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포뮬러 1/1990시즌

덤프버전 :




1. 1990년 그랑프리
1.1. 1990년 라인업
1.2. 1990년 캘린더
2. 경기 결과
2.1. 1전 미국 GP
2.2. 2전 브라질 GP
2.3. 3전 산 마리노 GP
2.4. 4전 모나코 GP
2.5. 5전 캐나다 GP
2.6. 6전 멕시코 GP
2.7. 7전 프랑스 GP
2.8. 8전 영국 GP
2.9. 9전 독일 GP
2.10. 10전 헝가리 GP
2.11. 11전 벨기에 GP
2.12. 12전 이탈리아 GP
2.13. 13전 포르투갈 GP
2.14. 14전 스페인 GP
2.15. 15전 일본 GP
2.16. 16전 호주 GP
3. 챔피언십 포인트 순위
3.1. 드라이버 포인트
3.2. 컨스트럭터 포인트


1. 1990년 그랑프리[편집]


1990년 포뮬러 원 시즌은 41번째 FIA 포뮬러 원 시즌이다. 이 시즌은 3월 11일 미국 그랑프리를 시작으로 11월 4일 호주 그랑프리 까지 총 16경기로 치러졌다. 이 시즌은 굿이어와 피렐리가 타이어를 공급하였다. 맥라렌-혼다가 팀의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우승을 거두었고, 아일톤 세나가 드라이버 챔피언십 우승을 차지하였다. 알랭 프로스트가 2위, 넬슨 피케가 3위를 차지했다.

1.1. 1990년 라인업[편집]


  • 시즌 개막일 기준.
  • 굵은 글씨는 소속을 옮긴 드라이버 또는 신인 드라이버

엔트리팀 로고팀 국적섀시
(파워유닛)
드라이버
번호국적이름
1파일:Scuderia Ferrari 1996 logo.png
스쿠데리아 페라리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641
(Ferrari 036 3.5 V12)
1파일:프랑스 국기.svg알랭 프로스트
2파일:영국 국기.svg나이젤 만셀
2파일:ECC3FA80-D61C-4F17-80B9-5E46D2A729B7.png
티렐 레이싱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018
(Ford Cosworth DFR 3.5 V8)
3파일:일본 국기.svg나카지마 사토루
4파일:프랑스 국기.svg장 알레시
3파일:Canon Williams logo.png
캐논 윌리엄스 팀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FW13B
(Renault RS2 3.5 V10)
5파일:벨기에 국기.svg티에리 보우트센
6파일:이탈리아 국기.svg리카르도 파트레제
4파일:Brabham 1992 logo.png
모터 레이싱 디벨롭먼트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BT58
(Judd EV 3.5 V8)
7파일:스위스 국기.svg그레고르 포이텍
8파일:이탈리아 국기.svg스테파노 모데나
5파일:Footwork Arrows logo.png
풋워크 애로우즈 레이싱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A11
(Ford Cosworth DFR 3.5 V8)
9파일:이탈리아 국기.svg미셸 알보레토
10파일:독일 국기.svg베른트 슈나이더
6파일:Camel Team Lotus logo.jpg
카멜 팀 로터스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102
(Lamborghini 3512 3.5 V12)
11파일:영국 국기.svg데릭 워윅
12파일:영국 국기.svg마틴 도넬리
7파일:Osella F1 logo.png
오셀라 스콰드라 코르세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FA1M
(Ford Cosworth DFR 3.5 V8)
14파일:프랑스 국기.svg올리비에 그루야드
8파일:Leyton House Racing logo.png
레이튼 하우스 레이싱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CG901
(Judd EV 3.5 V8)
15파일:브라질 국기.svg마우리시오 구겔민
16파일:이탈리아 국기.svg이반 카펠리
9파일:AGS logo.png
오토모빌 곤파로네즈 스포티브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JH24
(Ford Cosworth DFR 3.5 V8)
17파일:이탈리아 국기.svg가브리엘 타퀴니
18파일:프랑스 국기.svg야닉 달마스
10파일:Benetton Formula logo.gif
베네통 포뮬러 Ltd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B189B
(Ford HBA4 3.5 V8)
19파일:이탈리아 국기.svg알레산드로 난니니
20파일:브라질 국기.svg넬슨 피케
11파일:Dallara logo.png
스쿠데리아 이탈리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F190
(Ford Cosworth DFR 3.5 V8)
21파일:이탈리아 국기.svg지안니 모비델리
22파일:이탈리아 국기.svg안드레아 드 체사리스
12파일:Minardi 1997 logo.png
SCM 미나르디 팀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M189
(Ford Cosworth DFR 3.5 V8)
23파일:이탈리아 국기.svg피에르루이지 마티니
24파일:이탈리아 국기.svg파올로 바릴라
13파일:Equipe Ligier logo.jpg
에퀴페 리지에 지탄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JS33B
(Ford Cosworth DFR 3.5 V8)
25파일:이탈리아 국기.svg니콜라 라리니
26파일:프랑스 국기.svg필리페 앨리엇
14파일:Marlboro Team McLaren logo.png
혼다 말보로 맥라렌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MP4/5B
(Honda RA109E 3.5 V10)
27파일:브라질 국기.svg아일톤 세나
28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게르하르트 베르거
15파일:Larrousse F1 logo.png
에스포 라루세 F1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LC89B
(Lamborghini 3512 3.5 V12)
29파일:프랑스 국기.svg에릭 베르나르
30파일:일본 국기.svg스즈키 아구리
16파일:Coloni Racing logo.svg
스바루 콜로니 레이싱[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C3B
(Subaru 1235 3.5 F12)
31파일:벨기에 국기.svg버트란드 가슈
17파일:Eurobrun Racing logo.jpg
유로브런 레이싱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ER189B
(Judd CV 3.5 V8)
33파일:브라질 국기.svg로베르토 모레노
34파일:이탈리아 국기.svg클라우디오 랜지스
18파일:Onyx f1 logo.png
몬테베르디 오닉스 포뮬러 원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ORE-1
(Ford Cosworth DFR 3.5 V8)
35파일:스웨덴 국기.svg스테판 요한손
36파일:핀란드 국기.svgJJ 레토
19파일:Life f1 logo.png
라이프 레이싱 엔진스[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L190
(Life F35 3.5 W12)
39파일:호주 국기.svg개리 브라밤

