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서울 버스 9701

덤프버전 :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fff,#1f2023 [[틀: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
공항
]]ㆍ[[틀:서울특별시의 광역버스|
광역
]]ㆍ[[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간선
]]ㆍ[[틀: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
지선
]]ㆍ[[틀:서울특별시의 순환버스|
순환
]]ㆍ[[틀: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
심야
]]ㆍ[[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
마을
]]ㆍ[[틀:서울시티투어버스|
투어
]]
4권역
9401
9401-1
9403
9404
9408
9409


7권역
9701
9707
9711
9714
동행버스
서울01
서울03
서울06



파일:서울 9701 2568 .jp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2. 심야 운행
4.3. 기타
4.4. 사건.사고
4.5.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광역버스 9701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9701 노선도.svg

기점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가좌동(가좌동종점)
종점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2가(롯데백화점)
종점행
첫차
05:00
기점행
첫차
06:25
막차
23:00
막차
00:30~35
평일배차
7~23분
주말배차
토요일 7~26분 / 공휴일 9~26분
운수사명
선진운수
인가대수
21대(예비 1대)[1]
노선
가좌동종점 - 고양예고입구 - 덕이초등학교 - 농수산물센터 - 대화역 - 주엽역 - 일산동구청 - 마두역 - 백석동.요진와이시티 - 대곡역 - 화정역 - 화정1동행정복지센터 - 성사2동행정복지센터 - 원당역 - 원흥도래울마을 - 용두사거리 - 용두2리 - 서오릉입구 - 선진운수종점 - 구산역.예일여고 - 역촌역.역촌오거리 - 녹번역 - 홍제역 - 무악재역 - 독립문역.한성과학고 - 영천시장 → 서울역사박물관.경희궁광화문 → 롯데백화점 → 남대문시장.회현역서울역[2] → 서대문경찰서 → 이후 역순


2. 개요[편집]


선진운수에서 운행하는 광역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78.75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구 72-2번 좌석버스(일산신도시 - 미도파)가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특별시 버스체계 개편 때 번호만 9701번으로 변경되었다.

  • 고양시의 요청을 받아들여 2008년 12월 20일에 강촌마을, 백석고교, 일산병원 굴곡 구간 대신 가좌마을, 마두역, 백석동 경유로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관련 기사

  • 2012년 10월 12일부터 가좌마을을 경유하지 않는다.

  • 2015년 12월 13일 롯데백화점 → 숭례문(서울역) 구간에서 남대문시장 회현역(퇴계로) → 서울역(한진택배)앞 구간으로 변경되었다.

  • 2017년 12월 31일 종로 중앙버스전용차로의 개통 후 종로1가를 무정차 통과한다. 광화문에서 하차 후 도보로 이동해야 한다.

  • 2023년 5월 20일부로 토요일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회되어 토요일의 1일 총 운행횟수도 81회에서 76회로 5회 감회되었다. 다만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따른 최소/최대 배차간격에 대한 변동은 없다. 관련 공문

  • 2023년 11월 6일을 기해 기점/회차지 각각 23:50/01:20이던 막차시간이 50분 당겨져 23:00/00:30으로 변경됐다. 또한 서울03번 개통을 위해 평일 단축운행차량 2대 중 1대가 감차되었고, 1대는 정상운행차량으로 전환되었다. 이와 함께 평일의 대당 일 운행횟수 감축이 병행되면서 평일의 1일 총 운행횟수가 84회에서 82회로 2회 감회됐다. 다만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따른 최소/최대 배차간격에 대한 변동은 없다. # 막차 조정 안내문


4. 특징[편집]



4.1. 광역버스가 맞나?[편집]


  • 엄연히 일산~서울 도심 간 광역버스이지만, 1000번, 9714번, M7106번과는 경로가 전혀 다르다. 언뜻 보면 1000번 등 수색로 경유 노선들보다 서울까지의 거리가 짧아 보이지만,[3] 실제로 타 보면 전혀 그렇지 않다는 게 함정.

  • 중앙로에서 대곡역까지는 여느 노선들과 같이 잘 달리다가 토당청소년수련관 근처 교차로에서 773번, 95번, 921번과 같이 좌회전하여 고양경찰서, 화정역, 덕양구청, 고양어울림누리, 원당역 방향으로 가다가 서오릉로에 들어가서 선진운수 구산동 본사와 역촌역을 거쳐 녹번역에서 통일로로 들어간다. 문제는 광역버스답지 않게 노선상의 거의 모든 정류소에 정차하며, 통일로 중앙차로 진입 문제로 녹번역에서부터 헬게이트가 열리고, 홍제역부터 서울 도심까지는 상습 정체로 악명높은 구간[4]이라는 것. 그러다 보니, 구간 수요로 먹고 사는 편이다. 주로 일산 ↔ 원당[5]/서오릉/구산, 화정/원당 ↔ 서오릉/불광[6]/홍제/서울 도심.[7] 일산에서는 길게 타 봐야 백석~마두 ↔ 은평 정도. 애초에 서울 도심에서 일산을 가려고 혹은 일산에서 서울 도심을 가려고 이걸 타는 승객이 있으면, 기사들이 먼저 말린다. 더욱이 기본요금이 3,000원으로 2,800원인 경기도 직행좌석보다도 200원 비싸고 돌아가는만큼, M7106번, M7119번, 고양 1000번, 고양 1100번, 고양 1200번, 서울 9714번처럼 수색로 - 중앙로 직빵으로 쏘라는 말히 괜히 나오는 게 아니다.

