3년 8월 3일)
1110년 7월 31일
(텐닌 3년 7월 13일)
1년 326일도바
덴노
텐에이天永천영1110년 7월 31일
(텐닌 3년 7월 13일)
1113년 8월 25일
(텐에이 4년 7월 13일)
3년 26일
에이큐永久영구1113년 8월 25일
(텐에이 4년 7월 13일)
1118년 4월 25일
(에이큐 6년 4월 3일)
4년 245일
겐에이元永원영1118년 4월 25일
(에이큐 6년 4월 3일)
1120년 5월 9일
(겐에이 3년 4월 10일)
2년 15일
호안保安보안1120년 5월 9일
(겐에이 3년 4월 10일)
1124년 5월 18일
(호안 5년 4월 3일)
4년 10일
텐지天治천치1124년 5월 18일
(호안 5년 4월 3일)
1126년 2월 15일
(텐지 3년 1월 22일)
1년 274일스토쿠
덴노
다이지大治대치1126년 2월 15일
(텐지 3년 1월 22일)
1131년 2월 28일
(다이지 6년 1월 19일)
5년 14일
텐쇼天承천승1131년 2월 28일
(다이지 6년 1월 19일)
1132년 9월 21일
(텐쇼 2년 8월 11일)
1년 207일
초쇼長承장승1132년 9월 21일
(텐쇼 2년 8월 11일)
1135년 6월 10일
(초쇼 4년 4월 27일)
2년 263일
호엔保延보연1135년 6월 10일
(초쇼 4년 4월 27일)
1141년 8월 13일
(호엔 7년 7월 10일)
6년 67일
에이지永治영치1141년 8월 13일
(호엔 7년 7월 10일)
1142년 5월 25일
(에이지 2년 4월 28일)
9개월 13일신유년의 혁명개원
코지康治강치1142년 5월 25일
(에이지 2년 4월 28일)
1144년 3월 28일
(코지 3년 2월 23일)
1년 309일고노에
덴노
텐요天養천양1144년 3월 28일
(코지 3년 2월 23일)
1145년 8월 12일
(텐요 2년 7월 22일)
1년 138일갑자년의 혁령개원
큐안久安구안1145년 8월 12일
(텐요 2년 7월 22일)
1151년 2월 14일
(큐안 7년 1월 26일)
5년 188일
닌표仁平인평1151년 2월 14일
(큐안 7년 1월 26일)
1154년 12월 4일
(닌표 4년 10월 28일)
3년 295일
큐주久寿구수1154년 12월 4일
(닌표 4년 10월 28일)
1156년 5월 18일
(큐주 3년 4월 27일)
1년 67일
호겐保元보원1156년 5월 18일
(큐주 3년 4월 27일)
1159년 5월 9일
(호겐 4년 4월 20일)
2년 357일고시라카와
덴노
호겐의 난
헤이지平治평치1159년 5월 9일
(호겐 4년 4월 20일)
1160년 2월 18일
(헤이지 2년 1월 10일)
9개월 10일니조
덴노
헤이지의 난
에이랴쿠永暦영력1160년 2월 18일
(헤이지 2년 1월 10일)
1161년 9월 24일
(에이랴쿠 2년 9월 4일)
1년 220일
오호応保응보1161년 9월 24일
(에이랴쿠 2년 9월 4일)
1163년 5월 4일
(오호 3년 3월 29일)
1년 223일
초칸長寛장관1163년 5월 4일
(오호 3년 3월 29일)
1165년 7월 14일
(초칸 3년 6월 5일)
2년 73일
에이만永万영만1165년 7월 14일
(초칸 3년 6월 5일)
1166년 9월 23일
(에이만 2년 8월 27일)
1년 72일
닌난仁安인안1166년 9월 23일
(에이만 2년 8월 27일)
1169년 5월 6일
(닌난 4년 4월 8일)
2년 227일로쿠조
덴노
카오嘉応가응1169년 5월 6일
(닌난 4년 4월 8일)
1171년 5월 27일
(카오 3년 4월 21일)
2년 22일다카쿠라
덴노
쇼안承安승안1171년 5월 27일
(카오 3년 4월 21일)
1175년 8월 16일
(쇼안 5년 7월 28일)
4년 83일
안겐安元안원1175년 8월 16일
(쇼안 5년 7월 28일)
1177년 8월 29일
(안겐 3년 8월 4일)
2년 14일
지쇼治承치승1177년 8월 29일
(안겐 3년 8월 4일)
1181년 8월 25일
(지쇼 5년 7월 14일)
3년 363일
요와養和양화1181년 8월 25일
(지쇼 5년 7월 14일)
1182년 6월 29일
(요와 2년 5월 27일)
10개월 5일안토쿠
덴노
주에이寿永수영1182년 6월 29일
(요와 2년 5월 27일)
1184년 5월 27일
(주에이 3년 4월 16일)
1년 334일
겐랴쿠元暦원력1184년 5월 27일
(주에이 3년 4월 16일)
1185년 9월 9일
(겐랴쿠 2년 8월 14일)
1년 106일고토바
덴노

4.4. 가마쿠라 시대[편집]