1.2. 1990년 캘린더[편집]



2. 경기 결과[편집]



2.1. 1전 미국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게르하르트 베르거 (맥라렌)1:28.664우승아일톤 세나 (맥라렌)1:52:32.829
P2피에르루이지 마티니 (미나르디)1:28.731 (+0.067s)2위장 알레시 (티렐)+ 8.685s
P3안드레아 드 체사리스 (달라라)1:29.019 (+0.355s)3위티에리 보우트센 (윌리엄스)+ 54.080s

패스티스트랩게르하르트 베르거 (맥라렌)1:31.050 (Lap 34)

혼돈의 개막전, 알레시의 가능성을 확인하다

개막전부터 혼돈이었다. 맥라렌의 게르하르트 베르거가 폴포지션을 차지한 가운데, 최하위권을 맴돌던 미나르디 팀의 피에르루이지 마티니와 달라라 소속의 체사리스가 앞그리드를 차지하였다. 이어 장 알레시가 4위를 차지한 채 레이스는 시작되었다.

장 알레시가 쾌조의 스타트로 베르거를 재치고 선두로 올라섰다. 2위로 처진 베르거는 다소 처지는 페이스와 함께 레이스 중반 클러치 문제로 리타이어한다. 아울러 프로스트와 만셀이 차량 문제로 리타이어하는 등 상위권 선수들이 일찍 레이스를 접어 알레시를 포함한 중위권 선수들은 높은 순위를 노릴 수 있는 기회를 맞이하였다.

그러나 우승을 향해 질주하던 알레시는 당시 최고의 선수 아일톤 세나를 맞닥뜨리게 된다. 뒤에서 무서운 페이스로 격차를 좁혀오던 세나는 결국 알레시를 추월하는데, 알레시는 여타 선수와 달리 쉽사리 그를 보내주지 않고 지속적으로 쉽게 추월하지 못하도록 세나를 괴롭힌다. 다시 선두를 빼앗고 뺏기는 등의 눈치싸움이 계속되었지만, 승자는 아일톤 세나였다. 비록 알레시는 우승을 다음 기회로 바라보아야 했지만, F1 데뷔 첫 포디움임과 동시에 그가 F1 판에서 더 강해질 수 있음을 입증한 경기였다.[3]

2.2. 2전 브라질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아일톤 세나 (맥라렌)1:17.277우승알랭 프로스트 (페라리)1:37:21.258
P2게르하르트 베르거 (맥라렌)1:17.888 (+0.611s)2위게르하르트 베르거 (맥라렌)+ 13.564s
P3티에리 보우트센 (윌리엄스)1:18.150 (+0.873s)3위아일톤 세나 (맥라렌)+ 37.722s

패스티스트랩게르하르트 베르거 (맥라렌)1:19.899 (Lap 55)


