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치바현 제6구

덤프버전 :


미나미칸토 지방 국회의원
치바현, 가나가와현, 야마나시현
[ 중의원 의원 ]

치바 1구치바 2구치바 3구치바 4구치바 5구
다지마 가나메고바야시 다카유키마쓰노 히로카즈노다 요시히코에리 아르피야
치바 6구치바 7구치바 8구치바 9구치바 10구
와타나베 히로미치사이토 겐혼조 사토시오쿠노 소이치로하야시 모토오
치바 11구치바 12구치바 13구치바 14구가나가와 1구
모리 에이스케하마다 야스카즈마츠모토 히사시공석1시노하라 고
가나가와 2구가나가와 3구가나가와 4구가나가와 5구가나가와 6구
스가 요시히데나카니시 겐지와세다 유키사카이 마나부후루카와 나오키
가나가와 7구가나가와 8구가나가와 9구가나가와 10구가나가와 11구
스즈키 게이스케에다 겐지류 히로후미다나카 가즈노리고이즈미 신지로
가나가와 12구가나가와 13구가나가와 14구가나가와 15구가나가와 16구
아베 도모코후토리 히데시아카마 지로고노 다로고토 유이치
가나가와 17구가나가와 18구가나가와 19구가나가와 20구야마나시 1구
마키시마 카렌야마기와 다이시로공석1공석1나카타니 신이치
야마나시 2구
호리우치 노리코
비례 1비례 2비례 3비례 4비례 5
호시노 츠요시나카타니 카즈마아마리 아키라카네무라 류나아키모토 마사토시
비례 6비례 7비례 8비례 9비례 10
후루야 노리코야타가와 하지메미타니 히데히로아오야기 요이치로시이 카즈오
비례 11비례 12비례 13비례 14비례 15
요시이에 히로유키후지마키 켄타나카야마 노리히로츠노다 히데오나카지마 카즈히토
비례 16비례 17비례 18비례 19비례 20
스즈키 아츠시카도야마 히로유키야마자키 마코토야마모토 토모히로타카야 료
비례 21비례 22
아사카와 요시하루사쿠라다 요시타카
일본 공산당의 당색은 #db001c이나, 자민당과의 구별을 위해 #9f001c로 표기함.
[1] 2022년에 공직선거법 개정안이 통과되어 신설된 지역구임.

{{{-1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선거구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치바현 제6구
千葉県第6区
||
파일:shuinsen_Chiba6.svg
선거인 수416,215명 (2022)
상위 도도부현치바현
하위 행정구역마츠도시
국회의원

와타나베 히로미치




1. 개요[편집]


치바현마츠도시를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자유민주당 소속 와타나베 히로미치.


2. 상세[편집]


대표적인 도쿄의 베드타운으로 구성된 선거구로 민주당이 경합우세를 보였던 선거구였으나, 현재는 자민당이 경합우세를 보이는 선거구다.

2021년 49회 중의원 선거 때까지 자민당의 와타나베 히로미치 의원과 입헌민주당의 우부카타 유키오 의원이 2000년 42회 중의원 선거를 제외한 모든 선거에서 맞붙었다. 그러나 2021년 10월 11일, 우부카타 의원이 납북 일본인과 관련해 부적절한 발언을 하면서 자멸했고, 야권 입장에서는 새로운 인물을 발굴할 필요가 생겼다. 일본유신회 소속으로 출마해 비례대표 의원이 된 후지마키 겐타 의원이 이 선거구에서 야권의 대표주자로 부상할 가능성도 있다.


3. 역대 국회의원[편집]


파일:Japan_gov_logo.png 치바현 제6구 역대 국회의원
선거연도의원명소속정당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1996년와타나베 히로미치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0년우부카타 유키오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3년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5년와타나베 히로미치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9년우부카타 유키오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2년와타나베 히로미치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4년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7년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21년


4. 역대 선거 결과[편집]



4.1.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치바현 제6구
이치카와시 일부, 마츠도시 일부, 가마가야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와타나베 히로미치60,801표1위


39.22%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6년) 로고.svg우부카타 유키오55,272표2위


35.66%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나카지마 마코토31,588표3위


20.38%낙선
파일:덕주회.png아베 스미코7,352표4위

자유연합

4.74%낙선
유효표 수155,013표투표율
선거인 수


4.2.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치바현 제6구
이치카와시 일부, 마츠도시 일부, 가마가야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우부카타 유키오78,359표1위


41.04%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이오쿠 사다오73,462표2위


38.48%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유다 히로오23,913표3위


12.52%낙선
파일:덕주회.png시마무라 요시유키15,197표4위

자유연합

7.96%낙선
유효표 수190,931표투표율
57.19%
선거인 수348,139인


4.3.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치바현 제6구
이치카와시 일부, 마츠도시 일부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우부카타 유키오83,985표1위


46.75%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와타나베 히로미치79,161표2위


44.07%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다카하시 다에코16,485표3위


9.18%낙선
유효표 수179,631표투표율
55.48%
선거인 수335,416인


4.4.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치바현 제6구
이치카와시 일부, 마츠도시 일부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와타나베 히로미치112,397표1위


52.93%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우부카타 유키오82,636표2위


38.91%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다카하시 다에코17,323표3위
8.16%낙선
유효표 수212,356표투표율
64.16%
선거인 수338,338인


4.5.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치바현 제6구
이치카와시 일부, 마츠도시 일부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우부카타 유키오108,270표1위
49.39%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와타나베 히로미치72,401표2위
33.03%낙선
파일:다함께당 로고.png고히라 유키15,063표3위
6.87%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야마자키 하루유키12,427표4위
5.67%낙선
마쓰모토 가즈미9,204표5위
4.20%낙선
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미시마 가요코1,857표6위
0.85%낙선
유효표 수219,222표투표율
64.57%
선거인 수348,266인


