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가나가와현 선거구

덤프버전 :


미나미칸토 지방 국회의원
치바현, 가나가와현, 야마나시현
[ 중의원 의원 ]

치바 1구치바 2구치바 3구치바 4구치바 5구
다지마 가나메고바야시 다카유키마쓰노 히로카즈노다 요시히코에리 아르피야
치바 6구치바 7구치바 8구치바 9구치바 10구
와타나베 히로미치사이토 겐혼조 사토시오쿠노 소이치로하야시 모토오
치바 11구치바 12구치바 13구치바 14구가나가와 1구
모리 에이스케하마다 야스카즈마츠모토 히사시공석1시노하라 고
가나가와 2구가나가와 3구가나가와 4구가나가와 5구가나가와 6구
스가 요시히데나카니시 겐지와세다 유키사카이 마나부후루카와 나오키
가나가와 7구가나가와 8구가나가와 9구가나가와 10구가나가와 11구
스즈키 게이스케에다 겐지류 히로후미다나카 가즈노리고이즈미 신지로
가나가와 12구가나가와 13구가나가와 14구가나가와 15구가나가와 16구
아베 도모코후토리 히데시아카마 지로고노 다로고토 유이치
가나가와 17구가나가와 18구가나가와 19구가나가와 20구야마나시 1구
마키시마 카렌야마기와 다이시로공석1공석1나카타니 신이치
야마나시 2구
호리우치 노리코
비례 1비례 2비례 3비례 4비례 5
호시노 츠요시나카타니 카즈마아마리 아키라카네무라 류나아키모토 마사토시
비례 6비례 7비례 8비례 9비례 10
후루야 노리코야타가와 하지메미타니 히데히로아오야기 요이치로시이 카즈오
비례 11비례 12비례 13비례 14비례 15
요시이에 히로유키후지마키 켄타나카야마 노리히로츠노다 히데오나카지마 카즈히토
비례 16비례 17비례 18비례 19비례 20
스즈키 아츠시카도야마 히로유키야마자키 마코토야마모토 토모히로타카야 료
비례 21비례 22
아사카와 요시하루사쿠라다 요시타카
일본 공산당의 당색은 #db001c이나, 자민당과의 구별을 위해 #9f001c로 표기함.
[1] 2022년에 공직선거법 개정안이 통과되어 신설된 지역구임.

{{{-1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선거구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가나가와현 선거구
神奈川県選挙区
||




1. 개요[편집]


가나가와현 전역을 관할하는 일본의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서의 선거구이다. 유권자 수는 약 773만 명이다. 정수는 8인이며, 3년 마다 4인씩 번갈아가며 선출한다. 원래 1947년의 제1회 선거부터 정수가 4인이었으나 1995년 17회 선거부터 6인으로, 2013년 23회 선거부터 8인으로 조정되었다.

4인 선거구일 때에는 대부분의 선거에서 자민당 후보와 사회당 후보가 1인씩 당선되었다. 6인 선거구로 조정된 후에는 1998년 18회 선거에서 민주2/공산1이라는 이변이 있었으나 2000년대에는 민주계와 자민당이 1석씩 먹고 나머지 1석은 민주당이나 공명당이 차지하는 모양이였다. 8인 선거구로 조정된 후로는 민주계 후보가 1석에 그치고, 나머지 3석을 자민/공명이 나눠갖는 추세이다.

2007년을 제외하면 2000년대 이후의 선거에서 자민당 후보가 항상 1위였으며, 득표율도 25% 전후를 기록하고 있다. 2010년대 이후로는 범보수권인 모두의 당이나 공명당을 합하면 40% 전후로, 2019년 25회 선거에서는 유신회까지 포함하면 57%에 달해 점차 보수세가 강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 현재 국회의원[편집]


2025년 개선
자민

시마무라 다이(島村大)[1]

입헌

마키야마 히로에(牧山弘恵)

공명

사사키 사야카(佐々木さやか)

입헌

미즈노 모토코(水野素子)[2]
2028년 개선
자민

미하라 준코(三原じゅん子)

유신

마쓰자와 시게후미(松沢成文)

공명

미우라 노부히로(三浦信祐)

자민

아사오 케이이치로(浅尾慶一郎)


3. 역대 국회의원[편집]


연도(회차)의원명소속 정당
1986(14회)사이토 후미오

치바 케이코

1989(15회)고바야시 타다시

이시와타 기요하루

1992(16회)사이토 후미오

치바 케이코

1995(17회)마쓰 아키라

이시와타 기요하루

사이토 쓰요시

1998(18회)아사오 게이이치로

하타노 기미에

치바 케이코
2001(19회)고바야시 유타카
마쓰 아키라
사이토 쓰요시
2004(20회)고이즈미 아키오
아사오 게이이치로
지바 게이코
2005(19보)[3]가와구치 요리코
2007(21회)마키야마 히로에
고바야시 유타카
미토 마사시
2005(19보)[4]마쓰 아키라
2009(20보)[5]가네코 요이치
2010(22회)고이즈미 아키오
나카니시 겐지
가네코 요이치
2013(23회)시마무라 다이
마쓰자와 시게후미
사사키 사야카
마키야마 히로에
2016(24회)미하라 준코
미우라 노부히로
마야마 유이치
나카니시 겐지
2019(25회)시마무라 다이
마키야마 히로에
사사키 사야카
마쓰자와 시게후미
2022(25보)[6]미즈노 모토코
2022(26회)미하라 준코
마쓰자와 시게후미
미우라 노부히로
아사오 게이이치로

3.1. 제25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편집]


