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벤투호/2019 AFC 아시안컵 아랍에미리트/키르기스스탄전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대회대표팀AFC 아시안컵 본선 경기
본선 진출 실패[6개국]
김정남호말레이시아 · 카타르 · 쿠웨이트 · 아랍에미리트 · 북한 · 쿠웨이트[결승]
문정식호사우디아라비아 · 쿠웨이트 · 시리아 · 카타르[10개국]
이회택호아랍에미리트 · 일본 · 카타르 · 이란 · 중국 · 사우디아라비아[결승]
본선 진출 실패[8개국]
박종환호아랍에미리트 · 인도네시아 · 쿠웨이트 · 이란[8강]
허정무호중국 · 쿠웨이트 · 인도네시아 · 이란 · 사우디아라비아 · 중국[3·4위전]
본프레레호요르단 · UAE · 쿠웨이트 · 이란[8강]
베어벡호사우디아라비아 · 바레인 · 인도네시아 · 이란 · 이라크 · 일본[3·4위전]
조광래호바레인 · 호주 · 인도 · 이란 · 일본 · 우즈베키스탄[3·4위전]
슈틸리케호오만 · 쿠웨이트 · 호주 · 우즈베키스탄 · 이라크 · 호주[결승]
벤투호필리핀 · 키르기스스탄 · 중국 · 바레인 · 카타르[8강]
클린스만호바레인 · 요르단 · 말레이시아
[각주]
[각주]

[6개국] (6강) 아시안컵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결승] A B C [10개국] (10강) 본선 조별리그[8개국] (8강) 본선 아시안컵에 진출 실패했다.[8강] A B C 준준결승전[3·4위전] A B C





1. 개요
2. 경기 전
3. 경기 실황
4. 경기 평가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파일:AFC Asian Cup 2019 white.png
AFC 아시안컵 UAE 2019 조별리그 C조 4경기
2019년 1월 12일 토요일 01:00 (UTC+9)
[[하자 빈 자예드 스타디움|{{{#ffffff 하자 빈 자예드 스타디움}}}]] (아랍에미리트, 알 아인)
주심: [[카미스 알 마리|{{{#ffffff 카미스 알 마리}}}]] (카타르)
관중: 4,893명
파일:키르기스스탄.축구.엠블럼.png0 : 1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2002~2019) 블랙.svg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득점 아이콘.svg41' [[김민재|{{{#373a3c,#dddddd 김민재}}}]]
[[https://m.youtube.com/watch?v=2x9ZwVJQXDw&pp=ygUs64yA7ZWc66-86rWtIO2CpOultOq4sOyKpOyKpO2DhCDslYTsi5zslYjsu7U%3D|{{{#f00 경기 하이라이트}}}]] | [[http://www.the-afc.com/asiancup/matches/2018/983214|{{{#00732f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민재|{{{#ffffff 김민재}}}]]

파일:JTBC 로고.svg | 파일:jtbc3foxsports.png
캐스터임경진해설위원신태용김환

알렉산드르 크레스티닌 전 키르기스스탄 국가대표팀 감독, 경기 전 인터뷰

파울루 벤투대한민국 국가대표팀 감독, 경기 전 인터뷰

2. 경기 전[편집]


