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히딩크호/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터키전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대회대표팀FIFA 월드컵 본선 경기
김용식호[1]헝가리 · 터키
김정남호[2]아르헨티나 · 불가리아 · 이탈리아
이회택호벨기에 · 스페인 · 우루과이
김호호스페인 · 볼리비아 · 독일
차범근호[3]멕시코 · 네덜란드 · 벨기에
히딩크호폴란드 · 미국 · 포르투갈 · 이탈리아 · 스페인 · 독일 · 터키
아드보카트호토고 · 프랑스 · 스위스
허정무호그리스 · 아르헨티나 · 나이지리아 · 우루과이
홍명보호러시아 · 알제리 · 벨기에
신태용호스웨덴 · 멕시코 · 독일
벤투호우루과이 · 가나 · 포르투갈 · 브라질
[각주]
[각주]

[1] 1954 스위스 월드컵 ~ 1978 아르헨티나 월드컵은 16개국 본선 진출 대회였다. (16강 조별리그)[2] 1982 스페인 월드컵 ~ 1994 미국 월드컵은 24개국 본선 진출 대회였다. (24강 조별리그)[3] 1998 프랑스 월드컵 ~ 2022 카타르 월드컵은 32개국 본선 진출 대회였다. (32강 조별리그)



[ 펼치기 · 접기 ]

조별리그
A조B조C조D조E조F조G조H조
대한민국 경기 (D조)
폴란드전 (1차전) · 미국전 (2차전) · 포르투갈전 (3차전)
주요 경기
프랑스 vs 세네갈 (A조)
결선 토너먼트16강8강준결승, 3PO결승
대한민국 경기
이탈리아전 (16강전) · 스페인전 (8강전) · 독일전 (준결승전) · 터키전 (3위·4위전)




[ 펼치기 · 접기 ]

#555555,#aaaaaa ||<|3><tablewidth=100%><width=26%><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1f2023><bgcolor=#6677aa,#556599> [[히딩크호|{{{#ffffff '''성인'''}}}]][br]
{{{#ffffff 2001~2002}}}
||<-2> [[히딩크호|전체]] ( [[히딩크호/2001년|2001]]|[[히딩크호/2002년|2002]] ) || ||<-2>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2 ([[히딩크호/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폴란드전|폴란드전]] · [[히딩크호/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미국전|미국전]] · [[히딩크호/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포르투갈전|포르투갈전]] · [[히딩크호/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이탈리아전|이탈리아전]] · [[히딩크호/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스페인전|스페인전]] · [[히딩크호/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독일전|독일전]] · [[히딩크호/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터키전|터키전]])}}} || ||<-2> 친선경기 {{{-2 ([[히딩크호/2002년/브라질전|브라질전]])}}} || ||<-2>
[[허정무호/1기|{{{#6677aa ◀ 허정무호}}}]]
[[코엘류호|{{{#6677aa 코엘류호 ▶}}}]]
||



1. 개요
2. 진행 전 국가 연주
3. 경기 실황
4. 중계
5. 여담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파일: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로고_좌우.svg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3위·4위전
2002년 6월 29일 토요일 20:30 (UTC+9)
[[대구스타디움|{{{#ffffff 대구월드컵경기장}}}]] ([[대한민국|{{{#ffffff 대한민국}}}]], [[대구광역시|{{{#ffffff 대구광역시}}}]] [[수성구|{{{#ffffff 수성구}}}]])
주심: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사드 마네|{{{#ffffff 사드 마네}}}]]
관중: 63,483명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2002~2019).svg
2 : 3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UEFA KOR.png 대한민국파일:UEFA TUR.png 터키
9' [[프리킥|{{{#373a3c,#dddddd (FK)}}}]] [[이을용|{{{#373a3c,#dddddd 이을용}}}]]
90+3′ [[송종국|{{{#373a3c,#dddddd 송종국}}}]]
파일:득점 아이콘.svg1′[* 정확하게는 11초로 월드컵 역대 최단시간 득점이다.] [[하칸 쉬퀴르|{{{#373a3c,#dddddd 하칸 쉬퀴르}}}]]
13′, 32' [[일한 만시즈|{{{#373a3c,#dddddd 일한 만시즈}}}]]
[[https://m.youtube.com/watch?v=n4SnCfuSQZE&pp=ygUVMjAwMiDslaDqta3qsIAg7YSw7YKk|{{{#a38054 경기 다시 보기(전반전)}}}]] | [[https://m.youtube.com/watch?v=LKEJ1FDr9yw|{{{#a38054 경기 다시 보기(후반전)}}}]] | [[https://m.youtube.com/watch?v=HS3ayW5j7tM&embeds_euri=https%3A%2F%2Fnamu.wiki%2F&feature=emb_logo|{{{#003b9e 경기 하이라이트}}}]] | [[https://www.fifa.com/tournaments/mens/worldcup/2002korea-japan/match-center/43950063|{{{#f1011e 매치 리포트}}}]]
경기 최우수 선수: 파일:UEFA TUR.png [[하칸 쉬퀴르|{{{#ffffff 하칸 쉬퀴르}}}]]

