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병석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농구인에 대한 내용은 이병석(농구) 문서
이병석(농구)번 문단을
이병석(농구)#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경북 포항시 북구)
제15대
박태준
제16-19대
이병석
제20-21대
김정재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 국토해양위원장
제17대 후반기
조일현
제18대 전반기
이병석
제18대 후반기
송광호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장
제19대 전반기
주호영
제19대 후반기
이병석
제20대 전반기
원혜영

[ 펼치기 · 접기 ]

초대제2대제3대제4대
서상국김동성임병직서민호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이홍직서민호선우인서전의용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김종락임광정최인철김종락
제13대제14대제15대제16대
최인철이현태정몽윤고익동
제17·18대제19대제20대제21대
이내흔민경훈강승규이병석
제22대제23대
박상희김응용이종훈




대한민국 제19대 전반기 국회부의장
이병석
李秉錫 | Lee Byung-suk
파일:이병석 국회부의장.jpg
출생1952년 10월 28일 (71세)
경상북도 영일군 곡강면 용전동[1]
(現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흥해읍 용전리)
본관영천 이씨
재임기간제19대 전반기 국회부의장
2012년 7월 1일 ~ 2014년 5월 29일
[ 펼치기 · 접기 ]

배우자신은희
자녀2남
학력동지상업고등학교 (졸업)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중어중문학 / 학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정치외교학 / 석사[1]·박사[2])
병역대한민국 육군 병장 만기전역[3]
종교개신교(장로교)[4]
소속 정당
무소속

의원 선수4
의원 대수16, 17, 18, 19
약력대통령비서실 정무비서관
제16~19대 국회의원 (경북 포항시 북구)
제19대 전반기 국회부의장

[1] 석사 학위 논문 : 權威主義政黨體系의 民主化 發展樣態에 關한 比較硏究 : 멕시코의 PRI와 터어키의 RPP를 中心으로(권위주의정당체계의 민주화 발전양태에 관한 비교연구 : 멕시코의 PRI와 터어키의 RPP를 중심으로).[2] 박사 학위 논문 : 土地改革과 政黨의 制度化 : 멕시코 PRI와 터어키 RPP의 土地改革政策을 中心으로(토지개혁과 정당의 제도화 : 멕시코 PRI와 터어키 RPP의 토지개혁정책을 중심으로).[3] 아들들은 둘 다 대한민국 해군 병장 만기전역으로, 셋 다 병역은 전혀 문제가 없다.[4] 현재 예장통합 소속의 포항 기쁨의교회 장로이다.
1. 개요
2. 생애
3. 선거 이력
4. 소속 정당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정치인.


2. 생애[편집]


1952년 10월 28일, 경상북도 영일군 곡강면 용전동(현 포항시 북구 흥해읍 용전리)에서 태어났다. 동지상업고등학교고려대학교 문과대학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1982년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비교정치 전공으로 정치외교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1987년 동 대학원에서 정치외교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및 법과대학 강사, 미국 인디애나 대학교 객원교수 등을 역임하였다.

1994년부터 1996년까지 청와대 대통령비서실 정무비서관을 역임하였다. 1997년, 허화평의 국회의원직 상실로 치러진 재보궐선거에서 신한국당 후보로 출마하였으나, 무소속 박태준 후보와 통합민주당 이기택 후보에 밀려 3위로 낙선하였다.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면서 처음으로 국회에 발을 들였다.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면서 재선에 성공하였다. 이후 친이 정치인으로서 2007년 제17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치러진 한나라당의 대통령 후보 선출 전당대회에서 이명박 후보를 지지하였다.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면서 3선 국회의원이 됐다. 2008년부터 2010년까지 국회 국토해양위원장을 역임하였다.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누리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같은 해부터 2014년까지 제19대 국회 전반기 국회부의장을 역임하였다.


2013년 2월에는 국회의장 직무대리로 본회의를 진행하던 도중 동남 방언 특유의 발음으로 본회의장을 웃음바다로 만들었는데, 덕분에 그 동안 치열하게 치고 받던 여야가 모처럼 위 아 더 월드를 이루기도. 사실 맨 처음에 쌀 소득을 살 소득으로 읽을 때까지만 해도 이병석 부의장은 엄근진 모드를 유지했지만 주변에서 웃기 시작하자 정작 본인도 웃음을 참지 못했다. 심지어 소 싸움을 소 사움으로 읽고 나서 본인이 빵 터지는가 하면 아예 "난 죽을 때까지 그 발음을 구분할 수 없다."라고 자폭하는 건 덤. 거기다가 홍문표 의원이 소싸움과 쌀소득 발음을 제대로 하는 것을 보고 어이없는 표정이 압권.

허나 이런 훈훈한 일화도 얼마 못 가 포스코 비리 연루 의혹을 받으면서 빛이 바랬다. 결국 2016년 1월 25일 검찰청에 의해 체포 영장이 발부되었으며, 1주일 뒤인 2016년 2월 1일,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불출마를 선언하였다. 그리고 포스코 관련 비리 때문에 새누리당이 인명진 비대위체제로 넘어간 뒤 2017년 1월 18일에 당에서 제명되었다[2]. 제명 이후 포스코 비리에 대한 혐의에 대해 징역 1년이 확정되었다. 2017년 12월 8일 만기출소했다.

2022년 윤석열 정부 특별사면으로 복권되었다.

3.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19977월 재보궐선거
(국회의원)
경북 포항 북
ta-hash-start=w-2288b8059049b9bde180930a813c0748[[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17,801 (17.66%)낙선 (3위)
2000제16대 국회의원 선거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67,251 (63.54%)당선 (1위)초선
2004제17대 국회의원 선거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60,580 (55.29%)재선
2008제18대 국회의원 선거60,610 (62.64%)3선
2012제19대 국회의원 선거
ta-hash-start=w-b948e956cdb4dc29954c5a3d5e5d5309[[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74,924 (70.44%)4선[3]


4. 소속 정당[편집]


소속기간비고

ta-hash-start=w-2fbd7f8ed6ccc9d9c37c15e45b4600c0[[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1996 - 1997정계 입문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1997 - 2012합당[4]

ta-hash-start=w-46aac8e8ce9c68e9a1f4f5f56a5a3831[[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2 - 2017당명 변경

무소속

2017 -제명


5. 둘러보기[편집]










파일:새누리당 흰색 아이콘.svg

||





[1] #[2] 본인 외에도 박희태, 이한구, 현기환도 덤으로 제명되었다.[3] 전반기 국회부의장[4] 통합민주당과 신설 합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