연호한자한국 음시작종료기간군주비고
분지文治문치1185년 9월 9일
(겐랴쿠 2년 8월 14일)
1190년 5월 16일
(분지 6년 4월 11일)
4년 251일고토바
덴노
켄큐建久건구1185년 9월 9일
(겐랴쿠 2년 8월 14일)
1199년 5월 23일
(켄큐 10년 4월 27일)
9년 8일
쇼지正治정치1199년 5월 23일
(켄큐 10년 4월 27일)
1201년 3월 19일
(쇼지 3년 2월 13일)
1년 302일쓰치미카도
덴노
켄닌建仁건인1201년 3월 19일
(쇼지 3년 2월 13일)
1204년 3월 23일
(켄닌 4년 2월 20일)
3년 5일신유년의 혁명개원
겐큐元久원구1204년 3월 23일
(켄닌 4년 2월 20일),
1206년 6월 5일
(겐큐 3년 4월 27일)
2년 75일갑자년의 혁령개원
켄에이建永건영1206년 6월 5일
(겐큐 3년 4월 27일)
1207년 11월 16일
(켄에이 2년 10월 25일)
1년 165일
쇼겐承元승원1207년 11월 16일
(켄에이 2년 10월 25일)
1211년 4월 23일
(쇼겐 5년 3월 9일)
3년 160일
켄랴쿠建暦건력1211년 4월 23일
(쇼겐 5년 3월 9일)
1214년 1월 18일
(켄랴쿠 3년 12월 6일)
2년 272일준토쿠
덴노
켄포建保건보1214년 1월 18일
(켄랴쿠 3년 12월 6일)
1219년 5월 27일
(켄포 7년 4월 12일)
5년 131일
조큐承久승구1219년 5월 27일
(켄포 7년 4월 12일)
1222년 5월 25일
(조큐 4년 4월 13일)
3년조큐의 난
조오貞応정응1222년 5월 25일
(조큐 4년 4월 13일)
1224년 12월 31일
(조오 3년 11월 20일)
2년 222일고호리카와
덴노
겐닌元仁원인1224년 12월 31일
(조오 3년 11월 20일)
1225년 5월 28일
(겐닌 2년 4월 20일)
4개월 29일
카로쿠嘉禄가록1225년 5월 28일
(겐닌 2년 4월 20일)
1228년 1월 18일
(카로쿠 2년 4월 20일)
2년 236일
안테이安貞안정1228년 1월 18일
(카로쿠 2년 4월 20일)
1229년 3월 31일
(안테이 3년 3월 5일)
1년 74일
칸키寛喜관희1229년 3월 31일
(안테이 3년 3월 5일)
1232년 4월 23일
(칸키 4년 4월 2일)
3년 24일
조에이貞永정영1232년 4월 23일
(칸키 4년 4월 2일)
1233년 5월 25일
(조에이 2년 4월 15일)
1년 33일
텐푸쿠天福천복1233년 5월 25일
(조에이 2년 4월 15일)
1234년 11월 27일
(텐푸쿠 2년 11월 5일)
1년 187일시조
덴노
분랴쿠文暦문력1234년 11월 27일
(텐푸쿠 2년 11월 5일)
1235년 11월 1일
(분랴쿠 2년 9월 19일)
11개월 6일
카테이嘉禎가정1235년 11월 1일
(분랴쿠 2년 9월 19일)
1238년 12월 30일
(카에이 4년 11월 23일)
3년 61일
랴쿠닌暦仁역인1238년 12월 30일
(카에이 4년 11월 23일)
1239년 3월 13일
(랴쿠닌 2년 2월 7일)
2개월 14일
엔오延応연응1239년 3월 13일
(랴쿠닌 2년 2월 7일)
1240년 8월 5일
(엔오 2년 7월 16일)
1년 147일
닌지仁治인치1240년 8월 5일
(엔오 2년 7월 16일)
1243년 3월 18일
(닌지 4년 2월 26일)
2년 226일
칸겐寛元관원1243년 3월 18일
(닌지 4년 2월 26일)
1247년 4월 5일
(칸겐 5년 2월 28일)
4년 19일고사가
덴노
호지宝治보치1247년 4월 5일
(칸겐 5년 2월 28일)
1249년 5월 2일
(호지 3년 3월 18일)
2년 28일고후카쿠사
덴노
켄초建長건장1249년 5월 2일
(호지 3년 3월 18일)
1256년 10월 24일
(켄초 8년 10월 5일)
7년 178일
코겐康元강원1256년 10월 24일
(켄초 8년 10월 5일)
1257년 3월 31일
(코겐 2년 3월 14일)
5개월 8일
쇼카正嘉정가1257년 3월 31일
(코겐 2년 3월 14일)
1259년 4월 20일
(쇼카 3년 3월 26일)
2년 21일
쇼겐正元정원1259년 4월 20일
(쇼카 3년 3월 26일)
1260년 5월 24일
(쇼겐 2년 4월 13일)
1년 36일
분오文応문응1260년 5월 24일
(쇼겐 2년 4월 13일)
1261년 3월 22일
(분오 2년 2월 20일)
9개월 27일가메야마
덴노
코초弘長홍장1261년 3월 22일
(분오 2년 2월 20일)
1264년 3월 27일
(코초 4년 2월 28일)
3년 6일신유년의 혁명개원
분에이文永문영1264년 3월 27일
(코초 4년 2월 28일)
1275년 5월 22일
(분에이 12년 4월 25일)
11년 59일갑자년의 혁령개원. 분에이의 역(文永の役)
켄지建治건치1275년 5월 22일
(분에이 12년 4월 25일)
1278년 3월 23일
(켄지 4년 2월 29일)
2년 307일고우다
덴노
코안弘安홍안1278년 3월 23일
(켄지 4년 2월 29일)
1288년 5월 29일
(코안 11년 4월 28일)
10년 71일코안의 역(弘安の役)
쇼오正応정응1288년 5월 29일
(코안 11년 4월 28일)
1293년 9월 6일
(쇼오 6년 8월 5일)
5년 102일후시미
덴노
에이닌永仁영인1293년 9월 6일
(쇼오 6년 8월 5일)
1299년 5월 25일
(에이닌 7년 4월 25일)
5년 263일
쇼안正安정안1299년 5월 25일
(에이닌 7년 4월 25일)
1302년 12월 10일
(쇼안 4년 11월 21일)
3년 201일고후시미
덴노
켄겐乾元건원1302년 12월 10일
(쇼안 4년 11월 21일)
1303년 9월 16일
(켄겐 2년 8월 5일)
9개월 7일고니조
덴노
카겐嘉元가원1303년 9월 16일
(켄겐 2년 8월 5일)
1307년 1월 18일
(카겐 4년 12월 14일)
3년 126일
토쿠지徳治덕치1307년 1월 18일
(카겐 4년 12월 14일)
1308년 11월 22일
(토쿠지 3년 10월 9일)
1년 310일
엔쿄延慶연경1308년 11월 22일
(토쿠지 3년 10월 9일)
1311년 5월 17일
(엔쿄 4년 4월 28일)
2년 177일하나조노
덴노
오초応長응장1311년 5월 17일
(엔쿄 4년 4월 28일)
1312년 4월 27일
(오초 2년 3월 20일)
11개월 11일
쇼와正和정화1312년 4월 27일
(오초 2년 3월 20일)
1317년 3월 16일
(쇼와 6년 2월 3일)
5년 306일
분포文保문보1317년 3월 16일
(쇼와 6년 2월 3일)
1319년 5월 18일
(분포 3년 4월 28일)
2년 64일
겐오元応원응1319년 5월 18일
(분포 3년 4월 28일)
1321년 3월 22일
(겐오 3년 2월 23일)
1년 292일고다이고
덴노
겐코元亨원형1321년 3월 22일
(겐오 3년 2월 23일)
1324년 12월 25일
(겐코 4년 12월 9일)
3년 280일신유년의 혁명개원
쇼추正中정중1324년 12월 25일
(겐코 4년 12월 9일)
1326년 5월 28일
(쇼추 3년 4월 26일)
1년 155일갑자년의 혁령개원
카랴쿠嘉暦가력1326년 5월 28일
(쇼추 3년 4월 26일)
1329년 9월 22일
(카랴쿠 4년 8월 29일)
3년 119일
겐토쿠元徳원덕1329년 9월 22일
(카랴쿠 4년 8월 29일)
1331년 9월 11일
(겐토쿠 3년 8월 9일)
1년 355일

4.5. 남북조시대[편집]



4.5.1. 남조[편집]