아시아 최초의 3위·4위전.

3위·4위전 상대는 그 대회에서 대한민국, 세네갈과 함께 기적을 이루어낸 터키였고 32강 조별리그 2차전 미국전이 열렸던 대구광역시 대구월드컵경기장 (現 대구스타디움)에서 열렸다.

터키는 32강 본선 조별리그 중국과의 경기 이후 16강부터 4강까지 일본에서 경기를 치르다가 16일만에 한국에 왔다. 참고로 2002 월드컵 당시 튀르키예의 국호는 국제적으로 터키였다. 따라서 터키전으로 명명하는 것이 올바르며 튀르키예전은 잘못된 표기다.

참고로 이 경기로 인해 한국은 유럽과 남미 이외의 제3대륙 팀으로서 최초로 3위·4위전에 참여한 팀으로 남게 되었다. 시간이 지나 20년 뒤 2022년 카타르 월드컵에서 모로코가 유럽과 남미 이외의 제3대륙 팀으로서 두번째 진출국이 되었다.[1]

2. 진행 전 국가 연주[편집]


경기 진행 전에 양국 국가가 제2군 본부사령실 군악대의 연주와 터키의 스타 가수 겸 마스코트 타르칸의 터키 국가 독창에 이어 미국전에서도 애국가를 제창한 테너 심송학의 애국가 제창으로 시작되었다. 이 때 유일하게 타국 가수는 여성 가수가 국가를 제창했지만 터키측 가수는 남성 가수인 타르칸이 제창을 했는데 국가 연주시 유일하게 타국 국가에서 남성 성악가가 참여한 유일한 사례이다. 또한 터키는 한국과 형제의 나라라는 이야기에 힘입어서 한국 관중들이 터키 국가 제창시에 형제의 나라라는 의미로 대형 터키 국기를 흔들어 주었다.[2]

3. 경기 실황[편집]


파일:UEFA KOR.png 대한민국 선발 명단 3-4-3
감독: [[거스 히딩크|{{{#ffffff 거스 히딩크}}}]]
GK
1. 이운재
CB
6. 유상철
CB
20. 홍명보 파일:주장 아이콘.svg 46'
7. 김태영 46'
CB
15. 이민성
||
RWB
22. 송종국 파일:득점 아이콘.svg 90+3'
CM
21. 박지성
CM
10. 이영표
LWB
13. 이을용 파일:득점 아이콘.svg 9'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39' 65'
16. 차두리 65'
RW
9. 설기현 79'
8. 최태욱 79'
CF
19. 안정환
LW
14. 이천수
||
CF
17. 일한 만시즈 파일:득점 아이콘.svg 13' 파일:득점 아이콘.svg 32'
CF
9. 하칸 쉬퀴르 파일:주장 아이콘.svg 파일:득점 아이콘.svg 1'[3]
LW
21. 엠레 벨뢰즈오울루 41'
20. 하칸 왼살 41'
CM
10. 이을드라이 바쉬튀르크 86'
14. 타이푸르 하부트추 86'
CM
8. 투가이 케림오울루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50'
RW
22. 위밋 다발라
LB
18. 에르귄 펜베
CB
3. 뷜렌트 코르크마즈
CB
5. 알파이 외잘란
RB
4. 파티흐 악옐
GK
1. 뤼슈튀 레츠베르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83'
파일:UEFA TUR.png 터키 선발 명단 4-4-2
감독: [[셰놀 귀네슈|{{{#ff0000 셰놀 귀네슈}}}]]