  • 본 경기는 키르기스스탄 대표팀과의 역사상 첫 A매치이다. 연령별 대표팀 전적에선 2018년 8월에 있었던 2018 자카르타 팔렘방 아시안 게임에서 대한민국 U-23 대표팀이 키르기스스탄 U-23 대표팀을 상대로 맞붙어 1-0으로 신승한 바 있다. 당시 키르기스스탄은 괜찮은 수비 조직력을 바탕으로 한 텐백 전술로 우리 선수들을 고전시킨 적이 있는 만큼 방심해서는 안 될 것이다. 실제로 아시안게임에 출전했던 멤버들 상당수가 이번 대표팀에도 합류한 상태다.
  • 키르기스스탄 대표팀은 2018년 11월 마지막 A매치 기간에 일본 대표팀과의 평가전을 3일 앞두고 가진 J1리그 소속 가시마 앤틀러스와의 연습 경기에서 고등학생 선수 5명이 포함된 가시마의 2.5군을 상대로 0-2로 패배했고#, 일본 대표팀과의 평가전에는 일방적으로 수세에 몰리는 경기 내용을 보이며 0-4로 대패했다. 당시 키르기스스탄 대표팀의 일본 원정 평가전 명단에 소속팀이 없는 선수가 3명이나 포함되어 있어 일본에서 상당히 화제가 되었다고 한다. 11월 명단을 기준으로 키르기즈스탄 출생에 독일 유스팀을 거친 독일 유학파 선수들이 주력으로 평가된다. 경기가 열릴 장소는 3년 전 이재성이 AFC 챔피언스리그 결승 2차전을 치렀던 곳이기도 하다.
  • 1차전에서 부상으로 교체된 기성용의 정밀 검진 결과 경미한 근육 부상으로, 회복까지 1주일 정도 걸린다고 한다. 하지만 재발 위험이 높은 햄스트링 부상이기 때문에 조별리그 2경기는 결장한다고 봐야 한다. 기성용의 자리에는 황인범이라는 백업이 있다.[1] 기본 전력부터 키르기스스탄과 한국의 차이는 크게 나는 편이긴 하나, 텐백이라는 전술이 겪어 봤다고 딱히 묘수가 나는 전술도 아니라는 점은 한국에게 있어 어려움으로 작용할 것이다.
  • 키르기스스탄은 중국전에서 골키퍼의 치명적 실수리틀 정성룡[2]로 2골을 내주며 역전패를 당해 팀원들이 경기 후 골키퍼를 비난하고 따돌리면서 조직력이 박살 나고 있다. 텐백도 아무나 쓰는 전술이 아니고 강한 조직력과 골키퍼의 수비 조율이 받침되어야 하는 것이다. 한편 키르기스스탄은 첫 경기에서 개그를 펼친 마티아시 골키퍼를 빼고 카디르베코프 골키퍼를 출전시켰다.
  • 이재성이 필리핀 전에서 오른쪽 발가락이 삐는 부상을 당해 이번 경기에 결장한다고 한다. 선발 라인업은 1차전에서 부진했던 김진수 대신 홍철이 레프트백으로 나서고, 기성용의 자리는 황인범이, 이재성의 자리는 이청용이 대신한 것 외에는 전부 동일한 라인업으로 구성되었다. 다만 1차전에서 매우 부진했던 구자철이 또 나온 것에 대해서는 비판의 목소리가 많은 편. 그나마 기성용이 출전하진 않아서 두 선수의 동시 기용으로 인한 중원의 부조화는 덜할 것으로 보이지만, 선수 개인의 기량 자체가 이전보다 많이 떨어져 있다는 점 때문에 우려가 큰 편.

  • 벤투호의 이번 경기 슬로건은 '어떤 도 아시아의 호랑이를 쓰러트릴 수 없다!' 이다.

3. 경기 실황[편집]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선발 명단 5-1-3-1
감독: [[알렉산드르 크레스티닌|{{{#ffffff 알렉산드르 크레스티닌}}}]]
GK
13. 쿠트만 카디레베코프
RB
18. 카이라트 지르갈벡 울루
CB
17. 다니엘 타고
CB
3. 타미르란 코주마예프
CB
2. 발레리 키친 파일:주장 아이콘.svg
LB
11. 베크잔 사긴바에프
||
DM
9. 에드가 베른하르트 77'
20. 바키티야르 두이쇼베코프 77'
RW
8. 아지즈 시디코프 69'
19. 비탈리 룩스 69'
CAM
21. 파르하트 무사베코프
LW
23. 아흐리딘 이스라일로프 81'
7. 투르수날리 루스타모프 81'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83'
CF
10. 미를란 무르자에프
CF
18. 황의조 82'
9. 지동원 82'
LW
17. 이청용
CAM
13. 구자철 63'
8. 주세종 63'
RW
11. 황희찬
||
CM
6. 황인범
CM
5. 정우영
LB
14. 홍철
CB
19. 김영권 파일:주장 아이콘.svg
CB
4. 김민재 파일:득점 아이콘.svg 41'
RB
2. 이용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79'
GK
1. 김승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선발 명단 4-2-3-1
감독: [[파울루 벤투|{{{#423f3f 파울루 벤투}}}]]





