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김영구(1940)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제1무임소장관 (1975~1981)
초대
이병희
제2대
신형식
제3대
장경순
제4대
김용태
제5대
김좌겸
제6대
최광수
정무제1장관 (1981~1998)
초대
정종택
제2대
오세응
제3대
이태섭
제4대
정재철
제5대
조기상
제6대
이종률
제7대
김윤환
제8대
이종찬
제9대
정종택
제10대
박철언
제11대
김윤환
제12대
김동영
제13대
최형우
제14대
김용채
제15대
김종호
제16대
김동익
제17대
김덕룡
제18대
서청원
제19대
김윤환
제20대
김영구
1998년 내무부, 총무처와 통합
제21대
주돈식
제22대
김덕룡
제23대
신경식
제24대
홍사덕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파일:국민의힘 흰색 아이콘.svg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상임고문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color=#181818,#ddd><tablebgcolor=#fff,#1f2023> 강재섭 || 권철현 || 권해옥 || 김동욱 ||
|| 김무성 || 김수한 || 김영구 || 김용갑 ||
|| 김종하 || 나오연 || 류준상 || 목요상 ||
|| 문희 || 박관용 || 박헌기 || 서정화 ||
|| 신경식 || 신영균 || 안상수 || 유흥수 ||
|| 이상배 || 이연숙 || 이윤성 || 이재오 ||
|| 이해구 || 정갑윤 || 정의화 || 정재문 ||
|| 최병국 || 하순봉 || 황우여 ||




파일:민주자유당 심볼.svg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원내총무 파일:민주자유당 심볼2.svg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373A3C,#DDD><width=20%> 초대
김동영 ||<width=20%> 제2대
김윤환 ||<width=20%> 제3대
김종호 ||<width=20%> 제4대
이자헌 ||<width=20%> 제5대
김용태 ||
||<width=20%> 제6대
김영구 ||<width=20%> 제7대
이한동 ||<width=20%> 제8대
현경대 ||<width=20%> 제9대
서정화 ||
||<-5><bgcolor=#ffffff,#1f2023> ||




파일:민주자유당 심볼.svg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사무총장 파일:민주자유당 심볼2.svg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373A3C,#DDD><width=20%> 초대
박준병 ||<width=20%> 제2대
정순덕 ||<width=20%> 제3대
김윤환 ||<width=20%> 제4대
이춘구 ||<width=20%> 제5대
김영구 ||
||<width=20%> 제6대
최형우 ||<width=20%> 제7대
황명수 ||<width=20%> 제8대
문정수 ||<width=20%> 제9대
김덕룡 ||<width=20%> 제10대
김윤환 ||
||<width=20%> 제11대
강삼재 ||
||<-5><bgcolor=#ffffff,#1f2023> ||




[ 펼치기 · 접기 ]

직위명단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장관 부총리 겸 재정경제원장관이경식정재석홍재형나웅배한승수강경식임창열
부총리 겸 통일원장관한완상이영덕이홍구김덕나웅배권오기
외무부장관한승주공로명유종하
내무부장관이해구최형우김용태김우석서정화강운태조해녕
재무부장관홍재형박재윤
법무부장관박희태김두희안우만최상엽김종구
국방부장관권영해이병태이양호김동진
교육부장관오병문김숙희박영식안병영이명현
문화체육부장관이민섭주돈식김영수송태호
농림부장관허신행김양배최인기강운태정시채이효계
상공자원부장관 → 통상산업부장관김철수박재윤안광구임창열정해주
건설부장관허재영고병우김우석
정보통신부장관윤동윤경상현이석채강봉균
환경부장관황산성박윤흔김중위정종택강현욱윤여준
보건사회부장관 → 보건복지부장관박양실송정숙서상목이성호김양배손학규최광
노동부장관이인제남재희이형구진념이기호
건설교통부장관이계익정재석오명추경석이환균
해양수산부장관신상우조정제
정무제1장관김덕룡서청원김윤환김영구주돈식김덕룡신경식홍사덕
정무제2장관권영자김장숙김윤덕이연숙
총무처장관최창윤황영하서석재김기재조해녕김한규심우영
과학기술처장관김시중정근모구본영김용진권숙일
공보처장관오인환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 재무위원장
제13대 전반기
정순덕
제13대 후반기
김영구
제14대 전반기
노인환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 운영위원장
제14대 전반기
김용태
제14대 전반기
김영구
제14대 전반기
이한동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 국방위원장
제14대 후반기
황명수
제15대 전반기
김영구
제15대 후반기
한영수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서울 동대문구 을)
선거구 분리
송원영[A]
권영우[A]
제13-16대
김영구
[1]
제16-18대
홍준표