연호한자한국 음시작종료기간군주비고
겐코元弘원홍1331년 9월 11일
(겐토쿠 3년 8월 9일)
1334년 3월 5일
(겐코 4년 1월 29일)
2년 177일고다이고
덴노
겐무建武건무1334년 3월 5일
(겐코 4년 1월 29일)
1336년 4월 11일
(겐무 3년 2월 29일)
2년 39일겐무 신정
엔겐延元건원1336년 4월 11일
(겐무 3년 2월 29일)
1340년 5월 25일
(엔겐 5년 4월 28일)
4년 46일
코코쿠興国흥국1340년 5월 25일
(엔겐 5년 4월 28일)
1347년 1월 20일
(코코쿠 7년 12월 8일)
6년 242일고무라카미
덴노
쇼헤이正平정평1347년 1월 20일
(코코쿠 7년 12월 8일)
1370년 8월 16일
(쇼헤이 25년 7월 24일)
23년 215일일세일원제 채택 이전 2번째로 오래 사용
켄토쿠建徳건덕1370년 8월 16일
(쇼헤이 25년 7월 24일)
1372년 5월
(켄토쿠 3년 4월)
1년 9개월조케이
덴노
분추文中문중1372년 5월
(켄토쿠 3년 4월)
1375년 6월 26일
(분추 4년 5월 27일)
3년 1개월
텐주天授천수1375년 6월 26일
(분추 4년 5월 27일)
1381년 3월 6일
(텐주 7년 2월 10일)
5년 256일
코와弘和홍화1381년 3월 6일
(텐주 7년 2월 10일)
1384년 5월 18일
(코와 4년 4월 28일)
3년 75일신유년의 혁명개원
겐추元中원중1384년 5월 18일
(코와 4년 4월 28일)
1392년 11월 19일
(겐추 9년 10월 5일)
8년 188일고카메야마
덴노
갑자년의 혁령개원, 1392년 자진 퇴위


4.5.2. 북조[편집]


연호한자한국 음시작종료기간군주비고
쇼쿄正慶정경1332년 5월 23일
(겐토쿠 2년 4월 28일)
1333년 7월 7일
(쇼쿄 2년 5월 25일)
1년 46일고곤
덴노
랴쿠오暦応역응1338년 10월 11일
(겐무 5년 8월 28일)
1342년 6월 1일
(랴쿠오 5년 4월 27일)
3년 238일고묘
덴노
고에이康永강영1342년 6월 1일
(랴쿠오 5년 4월 27일)
1345년 11월 15일
(고에이 4년 10월 21일)
3년 169일
조와貞和정화1345년 11월 15일
(고에이 4년 10월 21일)
1350년 4월 4일
(조와 6년 2월 27일)
4년 142일
칸노観応관응1350년 4월 4일
(조와 6년 2월 27일)
1352년 11월 4일
(칸노 3년 9월 27일)
2년 216일스코
덴노
분나文和문화1352년 11월 4일
(칸노 3년 9월 27일)
1356년 4월 29일
(분나 5년 3월 28일)
3년 178일고코곤
덴노
엔분延文연문1356년 4월 29일
(분나 5년 3월 28일)
1361년 5월 4일
(엔분 6년 3월 29일)
5년 6일
코안康安강안1361년 5월 4일
(엔분 6년 3월 29일)
1362년 10월 11일
(코안 2년 9월 23일)
1년 161일
조지貞治정치1362년 10월 11일
(코안 2년 9월 23일)
1368년 3월 7일
(조지 7년 2월 18일)
5년 150일
오안応安응안1368년 3월 7일
(조지 7년 2월 18일)
1375년 3월 29일
(오안 8년 2월 27일)
7년 23일고코곤-고엔유 두 덴노 재위 때 사용
고엔유
덴노
에이와永和영화1375년 3월 29일
(오안 8년 2월 27일)
1379년 4월 9일
(에이와 5년 3월 22일)
4년 12일
코랴쿠康暦강력1379년 4월 9일
(에이와 5년 3월 22일)
1381년 3월 20일
(코랴쿠 3년 2월 24일)
1년 347일
에이토쿠永徳영덕1381년 3월 20일
(코랴쿠 3년 2월 24일)
1384년 3월 19일
(에이토쿠 4년 2월 27일)
3년신유년의 혁명개원
시토쿠至徳지덕1384년 3월 19일
(에이토쿠 4년 2월 27일)
1387년 10월 5일
(시토쿠 4년 8월 23일)
3년 201일고코마쓰
덴노
갑자년의 혁령개원
가케이嘉慶가경1387년 10월 5일
(시토쿠 4년 8월 23일)
1389년 3월 7일
(가케이 3년 2월 9일)
1년 155일
코오康応강응1389년 3월 7일
(가케이 3년 2월 9일)
1390년 4월 12일
(코오 2년 3월 26일)
1년 37일
메이토쿠明徳명덕1390년 4월 12일
(코오 2년 3월 26일)
1394년 8월 2일
(메이토쿠 5년 7월 5일)
4년 114일1392년 남조의 고카메야마 덴노 퇴위, 남북조 시대 종결


4.6. 무로마치 시대[편집]


연호한자한국 음시작종료기간군주비고
오에이応永응영1394년 8월 2일
(메이토쿠 5년 7월 5일)
1428년 6월 10일
(오에이 35년 4월 27일)
33년 322일고코마쓰
덴노
일세일원제 도입 전 가장 오래 사용, 일본 역사상 3번째로 오래 사용. 오에이의 외구(応永の外寇)
쇼추正長정장1428년 6월 10일
(오에이 35년 4월 27일)
1429년 10월 3일
(쇼추 2년 9월 5일)
1년 116일쇼코
덴노
에이큐永享영향1429년 10월 3일
(쇼추 2년 9월 5일)
1441년 3월 10일
(에이큐13년 2월 17일)
11년 162일고하나조노
덴노
가키쓰嘉吉가길1441년 3월 10일
(에이큐13년 2월 17일)
1444년 2월 23일
(가키쓰 4년 2월 5일)
2년 351일신유년의 혁명개원. 가키쓰 조약
분안文安문안1444년 2월 23일
(가키쓰 4년 2월 5일)
1449년 8월 16일
(분안 6년 7월 28일)
5년 177일갑자년의 혁령개원
호토쿠宝徳보덕1449년 8월 16일
(분안 6년 7월 28일)
1452년 8월 10일
(호토쿠 4년 7월 25일)
2년 361일
쿄토쿠享徳향덕1452년 8월 10일
(호토쿠 4년 7월 25일)
1455년 9월 6일
(쿄토쿠 4년 7월 25일)
3년 28일
코쇼康正강정1455년 9월 6일
(쿄토쿠 4년 7월 25일)
1457년 10월 16일
(코쇼 3년 9월 28일)
2년 42일
초로쿠長禄장록1457년 10월 16일
(코쇼 3년 9월 28일)
1461년 2월 1일
(초로쿠 4년 12월 21일)
3년 110일
칸쇼寛正관정1461년 2월 1일
(초로쿠 4년 12월 21일)
1466년 3월 14일
(칸쇼 7년 2월 28일)
5년 43일
분쇼文正문정1466년 3월 14일
(칸쇼 7년 2월 28일)
1467년 4월 9일
(분쇼 2년 3월 5일)
1년 27일고쓰치미카도
덴노


