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효고현 제9구

덤프버전 :


긴키 지방 국회의원
시가현, 교토부, 오사카부, 효고현, 나라현, 와카야마현
[ 중의원 의원 ]

시가 1구시가 2구시가 3구시가 4구교토 1구
오오카 도시타카우에노 겐이치로다케무라 노부히데고테라 히로오카츠메 야스시
교토 2구교토 3구교토 4구교토 5구교토 6구
마에하라 세이지이즈미 겐타기타카미 게이로혼다 다로야마노이 가즈노리
오사카 1구오사카 2구오사카 3구오사카 4구오사카 5구
이노우에 히데타카모리시마 다다시사토 시게키미노베 테루오구니시게 도루
오사카 6구오사카 7구오사카 8구오사카 9구오사카 10구
이사 신이치오쿠시타 타케미츠우루마 조지아다치 야스시이케시타 타쿠
오사카 11구오사카 12구오사카 13구오사카 14구오사카 15구
나카츠카 히로시후지타 후미타케이와타니 료헤이아오야기 히토시우라노 야스토
오사카 16구오사카 17구오사카 18구오사카 19구효고 1구
기타가와 가즈오바바 노부유키엔도 다카시이토 노부히사이사카 노부히코
효고 2구효고 3구효고 4구효고 5구효고 6구
아카바 가즈요시세키 요시히로후지이 히사유키다니 고이치이치무라 고이치로
효고 7구효고 8구효고 9구효고 10구효고 11구
야마다 겐지나카노 히로마사니시무라 야스토시도카이 기사부로마쓰모토 다케아키
효고 12구나라 1구나라 2구나라 3구와카야마 1구
야마구치 쓰요시마부치 스미오다카이치 사나에타노세 타이도하야시 유미
와카야마 2구와카야마 3구
이시다 마사토시니카이 도시히로
비례 1비례 2비례 3비례 4비례 5
미키 케오쿠노 신스케와다 유이치로야나기모토 아키라타케우치 유즈루
비례 6비례 7비례 8비례 9비례 10
사쿠라이 슈스미요시 히로키오구시 마사키고쿠타 케이지호리 겐지
비례 11비례 12비례 13비례 14비례 15
호리바 사치코고바야시 시게키우마시마 토모코모리야마 히로유키엔도 료타
비례 16비례 17비례 18비례 19비례 20
다나카 히데유키이치타니 유이치로무네키요 코이치나카시마 히데키와니부치 요코
비례 21비례 22비례 23비례 24비례 25
미야모토 타케시토쿠나가 히사시모리야마 마사히토이케하타 코타로타니가와 토무
비례 26비례 27비례 28
아카기 마사유키사이토 알렉스오이시 아키코
일본 공산당의 당색은 #db001c이나, 자민당과의 구별을 위해 #9f001c로 표기함

{{{-1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선거구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효고현 제9구
兵庫県第9区
||
파일:shuinsen_Hyogo9.svg
선거인 수363,347명 (2021)
상위 도도부현효고현
하위 행정구역아카시시, 아와지시, 스모토시, 미나미아와지시
국회의원

니시무라 야스토시




1. 개요[편집]


효고현아카시시, 아와지시, 스모토시, 미나미아와지시를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자유민주당 소속 니시무라 야스토시.


2. 상세[편집]


본토의 아카시시세토내해아와지시마를 관할하는 선거구다. 다만 효고현 본토와 아와지시마를 연결하는 아카시 해협 대교는 아카시시가 아닌 고베시와 연결되기 때문에, 엄밀히 따지면 생활권이 맞지 않는 선거구 획정이라고 볼 수 있다. 한국으로 치면, 마치 강화도와 인천 도심과 다리로 연결되어 있지 않지만, 같은 선거구로 묶어놓은 실제 현실과 같다.

소선거구 창설 직후에는 나름대로 경합이 벌어졌던 곳이지만, 현재는 자민당의 지지세가 강한 지역구다. 하지만 이때의 경합 승부도 보수성향 야권 후보 내지 친자민당 성향의 후보들끼리 펼쳤지, 민주당이 낄 틈새가 없었다. 따라서 니시무라 야스토시가 자민당 의원으로써 입지를 다져나가고 다른 보수 성향의 제3후보가 더 이상 등장하지 않았고, 결국 자민당 지지세가 매우 확고화되었다. 민주당이 압승한 2009년 제45회 총선에서도 이곳은 자민당이 승리를 거두었다.

3. 역대 국회의원[편집]




4. 역대 선거 결과[편집]



4.1.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효고현 제9구
아카시시, 스모토시, 츠나군, 미하라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미야모토 이치조75,274표1위


38.41%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하라 겐자부로67,329표2위


34.35%비례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6년) 로고.svg와카미야 기요시28,515표3위


14.55%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이시이 사토시24,865표4위


12.69%낙선
유효표 수190,586표투표율
선거인 수

4.2.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효고현 제9구
아카시시, 스모토시, 츠나군, 미하라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미야모토 이치조70,119표1위


33.25%당선
니시무라 야스토시64,630표2위

무소속

30.65%낙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후지모토 켄조50,677표3위


24.03%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이치카와 유키미22,946표4위


10.88%낙선
파일:덕주회.png아시무라 슈이치2,502표5위

자유연합

1.19%낙선
유효표 수232,764표투표율
선거인 수

4.3.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효고현 제9구
{{{#fff
아카시시, 스모토시, 츠나군, 미하라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니시무라 야스토시86,631표1위