4.6.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치바현 제6구
이치카와시 일부, 마츠도시 일부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와타나베 히로미치69,689표1위
[1]35.38%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우부카타 유키오46,331표2위
[2]23.52%비례당선
파일:일본유신회(2012년) 심볼.png엔도 노부히코29,956표3위
15.21%낙선
파일:다함께당 로고.png간노 사토시24,350표4위
12.36%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미와 유미13,511표5위
6.86%낙선
파일:일본 미래당 로고.png시라이시 쥰코13,139표6위
[3]6.67%낙선
유효표 수196,976표투표율
58.38%
선거인 수350,197인


4.7.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치바현 제6구
이치카와시 일부, 마츠도시 일부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와타나베 히로미치77,066표1위
[4]45.87%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우부카타 유키오50,323표2위
29.95%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미와 유미25,242표3위
15.02%낙선
파일:차세대당_투명.png엔도 노부히코15,395표4위
9.16%낙선
유효표 수168,026표투표율
49.63%
선거인 수351,419인


4.8.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치바현 제6구
이치카와시 일부, 마츠도시 일부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와타나베 히로미치76,323표1위
[5]43.50%당선
파일:입헌민주당(2017년) 로고 하얀색.svg우부카타 유키오65,281표2위
37.21%비례당선
파일:희망의당(2017년) 로고 하얀색.svg엔도 노부히코23,701표3위
13.51%낙선
파일:일본유신회 로고만.svg호시 켄타로10,145표4위
5.78%낙선
유효표 수175,450표투표율
49.61%
선거인 수363,440인


4.9.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치바현 제6구
이치카와시 일부, 마츠도시 일부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와타나베 히로미치80,764표1위
[6]42.48%당선
파일:일본유신회 로고만.svg후지마키 겐타48,829표2위
25.68%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아사노 후미코32,444표3위
[7]17.07%낙선
우부카타 유키오28,083표4위
14.77%낙선
유효표 수190,120표투표율
52.99%
선거인 수369,609인

중의원 해산 직전에 현역 자민당 와타나베 히로미치 의원과 입헌민주당 우부카타 유키오 의원이 재대결이 확정되었다. 물론 두 의원 모두 70대의 고령인지라 (와타나베 71세, 우부카타 73세), 막판에 불출마할 가능성도 일부 있다. 재대결이 성사되면 이번이 8번째 맞대결이다.

하지만 10월 11일, 입헌민주당 우부카타 유키오 의원이 납북 일본인과 관련해 "일본에서 끌려간 (납북)피해자는 이제 살아있는 사람이 없다. 모든 정치인들이 그렇게 생각한다는 것." 이라는 부적절한 발언을 한것이 언론에 보도되어 큰 파장을 일으켰다.

유족들은 "납북 피해자를 구출하기 위해 심혈을 기울인 가족과 지원자들을 모욕한 망언"이라고 강하게 반발하고 있고, 험악한 여론을 인식한 듯 입헌민주당 에다노 대표도 즉시 사죄했다. 공천 취소나 불출마 가능성도 있고 출마한다고 해도 당선 가능성은 이미 멀어진 것으로 보인다.

와타나베 후보로서는 그나마 유력한 경쟁자였던 우부카타 의원의 자멸로 이변이 없는 한 사실상 당선이 유력해졌다.

결국 우부카타 의원은 해당 발언에 책임지고 입헌민주당 후보직을 사퇴하고 무소속으로 출마한다. 입헌민주당은 우부카타를 대체할 새로운 후보를 공천하지 않았다. 대신 다른 야당들은 유부카타를 비판하며 후보를 공천했다. 일본 유신회미즈호 은행원 출신인 후지마키 겐타 후보를 공천했다. 공산당은 치바현 남부 키사라즈시 공무원을 지낸 아사노 후미코 후보를 공천했다.

개표 결과 자민당 와타나베 후보가 승리했고, 일본유신회의 후지마키 겐타 후보는 25.7%를 득표해 2위로 낙선했으나 비례대표[8]로 부활했다. 입헌민주당이 후보를 내지 않은 가운데 입헌민주당을 탈당하며 무소속으로 출마한 우부카타 의원은 공산당 후보한테도 밀리며 꼴찌로 낙선했다.


4.10.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치바현의 중의원 선거구가 1석 늘어나면서 이치카와시 북부 지역을 4구로 넘겨주고 7구로부터 마츠도시 북부를 받아와 마츠도시 단독 선거구가 되었다.

9선에 도전하는 자민당 와타나베 히로미치 의원과 재선에 도전하는 유신회 후지마키 겐타 의원의 재대결이 예상된다. 와타나베 의원은 2023년 8월에 만 73세를 넘겼기에, 다음 선거부터는 지역구에서 패배할 경우 석패율제를 통해 비례대표 당선이 불가능하다.

입헌민주당이 지부장을 임명하지 않았는데, 치바현에서 유신회가 의원을 배출한 유일한 선거구이고 또 입헌민주당 전직 의원이 불미스러운 이유로 정계를 은퇴했기에, 암묵적인 야권 협조가 이뤄질 경우 사실상 유신회 후지마키 의원으로 야권 단일화가 이뤄질 가능성도 있다.

[1] 추천[2] 추천[3] 추천[4] 추천[5] 추천[6] 추천[7] 치바현 연합 지지[8] 석패율 60.4%로 유신회 미나미칸토 권역 석패율 2위에 올랐고, 해당 권역에서 유신회 비례대표 의석이 3석으로 확정되어 부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