4.7. 센고쿠 시대[편집]


연호한자한국 음시작종료기간군주비고
오닌応仁응인1467년 4월 9일
(분쇼 2년 3월 5일)
1469년 6월 8일
(오닌 3년 4월 28일)
2년 62일고쓰치미카도
덴노
오닌의 난
분메이文明문명1469년 6월 8일
(오닌 3년 4월 28일)
1487년 8월 9일
(분메이 19년 7월 20일)
18년 67일
조쿄長享장향1487년 8월 9일
(분메이 19년 7월 20)
1489년 9월 16일
(조쿄 3년 8월 21일)
2년 40일
엔토쿠延徳연덕1489년 9월 16일
(조쿄 3년 8월 21일)
1492년 8월 12일
(엔토쿠 4년 7월 19일)
2년 332일
메이오明応명응1492년 8월 12일
(엔토쿠 4년 7월 19일)
1501년 3월 18일
(메이오 10년 2월 29일)
8년 221일메이오의 정변
분키文亀문귀1501년 3월 18일
(메이오 10년 2월 29일)
1504년 3월 16일
(분키 4년 2월 30일)
3년고카시와바라
덴노
신유년의 혁명개원
에이쇼永正영정1504년 3월 16일
(분키 4년 2월 30일)
1521년 9월 23일
(에이쇼 18년 8월 23일)
17년 196일갑자년의 혁령개원. 에이쇼의 난
다이에이大永대영1521년 9월 23일
(에이쇼 18년 8월 23일)
1528년 9월 3일
(다이에이 8년 8월 20일)
6년 348일
교로쿠享禄향록1528년 9월 3일
(다이에이 8년 8월 20일)
1532년 8월 29일
(교로쿠 5년 7월 29일)
3년 362일고나라
덴노
텐분天文천문1532년 8월 29일
(교로쿠 5년 7월 29일)
1555년 11월 7일
(텐분 24년 10월 23일)
23년 76일텐분의 난
코지弘治홍치1555 11월 7일
(텐분 24년 10월 23일)
1558년 3월 18일
(코지 4년 2월 28일)
2년 133일
에이로쿠永禄영록1558년 3월 18일
(코지 4년 2월 28일)
1570년 5월 27일
(에이로쿠 13년 4월 23일)
12년 74일오오기마치
덴노
1561년이 신유년, 1564년이 갑자년이지만 혁명개원을 하지 않음. 에이로쿠의 변
겐키元亀원귀1570년 5월 27일
(에이로쿠 13년 4월 23일)
1573년 8월 25일
(겐키 4년 7월 28일)
3년 92일


4.8. 아즈치모모야마 시대[편집]


연호한자한국 음시작종료기간군주비고
텐쇼天正천정1573년 8월 25일
(겐키 4년 7월 28일)
1593년 1월 10일
(텐쇼 20년 12월 8일)
19년 144일오오기마치
덴노
분로쿠文禄문록1593년 1월 10일
(텐쇼 20년 12월 8일)
1596년 12월 16일
(분로쿠 5년 10월 27일)
3년 342일고요제이
덴노
일본에서 임진왜란을 당시 연호를 따 분로쿠의 역(文禄の役 분로쿠노에키)이라 함
케이초慶長경장1596년 12월 16일
(분로쿠 5년 10월 27일)
1615년 9월 5일
(케이초 20년 7월 13일)
18년 268일일본에서 정유재란을 당시 연호를 따 케이초의 역(慶長の役 케이초노에키)이라 함. 케이초 조약


4.9. 에도 시대[편집]


