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오사카부 제7구

덤프버전 :


긴키 지방 국회의원
시가현, 교토부, 오사카부, 효고현, 나라현, 와카야마현
[ 중의원 의원 ]

시가 1구시가 2구시가 3구시가 4구교토 1구
오오카 도시타카우에노 겐이치로다케무라 노부히데고테라 히로오카츠메 야스시
교토 2구교토 3구교토 4구교토 5구교토 6구
마에하라 세이지이즈미 겐타기타카미 게이로혼다 다로야마노이 가즈노리
오사카 1구오사카 2구오사카 3구오사카 4구오사카 5구
이노우에 히데타카모리시마 다다시사토 시게키미노베 테루오구니시게 도루
오사카 6구오사카 7구오사카 8구오사카 9구오사카 10구
이사 신이치오쿠시타 타케미츠우루마 조지아다치 야스시이케시타 타쿠
오사카 11구오사카 12구오사카 13구오사카 14구오사카 15구
나카츠카 히로시후지타 후미타케이와타니 료헤이아오야기 히토시우라노 야스토
오사카 16구오사카 17구오사카 18구오사카 19구효고 1구
기타가와 가즈오바바 노부유키엔도 다카시이토 노부히사이사카 노부히코
효고 2구효고 3구효고 4구효고 5구효고 6구
아카바 가즈요시세키 요시히로후지이 히사유키다니 고이치이치무라 고이치로
효고 7구효고 8구효고 9구효고 10구효고 11구
야마다 겐지나카노 히로마사니시무라 야스토시도카이 기사부로마쓰모토 다케아키
효고 12구나라 1구나라 2구나라 3구와카야마 1구
야마구치 쓰요시마부치 스미오다카이치 사나에타노세 타이도하야시 유미
와카야마 2구와카야마 3구
이시다 마사토시니카이 도시히로
비례 1비례 2비례 3비례 4비례 5
미키 케오쿠노 신스케와다 유이치로야나기모토 아키라타케우치 유즈루
비례 6비례 7비례 8비례 9비례 10
사쿠라이 슈스미요시 히로키오구시 마사키고쿠타 케이지호리 겐지
비례 11비례 12비례 13비례 14비례 15
호리바 사치코고바야시 시게키우마시마 토모코모리야마 히로유키엔도 료타
비례 16비례 17비례 18비례 19비례 20
다나카 히데유키이치타니 유이치로무네키요 코이치나카시마 히데키와니부치 요코
비례 21비례 22비례 23비례 24비례 25
미야모토 타케시토쿠나가 히사시모리야마 마사히토이케하타 코타로타니가와 토무
비례 26비례 27비례 28
아카기 마사유키사이토 알렉스오이시 아키코
일본 공산당의 당색은 #db001c이나, 자민당과의 구별을 위해 #9f001c로 표기함

{{{-1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선거구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오사카부 제7구
大阪府第7区
||
파일:shuinsen_Osaka7.svg
선거인 수382,714명 (2021)
상위 도도부현오사카부
하위 행정구역스이타시, 셋츠시
국회의원

오쿠시타 다케미쓰



1. 개요[편집]


오사카부스이타시를 중심으로 구성된 일본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일본유신회 소속 오쿠시마 다케미쓰.


2. 상세[편집]


1970 오사카 엑스포 개최지이자 센리 뉴타운이 조성된 오사카의 대표적인 베드 타운 지역인 스이타시와 공업도시인 셋츠시로 구성된 선거구다. 베드 타운 지역인 스이타시의 인구가 셋츠시보다 무려 5~6배 정도 더 많기 때문에 주로 스이타시의 정치 성향에 따라 표심이 갈린다.[1]

소선거구 출범 초기에는 옆 지역구인 오사카부 제8구와 마찬가지로 베드 타운의 특성상 무당파층이 많아 민주당이 한동안 지역구를 수성한 곳이다. 8선 의원을 지낸 거물급 정치인인 이노우에 잇세이 전 셋츠시장, 우정대신도 본인의 기존 선거구인 오사카부 제8구를 떠나 보수당과 자민당 후보로 각각 제42회, 제43회 총선에 출마했으나 두 번 다 낙선했다.

하지만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를 기점으로 민주당 지지세가 완벽하게 무너졌다. 특히 후지무라 오사무 의원이 당시 노다 요시히코 내각의 넘버2인 관방장관으로 재직중에 3위로 낙선했기에 충격이 더 컸다. 이후에는 자민당이 일본 유신회를 상대로 우세를 보이는 보수 우세 지역구로 변모했고, 민주당의 후신 정당들은 공산당보다도 지지세가 밀려 후보도 내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자민당도 2021년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때는 오사카부에서 참패하는 바람에 이 선거구도 유신회 오쿠시타 다케미쓰 후보가 승리했다.