  • 하지만 일산/화정/원당/원흥~서오릉/구산동 구간에서는 이 버스가 거의 유일한 노선이라서 수요가 꽤 있으며, 특히 원당에서 월드컵경기장이나 DMC로 가는 경우 이 버스를 타고 구산역에서 6호선으로 갈아타는 것이 일산선을 타고 연신내역에서 6호선으로 갈아타는 것보다 더 빠르다.[8]

  • 그렇다고 간선으로 전환하기에도 자사 702A/B번752번과의 노선 중복 및 수익 감소와 직결될 우려가 있고, 광역버스라고 하지만 구간 수요가 주 수입인 상황이다. 어찌보면, 분당의 9403번과 비슷한 처지라고 할 수 있다.[9]

  • 위와 같은 사실을 종합해 보았을 때, "멀쩡한 중앙로 놔두고 처음부터 선형을 왜 이딴 식으로 만들었을까?" 라는 의문이 들 수도 있다. 그렇지만, 이 노선은 태생적으로 하기와 같은 사유로 인해 현재의 선형은 필연적이었다.
    • 일산신도시가 처음 개발되었을 때인 1990년대 초 당시에는 중앙로 라인[10]이 아닌 고양대로서오릉로 라인이 서울~고양 간 교통의 핵심 축이었고, 고양의 원도심인 원당을 놓칠 수 없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는 이 노선 뿐만 아니라, 구.158번(좌석)구.907번(좌석→도시형) 등의 일산 광역버스 1세대들, 그리고 심지어 수도권 전철 3호선조차 안고 있는 공통적인 사항이다. 다시 한 번 말하지만, 본 노선이 처음으로 일산행 좌석버스 노선으로 변신한 것은 1995년임을 감안해야 한다.
    • 이 노선은 원래 갈현동-구산사거리-예일여고-역촌오거리-서부경찰서-서부병원-은평구청-현재와 동일[11] 구간을 운행했던 좌석버스 노선이었고, 여기서 기존 은평구 구간을 최대한으로 유지 및 대대적으로 연장[12]하여 현재의 노선을 만든 것이기 때문이다.

4.2. 심야 운행[편집]


  • 9707번과 더불어 이 노선의 진가는 심야에 발휘된다. 그러나 막차시간이 기점 기준 50분 당겨지면서 메리트가 살짝 사라졌지만 아직 막차시간이 늦은 편인 건 맞다. 서오릉로[A] 연선의 정말 마지막 버스.[13] 자정만 지나면 사람들로 인산인해를 이룬다. 응암동, 신사동 등 6호선 라인의 심야버스가 기껏해야 7212번이 그것도 0시 20분 정도였지만 2022년 12월부터는 일산ㆍ화정ㆍ원당에서 서울 방향 차량을 타고 구산동 본사에 내리면 N73번으로 갈아탈 수 있어 더욱 편리해졌다.[14]

  • 706번녹번동으로 단축되는 바람에, 서울 도심에서 원당동까지 달리는 심야 끝판왕의 포스를 물려받았다. 하지만 막차가 이르고, 녹번역에서 서오릉로[A]를 통해 원당역으로 가기 때문에 통일로 은평구간[B]과 동산삼거리 그리고 고양대로 라인[C]으로는 가지 못한다.


4.3. 기타[편집]


  • 현금 승차가 불가능하다.

  • 서오릉로[A] 전 구간을 다닌다.

  • '원흥도래울마을 - 용두사거리' 구간은 이 노선만 운행한다. 한 정거장이나 정거장 간 거리는 1.2 km이다.

  • 2023년 4월 27일에 광역버스 9703번이 간선버스 703번으로 전환되면서 원당~서울 도심 구간을 오가는 유일한 광역버스가 되었다. 그래서 원당~서울 도심 간 수요는 703번으로 분산되었다. 그러나 703번은 9701번보다도 배차간격이 더 길어서 원당~서울 도심 간 이동은 3호선 전철이 오히려 나을 수 있다.

