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야마나시현 제1구

덤프버전 :


미나미칸토 지방 국회의원
치바현, 가나가와현, 야마나시현
[ 중의원 의원 ]

치바 1구치바 2구치바 3구치바 4구치바 5구
다지마 가나메고바야시 다카유키마쓰노 히로카즈노다 요시히코에리 아르피야
치바 6구치바 7구치바 8구치바 9구치바 10구
와타나베 히로미치사이토 겐혼조 사토시오쿠노 소이치로하야시 모토오
치바 11구치바 12구치바 13구치바 14구가나가와 1구
모리 에이스케하마다 야스카즈마츠모토 히사시공석1시노하라 고
가나가와 2구가나가와 3구가나가와 4구가나가와 5구가나가와 6구
스가 요시히데나카니시 겐지와세다 유키사카이 마나부후루카와 나오키
가나가와 7구가나가와 8구가나가와 9구가나가와 10구가나가와 11구
스즈키 게이스케에다 겐지류 히로후미다나카 가즈노리고이즈미 신지로
가나가와 12구가나가와 13구가나가와 14구가나가와 15구가나가와 16구
아베 도모코후토리 히데시아카마 지로고노 다로고토 유이치
가나가와 17구가나가와 18구가나가와 19구가나가와 20구야마나시 1구
마키시마 카렌야마기와 다이시로공석1공석1나카타니 신이치
야마나시 2구
호리우치 노리코
비례 1비례 2비례 3비례 4비례 5
호시노 츠요시나카타니 카즈마아마리 아키라카네무라 류나아키모토 마사토시
비례 6비례 7비례 8비례 9비례 10
후루야 노리코야타가와 하지메미타니 히데히로아오야기 요이치로시이 카즈오
비례 11비례 12비례 13비례 14비례 15
요시이에 히로유키후지마키 켄타나카야마 노리히로츠노다 히데오나카지마 카즈히토
비례 16비례 17비례 18비례 19비례 20
스즈키 아츠시카도야마 히로유키야마자키 마코토야마모토 토모히로타카야 료
비례 21비례 22
아사카와 요시하루사쿠라다 요시타카
일본 공산당의 당색은 #db001c이나, 자민당과의 구별을 위해 #9f001c로 표기함.
[1] 2022년에 공직선거법 개정안이 통과되어 신설된 지역구임.

{{{-1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선거구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야마나시현 제1구
山梨県第1区
||




1. 개요[편집]


야마나시현의 서부인 고후시, 니라사키시, 미나미알프스시, 호쿠토시, 카이시, 주오시, 니시야츠시로군, 미나미코마군, 나카코마군을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자유민주당의 나카타니 신이치.


2. 상세[편집]


원래 야마나시현의 중심부 도심 지역을 관할하고 있었으나, 야마나시현의 선거구가 3석에서 2석으로 줄어들면서 3구의 서부 지역을 전부 1구에 편입시켰다. 오히려 2석이 된 야마나시현을 동서로 가르면서, 기존 선거구의 동부 지역은 2구로 넘겨주었다. 즉 이름은 1구지만, 선거구는 기존 3구 전역에다 1구의 절반을 포함한 형태가 되었다. 그래서인지 이 지역구에서 출마한 입헌민주당 나카지마 가쓰히토 의원과 자민당 나카타니 신이치 의원 모두 기존 3구 출신이다.

정치성향은 야마나시현 선거구의 조정 이전 및 이후 모두 민주당 및 그 후신정당 지지 성향이 강하다. 2012년 제46회 총선에서 현직 국회의원이었던 오자와 사키히토가 민주당에서 일본 유신회로 갈아타자 15%가 넘는 차이로 자민당 의원 미야가와 노리코에게 패배했다. 이후 2번의 총선에서는 민주당계인 나카지마 가쓰히토 의원이 다시 승리를 거두었다. 하지만 2021년 제49회 총선에서는 다시 자민당 나카타니 신이치 의원이 지역구를 탈환했다.

지난 총선에서 비례대표로 당선된 나카지마 가쓰히토 의원은 부친이 자민당 소속 참의원의원을 지낸 2세 정치인이다. 첫 출마는 모두의 당에서 했으며, 이후 모두의 당이 해산되는 바람에 민주당으로 당적을 옮겼다.


3. 역대 국회의원[편집]


파일:Japan_gov_logo.png 야마나시현 제1구 역대 국회의원
선거연도의원명소속정당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1996년나카오 에이치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0년오자와 사키히토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3년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5년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9년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2년미야가와 노리코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4년나카지마 가쓰히토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7년
무소속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21년나카타니 신이치



4. 역대 선거 결과[편집]



4.1.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야마나시현 제1구
고후시, 엔잔시, 야마나시시, 히가시야마나시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나가오 에이치52,111표1위


38.88%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6년) 로고.svg고시이시 아즈마45,288표2위


33.79%낙선
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고토 히토시[1]25,265표3위


18.85%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코고시 스스무10,610표4위


7.92%낙선
파일:덕주회.png이치카와 시게모토753표5위

자유연합

0.56%낙선
유효표 수134,027표투표율
선거인 수


4.2.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야마나시현 제1구
고후시, 엔잔시, 야마나시시, 히가시야마나시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오자와 사키히토58,781표1위