3. 역대 국회의원[편집]




4. 역대 선거 결과[편집]



4.1.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오사카부 제7구
스이타시, 셋츠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후지무라 오사무53,968표1위


31.66%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아리사와 지로40,572표2위


23.80%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후지이 사치코39,503표3위


23.17%낙선
파일:민주당(일본 1996년) 로고.svg나카츠카사 마사히로36,439표3위


21.37%낙선
유효표 수190,586표투표율
선거인 수

4.2.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오사카부 제7구
스이타시, 셋츠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후지무라 오사무63,455표1위


34.10%당선
파일:보수당 로고1.png이노우에 잇세이52,210표2위


28.05%낙선[2]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후지이 사치코41,727표3위


22.42%낙선
아리사와 지로28,712표4위

무소속

15.43%낙선
유효표 수289,173표투표율
선거인 수

4.3.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오사카부 제7구
스이타시, 셋츠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후지무라 오사무72,643표1위


39.22%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이노우에 잇세이55,234표2위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3CA324,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자유민주당)]29.82%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후지이 사치코28,710표3위


15.50%낙선
無所会아리사와 지로19,949표4위
10.77%낙선
사카모토 요시노부8,701표5위
4.70%낙선
유효표 수289,173표투표율
선거인 수

4.4.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오사카부 제7구
스이타시, 셋츠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도카시키 나오미98,151표1위
43.36%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후지무라 오사무84,373표2위
37.27%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아리키 시게루27,573표3위
12.18%낙선
야마구치 카즈야16,256표4위
7.18%낙선
유효표 수232,764표투표율
선거인 수

4.5.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오사카부 제7구
스이타시, 셋츠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후지무라 오사무124,982표1위
52.88%당선[3]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도카시키 나오미79,289표2위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3CA324,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자유민주당)]33.55%낙선[4]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코마이 마사오29,030표3위
12.28%낙선
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미즈누마 요시타카3,063표4위
1.30%낙선
유효표 수289,173표투표율
선거인 수

4.6.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오사카부 제7구
스이타시, 셋츠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도카시키 나오미70,361표1위
33.30%당선[5]
파일:일본유신회(2012년) 심볼.png우에니시 사유리62,856표2위
29.75%비례당선[6]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후지무라 오사무45,531표3위
21.55%낙선[7]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요시이 요시코21,569표4위
10.21%낙선
파일:일본 미래당 로고.png와타나베 요시히코10,989표5위
5.20%낙선[8]
유효표 수150,855표투표율
선거인 수

4.7.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오사카부 제7구
스이타시, 셋츠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도카시키 나오미81,109표1위
[공]43.20%당선
파일:유신당 로고.png우에니시 사유리67,719표2위
36.07%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무라구치 쿠미코38,928표3위
20.73%낙선
유효표 수232,764표투표율
54.30%
선거인 수357,950인


4.8.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오사카부 제7구
스이타시, 셋츠시
이름소속정당득표수
(득표율)
순위당선 여부비고
도카시키 나오미
(渡嘉敷奈緒美)
자유민주당82,337
(43.6%)
1위당선공명당 추천
오쿠시타 타케미츠
(奥下剛光)
일본 유신회66,780
(35.4%)
2위낙선
무라구치 쿠미코
(村口久美子)
일본 공산당39,602
(21.0%)
3위낙선
유효표 수188,719투표율 51.80%
유권자 수373,702


4.9.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오사카부 제7구
{{{#fff
스이타시, 셋츠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일본유신회 로고만.svg오쿠시타 다케미쓰102,486표1위
45.34%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도카시키 나오미71,592표2위
31.67%낙선
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노기 료스케24,952표3위
11.04%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가와소에 다쓰마20,083표4위
8.88%낙선
파일:레이와 신센구미 흰색 로고.svg니시카와 히로키6,927표5위
3.06%낙선
유효표 수226,040표투표율
60.02%
선거인 수382,714인

현역 자민당 도카시키 나오미 의원이 재출마한다.

일본 유신회는 지난 총선에 출마한 정당인 출신인 오쿠시타 타케미츠 후보를 다시 공천한다.

유신회를 제외한 야권도 이번에는 더 많은 정당이 후보를 냈다. 공산당은 카와소에 타츠마 후보를 공천했다. 지난 총선에 후보를 내지 않은 입헌민주당은 노기 료스케 후보를 공천했다. 레이와 신센구미도 니시카와 히로키 전 오사카부의회 의원(2선)을 공천했다.

투표 결과, 유신회 오쿠시타 타케미츠 후보가 승리했다. 자민당 도카시키 나오미 후보는 석패율제를 통한 비례대표로 부활하지도 못하며 5선 도전에 실패했다.

[1] 이러한 특징은 한국의 의왕시·과천시 선거구에서도 볼 수 있다. 의왕시가 과천시보다 인구가 2배 이상 많은 탓에 과천시의 보수 성향이 의왕시의 민주당 우세에 상쇄되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2]

,

추천
[3] 추천[4] 추천[5] 추천[6] 추천[7] 추천[8] 추천[공]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