경기가 시작하자마자 이용이 아흐리딘 이스라일로프한테 밟혀서 경기가 중단되었지만 다행히 큰 이상은 없었다. 8분에 지르갈벡 울루가 측면에서 낮은 크로스를 보냈지만 김영권이 잘 막아냈다. 11분에 구자철의 중거리 슛을 키퍼가 쳐냈고 세컨볼을 노린 황의조가 슛을 시도했지만 상대 수비수들의 견제로 슛까지 연결하지는 못했다. 17분, 황의조의 슛이 수비에 막혔고 황인범이 이것을 보고 슛을 날렸지만 위로 뜨고 말았다. 19분, 이청용이 수비 한 명을 제친 후 박스 안에 있던 황의조에게 연결했고, 황의조가 그대로 중거리 슛을 때렸으나 골대를 살짝 벗어났다. 30분에 황의조의 패스를 받은 이용이 직접 슛을 날렸으나 골키퍼 선방에 막혔다. 33분에 키르기스스탄의 코너킥을 우리 수비가 걷어낸 것을 베른하르트가 받아서 슛을 날렸지만 수비에 막혔고, 우리 수비진의 집중력이 흐트러진 틈을 타 베크잔 사긴바예프가 재차 슛을 날렸지만 김승규가 잘 잡아냈다. 35분에 이용의 패스를 받은 구자철이 측면 돌파 후 반대쪽으로 크로스를 보냈지만, 이청용이 빈 골문에 발만 갖다 대도 득점할 수 있는 상황에서 허공으로 날리고 말았다. 7분 후 구자철이청용의 패스를 받아 중거리 슛을 날렸지만 키퍼가 막았다. 이어서 김민재홍철의 코너킥을 헤더로 연결, 본인의 A매치 데뷔골이자 이 경기의 결승골을 만들었다. 44분에 홍철구자철의 패스를 받아 슛을 날렸지만 키퍼한테 막혔다. 전반전은 추가 시간이 거의 다 흐른 시점에 키르기스스탄의 코너킥을 김승규가 잡아내자마자 종료되었다.

후반 7분에 구자철이 측면에서 단독으로 돌파한 후 위협적인 슛을 날렸지만 골대를 살짝 벗어났다. 11분에 키친이 스로인을 한 뒤 페널티 박스 안에서 난장판이 벌어졌고, 상대의 슛이 김민재의 왼손에 맞았지만 김민재는 팔을 상체에 붙이고 있던 상태였기 때문에 주심은 고의성이 없다고 판단했다. 이후 다시 키친의 스로인이 이어졌고, 공중볼 경합으로 흘러나온 볼을 김승규가 펀칭으로 쳐냈다. 이 과정에서 이청용의 패스 미스로 홍철이 공을 빼앗겨 크로스를 허용했고, 이후 정우영이 상대의 슛을 몸으로 막았는데 이 때 공이 어깨와 팔 사이 애매한 곳에 맞았지만 주심은 역시 PK를 선언하지 않았다. 20분, 황인범의 헤딩 패스를 받은 황희찬이 슛을 날렸지만 옆그물을 때렸다. 얼마 지나지 않아 무르자예프가 김영권의 공을 빼앗아 슛을 날렸지만 빗나갔다. 22분, 홍철의 크로스를 황의조가 헤더로 연결했지만 크로스바를 맞고 튕겨 나왔고 간발의 차이로 라인 안으로 들어가지 않았다. 이어서 27분, 황의조이청용의 크로스를 받아 슛을 날렸으나 키퍼에게 막히고 골대를 맞혔다. 30분, 이용의 크로스를 키퍼가 펀칭으로 쳐낸 것이 뒤로 흘러 나오고, 키퍼가 펀칭 과정에서 넘어지며 빈 골대를 바로 앞에 둔 황희찬이 절호의 찬스를 잡았지만 어이없게 크로스바를 맞히고 하늘 위로 날려 보내고 말았다. 이로써 한국은 오늘 경기 3번째 골대샷을 기록했다. 일부러 그렇게 차기도 힘들겠다. 34분에 이용이 수비를 하다가 발을 높이 들어서 경고를 받았다.[3] 39분에 황인범의 스루 패스가 황희찬에게 연결됐지만 황희찬의 슛은 키퍼한테 막혔다. 곧이어 황인범의 패스가 이번에는 지동원에게 연결됐지만 지동원의 슛은 수비에 막혔고, 흘러나온 볼을 잡은 이청용이 골을 넣었지만 세컨볼 경합 과정에서 황희찬의 반칙이 선언되어 휘슬이 울린 뒤였기 때문에 골이 취소되었다. 44분에 황희찬이 측면에서 프리킥을 얻어냈지만 주세종의 프리킥이 김영권의 머리 위를 아슬아슬하게 빗나갔다. 추가 시간 3분에 김승규가 2단 선방으로 실점 위기를 막아냈고, 이후 경기는 바로 종료되었다.

