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치바현 제7구

덤프버전 :


미나미칸토 지방 국회의원
치바현, 가나가와현, 야마나시현
[ 중의원 의원 ]

치바 1구치바 2구치바 3구치바 4구치바 5구
다지마 가나메고바야시 다카유키마쓰노 히로카즈노다 요시히코에리 아르피야
치바 6구치바 7구치바 8구치바 9구치바 10구
와타나베 히로미치사이토 겐혼조 사토시오쿠노 소이치로하야시 모토오
치바 11구치바 12구치바 13구치바 14구가나가와 1구
모리 에이스케하마다 야스카즈마츠모토 히사시공석1시노하라 고
가나가와 2구가나가와 3구가나가와 4구가나가와 5구가나가와 6구
스가 요시히데나카니시 겐지와세다 유키사카이 마나부후루카와 나오키
가나가와 7구가나가와 8구가나가와 9구가나가와 10구가나가와 11구
스즈키 게이스케에다 겐지류 히로후미다나카 가즈노리고이즈미 신지로
가나가와 12구가나가와 13구가나가와 14구가나가와 15구가나가와 16구
아베 도모코후토리 히데시아카마 지로고노 다로고토 유이치
가나가와 17구가나가와 18구가나가와 19구가나가와 20구야마나시 1구
마키시마 카렌야마기와 다이시로공석1공석1나카타니 신이치
야마나시 2구
호리우치 노리코
비례 1비례 2비례 3비례 4비례 5
호시노 츠요시나카타니 카즈마아마리 아키라카네무라 류나아키모토 마사토시
비례 6비례 7비례 8비례 9비례 10
후루야 노리코야타가와 하지메미타니 히데히로아오야기 요이치로시이 카즈오
비례 11비례 12비례 13비례 14비례 15
요시이에 히로유키후지마키 켄타나카야마 노리히로츠노다 히데오나카지마 카즈히토
비례 16비례 17비례 18비례 19비례 20
스즈키 아츠시카도야마 히로유키야마자키 마코토야마모토 토모히로타카야 료
비례 21비례 22
아사카와 요시하루사쿠라다 요시타카
일본 공산당의 당색은 #db001c이나, 자민당과의 구별을 위해 #9f001c로 표기함.
[1] 2022년에 공직선거법 개정안이 통과되어 신설된 지역구임.

{{{-1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선거구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치바현 제7구
千葉県第7区
||
파일:shuinsen_Chiba7.svg
선거인 수294,531명 (2022)
상위 도도부현치바현
하위 행정구역노다시, 나가레야마시
국회의원

사이토 겐




1. 개요[편집]


치바현노다시, 나가레야마시를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자유민주당 소속 사이토 겐.


2. 상세[편집]


도쿄의 베드타운 지역이다. 자민당과 민주당의 경합 지역이었으나, 현재는 자민당이 강세를 보이고 있는 곳이다.

지역구 출범 초기에는, 주식회사 '마쓰모토기요시'의 본사가 위치해 있는 점 때문에 마쓰모토기요시의 회장인 마쓰모토 가즈나와 그의 아들인 마쓰모토 가즈미가 중의원으로 당선되었던 세습 선거구이기도 했다. 그러나 마쓰모토 가즈미 전 의원은 도중 뇌물을 받아 의원직을 상실했다.

현직 국회의원인 사이토 겐은 아베 내각에서 농림수산대신을 역임했다. 그러나 이시바 시게루의 계파인 수월회에 속해있던지라 오랫동안 장관직을 수행하지는 못했다. 이후 제2차 기시다 제1차 개조내각에서 법무대신으로 다시 입각했다.


3. 역대 국회의원[편집]




4. 역대 선거 결과[편집]



4.1.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치바현 제7구
마츠도시 일부, 노다시, 나가레야마시,
히가시카쓰시카군 일부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마쓰모토 가즈나71,306표1위


36.38%당선
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미야모토 에츠로53,484표2위


27.29%낙선
파일:민주당(일본 1996년) 로고.svg유아사 가즈코41,980표3위


21.42%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와카오지 히로오26,242표4위


13.39%낙선
파일:덕주회.png이마이즈미 사토루2,968표5위

자유연합

1.51%낙선
유효표 수195,980표투표율
선거인 수


4.2.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치바현 제7구
마츠도시 일부, 노다시, 나가레야마시,
히가시카쓰시카군 일부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마쓰모토 가즈나81,252표1위


38.78%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우치야마 아키라62,292표2위


29.73%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세노오 나나에31,930표3위


15.24%낙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기타즈미 토라오24,432표4위


11.66%낙선
파일:덕주회.png미즈미 가즈오9,637표5위

자유연합

4.60%낙선
유효표 수209,543표투표율
59.10%
선거인 수373,320인


4.3.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치바현 제7구
마츠도시 일부, 노다시, 나가레야마시,
히가시카쓰시카군 일부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우치야마 아키라96,915표1위


48.03%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마쓰모토 가즈미83,899표2위


41.58%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와타나베 다카오16,481표3위


8.17%낙선
미야오카 신이치로4,485표4위
2.22%낙선
유효표 수201,780표투표율
55.61%
선거인 수382,440인


4.4.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치바현 제7구
마츠도시 일부, 노다시, 나가레야마시,
히가시카쓰시카군 일부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마쓰모토 가즈미118,801표1위
49.07%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우치야마 아키라104,630표2위
43.22%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토쿠마스 기요코18,658표3위
7.71%낙선
유효표 수242,089표투표율
64.75%
선거인 수384,718인