2.3. 3전 산 마리노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아일톤 세나 (맥라렌)1:23.220우승리카르도 파트레제 (윌리엄스)1:30:55.478
P2게르하르트 베르거 (맥라렌)1:23.781 (+0.561s)2위게르하르트 베르거 (맥라렌)+ 5.117s
P3리카르도 파트레제 (윌리엄스)1:24.444 (+1.224s)3위알레산드로 난니니 (베네통)+ 6.240s

패스티스트랩알레산드로 난니니 (베네통)1:27.156 (Lap 60)


2.4. 4전 모나코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아일톤 세나 (맥라렌)1:21.314우승아일톤 세나 (맥라렌)1:52:46.982
P2알랭 프로스트 (페라리)1:21.776 (+0.462s)2위장 알레시 (티렐)+ 1.087s
P3장 알레시 (티렐)1:21.801 (+0.487s)3위게르하르트 베르거 (맥라렌)+ 2.073s

패스티스트랩아일톤 세나 (맥라렌)1:24.468 (Lap 59)


2.5. 5전 캐나다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게르하르트 베르거 (맥라렌)1:22.077우승아일톤 세나 (맥라렌)1:42:56.400
P2나이젤 만셀 (페라리)1:22.839 (+0.762s)2위넬슨 피케 (베네통)+ 10.497s
P3넬슨 피케 (베네통)1:22.854 (+0.777s)3위나이젤 만셀 (페라리)+ 13.385s

패스티스트랩게르하르트 베르거 (맥라렌)1:22.077 (Lap 70)


2.6. 6전 멕시코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게르하르트 베르거 (맥라렌)1:17.227우승알랭 프로스트 (페라리)1:32:35.783
P2리카르도 파트레제 (윌리엄스)1:17.498 (+0.271s)2위나이젤 만셀 (페라리)+ 25.351s
P3아일톤 세나 (맥라렌)1:17.670 (+0.443s)3위게르하르트 베르거 (맥라렌)+ 25.530s

패스티스트랩알랭 프로스트 (페라리)1:17.958 (Lap 58)

페라리 듀오의 짜릿한 역전승

페라리가 원투 피니쉬를 하였다. 13위에서 출발한 알랭 프로스트는 이번 시즌 세나와의 챔피언 경쟁을 위해 페라리 이적 후 힘을 쏟는 상황이었고, 이 경기에서 그 진가를 발휘한다. 차례차례 앞 차량들을 무섭게 추월하며 어느새 세나의 뒤인 2위 자리까지 올랐고, 타이어 펑처가 난 세나를 기어이 추월하며 우승을 차지한다. 아울러, 나이젤 만셀 역시 레이스 최후반부 게르하르트 베르거와의 경합에서 짜릿하게 승리하며 2위로 피니쉬한다.

2.7. 7전 프랑스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나이젤 만셀 (페라리)1:04.402우승알랭 프로스트 (페라리)1:33:29.606
P2게르하르트 베르거 (맥라렌)1:04.512 (+0.110s)2위이반 카펠리 (레이튼 하우스)+ 8.626s
P3아일톤 세나 (맥라렌)1:04.549 (+0.147s)3위아일톤 세나 (맥라렌)+ 11.606s

패스티스트랩나이젤 만셀 (페라리)1:08.012 (Lap 64)

백마커의 반란

만년 백마커였던 레이튼 하우스[4]의 이반 카펠리의 명경기였다. 직전 경기에선 예선 107% 기록을 초과하여 본선 레이스에 출전하지도 못했던 이반 카펠리는 7위에서 레이스를 시작하였고, 그는 레이튼 하우스 팀의 깜짝 놀랄만한 전략을 듣는다. 바로 타이어 교체 없이 끝까지 가는 전략이었다.[5] 당시 프랑스의 폴 리카르 서킷은 1.1km의 매우 짧은 서킷이었고, 레이튼 하우스의 정교한 공기역학은 이들이 타이어 관리와 페이스 조절이 다른 중위권 팀들에 비해 수월한 차량이었다. 카펠리와 그의 팀메이트 마우리시오 구겔민은 중반부에는 1,2위를 차지할 정도로 대이변을 만들 기세였다.