파일:히딩크행가래.jpg
우리 감독님 만세!
SBS 스포츠 하이라이트 영상

경기 시작 이후 한국은 홍명보가 상대 선수에게 공을 뺏겼고 이것을 하칸 쉬퀴르에게 경기 시작 11초 만에 골을 허용하며 월드컵 역사상 최단시간 실점을 하고 말았다. 이에 대해 홍명보는 유상철이 골키퍼에게 패스할 줄 알았다. 그 상황에서는 골키퍼에게 패스하는게 당연하다는 변명을 늘어놓으며 유상철에게 책임을 전가했다. #[4] 설령 홍명보 입장에서 유상철의 판단이 좋지 못했다 하더라도 유상철이 홍명보가 받지 못할 패스를 준 것도 아니고 그 위험 지역에서 상대 공격수에게 볼을 빼앗긴 것은 명백한 홍명보의 책임이 맞다. 참고로 46분에 홍명보와 교체된 김태영은 수비수 3명을 혼자서 상대하는 엄청난 수비를 보여주며 이민성이 X맨 노릇을 한 수비를 메우기도 했다.

전반 9분 이을용이 환상적인 왼발 프리킥으로 동점을 만들었으나.[5]


그 뒤 전반전에서 일한 만시즈의 개인기에 농락당하며 2골을 내주었고.


안정환이 득점까지 했으나, 이천수의 오프사이드 판정으로 인정되지 않았는데, 이는 당시 기준이었고 2005년부터 개정된 오프사이드 룰 기준이었다면 인정되었을 골이었다![6]


여담으로 이 대회 32강 H조 일본 대 러시아 경기에서 이나모토 준이치의 결승골은 논란이 되었다. 다른 일본 선수가 명백히 오프사이드에 있었으나, 오프사이드 선언을 안했고. 추가시간 2분도 안채우고 종료해서 논란이 일어났으며, 다시 설명하면 2005년 전까지 오프사이드 위치에 선수가 있다면 공을 받지 않더라도 오프사이드였다. 그래서 러시아에서는 폭동이 일어났다.[7]

후반 인저리 타임에 송종국의 중거리 골로 2:3으로 마무리했다.[8]


여기에 재밌는 일화가 있는데, 차두리의 엉덩이를 맞고 굴절되지 않았다면 뤼쉬튀 레츠베르 골키퍼에 의해 막혔을 확률이 매우 높은 슛이었다. 만약 송종국 대신 차두리가 세레모니를 했다면 차두리의 골로 기록되었을 수도 있다고. 결국 4위로 대회를 마쳤다.

4. 중계[편집]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국내 중계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전인석이상철
파일:MBC 로고(1986-2005).svg김성주차범근
파일:SBS 로고.svg송재익신문선

파일:일본 국기.svg 중계 방송
파일:후지 테레비 로고.svg시청률 33.0%

5. 여담[편집]




파일:attachment/KORvsTUR.jpg
사랑해, K리그에서 만나자 (LOVE CU@K리그)

거스 히딩크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으로서 치른 마지막 경기였다.





6. 둘러보기[편집]


A대표팀 [ 펼치기 · 접기 ]