4. 경기 평가[편집]








5. 둘러보기[편집]


A대표팀 [ 펼치기 · 접기 ]

1996 AFC 아시안컵 아랍에미리트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1996)
對 아랍에미리트 1:1 무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1996)
對 인도네시아 4:2 승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1996)
對 쿠웨이트 0:2 패
파일:이란 국기.svg
(1996)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이란 2:6 패
2015 AFC 아시안컵 호주
파일:오만 국기.svg
(2015)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오만 1:0 승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2015)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쿠웨이트 1:0 승
파일:호주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5)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호주 1:0 승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2015)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우즈베키스탄 2:0 (연장) 승
파일:이라크 국기.svg
(2015)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이라크 2:0 승
파일:호주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5)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호주 1:2 (연장) 패
2019 AFC 아시안컵 아랍에미리트
파일:필리핀 국기.svg
(2019)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필리핀 1:0 승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2019)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키르기스스탄 1:0 승
파일:중국 국기.svg
(2019)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중국 2:0 승
파일:바레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9)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바레인 2:1 (연장) 승
파일:카타르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9)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카타르 0:1 패
2023 AFC 아시안컵 카타르
파일:바레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2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바레인 0:0
파일:요르단 국기.svg
(202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요르단 0:0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202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말레이시아 0:0
1954 FIFA 월드컵 스위스
파일:헝가리 국기.svg
(1954)
對 헝가리 0:9 패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1954)
對 터키 0:7 패
1986 FIFA 월드컵 멕시코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1986)
對 아르헨티나 1:3 패
파일:불가리아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1986)
對 불가리아 1:1 무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86)
對 이탈리아 2:3 패
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
파일:벨기에 국기.svg
(1990)
對 벨기에 0:2 패
파일:스페인 국기.svg
(1990)
對 스페인 1:3 패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1990)
對 우루과이 0:1 패
1994 FIFA 월드컵 미국
파일:스페인 국기.svg
(199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스페인 2:2 무
파일:볼리비아 국기.svg
(199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볼리비아 0:0 무
파일:독일 국기.svg
(199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독일 2:3 패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
파일:멕시코 국기.svg
(199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멕시코 1:3 패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199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네덜란드 0:5 패
파일:벨기에 국기.svg
(199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벨기에 1:1 무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파일:폴란드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0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폴란드 2:0 승
파일:미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0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미국 1:1 무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200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포르투갈 1:0 승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200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이탈리아 2:1 (연장) 승
파일:스페인 국기.svg
(200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스페인 0:0 무
(PSO 5:3 승)
파일:독일 국기.svg
(200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독일 0:1 패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200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터키 2:3 패
2006 FIFA 월드컵 독일
파일:토고 국기.svg
(2006)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토고 2:1 승
파일:프랑스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06)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프랑스 1:1 무
파일:스위스 국기.svg
(2006)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스위스 0:2 패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
파일:그리스 국기.svg
(2010)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그리스 2:0 승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2010)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아르헨티나 1:4 패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2010)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나이지리아 2:2 무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2010)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우루과이 1:2 패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파일:러시아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러시아 1:1 무
파일:알제리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알제리 2:4 패
파일:벨기에 국기.svg
(201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벨기에 0:1 패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파일:스웨덴 국기.svg
(201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스웨덴 0:1 패
파일:멕시코 국기.svg
(201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멕시코 1:2 패
파일:독일 국기.svg
(201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독일 2:0 승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202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우루과이 0:0 무
파일:가나 국기.svg
(202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가나 2:3 패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202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포르투갈 2:1 승
파일:브라질 국기.svg
(202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브라질 1:4 패
기타 경기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1997)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일본 2:1 승
파일:태국 국기.svg
(199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태국 1:2 (연장) 패
파일:브라질 국기.svg
(1999)
對 브라질 1:0 승
파일:브라질 국기.svg
(200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브라질 2:3 패
파일:오만 국기.svg
(200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오만 1:3 패
파일:몰디브 국기.svg
(200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몰디브 0:0 무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2004)
對 튀르키예 2:1 승
파일:독일 국기.svg
(2004)
對 독일 3:1 승
파일:바레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07)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바레인 1:2 패
파일:중국 국기.svg
(2010)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중국 0:3 패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1)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일본 0:3 패
파일:중국 국기.svg
(2017)
對 중국 0:1 패
파일:카타르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7)
對 카타르 2:3 패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7)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일본 4:1 승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독립 문서로 등재된 경기

