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박준규(1925)

덤프버전 :



박준규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민주정의당 심볼.svg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총재 및 대표

[ 펼치기 · 접기 ]

초대 총재
전두환


초대 대표
이재형
제2대 대표
진의종
제3대 대표
정래혁
제4대 대표
권익현


총재 권한대행·제5대 대표
노태우


제2·3대 총재
노태우


제6대 대표
채문식
제7대 대표
윤길중
제8대 대표
박준규
제9대 대표
박태준






파일:민주공화당 로고만.png 파일:민주공화당 글씨만.png 총재 및 의장
[ 펼치기 · 접기 ]

역대 총재
초대
정구영
제2-3대
박정희
권한대행
박준규
제4대
김종필
권한대행
정래혁
역대 의장
초대
김정렬
임시-제2대
윤치영
제3대
김종필
서리-제4대
정구영
제5대
김종필
제6대 (서리)
윤치영
서리-제7대
백남억
제8대 (서리)
정일권
제9대 (서리)
이효상
제10대 (서리)
박준규
총재 겸 의장대행
김종필
제11대 (서리)
전예용
||







파일:국회휘장(6대-7대).svg 대한민국 국회 외무위원장
제6대 후반기
변종봉
제7대 전반기
박준규
제7대 후반기
차지철

파일:국회휘장(제헌-5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경북 제10선거구)
제4대
김성곤
제5대
박준규
선거구 개편
김성곤[A]
파일:국회휘장(6대-7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서울 제6선거구)
제5대
홍용준
제6-7대
박준규
제8대
홍영기
파일:국회휘장(8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경북 제10선거구)[1]
제8대
김성곤
제8대
박준규
선거구 개편
박준규[B]
박주현[B]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경북 제7선거구)[2]
선거구 개편
박준규[C]
이형우[D]
제9대
박준규

박주현
선거구 개편
박준규[E]
김종기[E]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경북 제8선거구)[3]
선거구 개편
박준규[F]
이형우[F]
제10대
박준규

김종기
선거구 개편
이용택[G]
김종기[G]
염길정[H]
박재욱[H]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대구 동구)
선거구 개편
김용태[I]
목요상[I]
제13대
박준규
선거구 개편
김복동[J]
박준규[K]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대구 동구 을)
선거구 개편
박준규[L]
제14대
박준규
제15대
서훈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대구 중구)
제13-14대
유수호
제15대
박준규
제16대
백승홍

[A] 경북 제8선거구(달성군·고령군)의 제6대 국회의원이다.[1] 달성군·고령군[B] A B 경북 제7선거구(달성군·경산군·고령군)의 제9대 국회의원이다.[2] 달성군·경산군·고령군[C] 경북 제10선거구(달성군·고령군)의 제8대 국회의원이다.[D] 경북 제17선거구(경산군)의 제8대 국회의원이다.[E] A B 경북 제8선거구(달성군·경산군·고령군)의 제9대 국회의원이다.[3] 달성군·경산군·고령군[F] A B 경북 제7선거구(달성군·경산군·고령군)의 제9대 국회의원이다.[G] A B 경북 제10선거구(달성군·고령군·성주군)의 제11대 국회의원이다.[H] A B 경북 제12선거구(영천군·경산군)의 제9대 국회의원이다.[I] A B 대구 제2선거구(동구·북구)의 제12대 국회의원이다.[J] 대구 동구 갑 선거구의 제14대 국회의원이다.[K] 대구 동구 을 선거구의 제14대 국회의원이다.[L] 대구 동구 선거구의 제13대 국회의원이다.

파일:박준규 전 국회의장.jpg
출생1925년 9월 12일[1]
경상북도 달성군 하빈면 묘동
(現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묘리)[2]
사망2014년 5월 3일 (향년 88세)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 순천향대학교병원
묘소국립대전현충원 국가사회공헌자 묘역-30호
본관순천 박씨[3]
자 / 호경옥(慶玉) / 송산(松山)
재임기간제13대 후반기 국회의장
1990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제14대 전반기 국회의장
1992년 6월 29일 ~ 1993년 4월 27일
제15대 후반기 국회의장
1998년 8월 3일 ~ 2000년 5월 29일
[ 펼치기 · 접기 ]