1996 AFC 아시안컵 아랍에미리트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1996)
對 아랍에미리트 1:1 무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1996)
對 인도네시아 4:2 승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1996)
對 쿠웨이트 0:2 패
파일:이란 국기.svg
(1996)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이란 2:6 패
2015 AFC 아시안컵 호주
파일:오만 국기.svg
(2015)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오만 1:0 승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2015)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쿠웨이트 1:0 승
파일:호주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5)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호주 1:0 승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2015)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우즈베키스탄 2:0 (연장) 승
파일:이라크 국기.svg
(2015)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이라크 2:0 승
파일:호주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5)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호주 1:2 (연장) 패
2019 AFC 아시안컵 아랍에미리트
파일:필리핀 국기.svg
(2019)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필리핀 1:0 승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2019)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키르기스스탄 1:0 승
파일:중국 국기.svg
(2019)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중국 2:0 승
파일:바레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9)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바레인 2:1 (연장) 승
파일:카타르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9)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카타르 0:1 패
2023 AFC 아시안컵 카타르
파일:바레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2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바레인 0:0
파일:요르단 국기.svg
(202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요르단 0:0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202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말레이시아 0:0
1954 FIFA 월드컵 스위스
파일:헝가리 국기.svg
(1954)
對 헝가리 0:9 패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1954)
對 터키 0:7 패
1986 FIFA 월드컵 멕시코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1986)
對 아르헨티나 1:3 패
파일:불가리아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1986)
對 불가리아 1:1 무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86)
對 이탈리아 2:3 패
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
파일:벨기에 국기.svg
(1990)
對 벨기에 0:2 패
파일:스페인 국기.svg
(1990)
對 스페인 1:3 패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1990)
對 우루과이 0:1 패
1994 FIFA 월드컵 미국
파일:스페인 국기.svg
(199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스페인 2:2 무
파일:볼리비아 국기.svg
(199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볼리비아 0:0 무
파일:독일 국기.svg
(199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독일 2:3 패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
파일:멕시코 국기.svg
(199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멕시코 1:3 패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199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네덜란드 0:5 패
파일:벨기에 국기.svg
(199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벨기에 1:1 무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파일:폴란드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0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폴란드 2:0 승
파일:미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0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미국 1:1 무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200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포르투갈 1:0 승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200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이탈리아 2:1 (연장) 승
파일:스페인 국기.svg
(200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스페인 0:0 무
(PSO 5:3 승)
파일:독일 국기.svg
(200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독일 0:1 패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200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터키 2:3 패
2006 FIFA 월드컵 독일
파일:토고 국기.svg
(2006)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토고 2:1 승
파일:프랑스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06)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프랑스 1:1 무
파일:스위스 국기.svg
(2006)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스위스 0:2 패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
파일:그리스 국기.svg
(2010)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그리스 2:0 승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2010)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아르헨티나 1:4 패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2010)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나이지리아 2:2 무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2010)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우루과이 1:2 패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파일:러시아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러시아 1:1 무
파일:알제리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알제리 2:4 패
파일:벨기에 국기.svg
(201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벨기에 0:1 패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파일:스웨덴 국기.svg
(201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스웨덴 0:1 패
파일:멕시코 국기.svg
(201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멕시코 1:2 패
파일:독일 국기.svg
(201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독일 2:0 승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202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우루과이 0:0 무
파일:가나 국기.svg
(202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가나 2:3 패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202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포르투갈 2:1 승
파일:브라질 국기.svg
(202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브라질 1:4 패
기타 경기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1997)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일본 2:1 승
파일:태국 국기.svg
(199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태국 1:2 (연장) 패
파일:브라질 국기.svg
(1999)
對 브라질 1:0 승
파일:브라질 국기.svg
(200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브라질 2:3 패
파일:오만 국기.svg
(200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오만 1:3 패
파일:몰디브 국기.svg
(200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몰디브 0:0 무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2004)
對 튀르키예 2:1 승
파일:독일 국기.svg
(2004)
對 독일 3:1 승
파일:바레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07)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바레인 1:2 패
파일:중국 국기.svg
(2010)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중국 0:3 패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1)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일본 0:3 패
파일:중국 국기.svg
(2017)
對 중국 0:1 패
파일:카타르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7)
對 카타르 2:3 패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7)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일본 4:1 승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독립 문서로 등재된 경기

청소년 대표팀 [ 펼치기 · 접기 ]