연호한자한국 음시작종료기간군주비고
겐나元和원화1615년 9월 5일
(케이초 20년 7월 13일)
1624년 4월 17일
(겐나 10년 2월 30일)
8년 228일고미즈노오
덴노
겐나엔부. 1621년이 신유년이었지만 혁명개원을 하지 않음
칸에이寛永관영1624년 4월 17일
(겐나 10년 2월 30일)
1645년 1월 13일
(칸에이 21년 12월 16일)
20년 277일갑자년의 혁령개원. 칸에이 대기근
쇼호正保정보1645년 1월 13일
(칸에이 21년 12월 16일)
1648년 4월 7일
(쇼호 5년 2월 15일)
3년 86일고코묘
덴노
케이안慶安경안1648년 4월 7일
(쇼호 5년 2월 15일)
1652년 10월 20일
(케이안 5년 9월 18일)
4년 198일케이안의 변(일본어 위키백과)
조오承応승응1652년 10월 20일
(케이안 5년 9월 18일)
1655년 5월 18일
(조오 4년 4월 13일)
2년 211일
메이레키明暦명력1655년 5월 18일
(조오 4년 4월 13일)
1658년 8월 21일
(메이레키 4년 7월 23일)
3년 97일고사이
덴노
메이레키 대화재
만지万治만치1658년 8월 21일
(메이레키 4년 7월 23일)
1661년 5월 23일
(만지 4년 4월 25일)
2년 277일
칸분寛文관문1661년 5월 23일
(만지 4년 4월 25일)
1673년 10월 30일
(칸분13년 9월 21일)
12년 164일
엔포延宝연보1673년 10월 30일
(칸분13년 9월 21일)
1681년 11월 9일
(엔포 9년 9월 29일)
8년 11일레이겐
덴노
엔포 대기근
텐나天和천화1681년 11월 9일
(엔포 9년 9월 29일)
1684년 4월 5일
(텐나 4년 2월 21일)
2년 149일신유년의 혁명개원.텐나 대화재(일본어 위키백과). 텐나의 치(天和の治)
조쿄貞享정향1684년 4월 5일
(텐나 4년 2월 21일)
1688년 10월 23일
(조쿄 5년 9월 30일)
4년 203일갑자년의 혁령개원
겐로쿠元禄원록1688년 10월 23일
(조쿄 5년 9월 30일)
1704년 4월 16일
(겐로쿠 17년 3월 13일)
15년 180일히가시야마
덴노
겐로쿠 대지진. 겐로쿠 문화(위키백과)
호에이宝永보영1704년 4월 16일
(겐로쿠 17년 3월 13일)
1711년 6월 11일
(호에이 8년 4월 25일)
7년 58일호에이 대지진
쇼토쿠正徳정덕1711년 6월 11일
(호에이 8년 4월 25일)
1716년 8월 9일
(쇼토쿠 6년 6월 22일)
5년 62일나카미카도
덴노
쇼토쿠의 치(일본어 위키백과)
쿄호享保향보1716년 8월 9일
(쇼토쿠 6년 6월 22일)
{{{-1 1736년 6월 7일}}
(쿄호 21년 4월 28일)
19년 308일쿄호 대기근. 쿄호의 개혁
겐분元文원문1736년 6월 7일
(쿄호 21년 4월 28일)
1741년 4월 12일
(겐분 6년 2월 27일)
4년 311일사쿠라마치
덴노
칸포寛保관보1741년 4월 12일
(겐분 6년 2월 27일)
1744년 4월 3일
(칸포 4년 2월 21일)
2년 358일신유년의 혁명개원
엔쿄延享연향1744년 4월 3일
(칸포 4년 2월 21일)
1748년 8월 5일
(엔쿄 5년 7월 12일)
4년 126일갑자년의 혁령개원
칸엔寛延관연1748년 8월 5일
(엔쿄 5년 7월 12일)
1751년 12월 14일
(칸엔 4년 10월 27일)
3년 132일모모조노
덴노
호레키宝暦보력1751년 12월 14일
(칸엔 4년 10월 27일)
1764년 6월 30일
(호레키 14년 6월 2일)
12년 192일호레키 사건(일본어 위키백과)[10]
메이와明和명화1764년 6월 30일
(호레키 14년 6월 2일)
1772년 12월 10일
(메이와 9년 11월 16일)
8년 166일고사쿠라마치
덴노
메이와 대화재
안에이安永안영1772년 12월 10일
(메이와 9년 11월 16일)
1781년 4월 25일
(안에이 10년 4월 2일)
8년 139일고모모조노
덴노
텐메이天明천명1781년 4월 25일
(안에이 10년 4월 2일)
1789년 2월 19일
(텐메이 9년 1월 25일)
7년 303일고카쿠
덴노
텐메이 대기근
칸세이寛政관정1789년 2월 19일
(텐메이 9년 1월 25일)
1801년 3월 19일
(칸세이 13년 2월 5일)
12년 31일
쿄와享和향화1801년 3월 19일
(칸세이 13년 2월 5일)
1804년 3월 22일
(쿄와 4년 2월 11일)
3년 4일신유년의 혁명개원
분카文化문화1804년 3월 22일
(쿄와 4년 2월 11일)
1818년 5월 26일
(분카 15년 4월 22일)
14년 69일갑자년의 혁령개원
분세이文政문정1818년 5월 26일
(분카 15년 4월 22일)
1831년 1월 23일
(분세이 13년 12월 10일)
12년 246일닌코
덴노
텐포天保천보1831년 1월 23일
(분세이 13년 12월 10일)
1845년 1월 9일
(텐포 15년 12월 2일)
13년 356일텐포 대기근. 텐포 개혁
코카弘化홍화1845년 1월 9일
(텐포 15년 12월 2일)
1848년 4월 1일
(코카 5년 2월 28일)
3년 84일
카에이嘉永가영1848년 4월 1일
(코카 5년 2월 28일)
1855년 1월 15일
(카에이 7년 11월 27일)
6년 291일고메이
덴노
안세이安政안정1855년 1월 15일
(카에이 7년 11월 27일)
1860년 4월 8일
(안세이 7년 3월 18일)
5년 86일안세이의 대옥
만엔万延만연1860년 4월 8일
(안세이 7년 3월 18일)
1861년 3월 29일
(만엔 2년 2월 19일)
11개월 22일
분큐文久문구1861년 3월 29일
(만엔 2년 2월 19일)
1864년 3월 27일
(분큐 4년 2월 20일)
3년신유년의 마지막 혁명개원. 분큐의 개혁(위키백과)
겐지元治원치1864년 3월 27일
(분큐 4년 2월 20일)
1865년 5월 1일
(겐지 2년 4월 7일)
1년 36일갑자년의 마지막 혁령개원
게이오慶応경응1865년 5월 1일
(겐지 2년 4월 7일)
1868년 10월 23일
(게이오 4년 9월 8일)
3년 117일고메이
덴노
,
메이지
덴노


4.10. 일세일원제[편집]


연호한자한국 음시작종료기간군주비고
메이지明治명치1868년 10월 23일1912년 7월 30일43년 291일메이지
덴노
일세일원제 확립. 일본 역사상 두 번째로 길게 사용. 메이지 유신
다이쇼大正대정1912년 7월 30일1926년 12월 25일14년 152일다이쇼
덴노
우연의 일치로 북한주체연호, 대만민국기년과 겹친다. 다이쇼 데모크라시
쇼와昭和소화1926년 12월 25일1989년 1월 7일62년 13일쇼와
덴노
일본 역사상 최장기간 사용. 제2차 세계대전
헤이세이平成평성1989년 1월 8일2019년 4월 30일30년 120일아키히토일본 역사상 네 번째로 길게 사용. 다이쇼와 쇼와는 선황이 사망한 당일에 개원했지만, 헤이세이는 쇼와 덴노가 사망한 다음 날 개원했다. 헤이세이 불황
레이와令和영화2019년 5월 1일나루히토정부 행정시스템상으로는 표기를 서력기원으로 통일하기로 하면서 적용되지 않는다. 그러나 종이 문서에는 여전히 연호를 쓰기로 했다. # 하지만 일본 내에서 2019년 연호 관련 뉴스들에서는 행정기관 등에서는 행정 프로그램의 연호 변경을 준비 중이라는 내용이 나왔다.


5. 현황[편집]


정부기관이나 지방자치단체가 일본 국내만을 대상으로 하는 일본어 공문서 등은 서기가 아닌 연호를 쓴다. 하지만 그 대상이 재일 외국인이거나 외국어로 작성하는 문서 등에는 대체로 서기를 많이 쓴다. 그 예로 법무성 산하 출입국재류관리청이나 일본의 재외공관이 있다. 출입국재류관리청은 일본의 사증심사재일 외국인의 재류관리를 담당하기 때문에 재류카드는 물론이고, 전부야 아니지만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발표나 발급하는 문서 등은 웬만하면 서기로 쓴다.
일본의 재외공관은 외국에서 연호로 표기해봤자 씨알도 안 먹히니 당연히 서기로 표기한다. 정부기관 등이 외국을 상대로 작성하는 공문서는 일본어판에서는 연호, 외국어판에서는 서기로 표기한다.

일본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가 발행하는 신분증 등은 두 가지로 나뉜다.
  • 서기
재류카드 및 특별영주자증명서[11], 일본여권
  • 연호
경찰(각 도도부현 공안위원회)이 교부하는 운전면허증[12], 지방자체단체 등의 국민건강보험증[13]
  • 애매한 것
마이넘버카드는 상기한 두 가지 경우에 속하지 않는다. 일본인과 외국인은 연도표기가 다르기 때문이다. 같은 1980년이어도 일본인이라면 昭和55年, 외국인이라면 1980年으로 표기된다. 그런데 유효기간은 운전면허증마냥 서기로 표기된다.
발급처에 이유를 물어본 결과, 정부의 시스템이 등록된 개인번호 카드에 관련된 정보가, 일본인은 연호이고 외국인은 서기여서 그렇다고 한다.