  • 일산 가좌동 방향은 꾸준하게 타고 내리는 사람이 있기 때문에 그런 경우를 보기 힘들지만, 도심 방면의 경우 종종 질주를 시전하기도 한다.[15] 좌회전 신호를 보고 슬그머니 직진하거나, 멀리서 매의 눈으로 정류장에 사람이 없는 것을 보며 무정차 통과하거나, 702A/B번이 정류장으로 가는 걸 보면 망설임 없이 통과하거나 하는 식으로 원당역 이후부터 서오릉로를 통해 806부대까지 정류장 대부분을 스킵하고 달리면서 원당역에서 구산동까지 10분만에 끊을 때도 있으며, 이 경우 이른 시간이나 밤 늦은 시간대라면 원당역에서 도심까지 30분 안쪽으로 끊기도 한다.


  • 덕양구 내에서는 1900번과 경쟁 구도가 약간 잡혀 있는 듯. 두 노선은 고양경찰서 ~ 성사2동주민센터까지 노선이 겹치는데, 서로 방향이 반대다. 이용시 주의하자. 1900번은 성사2동주민센터에서 고양경찰서까지 내려온 다음 중앙로 - 수색로를 이용하고, 9701번은 고양경찰서에서 성사2동주민센터까지 올라간 후 원당역에서 서오릉로[A] 및 녹번역교차로를 통해 통일로를 이용한다. 그리고 1900번의 배차간격이 60~120분으로 벌어지면서 3호선과 9701번의 승리로 굳어지는 상황.

  • 서울역사박물관 정류장은 새문안로 버스중앙차로 개통 후 중앙차로 정류장 정차로 변경되었다. 이 정류장으로 오는 과정에서 영천시장 출발 후 금화초등학교와 서대문역(농협본사)은 무정차 통과한다.

  • 서울 광역버스이지만 서울 시내버스 운행거리 1위인 9711번과 달리 고속도로/고속화도로를 경유하지 않고 거의 모든 정류장에 정차해야 한다. 이로 인한 높은 근무 난이도로 인해 급가속 등 난폭운전이 존재하지만 9711번보다는 나은 편이다.

4.4. 사건.사고[편집]


  • 2011년 1월 4일, 773번[16], 7727번3중 추돌 사고가 발생한 적이 있다.

  • 2015년 11월 22일 대곡역에서 9701번이 추월하다가 중심을 잃고 마주오던 9711A번을 추돌했다. 관련 기사 이 사고로 1명이 숨졌다.

4.5.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서울특별시 광역버스 9701번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
5,432명
-
2014년
5,561명
△ 129
2015년
5,056명
▽ 505
2016년
4,183명
▽ 873
2017년
3,824명
▽ 359
2018년
3,707명
▽ 117
2019년
3,604명
▽ 103
2020년
2,861명
▽ 743
2021년
2,999명
△ 138
2022년
3,737명
△ 738
※ 하차 인원 미포함


5. 연계 철도역[편집]


  •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 서울역
  • 파일:Seoulmetro2_icon.svg 서울 지하철 2호선: 을지로입구역
  • 파일:Seoulmetro3_icon.svg 수도권 전철 3호선: 대화역, 주엽역, 정발산역[17], 마두역, 백석역[18], 대곡역[D], 화정역, 원당역, 녹번역, 홍제역, 무악재역, 독립문역
  • 파일:Seoulmetro4_icon.svg 수도권 전철 4호선: 회현역, 서울역
  • 파일:Seoulmetro5_icon.svg 수도권 전철 5호선: 서대문역, 광화문역
  • 파일:Seoulmetro6_icon.svg 서울 지하철 6호선: 역촌역, 구산역
  • 파일:GJ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대곡역[D], 서울역
  • 파일:Seohae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서해선: 대곡역[D]
  • 파일:AREX_icon.svg 인천국제공항철도: 서울역
  •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일반 철도역: 서울역(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6. 둘러보기[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 경기도 진입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1, 2권역 | 의정부, 구리, 남양주
의정부시

수락리버


구리/남양주

201구리

202담터

1155담터

2212담터

수락리버: 수락리버시티아파트 지역만 정차, 담터: 남양주방면 담터고개(구리시 소재)만 정차, 서울방면 담터고개는 서울시 소재.