2014 인천 아시안 게임 남자 축구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201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말레이시아 3:0 승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1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사우디아라비아 1:0 승
파일:라오스 국기.svg
(201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라오스 2:0 승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201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홍콩 3:0 승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일본 1:0 승
파일:태국 국기.svg
(201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태국 2:0 승
파일:북한 국기.svg
(201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북한 1:0 (연장) 승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남자 축구
파일:바레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바레인 6:0 승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201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말레이시아 1:2 패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201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키르기스스탄 1:0 승
파일:이란 국기.svg
(201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이란 2:0 승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201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우즈베키스탄 4:3 (연장) 승
파일:베트남 국기.svg
(201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베트남 3:1 승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일본 2:1 (연장) 승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남자 축구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쿠웨이트 9:0 승
파일:태국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태국 4:0 승
파일:바레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바레인 3:0 승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키르기스스탄 5:1 승
파일:중국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중국 2:0 승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우즈베키스탄 2:1 승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일본 2:1 승
2017 FIFA U-20 월드컵 코리아
파일:기니 국기.svg
(2017)
對 기니 3:0 승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2017)
對 아르헨티나 2:1 승
파일:잉글랜드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7)
對 잉글랜드 0:1 패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2017)
對 포르투갈 1:3 패
2019 FIFA U-20 월드컵 폴란드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2019)
對 포르투갈 0:1 패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2019)
對 남아프리카 공화국 1:0 승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2019)
對 아르헨티나 2:1 승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9)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일본 1:0 승
파일:세네갈 국기.svg
(2019)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세네갈 3:3 무
(PSO 3:2 승)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2019)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에콰도르 1:0 승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2019)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우크라이나 1:3 패
2023 FIFA U-20 월드컵 아르헨티나
파일:프랑스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프랑스 2:1 승
파일:온두라스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온두라스 2:2 무
파일:감비아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감비아 0:0 무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에콰도르 3:2 승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나이지리아 1:0 (연장) 승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이탈리아 1:2 패
파일:이스라엘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이스라엘 1:3 패
U-17 대표팀
파일:브라질 국기.svg
(2015)
對 브라질 1:0 승
기타 경기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2003)
對 네덜란드 1:0 승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일본 2:0 승
(카디프 대첩)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6)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일본 2:3 패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2021)
對 뉴질랜드 0:1 패
파일:멕시코 국기.svg (2021)
對 멕시코 3:6 패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독립 문서로 등재된 경기