무소속

40.84%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미야모토 이치조65,374표2위


30.82%낙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하타나카 미츠나리47,406표3위


22.35%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카케이 나오키12,694표4위


5.98%낙선
유효표 수199,470표투표율
선거인 수

4.4.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효고현 제9구
아카시시, 스모토시, 츠나군, 미하라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니시무라 야스토시136,605표1위


58.28%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하타나카 미츠나리61,617표2위
26.29%낙선
파일:신당일본 로고.png미야모토 이치조21,647표3위
9.23%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오스기 테츠오14,539표4위
6.20%낙선
유효표 수219,318표투표율
선거인 수

4.5.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효고현 제9구
아카시시, 아와지시, 스모토시, 미나미아와지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니시무라 야스토시
(西村康稔)
137,1901위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3CA324,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자유민주당)]60.65%당선[1]
파일:일본 국민신당 로고.svg미야모토 이치조
(宮本一三)
76,9912위
34.03%낙선[2]
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타카기 요시아키
(高木義彰)
12,0333위
5.32%낙선
유효표 수264,330투표율
65.24%
선거인 수

니시무라 야스토시와 미야모토 이치조의 네번째 맞대결이 성사되었다. 지난 선거에서 신당 일본의 후보로 나섰던 미야모토 이치조 후보는 2년전 국민신당으로 당적을 바꿨고, 이번에는 국민신당 후보로 선거에 나서게 됐다. 민주당이 별도 후보를 공천하지 않고 미야모토 이치조 후보를 지원하면서 야권 단일 후보가 되었다.[3]

낙선한 국민신당의 미야모토 이치조 전 문부과학부대신은 1년 뒤에 열린 제22회 참원선에 비례대표 후보로 출마하였으나 한번 더 낙선하면서 정계 은퇴를 선택하였고, 결국 이번 중원선 맞대결이 두 정치인 간의 마지막 맞대결이 되었다.

4.6.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효고현 제9구
아카시시, 아와지시, 스모토시, 미나미아와지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니시무라 야스토시120,590표1위
59.38%당선[4]
파일:일본유신회(2012년) 심볼.png타니 슈지45,097표2위
22.20%낙선[5]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하마모토 히로시21,016표3위
10.35%낙선[6]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신마치 미치요16,393표4위
3.07%낙선
유효표 수150,855표투표율
59.89%
선거인 수


4.7.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효고현 제9구
아카시시, 아와지시, 스모토시, 미나미아와지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니시무라 야스토시126,491표1위
[공]74.76%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신마치 미치요42,694표2위
25.26%낙선
유효표 수232,764표투표율
49.58%
선거인 수358,073인


4.8.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효고현 제9구
아카시시, 아와지시, 스모토시, 미나미아와지시
이름소속정당득표수
(득표율)
순위당선 여부비고
니시무라 야스토시
(西村康稔)
자유민주당122,026
(69.6%)
1위당선공명당 추천
가와토 야스시
(川戸康嗣)
희망의 당30,937
(17.6%)
2위낙선
기쿠치 노리유키
(菊地憲之)
무소속22,497
(12.8%)
3위낙선일본 공산당, 사회민주당
신사회당 추천
유효표 수175,460투표율 49.17%
유권자 수365,836


4.9.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효고현 제9구
{{{#fff
아카시시, 아와지시, 스모토시, 미나미아와지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니시무라 야스토시141,973표1위
76.3%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후쿠하라 유카리44,172표2위
23.7%낙선
유효표 수186,145표투표율
53.23%
선거인 수363,347인



현역 자민당 니시무라 야스토시 의원이 재출마한다.

공산당은 후쿠하라 유카리 후보를 공천했다. 지난 총선에서 희망의 당 후보로 출마해 2위로 낙선한 가와토 야스시는, 이번 선거에서는 입헌민주당 후보로 오사카부 제18구에 출마한다.

자민당 초강세 선거구답게, 자민당과 공산당 이외의 정당은 후보를 공천하지 않았다. 심지어 효고현에서 선전이 기대되는 일본 유신회도 후보를 공천하지 않았다.

투표 결과, 예상대로 자민당 니시무라 야스토시 후보가 압승했다.

4.10.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현역 자유민주당 소속 니시무라 야스토시 의원이 다시 출마할 가능성이 높으나, 통일교 게이트 연루 및 2023년 연말부터 불거진 정치자금 미기재 논란으로 인해 교체될 가능성이 있다.

긴키 지역 전반으로 지지세를 확장중인 일본 유신회에서 이번에는 후보를 냈다. 오사카부와 효고현에서 근무했던 가코 기이치로 후보가 출마한다. 유신회가 이 선거구에 후보를 내는건 2016년 재창당 이후 처음이다.

[1] 추천[2] 추천[3] 정권교체가 유력한 상황이긴 했지만 민주당이 단독으로 참의원 과반을 확보한 상황은 아니었기 때문에 정권교체 이후 정국 운영을 위해서라도 국민신당의 지원이 필수적인 상황이었다. 결국 이 선거 이후 민주당이 정권교체에 성공하면서 국민신당은 민주당, 사회민주당과 손잡고 연립내각을 구성한다.[4] 추천[5] 추천[6] 추천[공]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