청소년 대표팀 [ 펼치기 · 접기 ]

2014 인천 아시안 게임 남자 축구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201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말레이시아 3:0 승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1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사우디아라비아 1:0 승
파일:라오스 국기.svg
(201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라오스 2:0 승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201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홍콩 3:0 승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일본 1:0 승
파일:태국 국기.svg
(201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태국 2:0 승
파일:북한 국기.svg
(201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북한 1:0 (연장) 승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남자 축구
파일:바레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바레인 6:0 승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201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말레이시아 1:2 패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201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키르기스스탄 1:0 승
파일:이란 국기.svg
(201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이란 2:0 승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201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우즈베키스탄 4:3 (연장) 승
파일:베트남 국기.svg
(201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베트남 3:1 승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일본 2:1 (연장) 승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남자 축구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쿠웨이트 9:0 승
파일:태국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태국 4:0 승
파일:바레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바레인 3:0 승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키르기스스탄 5:1 승
파일:중국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중국 2:0 승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우즈베키스탄 2:1 승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일본 2:1 승
2017 FIFA U-20 월드컵 코리아
파일:기니 국기.svg
(2017)
對 기니 3:0 승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2017)
對 아르헨티나 2:1 승
파일:잉글랜드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7)
對 잉글랜드 0:1 패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2017)
對 포르투갈 1:3 패
2019 FIFA U-20 월드컵 폴란드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2019)
對 포르투갈 0:1 패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2019)
對 남아프리카 공화국 1:0 승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2019)
對 아르헨티나 2:1 승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9)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일본 1:0 승
파일:세네갈 국기.svg
(2019)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세네갈 3:3 무
(PSO 3:2 승)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2019)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에콰도르 1:0 승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2019)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우크라이나 1:3 패
2023 FIFA U-20 월드컵 아르헨티나
파일:프랑스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프랑스 2:1 승
파일:온두라스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온두라스 2:2 무
파일:감비아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감비아 0:0 무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에콰도르 3:2 승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나이지리아 1:0 (연장) 승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이탈리아 1:2 패
파일:이스라엘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이스라엘 1:3 패
U-17 대표팀
파일:브라질 국기.svg
(2015)
對 브라질 1:0 승
기타 경기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2003)
對 네덜란드 1:0 승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일본 2:0 승
(카디프 대첩)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6)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對 일본 2:3 패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2021)
對 뉴질랜드 0:1 패
파일:멕시코 국기.svg (2021)
對 멕시코 3:6 패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독립 문서로 등재된 경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6 03:03:01에 나무위키 벤투호/2019 AFC 아시안컵 아랍에미리트/키르기스스탄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필리핀의 텐백을 상대로는 오히려 기성용보다 더 좋은 활약을 보였다는 평.[2] 이쪽은 정성룡보다 한 술 더 떠서, 공중볼 경합 상황에서 아예 공을 잡고 앨리웁 덩크로 골문에 꽂았다. 댓글만 봐도 승부조작을 진지하게 의심하는 의견이 주류이다.[3] 이로 인해 이용은 중국전 출전이 불가능해졌다.[4] 이청용에게 만들어 준 찬스는 사실상 어시스트나 다름없었다.[5] 종패스는 없고 횡패스만 남발하여 기성용이 소환되는 댓글이 태반이었다.[6] 오죽하면 빌드업이 어느 정도 되는 장현수가 필요하다는 의견마저 나왔다. 다만 장현수는 거의 매 경기마다 실점으로 연결될만한 초대형 실수를 저질렀기 때문에 장현수가 없어서 결과적으로 실점없이 승점을 챙길 수 있었다는 의견도 있다.[7] 다만 2002년에는 스트라이커로 출전했다.[8] 시간이 짧았고 교체 투입이었지만 지동원 역시 인상적인 모습을 전혀 보이지 못했고, 특유의 빠지는 플레이로 인해 공격 진영에서 영향력을 감소시키는 상황을 보였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