[A] A B 서울특별시 제4선거구(동대문구)의 제12대 국회의원이다.[1] 대법원 선거무효 판결로 의원직 상실

대한민국 제20대 정무 제1장관
{{{+1
김영구}}}
金榮龜 | Kim Young-koo
파일:김영구 전 국회의원.jpg
출생1940년 1월 12일 (84세)
경상남도 함양군
본관김해 김씨
현직국민의힘 상임고문
재임기간제20대 정무 제1장관
1995년 7월 4일 ~ 1995년 12월 20일
[ 펼치기 · 접기 ]

배우자오경자
자녀1남 2녀
학력부민국민학교 (졸업)
경기중학교 (졸업)
경기상업고등학교 (졸업)
동국대학교 (경제학 / 학사)
동국대학교 (행정학 / 석사)
병역대한민국 육군 이병 전역
종교개신교
소속 정당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의원 선수6
의원 대수11, 12, 13, 14, 15, 16[1]
약력민주정의당 창당발기인
민주정의당 청년분과위원장
제11대 국회의원 (전국구 / 민주정의당)
제12대 국회의원 (전국구 / 민주정의당)
민주정의당 원내부총무
민주정의당 총재비서실장
제13대 국회의원 (서울 동대문구 을 / 민주정의당)
제13대 국회 후반기 재무위원회 위원장
민주자유당 사무총장
제14대 국회의원 (서울 동대문구 을 / 민주자유당)
제14대 국회 전반기 국회운영위원회 위원장
민주자유당 원내총무
제20대 정무 제1장관
제15대 국회의원 (서울 동대문구 을 / 신한국당)
제15대 국회 전반기 국방위원회 위원장
한나라당 부총재
제16대 국회의원 (서울 동대문구 을 / 한나라당)
새누리당 상임고문
자유한국당 상임고문
미래통합당 상임고문
국민의힘 상임고문

[1] 2001년 6월 8일, 대법원 선거무효 판결로 의원직 상실

1. 개요
2. 생애
3. 선거 이력
4. 소속 정당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정치인.


2. 생애[편집]


1940년 경상남도 함양군에서 태어났다. 경기상업고등학교, 동국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민주공화당에서 청년분과위원장을 역임하였다.

1980년 민주정의당 창당에 참여하였다. 1981년 제11대 국회의원 선거,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모두 민주정의당 전국구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1988년 3월 대통령노태우 민주정의당 총재비서실장에 임명되었다. 같은 해 치러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을 선거구에 출마하여 평화민주당 고광진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1990년부터 1992년까지 대한민국 국회 재무위원장을 역임하였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자유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95년 7월부터 같은 해 12월까지 정무제1장관을 역임하였다. 같은 해부터 1993년까지 민주자유당 사무총장을, 1993년부터 1994년까지 민주자유당 원내총무를 역임하였다.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한국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같은 해부터 1998년까지 대한민국 국회 국방위원장을 역임하였다. 1998년 한나라당 부총재에 임명되었다.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같은 선거구에 한나라당 후보로 출마하여 당선되었으나 일부 유권자들의 위장전입으로 당락이 바뀔 수 있어 이듬해인 2001년 대법원에서 선거 무효 판결을 받았다. 이로 인하여 치러진 재보궐선거에서는 한나라당 홍준표 후보가 당선되었다.[1]

이후 한나라당, 새누리당, 자유한국당, 미래통합당 상임고문을 역임하였다.


3.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1981제11대 국회의원 선거전국구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5,776,624 (35.6%)당선 (57번)초선
1985제12대 국회의원 선거7,040,477 (35.2%)당선 (33번)재선
1988제13대 국회의원 선거서울 동대문 을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34,821 (30.37%)당선 (1위)3선
1992제14대 국회의원 선거
ta-hash-start=w-7efc340022f6ae32107fe1205181f9c2[[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49,700 (44.01%)4선
1996제15대 국회의원 선거
ta-hash-start=w-e92b755eb0d8800175a02a35c2bf44fe[[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37,871 (41.94%)5선
2000제16대 국회의원 선거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34,796 (45.06%)6선[2]


4. 소속 정당[편집]


소속기간비고

ta-hash-start=w-3de2f5d6b216073b662a9e202fb4b556[[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1966 - 1980정계 입문