일본사 교과서에는 연호가 많이 나오는 편이지만, 수학, 영어, 국어, 지리, 세계사, 공민, 과학[14] 등 타 과목의 교과서에는 서기표기가 많이 나오는 편이다. 특히 외국어 교과서는 얄짤없이 서기로만 나온다.

서기를 쓰는 곳과 연호를 쓰는 곳이 비등비등해서 그야말로 짬뽕이지만, 레이와 시대(2019년) 들어서 서기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15]
병원의 진료 차트는 연호로 표기하는 곳이 많다.

  • 단점 및 앞으로의 전망
연호와 서기를 변환하는 시스템을 개발하는 불필요한 일이 일어나거나, 천황이 새로 즉위할 때마다 연호를 쓰는 시스템은 싸그리 갈아 엎고 새 연호를 추가해야 하는 등 연호 개원 때문에 사회적 손실이 있다. 일본의 IT 종사자에게 물어보면 그 빡침 등을 알 수 있다.


6. 여담[편집]


앞으로 연호제를 어떻게 해야 할지는 일본인들 간에도 의견이 매우 엇갈린다. 일본의 전통이므로 고수해야 한다는 보수파, 의미도 없고 비실용적이므로 폐지하고 서기만 써야 한다는 급진파, 공문서 등에는 서기를 쓰되 일상생활에서는 연호를 쓰든 서기를 쓰든 내두자는 절충파가 비등비등하다. 일본 정부도 2019년부터 컴퓨터 행정시스템에서는 서기로 점차 통일하지만 지류 문서에는 여전히 연호를 쓴다고.

세계화의 진전 등으로 인해 일본에서도 연호 사용은 점차 줄어드는 추세이다. 마이니치 신문여론조사에 따르면 쇼와 시대였던 1975년에는 연호와 서력기원 중 연호를 주로 쓰는 사람이 82%에 달했고 서력기원은 4%, 둘 다가 13%에 불과해 연호 사용이 압도적이었으나, 레이와 연호가 정해질 즈음인 2019년에는 연호 34%, 서력기원 23%, 둘 다 34%로 연호와 서력기원의 사용률이 비슷해졌다. 연령대별로는 40대 이하는 서기를 지지하는 사람들이 많고, 50대60대는 같은 비율, 70대 이상은 연호를 지지하는 사람들이 많다고 한다.

또 서구화와 함께 골치아픈 관례가 하나 생겨버렸는데, 연호의 약칭을 알파벳으로 표기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1983년(쇼와 58년)은 S58, 2002년(헤이세이 14년)은 H14, 2023년(레이와 5년)은 R5로 표기하는 식인데, 사회적으로 워낙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터라 다음 연호를 정할 때 제약이 되어버렸다. 레이와 개원 당시에도 중요한 원칙 중 하나가 M, T, S, H가 약칭으로 올 수 있는 안은 제외한다는 것이었을 정도. 문제는 일본어의 음가가 그렇게 다양한 편이 아니라는 것. 언젠가는 재활용을 하겠지만 사용되는 한자가 점점 제한되고 있어서 후대로 갈수록 개원의 난이도가 높아지고 있다.[16]

연호를 서기로 변환하는 방법은 각 연호 원년의 서기 연도에 연호의 연수를 더한 뒤 1을 빼는 것이다. 예를 들어 '헤이세이(平成) 10년'을 서기로 환산한다면, 헤이세이 원년은 1989년이므로 1989에 10을 더하고 1을 빼면, 1998이 나온다. 즉, 헤이세이 10년은 서기 1998년이 된다.

일상에서도 많이 쓰다 보니 일본 사회는 한 연호가 끝나감을 이벤트로 활용하기도 한다.# 한국이나 다른 나라에서 한 해가 끝나면 그 해를 회상하는 기사(그 해의 대형사건 등)를 쓰곤 하는데, 일본 언론에서도 헤이세이 기간에 있었던 일들을 되돌아보는 기사가 많이 나왔다.

일본 정부는 2019년 나루히토 천황 즉위 한 달 전인 4월 1일에 새 연호를 공표하기로 했는데, 보수적인 일부 일본 국회의원들은 연호 공표를 새 천황 즉위 이후로 미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유는 새 연호를 미리 발표하면 아키히토 천황과 새 천황의 권위가 서로 충돌한다는 것. 나루히토가 즉위하는 5월 1일에 새 연호로 갈아타기로 하였는데, 시스템 엔지니어나 프로그래머 등 IT업계를 중심으로 불만의 목소리가 나왔다. 당연히 1월 1일부터 바꾸는 것이 훨씬 간편하기 때문이다. 그래도 어찌 어찌 연호를 발표하고 즉위일에 맞추어 개원하였다.

일본에서는 고도로 기술이 발전한 현대사회에서 신 연호로 개원하는 까닭에 밀레니엄 버그가 재래하지 않을까 우려한다고 한다. 신 연호 발표가 얼마 안 남은 2019년 3월 기준으로 민간기업 상당수가 신 연호 발표를 준비하지 않고, MS사도 신연호가 일본판 밀레니엄 버그를 일으킬 우려가 높다고 밝혔다. 물론 일본 정부는 신 연호 발표 후에도 연호 변경이 어려우면 헤이세이 31년 표기를 하더라도 문제가 없다고는 하나...

# 이 사이트에서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과 아베 신조 총리의 사진과 함께 원하는 한자를 넣어 가짜 연호를 만들 수 있다. 아베가 들어간 이유는 새 연호 발표자가 총리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서였지만, 전례에 따라 당시 관방장관 스가 요시히데가 하면서 스가와 아베를 선택할 수 있게 바뀌었다.

의외의 사실은 일본 연호가 아직도 한국 정부가 공식 발급하는 문서에 남아 있다는 것이다. 제적등본은 1945년 이전의 변동 상황에 대해서는 당연히 일자가 일본 연호로 적혔는데, 이를 일일이 정정하지 않고 그대로 효력을 유지케 하였기 때문이다. 물론 호적 전산화나 가족관계등록부 개편시 전부 서기로 변환하였기에 담당 공무원이 아닌 이상 볼 일은 거의 없다. 1910년 이전, 1868년에서 1910년 사이 공문서에서는 대한제국의 민적부와 총독부의 호적 편제가 서로 뒤섞여서 개국(혹은 광무나 융희) 연호와 메이지 연호가 혼용되었다. 심지어 1868년 이전 문서에선 텐포, 카에이, 분큐 같은 연호들까지 튀어나온다. 명색이 한국 정부의 공문서에서!