[1] 1930년 우루과이 월드컵에서 3위한 미국(북중미)은 당시 월드컵에 3위·4위전이 없어서 제외.[2] 이 대형 터키 국기는 월드컵 이후 터키 측에서 선물받아가, 현재 앙카라의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고 한다.[3] 정확하게는 11초로 월드컵 역대 최단시간 득점이다.[4] 샤다라빠의 터키 여행기에 의하면 이걸로 아직도 터키의 축빠들이 샤다라빠를 놀렸다고 한다.[5] 아이러니하게도 이 골 역시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 그리스전에서 이정수가 전반 7분에 선제골을 넣기 전까지 한국의 최단시간 득점이었다. 즉, 이 경기에서 한국은 최단시간 실점과 득점을 모두 기록한 셈이다. 터키전이 진 경기이기도 하고 다른 2002 월드컵 경기 중에 존재감이 살짝 옅은 편이라 의외로 이골을 잘 모르는 사람도 많은데 대한민국이 월드컵에서 넣은 골 중 가장 멋진 골 중 하나다.[6] 안정환에게 패스가 갈 때 이천수오프사이드 위치에 있어서 오프사이드로 판정됐었다. 허나 이 당시 이천수의 포지셔닝은 안정환이 패스를 받는 데 전혀 관련이 없었으며, 현재 개정된 오프사이드 기준으로는 문제가 없다.[7] 이 뉴스 내용에 설명이 나왔으며, 특히 한국과 스페인전에서는 정규시간 전반전 추가시간 3분이 모두 끝난 후 스페인의 코너킥이 끝날때까지 추가시간을 더 주었고, 연장후반 15분이 끝났을때, 스페인이 또 코너킥 추가시간을 요구하는 논란을 일으켰다는 내용도 있다.[8] 이 터키전에서 한국은 2골을 기록하여 대회 골득실에서 +2 득점을 기록하였다.[9] 사실 한국 응원단이 터키 국기를 내걸었다는 것보다도 더 특별한 점은, 터키 국가연주 당시 화면에 내건 터키 국기가 태극기보다 더 큰 크기였다는 점이다. 월드컵 역사상 자국 국기가 아닌 상대 팀의 국기를 더 크게 제작하여 내건 사례는 이것이 최초라고 한다. 물론 터키 국가를 연주할때 보여주었던 국기는 태극기보다 터키 국기가 더 컸지만, 애국가가 제창될 때 내걸린 다른 태극기는 터키 국기보다도 훨씬 큰 사이즈였다.[10] 6.25때 UN군으로 참전해 가장 많은 사상자(사실 파병병력 4위에 사상 병력 3위였다. 1위는 미국 4만명, 2위는 영국 1700여명. 다만 당시 강했던 반미감정으로 인해 어느정도 왜곡된 정보가 기술되었던 적도 있었다.)를 낸 나라가 터키였으며, 이에 한국 역시 1999년 터키 대지진 때 가장 많은 의료 봉사단을 보내주는, 훈훈한 관계에 있던 두 나라였기에 월드컵을 앞두고 우리를 위해 목숨을 바친 형제의 나라 터키를 응원해주자는 움직임이 있었다. 실제 터키의 모든 조별 예선에서 한국인들이 조직적으로 터키를 응원하게 되고 터키 현지에서도 정작 본인들은 잊고 있었던 6.25 참전에 대해 고마움을 잊지 않는 한국인들을 보고 감동하였다. 당시 조별리그에서 터키랑 붙은 중국팀은 한국이 이웃나라인 자기네들 냅두고 저 멀리 있는 나라를 응원했다고 불만을 표했는데, 6.25 때 누가 쳐들어왔는지 까먹은 모양이다. 지금은 이때보다 반중감정이 더 심해져서 이때 한국 서포터들의 터키 응원이 더욱 고평가받고 있다.[11] 월드컵의 열기를 자국 프로리그에서도 이어가자는 뜻이였고 축구선진국들 입장에서는 한국축구 프로리그가 불모지느낌으로 알고있기에 아마 조용히 논란태클을 걸지않고 넘어간걸로 보인다. 물론 개최국인데다가 피파에서도 한국축구의 현실을 이미 파악을 해두었기에 가능했던걸로 보이며 요즘같으면 프로리그 언급은 얄짤없이 강력제제를 받는다[12] 2006 FIFA 월드컵 독일에서는 우크라이나, 덴마크, 그리스, 알바니아, 조지아, 카자흐스탄과 함께 2조에 편성되어 조 2위로 플레이오프에 올랐으나 플레이오프에서 스위스에 패해 탈락(우크라이나 본선 진출),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스페인,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벨기에, 에스토니아, 아르메니아와 함께 5조에 편성되어 조 3위로 탈락(스페인 본선 진출,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플레이오프 진출),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에서는 네덜란드, 루마니아, 헝가리, 에스토니아, 안도라와 함께 D조에 편성되어 조 4위로 탈락(네덜란드 본선 진출, 루마니아 플레이오프 진출),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에서는 크로아티아, 아이슬란드, 우크라이나, 핀란드, 코소보와 함께 I조에 편성되어 조 4위로 탈락(아이슬란드 본선진출, 크로아티아 플레이오프 진출). 참고로 이 때 터키를 제치고 본선에 오른 팀들 중 32강 본선 조별리그에서 아이슬란드는 메시의 아르헨티나를 상대로 1:1 무승부 승점 1점을 획득하였고, 나머지 팀들도 모두 본선에서도 좋은 성적을 거뒀다. (2006년 스위스 16강 10위/우크라이나 8강 8위, 2010년 스페인 우승, 2014년 네덜란드 3위, 2018년 크로아티아 준우승)[13] 2022 카타르 월드컵 유럽 예선에서는 네덜란드, 노르웨이, 몬테네그로, 라트비아, 지브롤터와 함께 G조에 편성되어 네덜란드에 이어 2위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포르투갈에게 1:3으로 대패해 또 다시 본선 32강 진출이 좌절되었다.[14] 이 승리가 한국이 터키에게 거둔 첫 승리이자 지금까지도 유일한 승리이다.[15] 2011년 A매치 평가전 터키 홈에서 거스 히딩크 전 감독의 터키에 0:0 무승부 승점 1점을 기록했다.[16] 우리나라가 아예 개최국 중 하나였던 2002년 대회는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진출이므로 논외.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히딩크호
히딩크호
문서의 r968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6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