3, 4권역 | 하남, 성남, 화성, 광주
성남시

4432청계산

하남시

341초이

370초이

3217위례


화성시

광주시

초이: 초이동 / 위례: 하남시위례도서관 / 청계산: 청계산옛골


4, 5권역 | 안양, 군포, 의왕, 과천
안양시

152교대

500석수

5618석수

6515교대


군포시

441한솔

502한솔

의왕시


과천시

서초08잔디

서초20잔디

교대: 경인교육대후문만 정차 / 잔디: 잔디마을만 정차 / 한솔: 한솔테크노타운만 정차


5, 6권역 | 광명, 부천, 김포
광명시


철산리버


부천시


김포시

철산리버: 철산리버빌아파트 정류장만 정차


7권역 | 고양, 양주, 파주
고양시

동산동


덕은동


대덕동


양주시

704송추

서울05옥정


파주시

773운정

774파주읍

서울03운정

9714운정

동산동: 한국지역난방공사(舊 동산동) 정류장만 정차 / 덕은동: 덕은동종점 정류장만 정차 / 대덕동: 대덕동행정복지센터 정류장만 정차






[1] 토요일 18대 / 공휴일 16대 운행[2] 공항버스 6702번이 서는 정류소로, 서울역 3번출구에서 멀지 않다. 정류소 ID는 02-694.[3] 실제로 일산에서 서울 도심으로 진입할 때 일산~화정/능곡~행신~수색~가좌를 경유하는 루트랑 일산~원당~서오릉~구산~홍제를 경유하는 루트는 비슷한 길이로, 최단 경로로 봤을 때는 수색로 경유보다 서오릉로(구산동) 경유가 오히려 아주 조금 더 가깝다! 그러나 고양대로/서오릉로~통일로중앙로~수색로~성산로에 비해 교통 흐름이 나쁘다.[4] 도로명 통합 전의 '의주로'에 해당되는 구간이다.[5] 대부분의 구간이 95번과 중복되는데, 출퇴근 시간에도 앉아갈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서 다소 경쟁력이 있다. 특히 95번이 지나가지 않는 대화역, 주엽역 등 일산서구 지역에서는 원당역의 동쪽으로 치우친 위치와 시너지 효과를 내어 북화정, 어울림누리 및 신원당 아파트단지 방면 수요를 끌어모으고 있다.[6] 역촌역에서 내려서 쉽게 접근이 가능하다.[7] 화정에서도 서울 도심으로 간다면 수색로를 경유하는 1900번을 타거나 중앙로의 정류장으로 가서 환승하는 것이 낫다. 다만 1900번은 배차간격이 1시간 이상이라는 점은 감안해야 한다.[8] 단, 원흥 도래울마을에서 월드컵경기장, DMC로 가는 경우에는 봉산터널을 경유하여 새절역으로 직통으로 이어 주는 7728번을 이용하는 것이 요금과 시간 모두 유리하다. 9701번은 도래울 1,2단지 인근만 스쳐 지나가지만, 7728번은 도래울마을을 훑어서 봉산터널로 가기 때문.[9] 하지만 비슷한 처지를 가지고 있는 서울매일버스의 9703번은 간선버스 703번으로 전환되었다.[10] 중앙로 경유 일산행 광역버스의 본격적 신호탄이자 대명사라고 할 수 있는 1000번이 신설된 것도 1999년의 일이고, 현재의 일산행 광역버스들이 주로 경유하고 있는 중앙로 버스 중앙차로가 개통된 것도 2006년의 일이다. 1000번이 신설되기 전에도 77번 계열 및 915-1번 심야좌석버스, 903번 심야좌석버스가 있었지만, 급행 노선도 아니고 중앙차로도 없었기 때문에 지금과 같이 중앙로 라인이 활성화되진 못했다. 그나마 1000번이 신설되기 전에 수요가 가장 많았던 노선은 915-1번 심야좌석버스였다.[11] 단, 702번과 같이 회현역이 아닌 남대문을 경유했음.[12] 서부경찰서 및 서부병원이 아닌 서대문세무서 경유로 직선화했고, 갈현동-구산사거리 구간을 단축하여 일산으로 연장했다.[A] A B C D 녹번역 - 은평구청 - 구산동 - 용두동 - 원흥지구(남부) - 원당역[13] 통일로 연선에는 N37번이 있고, 화정지구에는 773번도 있다.[14] 여담으로 송파에서 출발하는 N73번 첫차를 이용하여 선진운수 종점에서 이 노선의 막차와 환승 연계가 되었으나 이 노선의 막차시각 단축으로 인해 역순으로 연계는 불가능하다.[B] 불광동, 진관동(롯데몰 은평)[C] 동산동(스타필드 고양), 원흥동(북부)[15] 사실 서울에서는 도심 방향 승객이 없다. 탄다고 해도 구산동이나 역촌동 정도에서 타지, 녹번동부터는 야간이 아닌 이상 통일로 → 도심으로 가는 수많은 기본요금 버스들을 내버려 두고 이 노선을 타는 사람은 당연히 아무도 없다.[16] 2016년 폐선된 고양 73번이다. 서울 버스 773은 당시 706이었다.[17] 일산동구청(중) 하차[18] 백석동.요진와이시티(중) 하차[D] A B C 전철역에서 버스로 환승시 출입구를 확인하자, 일산방면 출입구와 덕양방면 출입구가 따로 있으니 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