7. 둘러보기[편집]


[ 정치 · 군사 ]

상징천황 · 일본 황실 · 일장기(니시키노미하타) · 기미가요 · 국장 · 국호
정치수상관저 · 일본 국회의사당 · 정치 전반 · 헌법 · 내각총리대신 · 정부 · 정당(사라진 정당) · 국회(참의원 · 중의원) · 행정조직 · 55년 체제 · 우경화
선거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 중의원 의원 총선거 · 통일지방선거 · 내각총리대신 지명 선거 (간접선거)
외교외교 전반 · 친일 · 반일 · 지일 · G7 · 6자회담 · G20 · G4 · Quad · IPEF · 한중일 · 한일관계 · 중일관계(중일평화우호조약) · 한미일관계 · 미일관계 · 미일 반도체 협정 · 러시아 제국-일본 제국 관계 · 러일관계 · 한러일관계 · 여권 · 비자 · 영토 분쟁(독도 · 쿠릴 열도 · 센카쿠 열도) · 옛 식민지 국가들과의 관계 · 일본 제국-나치 독일 관계 · 삼국 동맹 조약(추축국)
군사군사 전반(군사사) · 자위대(편성 · 역사 (일본군) · 계급) · 문제점(무기 관련) · 사건 사고 · 군복 · 교육훈련 · 전투식량 · 육상자위대 · 해상자위대 · 항공자위대 · 통합막료감부 · 방위대학교 · 방위의과대학교 · 재무장 문제 · 주일미군(미일안전보장조약) · 97식 중전차 치하 · 95식 경전차 하고/케고/규고 · 욱일기
사법 · 치안 사법 전반 · 재판소 · 최고재판소 · 일본 형법 · 일본 경찰(계급 · 일본제국 경찰) · 일본 경찰청 · 경시청 · 공안조사청 · 엔자이 · 저작권법 · 사형제도

[ 역사 ]
[ 사회 · 경제 ]

경제경제 전반 · 경제사 · 일본 엔 · 일본은행 · 수출/수입 · 도쿄증권거래소 · 오사카증권거래소 · 닛케이 225 · 재벌 · 대기업 · 취업 · 일본제(목록 · 내수용) · 아베노믹스 · 1980년대 일본 거품경제 · 플라자 합의 · 잃어버린 10년 · 일본국채 · 잽머니 · 갈라파고스화 · 블랙기업 · 자동판매기
지리일본 열도 · 혼슈 · 규슈 · 시코쿠 · 홋카이도 · 난세이 제도 · 류큐 제도 · 오키나와섬 · 오가사와라 제도 · 쓰시마섬 · 지명 · 지역구분 · 간토 · 간사이 · 주부 · 주코쿠 · 도호쿠 · 오키나와 · 행정구역 · 도도부현 · 시정촌 · 도시 · 수도권 · 케이한신 · 주쿄권 · 지진(대지진) · 후지산
사회사회 전반(문제점 · 야쿠자 · 폭주족 · 한구레 · 옴진리교(알레프)) · 국수주의(인종차별 · 혐한 · 극우 미디어물 · 넷 우익) · 일본인 · 야마토 민족 · 조몬인 · 야요이인 · 류큐인 · 아이누 · 니브흐 · 윌타 · 오로치 · 재일 외국인(재일 한국-조선인 · 재일 중국인) · 성씨(목록) · 주거 · 주소 · 연호 · 공휴일 · 출산율 · 차량 번호판 · 메이와쿠 · 다테마에 · 오모테나시 · 이지메 · 니트족 · 히키코모리 · 중2병 · 잇쇼켄메이 · 초식남 · 건어물녀 · 여자력 · 야마토 나데시코 · 멘헤라 · 토요코 키즈
언어일본어족 · 일본어(문법 · 발음) · 도호쿠벤 · 하치조 방언 · 에도벤 · 나고야벤 · 간사이벤 · 도사벤 · 하카타벤 · 우치나 야마토구치 · 일어일문학과 · JLPT · 가나 · 히라가나 · 가타카나 · 반복 부호 · 스테가나 · 오쿠리가나 · 후리가나 · 만요가나 · 역사적 가나 표기법 · 한자(신자체 · 목록) · 상용한자 · 일본식 한자어 · 류큐어 · 아이누어 · 니브흐어 · 훈독 · A라고 쓰고 B라고 읽는다 · 세로쓰기 · 일본어 위키백과 · 재플리시(목록) · 한자 문화권
과학 · 기술 해체신서 · 이화학연구소 · 물질·재료 연구기구 · 니호늄 · 아시모 · JAXA · QZSS · H-II · H-III · LE-7 · LE-9 · 엡실론 로켓 · 다네가시마 우주센터 · 가구야(탐사선) · 하야부사(탐사선) · 아카츠키(탐사선) · 카미오칸데 · KAGRA · 양산 바이러스 연구소
교육대학 목록 · 대학 서열화 · 지잡대 · 제국대학 · 관립대학 · 슈퍼글로벌대학 · 학술연구간담회 · 대학입학공통테스트 · 대학입시센터시험(폐지) · EJU · 편차치 · 관리교육 · 유토리 교육 · 일본 문부과학성 장학금 · 한일 공동 고등교육 유학생 교류사업 · G30 · 실용영어기능검정
교통교통 전반 · 도로(고속도로 · 국도 · 도도부현도 · 시정촌도) · 교통 패스(홋카이도 · 동일본 · 도카이 · 서일본 · 시코쿠 · 큐슈 · 도서 지역 · 복수 지역) · 철도(철도 환경 · JR그룹 · 대형 사철 · 신칸센) · 공항 목록 · 전일본공수 · 일본항공 · 좌측통행 · 차량 번호판

[ 문화 ]