41.96%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나카오 에이치52,964표2위


37.81%낙선
아카이케 마사아키15,803표3위

무소속

11.28%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요시카와 하루오12,538표4위


8.95%낙선
유효표 수140,086표투표율
64.56%
선거인 수


4.3.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야마나시현 제1구
고후시, 엔잔시, 야마나시시, 히가시야마나시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오자와 사키히토71,623표1위


54.90%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요네다 켄조45,282표2위


34.71%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엔도 아키코13,545표3위


10.38%낙선
유효표 수130,450표투표율
60.57%
선거인 수221,122인


4.4.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야마나시현 제1구
고후시, 엔잔시, 야마나시시, 히가시야마나시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오자와 사키히토70,281표1위
47.53%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아카이케 마사아키65,426표2위
44.24%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엔도 아키코12,173표3위
8.23%낙선
유효표 수147,880표투표율
68.33%
선거인 수221,151인


4.5.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야마나시현 제1구
고후시, 엔잔시, 야마나시시, 코슈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오자와 사키히토91,422표1위
60.24%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아카이케 마사아키46,881표2위
[2]30.89%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엔도 아키코11,972표3위
7.89%낙선
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하야세 히로유키1,480표4위
0.89%낙선
유효표 수151,755표투표율
70.81%
선거인 수219,110인

이 선거에서 낙선한 자민당 아카이케 후보는 이후 제23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서 비례대표 후보로 입후보 하여 당선, 현재는 참의원 재선 의원이 되었다.


4.6.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야마나시현 제1구
고후시, 엔잔시, 야마나시시, 코슈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미야가와 노리코54,930표1위
[3]43.56%당선
파일:일본유신회(2012년) 심볼.png오자와 사키히토34,414표2위
[4]27.29%비례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사이토 츠요시26,070표3위
[5]20.67%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우에무라 미치타카10,694표4위
8.48%낙선
유효표 수126,108표투표율
60.26%
선거인 수217,046인


4.7.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야마나시현 제1구
고후시, 니라사키시, 미나미알프스시, 호쿠토시, 카이시,
주오시, 니시야츠시로군, 미나미코마군, 나카코마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나카지마 가쓰히토102,111표1위
[6]43.96%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미야가와 노리코101,026표2위
[7]43.50%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엔도 아키코29,125표3위
12.54%낙선
유효표 수232,262표투표율
56.26%
선거인 수424,678인


4.8.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야마나시현 제1구
고후시, 니라사키시, 미나미알프스시, 호쿠토시, 카이시,
주오시, 니시야츠시로군, 미나미코마군, 나카코마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나카지마 가쓰히토107,007표1위
[8]44.34%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나카타니 신이치105,876표2위
[9]43.87%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미야우치 겐20,469표3위
8.83%낙선
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니시와키 아이7,119표4위
2.95%낙선
유효표 수241,322표투표율
57.50%
선거인 수430,155인


4.9.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야마나시현 제1구
고후시, 니라사키시, 미나미알프스시, 호쿠토시, 카이시,
주오시, 니시야츠시로군, 미나미코마군, 나카코마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나카타니 신이치125,325표1위
[10]50.46%당선
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나카지마 가쓰히토118,223표2위
[11]47.60%비례당선
파일:NHK수신료를 지불하지 않는 방법을 알리는 당 로고.svg헨미 노부유키4,826표3위
1.94%낙선
유효표 수248,374표투표율
59.49%
선거인 수424,441인

현역 입헌민주당 나카지마 가쓰히토 의원과 자민당 나카타니 신이치 의원이 재대결한다.

지난 두 번의 중원선 모두 1% 이내의 박빙승부로 나카지마 의원이 신승했기에, 이번에도 양당 모두 치열한 승부를 벌일 것으로 전망된다. NHK당도 후보를 공천했다.

야마나시현의 선거구가 3개에서 2개로 줄어들면서, 자민당 나카타니 의원과 미야가와 노리코 의원이 ‘코스타리카 방식’[12]에 따라 지역구 공천을 번갈아가며 받기로 되어있고, 이번 총선은 미야가와 의원의 차례였다. 하지만 미야가와 의원은 2019년 9월 12일, 40세의 젊은 나이에 유방암 투병 중 별세했다. 그래서 이번 선거에도 나카타니 의원이 다시 공천을 받았다.

개표 결과, 이번에도 근소한 승부가 펼쳐졌지만 순위는 바뀌었다. 자민당 나카타니 신이치 후보가 신승하며 7년만에 지역구를 탈환했다. 자민당은 야마나시현 지역구 2개를 모두 탈환하며, 작년 야마나시현지사 선거에서 승리했을때의 기세를 이어갔다.


4.10.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5선에 도전하는 자민당 나카타니 신이치 의원과 역시 5선에 도전하는 입헌민주당 나카지마 가쓰히토 의원의 재대결이 예상된다.

참정당은 나카자와 오사무 후보를 공천했다.

[1] 이후 제18대 야마나시현지사를 역임했다.[2] 추천[3] 추천[4] 추천[5] 추천[6] 야마나시현 연합 지지[7] 추천[8] , 야마나시현 연합 추천[9] 추천[10] 추천[11] 야마나시현 연합 추천[12] 한 정당이 특정 지역구에 두 명의 후보를 선거 때마다 한 명씩 번갈아가면서 공천하는 방식이다. 쉽게 설명하자면 홀수번째 선거에서 지역구에 A후보, 비례대표에 B후보를 공천하면, 짝수번째 선거에서는 반대로 지역구에 B후보를 공천하고, A후보를 비례대표로 공천하고 이를 선거 때마다 계속 반복하는 방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