무소속

1980 - 1981정당 해산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1981 - 1990창당

ta-hash-start=w-cf40fdd845e53713e03be2e2cc789646[[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1990 - 1995합당[3]

ta-hash-start=w-e06cbd0d4e0af26cbb2b6257cfeae101[[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1995 - 1997당명 변경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1997 - 2012합당[4]
정계 은퇴

ta-hash-start=w-68423280f2b5f62c2493f14424b06561[[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2 - 2017당명 변경

ta-hash-start=w-d3cff5ee422bc11366792285cd0b6b93[[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7 - 2020당명 변경

ta-hash-start=w-60e6ecda2f69cba0035c7d675fdd9c7c[[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2020합당[5]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020 -당명 변경


5. 둘러보기[편집]


파일:민주정의당 심볼.svg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제11대 국회 전국구
[ 펼치기 · 접기 ]

이재형나길조김종경[A]이용훈김기철송지영[B]
정희택박동진정원민김정호윤석순김종호
최상업황병준류근환김용수박태준박경석
이우재[B]이춘구김현자정순덕[B]배성동김사용
이건호신상초오제도김윤환정희채김춘수
박현태이양우박종관고귀남나웅배[B]김집
지갑종허청일이상선손춘호정시채안교덕
최낙철김모임이헌기[B]이윤자이민섭이영희
김종인박원탁이상희이영일이경숙조남조
김행자[A]이낙훈김영구황설하순봉곽정현
전병우정창화[C]문용주[C]김유상[C]장경우[C]류수환[C]
김지호[C]이성재[1]강창희[C]이성배[C]
[A] A B 임기 중 사망.[B] A B C D E 임기 중 사퇴.[C] A B C D E F G H 승계.[1] 승계 전 사퇴.



파일:민주정의당 심볼.svg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제12대 국회 전국구
[ 펼치기 · 접기 ]

이재형진의종노태우[B]왕상은유학성이상재
서정화박종문강경식황인성[B]박동진[B]이용훈
나웅배[B]조일문권중동이성열김현자배성동
현홍주이영욱김영작[B]조상현김영정안갑준
김성기[B]조종호이상희류근환한양순홍종욱
정창화김종인김영구최병렬강용식송용식
지연태임두빈정현경진치범최영덕임영득
김집지갑종최명헌이종률[B]조경목김형효
김학준[B]서정화김두종양경자문희갑[B]김양배[B]
정휘동김장숙박혜경[B]이철우안영화최상진
이성호이진[C]정호근[C]김중위[C]박성태[C]김정균[C]
김태수[C]홍희표[C]김문기[C]정동윤[C]심국무[C]김종열[C]
[B] A B C D E F G H I J K 임기 중 사퇴.[C] A B C D E F G H I J K 승계.








[1] 선거무효가 되긴했지만 김영구 의원 본인의 공직선거법, 정치자금법 위반 등의 법률위반이 있지 않았고, 김영구 의원 측 선거캠프 관계자 일부가 위장전입을 했던 것이 문제가 되었던 것이기 때문에 재출마가 가능했었다. 심지어 16대 총선 당시 새천년민주당 측 후보였던 허인회 후보 역시 캠프 관계자들의 위장전입이 있었던 것으로 밝혀졌으나 재보궐선거에 후보로 등록한 상태였고 두 후보의 리턴 매치가 유력시 되었으나 후보 본인이 재판과정에서의 스트레스로 피로가 극심한 상태였고 가족들의 반대의사가 확고하다는 이유로 그대로 불출마 선언 후 정계은퇴를 선언했다. 이후 해당 선거구에는 송파구 갑에서 국회의원을 지냈던 홍준표가 한나라당 후보로 출마하여 당선, 18대 국회 때까지 3선, 홍준표 개인으로는 4선 고지에 올랐다.[2] 2001. 6. 8. 일부 유권자들의 위장전입으로 선거무효. 당선자 본인에게 귀책사유가 있는 게 아니라서 김영구나 상대 후보였던 허인회의 피선거권은 박탈되지 않았으나, 해당 선거에서의 1, 2위간 표차가 겨우 11표라 위장전입 인구에 의해 충분히 당락이 바뀔 수 있는 상황이었기에 선거 자체가 무효화되었다.[3] 통일민주당, 신민주공화당과 신설 합당, 이른바 3당 합당[4] 통합민주당과 신설 합당[5] 새로운보수당, 미래를향한전진4.0과 신설 합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