예술일본 음악 · 우타이테 · J-POP · 엔카 · 일본 아이돌 · 전통악기 · NHK 교향악단 · 일본 미술 · 일본 영화(역대 흥행 순위 · 도쿄 국제 영화제) · 일본 드라마 · 찬바라 · 일본 방송(NHK · 일본의 민영방송) · 일본 만화(만화잡지 · 걸작 만화) · 일본 애니메이션(심야 애니메이션) · 가부키 · 라쿠고 · 우키요에 · 하이쿠 · 센류 · 와카(만요슈 · 백인일수) · 모노가타리(겐지모노가타리 · 타케토리모노가타리) · 렌가 · 오리가미 · 노가쿠 · 조루리 · 가가쿠 · 만자이 · 오와라이 · 가레산스이 · 자포네스크 ·오키나와 음악
음식음식 전반(지리적 표시제 · 급식) · 스시 · 사시미 · 가이세키 · 돈부리(가츠동 · 규동) · 우동 · 소바 · 덴푸라(새우튀김) · 돈가스 · 멘치 · 고로케 · 유부 · 낫토 · 우메보시 · 니쿠자가 · 타쿠앙즈케 · 일본의 술 · 라멘 · 나가사키 짬뽕 · 와규 · 카레라이스 · 오므라이스 · 오코노미야키 · 몬쟈야키 · 나폴리탄 · 오뎅 · 샤브샤브 · 에키벤 · 카스텔라 · 화과자(모찌 · 만쥬 · 양갱 · 모나카 · 센베이 · 타코야키) · 이자카야 · 오토시 · 오키나와 요리
전통문화 기모노 · 유카타 · 촌마게 · 게다 · 오하구로 · 훈도시 · 쥬니히토에 · 료칸 · 다다미 · 코타츠 · 마츠리 · 아마 · 화지(종이) · 가라쿠리 · 부시도 · 일본 갑옷 · 일본도 · 천수각 · 다도 · 쇼기 · 화투 · 카루타 · 게이샤 · 마이코 · 오이란
종교 · 신화 일본/종교 · 신토 · 신사 · 신사본청 · 무녀 · 신궁 · 이세 신궁 · 덴만구 · 이치노미야 · 일본 신화 · 고사기 · 풍토기 · 요괴(오니 · 일본삼대악귀 · 텐구 · 유키온나 · 캇파 · 츠쿠모가미 · 오바케) · 정토교 · 일련종 · 부동명왕 · 창가학회 · 류큐 신토
스포츠스포츠 전반(도쿄 올림픽) · 프로야구 · 고교야구 전국대회 · 야구 국가대표팀 · 여자 야구 국가대표팀 · J리그 · 축구 국가대표팀 ·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검도 · 주짓수 · 유도 · 가라테 · 스모 · 아이키도 · 킥복싱 · 슛복싱 · 일본 고류 무술 · 발도술 · 궁도
서브컬처 오타쿠 · 특촬물(일본 3대 특촬물) · 괴수물 · 동인샵 · 아키하바라 · 오토메 로드 · 덴덴타운 · 코믹마켓 · 아키바계 · 코스프레 · 다키마쿠라 · 네코미미(고양이귀) · 이타샤 · 니코니코 동화 · 매드무비 · 5ch · 아스키 아트 · 후타바 채널 · 라이트 노벨 · 미연시 · 비주얼 노벨 · 오토메 게임 · JRPG · 탄막 게임 · 쯔꾸르 · 오락실/일본 · 모에 · 모에화 · 모에 그림 · 츤데레 · 데레 · 존댓말 캐릭터 · 갸루 · 로리타 패션 · 고스로리 · 양산형 · 지뢰계 · 페어리계 · 반쵸 · 스케반 · 버츄얼 유튜버(hololive 프로덕션 · 니지산지) · 보컬로이드 · MMD · 음성 합성 엔진 · 프라모델 · 소설가가 되자 · 이세계물 · 거대로봇물 · 슈퍼로봇 · 리얼로봇물 · 마법소녀 · 케모노 · 몬무스 · 메카무스메 · 여간부 · 세카이계 · 가상 아이돌 · 지하 아이돌 · 메이드 카페 · 집사 카페 · 동인녀 · 부녀자 · 상업지 · 에로 동인지 · 에로게 · 야애니 · 에로 라이트 노벨
기타문화 전반 · 호칭 · 벚꽃 · 가쿠란 · 하쿠란 · 세라복 · 란도셀 · 관광 · 세계유산 · 국립 박물관(도쿄 · 교토 · 나라 · 규슈) · 도쿄 타워 · 도쿄 스카이트리 · 도쿄 디즈니랜드 · 오사카성 · 유니버설 스튜디오 재팬 · 통천각 · 구마모토성 · 레고랜드 재팬 리조트 · 삿포로 눈 축제 · 온천 · 파친코 · 스도쿠 · 가라오케 · 이모지 · 스카잔 · 유루캬라 · 동영 · 왜색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9 14:10:06에 나무위키 연호/일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그래서 다이카 2년(646)부터 고토쿠 천황이 실시했다고 하는 일련의 개혁작업을 다이카 개신이라 부른다.[2] 전근대 동양 왕조들은 그야말로 심심하면 연호를 갈아치우는 바람에 역사 공부하는 사람들이 연호를 외우느라 골이 부서질 정도다. 사실 중국의 복잡함에 비하겠냐마는, 중국은 1차 사료를 제외하면 서력기원 사용이 정착한 반면, 일본에서는 여전히 연호가 꽤나 널리 쓰이기 때문에 더 머리가 아프다.[3] 연호를 바꾸는 것도 분명히 '큰 변화'이다. 따라서 (마치 압력밥솥에서 수증기를 빼듯) 변화의 때에 연호를 바꾸면 변화의 힘이 '정권 전복'이나 '역성혁명' 등으로 번지지 않으리라 여긴 것이다. 일종의 액땜인 셈.[4] 주역을 풀이한 서적인데, 보통 기원전 1세기 말, 전한 애제 시절 무렵에 집필되었다고 추정한다.[5] 여기서 '감문'이란 '알아보고 조사해서(勘) 쓴 글(文)이란 뜻이다. 요새식으로 말하면 '조사보고서' 정도.[6] 일본 사학계는 미요시 키요유키가 스가와라노 미치자네를 실각시키려는 밑작업으로 중국의 신유혁명설을 명분 삼아 개원을 주장했다고 여긴다.[7] '갑자혁령'이란 용어는 중국에서 기원했기 때문에 한국의 표준국어대사전에도 실렸다. 일본서기에서 진무 덴노가 처음 건국했다는 기원전 660년도 신유년이므로 학자들은 일본서기의 저자들이 신유혁명설에 따라 진무의 건국년을 맞추었다고 본다.[8] 때문에 1564년에는 미요시 나가요시가 가신 마츠나가 히사히데를 통하여 개원을 조정에 요청하였으나, 조정은 그것이 요시테루의 권위를 해칠까 염려하여 받아들이지 않았다.[9] 군주가 즉위하여 처음 연호를 정하면 중간에 바꾸지 않고 새 군주가 새 연호를 정하기 전까지 사용하는 것. 중국에서 일세일원제는 1368년 명태조 주원장이 홍무(洪武) 연호를 사용하면서 확립되었다.[10] 최초의 존왕론자 탄압사건[11] 재류카드의 전신인 외국인등록증도 서기로 표기되었다.[12] 운전면허증은 2019년 5월 1일 신연호 전환을 기하여 발급 및 갱신시에는 유효기간에 한해서 서기와 연호를 병기한다.[13] 보험증 등에서는 여전히 연호만 사용할 예정이다.[14] 일본에서는 과학 과목을 이과라고 부른다.[15] 만약 서기 표기를 원한다면, 사기업이나 기관 등이 서류 발행을 요청하기 전에 "西暦での表記を希望します。"라고 반드시 언급해둘 것. 요청하지 않으면 연호로 표기된 서류가 발행해줄 수도 있다.[16] 실제 역대 일본 연호에 이 관례를 적용하면 알파벳 17자만이 사용되었고, 그 중에 절반은 K, T, E로 집중된다. 사용 빈도가 높지 않은 한자라고 해도 용례가 한정되어 있어서, 사실상 한 글자만 쓰인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서 M은 明 또는 万, A는 安, N은 仁, O는 応, D는 大 이외에 사용된 글자가 없다. G, B, C도 빈도만 많지 전부 元, 文, 長이다. 그나마 근대 이후 쓰인 M, S, H는 의외로 빈도가 높지 않았던 이니셜이었고, R도 그러한 점이 채택되는데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레이와 개원 당시 K에 해당하는 코시, E에 해당하는 에이코도 제안되었지만 탈락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