배우자조동원
자녀아들 박종보[1]
딸 박종현[2], 박종순[3], 박종란[4]
학력수창공립보통학교[5] (졸업 / 22회)
경북중학교 (졸업 / 25회)
마츠야마고등학교[6] (졸업)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정치학 / 학사)
브라운 대학교 (국제정치학 / 석사)
의원 선수9
의원 대수5, 6, 7, 8, 9, 10, 13, 14, 15
약력미국 국무부 근무
시튼홀 대학교 강사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정치학과 교수
유엔 대표단장 조병옥 박사 수행원
부산일보 사장 겸 발행인
한국정경연구소 이사장
제15·17·21차 유엔총회 대한민국 대표
아시아의원연맹(APU) 이사회 의장
국제의회연맹(IPU) 대한민국 대표 및 이사
아시아배구연맹 회장
제5대 국회의원 (경북 달성군 / 민주당)
제6대 국회의원 (서울 성동구 을 / 민주공화당)
제7대 국회의원 (서울 성동구 을 / 민주공화당)
제7대 국회 전반기 외무위원회 위원장
민주공화당 서울특별시 지부 위원장
제8대 국회의원 (경북 달성군·고령군 / 민주공화당)
국회 정치관계법개정특별위원회 위원장
민주공화당 경상북도 지부 위원장
민주공화당 통일위원회 위원장
민주공화당 당무위원
제9대 국회의원 (경북 달성군·경산군·고령군 / 민주공화당)
민주공화당 정책위원회 의장
민주공화당 의장 서리
제10대 국회의원 (경북 달성군·경산군·고령군 / 민주공화당)
제13대 국회의원 (대구 동구 / 민주정의당)
민주정의당 대표위원
제13대 후반기 국회의장
민주자유당 중앙집행위원
민주자유당 상임고문
제14대 국회의원 (대구 동구 을 / 민주자유당)
제14대 전반기 국회의장
자유민주연합 상임고문
제15대 국회의원 (대구 중구 / 자유민주연합)
제15대 후반기 국회의장

[1] 朴鍾輔. 1956년 4월 9일생.[2] 朴鍾賢. 1947년 2월 25일생.[3] 朴鍾荀. 1958년 5월 11일생.[4] 朴鍾蘭. 1963년 6월 16일생.[5] #[6] 지금의 에히메대학.

1. 개요
2. 생애
3. 선거 이력
4. 소속 정당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정치인.

대한민국 정계에서 김영삼, 김종필과 함께 단 3명뿐인 9선 국회의원 중 한 명이자, 유일한 지역구 9선 국회의원[4]이며 유일한 3선 국회의장이다. 또한 국회의장이 소속 정당에서 탈당하여 무소속으로 의장직을 수행하는 선례를 최초로 만든 인물이기도 하다.

사육신 박팽년의 직계 18대손으로, 삼성그룹 창업주 이병철 회장의 처조카로 박두을의 5촌 당질(堂姪)이며[5] 또한 백남억의 손아래 처남이기도 하다.[6] 또한 그의 아내 조동원은 조지훈의 사촌여동생이다.

2. 생애[편집]


1925년 9월 12일 경상북도 달성군 하빈면 묘동(현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묘리)에서 아버지 박노익(朴魯益, 1888. 7. 3 ~ 1958. 1. 27)과 어머니 칠원 윤씨(1885 ~ 1942. 12. 8)[7] 사이의 1남 2녀 중 외아들로 태어났다. 하빈면 묘리는 일명 '묘골마을' 이라하는 순천 박씨 집성촌. 현재 묘골에 있는 박팽년사육신을 모신 육신사 앞에 그의 생가터임을 알리는 표지석이 세워져 있다.

수창공립보통학교(22회)와 경북중학교[8]를 졸업하고 일본으로 건너가 마츠야마 고등학교를 거쳐 구마모토의과대학에 입학하였다. 재학 중 8.15 광복을 맞아 귀국하여 경성제국대학 의학부로 편입하였다가, 전과하여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정치학과를 졸업하였다. 미국에 유학하여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하고 귀국한 후 모교인 서울대학교에서 강사로 강의를 하기도 했다.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경상북도 달성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조재천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55년 조병옥의 비서관이 되면서 민주당에 발을 들였고,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자유당 김성곤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60년 4.19 혁명 후 치러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민주당 구파에 속하였으며, 같은 해 말 민주당을 탈당하여 신민당을 창당하였다.

5.16 군사정변 후 군부가 창당한 민주공화당에 합류하였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성동구 을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65년부터 1969년까지 대한민국 국회 외무위원장을 역임하였다.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민주공화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성동구 병 선거구에 출마하였다가 신민당 정운갑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으나, 같은 해 10.2 항명 파동으로 김성곤이 국회의원직을 사퇴하여 치러진 경상북도 달성군-고령군 선거구 재보궐선거에서 민주공화당 후보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후보로 경상북도 달성군-고령군-경산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친여 무소속 박주현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같은 해부터 1979년까지 민주공화당 의장서리를 역임하였다. 1978년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신민당 김종기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1979년 민주공화당 당의장에 임명되었다.