가나가와현 선거구
4인 선거구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시마무라 다이917,058표1위
25.2%당선
파일:입헌민주당(2017년) 로고 릿켄 포함 하얀색.svg마키야마 히로에742,658표2위
20.4%당선
파일:공명당 로고만 하얀색.svg사사키 사야카615,417표3위
16.9%당선
파일:일본유신회 로고만.svg마쓰자와 시게후미575,884표4위
15.4%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아사카 유카422,603표5위
11.6%낙선
파일:국민민주당 로고.svg노기 료스케126,672표6위
3.5%낙선
파일:NHK수신료를 지불하지 않는 방법을 알리는 당 로고.svg하야시 다이스케79,208표7위
2.2%낙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아이하라 린코61,709표8위
1.7%낙선
모리시타 마사카쓰22,057표9위
0.6%낙선
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이키 아이코21,755표10위
0.6%낙선
安死가토 도모유키21,598표11위
안락사를 생각하는 모임
0.6%낙선
オリ에노모토 다이시17,170표12위
올리브 나무
0.5%낙선
시부아 미쓰기11,185표13위
0.3%낙선
労働아쿠쓰 다카유키8,514표14위
0.2%낙선
총 투표 수4,202,475표투표율
48.73%
선거인 수7,651,249인

3.2. 제26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 2022년 중반기 보궐선거[편집]


가나가와현 선거구
4+1인 선출 선거구 [7]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미하라 준코807,300표1위
19.7%당선
파일:일본유신회 로고만.svg마쓰자와 시게후미605,248표2위
14.8%당선
파일:공명당 로고만 하얀색.svg미우라 노부히로 [8]547,028표3위
13.4%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아사오 게이이치로544,597표4위
13.3%당선
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미즈노 모토코394,303표5위
9.6%보궐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아사카 유카354,456표6위
8.7%낙선
파일:국민민주당 로고.svg후카사쿠 헤스스253,234표7위
6.2%낙선
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테라사키 유스케210,016표8위
5.1%낙선
파일:참정당 심볼.svg
후지무라 아키코120,471표9위
2.9%낙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우쓰미 요이치49,787표10위
1.2%낙선
파일:NHK수신료를 지불하지 않는 방법을 알리는 당 로고.svg주쿠로키 유헤이25,784표11위
0.6%낙선
아키타 메구미24,389표12위
0.6%낙선
파일:Kunimori_logo.png크리스탄 에즈즈22,043표13위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0000ff, 여백=2px 4px, 곡률=3px,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신당 쿠니모리)]0.5%낙선
파일:NHK수신료를 지불하지 않는 방법을 알리는 당 로고.svg하시모토 히로유키19,920표14위
0.5%낙선
파일:유신정당·신풍 심볼.jpg하리야 다이스케19,867표15위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D1301F, 여백=2px 4px, 곡률=3px,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유신정당·신풍)]0.5%낙선
후지사와 아유미19,155표16위
0.5%낙선
파일:NHK수신료를 지불하지 않는 방법을 알리는 당 로고.svg이다 도와코17,609표17위
0.4%낙선
파일:공화당(일본) 로고.png스도 노부히코13,904표18위
0.3%낙선
파일:NHK수신료를 지불하지 않는 방법을 알리는 당 로고.svg오노즈카 기요토11,623표19위
0.3%낙선
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이키 아이코11,073표20위
0.3%낙선
諸派구보타 게이10,268표21위
여계천황과 함께 밝은
일본을 실현하는 모임
0.3%낙선
파일:일본 제일당 로고.png하기야마 아유미8,099표22위
0.2%낙선
총 투표 수000표투표율
54.51%
선거인 수7,696,783인


3.3. 제27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편집]


선거 전인 2023년 8월 30일에 자민당의 시마무라 다이 의원이 사망하여 공석이 생겼으나, 공직선거법상 개선당 정원이 4명 이상인 선거구[9]에서 2명 이상의 결원이 발생할 시 보궐선거를 실시하도록 규정되어있기 때문에[10] 한 석 이상의 공석이 더 발생하지 않을 시 그대로 참원선이 실시되는 2025년까지 공석으로 남게된다.



[1] 2023.8.30 사망[2] 2022년 중반기 일본 국회의원 보궐선거 당선자[3] 사이토 쓰요시 의원이 중원선 출마를 위해 사퇴. 하필 가나가와현 제11구로 나가서 현직 총리인 고이즈미 준이치로에게 73.16 : 18.77로 완패했다(...).[4] 고바야시 유타카 의원이, 비서와 자민당 현련 직원들이 선거운동 기간중에 대학생들에게 선거운동의 보수로서 153만엔을 지급한 것이 적발되어 체포되자 책임을 지고 사임했다.[5] 아사오 게이이치로 의원이 중원선 출마를 위해 사퇴.[6] 마쓰자와 시게후미 의원이 가나가와현지사 출마를 위해 사퇴.[7] 2021년에 25회 참의원 선거에서 당선되었던 마쓰자와 시게후미의 요코하마 시장 출마로 인한 사퇴로 공석이 생기면서, 원래 개선수는 4였지만 재보궐선거와 같은 성격으로 하나의 자리가 더 생기게 되었다. 다만, 여기서 4위까지는 본래 6년 임기의 자리로, 5위의 경우 마쓰자와의 남은 3년 임기를 채우는 비개선의석으로 들어가게 된다. 웃긴 것은 마쓰자와 본인이 2위가 되어서 2년 만에 사퇴한 다음 다시 돌아와 6년을 또 참의원을 하게 되는 일이 일어났다는 것이...[8] 추천: [9] 도쿄도, 오사카부, 아이치현, 사이타마현, 가나가와현[10] 공직선거법 제113조 1항 4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