4.5.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보궐선거[편집]


치바현 제7구
마츠도시 일부, 노다시, 나가레야마시,
히가시카쓰시카군 일부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오타 가즈미 87,046표1위
45.91%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사이토 겐86,091표2위
45.40%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토쿠마스 기요코14,274표3위
7.53%낙선
미야오카 신이치로1,530표4위
0.81%낙선
고바야시 스도쿠681표5위
0.36%낙선
유효표 수189,622표투표율
선거인 수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당선된 마츠모토 가즈미 의원이 1년만에 수뢰 혐의로 사직하는 바람에 2006년 4월에 선거가 열리게 되었다.

민주당에서는 2005년 치바현의회 보궐선거에서 당선된 오타 가즈미를 후보로 공천하고 선거를 준비하게 된다.

자민당에서는 나가레야마시 출신이자 우에다 기요시 사이타마현자사와 부지사로 합을 맞추었던 사이토 겐을 후보로 공천하고 선거에 박차를 가하게 된다.

투표함을 열어보니 자민당의 사이토 겐 후보도 상당한 득표율을 올렸으나 민주당이 공천하고 지원한 여성 후보인 오타 가즈미의 득표수가 990여표 차로 근소하게 많았다.

4.6.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치바현 제7구
마츠도시 일부, 노다시, 나가레야마시,
히가시카쓰시카군 일부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우치야마 아키라125,647표1위
49.05%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사이토 겐104,262표2위
40.71%비례당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우에다 게이코23,086표3위
9.01%낙선
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마키노 마사히코3,140표4위
1.23%낙선
유효표 수256,135표투표율
66.00%
선거인 수396,926인


4.7.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치바현 제7구
마츠도시 일부, 노다시, 나가레야마시,
히가시카쓰시카군 일부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사이토 겐104,839표1위
[1]45.81%당선
파일:일본유신회(2012년) 심볼.png하야시 치카츠29,665표2위
12.96%낙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나카자와 겐28,970표3위
12.66%낙선
파일:일본 미래당 로고.png우치야마 아키라24,216표4위
[2]10.58%낙선
파일:다함께당 로고.png이시즈카 사다미치22,999표5위
10.05%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와타나베 다카오12,080표6위
5.28%낙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무라카미 카츠코6,096표7위
2.66%낙선
유효표 수228,865표투표율
58.54%
선거인 수401,267인


4.8.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치바현 제7구
마츠도시 일부, 노다시, 나가레야마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사이토 겐111,030표1위
[3]55.05%당선
파일:유신당 로고.png이시즈카 사다미치48,651표2위
24.12%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와타나베 다카오27,306표3위
13.54%낙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아베 하루마사14,718표4위
7.30%낙선
유효표 수201,705표투표율
51.41%
선거인 수403,843인


4.9.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치바현 제7구
마츠도시 일부, 노다시, 나가레야마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사이토 겐115,731표1위
[4]54.53%당선
파일:입헌민주당(2017년) 로고 하얀색.svg이시즈카 사다미치51,776표2위
24.40%낙선
파일:희망의당(2017년) 로고 하얀색.svg하타노 리나29,706표3위
14.00%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와타나베 다카오15,025표4위
7.08%낙선
유효표 수212,238표투표율
51.42%
선거인 수421,071인


4.10.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치바현 제7구
마츠도시 일부, 노다시, 나가레야마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사이토 겐127,548표1위
[5]54.99%당선
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다케우치 치하루71,048표2위
30.63%낙선
파일:일본유신회 로고만.svg우치야마 아키라28,594표3위
12.33%낙선
파일:NHK수신료를 지불하지 않는 방법을 알리는 당 로고.svg와타나베 구니히로4,749표4위
2.05%낙선
유효표 수231,939표투표율
54.54%
선거인 수434,040인

현역 자민당 사이토 겐 의원이 재출마한다.

입헌민주당에서는 다케우치 치하루 변호사를 공천했다. 지난 중원선에서 후보를 내지 않은 공산당도 일단 치바 13구에서 출마했던 사이토 가즈코 전 의원을 이 선거구로 옮겨 공천했다. 최종적으로 입헌민주당 다케우치 치하루 후보가 입헌민주당-공산당의 야권단일후보로 선정되었고, 사이토 전 의원은 비례대표로 출마한다.

일본 유신회는 이 선거구에서 민주당 후보로 당선되었던 우치야마 아키라 전 의원을 공천했다. 한때 입헌민주당 오카야마 3구 지부장을 맡았으나, 탈당하고 타 정당 소속이 되어 본인의 원래 선거구로 되돌아왔다. NHK당도 후보를 공천했다.

개표 결과, 자민당 사이토 겐 후보가 압승했다.


4.11.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선거구 개편 결과 마츠도시 지역을 모두 6구로 넘기면서 노다시와 나카레야마시만 관할하게 되었다.

자민당 현직 사이토 겐 의원의 6선 도전이 예상된다.

야권에서는 국민민주당에서 후보를 가장 먼저 확정했다. 전기회사에서 설계자로 근무하는 직장인인 히라도 고타 후보가 내정되었다.



[1] 추천[2] 추천[3] 추천[4] 추천[5]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