1980년 전두환 정권이 출범하자 정치규제를 당하였다가 1984년 해금되었다.

1987년 제13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경북고 후배인 노태우의 요청으로 민주정의당에 입당하면서 정계에 복귀하였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후보로 대구직할시 동구 선거구에 출마하여 통일민주당 목요상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1988년 12월 민주정의당 대표위원으로 임명되어 1년 동안 재임하였다가 1989년 12월 노태우 전 대통령의 탈당, 민주정의당 해체, 양당제 정계 개편을 공개적으로 주장하다가, 당 내분으로 사퇴하였다. 이후 1990년부터 1992년까지 13대 국회 후반기 국회의장을 역임하였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자유당 후보로 대구직할시 동구 을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고, 14대 국회가 개원하자 13대 후반기에 이어 다시 국회의장에 선출되었다. 그러나 1993년 김영삼 정권이 출범한 후 공직자 재산 공개 과정에서 부동산 투기 의혹을 받고 국회의장 직과 의원 직을 모두 사퇴하였다. 이 과정에서 청와대와 갈등을 빚었는데 박준규는 수십년간 친구로 지내온 김영삼이 원래부터 큰부잣집에서 태어나 재산이 많았던 자신의 사정을 잘 알면서 정치적 의도로 가지고 몰아붙인다 여겼다. 몇년 뒤 정권 중반에 접어들면서 지지율이 하락하며 아쉬워진 김영삼이 청와대 회동을 제의하며 손을 내밀었을 때도 박준규는 거절하였고 나중에는 역시나 김영삼 정권에서 험한 꼴을 당했던 박태준과 함께 김대중을 지지하기에 이른다.

1995년 김종필자유민주연합을 창당하자 합류하여 당 최고고문이 되었다.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민련 후보로 대구광역시 중구 선거구에 출마하여 신한국당 유성환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1997년 제15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DJP 연합을 성사시키는 데 적극적으로 앞장섰다. 이는 박준규가 1공화국과 2공화국 시절 김대중과 함께 민주당에 몸을 담고 친밀한 관계를 맺어온 데 기인한다.하지만 김대중은 신파, 박준규는 구파 제3공화국이 출범하면서 박준규는 여당으로, 김대중은 야당으로 진로를 달리 했지만 인간관계는 계속 유지되었다. 박준규의 활약은 대구경북에서 김대중의 득표율이 상승하는 데(8.7%에서 13.1%로 상승) 기여했다. 후일 김영삼 정권 출범 직후 상술한 재산공개파동으로 청와대로부터 국회의장직 사퇴에 몰릴 때 정작 김대중은 한나라의 국회의장을 저런 식으로 대우하는 건 옳지 못하다고 여겨 평민당 의원들에게 박준규를 과하게 비난하지 말 것을 지시하였고 이에 대해 박준규가 매우 고마워했다고 한다.

15대 국회 후반기 국회의장 선거에서 공동여당인 국민회의자민련의 국회의장 단일후보로 지명되었고, 국회의장 선거에서 무려 3차 투표까지 간 끝에 의정 사상 최초로 국회의장 3선의 고지에 올랐다. 한편 한나라당에서는 오세응이 후보로 출마하였으나 패배하고 조순 총재 이하 지도부 전원이 국회의장 선거 패배의 책임을 지고 총사퇴하는 후유증을 겪었다.

15대 국회 임기 종료와 동시에 정계를 은퇴했으며, 2014년 5월 3일 세상을 떠났다. 또한 공직자 자격으로 동년 5월 7일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되었다.

3.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1954제3대 국회의원 선거경북 6[9]
무소속

6,720 (12.69%)낙선 (3위)
1958제4대 국회의원 선거경북 10[10]

8,805 (27.24%)낙선 (2위)
1960제5대 국회의원 선거20,835 (71.64%)당선 (1위)초선[11]
1963제6대 국회의원 선거서울 6[12]
ta-hash-start=w-fdf37bf43895111c28b572a5ce87545f[[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22,302 (32.20%)재선
1967제7대 국회의원 선거37,604 (41.11%)3선
1971제8대 국회의원 선거서울 7[13]33,026 (35.32%)낙선 (2위)
19711971년 재보궐선거경북 10[14]44,728 (62.89%)당선 (1위)4선[15]
1973제9대 국회의원 선거경북 7[16]34,559 (25.24%)5선[17]
1978제10대 국회의원 선거경북 8[18]57,526 (36.18%)6선[19]
1988제13대 국회의원 선거대구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85,854 (54.92%)7선[20][21]
1992제14대 국회의원 선거대구 동 을
ta-hash-start=w-58dd63697488338c9616733db9d4817f[[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35,083 (50.07%)8선[22][23]
1996제15대 국회의원 선거대구
ta-hash-start=w-d6d62b622eb67e996d9bdf9c539222cd[[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17,631 (33.26%)9선[24]

역대 선거 벽보[25]
[ 펼치기 · 접기 ]

파일:박준규 1.jpg
파일:박준규 2.jpg
제7대 국회의원 선거벽보제8대 국회의원 선거벽보
파일:박준규 3.jpg
파일:박준규 5.jpg
제9대 국회의원 선거벽보제10대 국회의원 선거벽보
파일:박준규 6.jpg
파일:박준규 7.jpg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벽보제14대 국회의원 선거벽보
파일:박준규 8.jpg
제15대 국회의원 선거벽보


김영삼, 김종필과 더불어 현재까지 대한민국에서 3명밖에 없는 9선 국회의원 이라는 진기록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들 3명 중 유일하게 9선 임기를 전부 지역구 국회의원으로만 당선되었다.

4. 소속 정당[편집]


소속기간비고

무소속

1954 - 1955정계 입문


1955입당


1955 - 1960합당[26]

무소속

1960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

ta-hash-start=w-a8b27ec4c71984d06c7ee5d3cfca12bf[[파일:신민당1960글자.png
1960 - 1961창당

무소속

1961 - 19635·16 군사정변으로 인한 정당 해산

ta-hash-start=w-ac700164abf9fe5d125586f98b4c4a6a[[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1963 - 1980창당

무소속

1980 - 1987정당 해산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1987 - 1990입당

ta-hash-start=w-678cfa711851b3cba0b92e9ac040653f[[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1990 - 1993합당[27]

무소속

1993 - 1995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

ta-hash-start=w-ab940098c8bddc17863b3409c2375df6[[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1995 - 2000창당
정계 은퇴

무소속

2000 - 2014탈당[28]
사망

5. 둘러보기[편집]










[1] 음력 7월 25일.[2] 순천 박씨 집성촌이다. 독립유공자 박용규도 이 마을 출신이다.[3] 충정공파(忠正公派) 19세 규(圭) 항렬. 사육신 박팽년의 18대손이다.[4] 김영삼은 전국구로 한 번 당선됐으며 김종필은 전국구로 두 번, 유신정우회 의원으로 한 번 당선된 경력이 있다.[5] #[6] 백남억은 박준규의 큰누나 박갑규(朴甲圭, 1922. 5. 25 ~ 1990. 9. 25)와 결혼했다.[7] 윤재학(尹在學)의 딸이다.[8] 당시는 중-고교 분리 전이라 6년제 중학교였으며 경북고 졸업기수는 25회다.[9] 달성군[10] 달성군[11] 1960년 탈당
신민당 창당
1961.5.16 자격정지(5.16 군사정변)
[12] 성동구 을[13] 성동구 병[14] 달성군, 고령군[15] 전임자 김성곤 사퇴(10.2 항명 파동)[16] 달성군, 경산군, 고령군[17] 무소속 박주현 후보와 동반 당선[18] 달성군, 경산군, 고령군[19] 신민당 김종기 후보와 동반 당선[20] 하반기 국회의장[21] 1991년 민주자유당 합류(3당합당)[22] 상반기 국회의장[23] 1993.6.30 사퇴(고위공직자 재산공개 파동)[24] 하반기 국회의장[25] 제 3~6대 국회의원 선거벽보는 확인 되지 않고 있다. 이는 당시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선거벽보 보존의 필요성을 못 느껴 선거벽보를 보존하지 않은 것이 그 원인으로, 김영삼, 김대중, 김종필을 비롯한 1950년대 부터 정치를 시작한 원로 정치인들의 선거벽보 상당수를 확인할 수 없게 되었다.[26] 민주당에 흡수 합당.[27] 통일민주당, 신민주공화당과 신설 합당, 이른바 3당 합당.[28] 제15대 후반기 국회의장에 선출되자 2000년에 대한민국 국회 개혁을 위해선 국회의장의 당적 이탈이 필요하다며 국회의장이 당적을 버리는 첫 사례를 남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