그러나 구겔민은 58랩 째에 엔진 문제로 리타이어하였고, 이제 카펠리만이 레이튼 하우스의 마지막 희망이었다. 레이스를 리드하던 카펠리는 조국에서 경기를 맞이한 페라리 소속의 알랭 프로스트를 맞닥뜨리고 있었다. 설상가상 3바퀴를 남겨 둔 77랩 째에 그의 엔진에 문제가 발생하였고, 속력이 급격히 저하되어 결국 프로스트에게 추월을 허용하고 말았다. 그럼에도, 레이튼 하우스와 자신의 F1 통산 마지막 포디움을 장식할 수 있는 명경기였다. 영국산 폭탄 저드 엔진이 야속하다

2.8. 8전 영국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나이젤 만셀 (페라리)1:07.428우승알랭 프로스트 (페라리)1:18:30.999
P2아일톤 세나 (맥라렌)1:08.071 (+0.643s)2위티에리 보우트센 (윌리엄스)+ 39.092s
P3게르하르트 베르거 (맥라렌)1:08.246 (+0.818s)3위아일톤 세나 (맥라렌)+ 43.088s

패스티스트랩나이젤 만셀 (페라리)1:11.291 (Lap 51)


2.9. 9전 독일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아일톤 세나 (맥라렌)1:40.198우승아일톤 세나 (맥라렌)1:20:47.164
P2게르하르트 베르거 (맥라렌)1:40.434 (+0.236s)2위알레산드로 난니니 (베네통)+ 6.520s
P3알랭 프로스트 (페라리)1:41.732 (+1.534s)3위게르하르트 베르거 (맥라렌)+ 8.553s

패스티스트랩티에리 보우트센 (윌리엄스)1:45.602 (Lap 31)


2.10. 10전 헝가리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티에리 보우트센 (윌리엄스)1:17.919우승리카르도 파트레제 (윌리엄스)1:49:30.597
P2리카르도 파트레제 (윌리엄스)1:17.955 (+0.036s)2위아일톤 세나 (맥라렌)+ 0.288s
P3게르하르트 베르거 (맥라렌)1:18.127 (+0.208s)3위넬슨 피케 (베네통)+ 27.893s

패스티스트랩리카르도 파트레제 (윌리엄스)1:22.058 (Lap 63)


2.11. 11전 벨기에 GP[편집]


예선 레이스
순위 드라이버기록순위 드라이버 기록
P1아일톤 세나 (맥라렌)1:50.365우승아일톤 세나 (맥라렌)1:26:31.997
P2게르하르트 베르거 (맥라렌)1:50.948 (+0.583s)2위알랭 프로스트 (페라리)+ 3.550s
P3알랭 프로스트 (페라리)1:51.043 (+0.678s)3위게르하르트 베르거 (맥라렌)+ 28.462s

패스티스트랩알랭 프로스트 (페라리)1:55.087 (Lap 38)


2.12. 12전 이탈리아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아일톤 세나 (맥라렌)1:22.533우승아일톤 세나 (맥라렌)1:17:57.878
P2알랭 프로스트 (페라리)1:22.935 (+0.402s)2위알랭 프로스트 (페라리)+ 6.054s
P3게르하르트 베르거 (맥라렌)1:22.936 (+0.403s)3위게르하르트 베르거 (맥라렌)+ 7.404s

패스티스트랩아일톤 세나 (맥라렌)1:26.254 (Lap 46)

2.13. 13전 포르투갈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나이젤 만셀 (페라리)1:13.557우승나이젤 만셀 (페라리)1:22:11.014
P2알랭 프로스트 (페라리)1:13.595 (+0.038s)2위아일톤 세나 (맥라렌)+ 2.808s
P3아일톤 세나 (맥라렌)1:13.601 (+0.044s)3위알랭 프로스트 (페라리)+ 4.189s

패스티스트랩리카르도 파트레제 (윌리엄스)1:18.306 (Lap 56)

2.14. 14전 스페인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아일톤 세나 (맥라렌)1:18.387우승알랭 프로스트 (페라리)1:48:01.461
P2알랭 프로스트 (페라리)1:18.824 (+0.437s)2위나이젤 만셀 (페라리)+ 22.064s
P3나이젤 만셀 (페라리)1:19.106 (+0.719s)3위알레산드로 난니니 (베네통)+ 34.874s

패스티스트랩리카르도 파트레제 (윌리엄스)1:24.513 (Lap 53)

2.15. 15전 일본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아일톤 세나 (맥라렌)1:36.996우승넬슨 피케 (베네통)1:34:36.824
P2알랭 프로스트 (페라리)1:37.228 (+0.232s)2위로베르토 모레노 (베네통)+ 7.223s
P3나이젤 만셀 (페라리)1:37.719 (+0.723s)3위스즈키 아구리 (롤라)+ 22.469s

패스티스트랩리카르도 파트레제 (윌리엄스)1:44.233 (Lap 40)

허무하게 끝난 챔피언십 경쟁, 세나의 챔피언 등극

일본 GP가 열리기 전, 베네통 소속의 알레산드로 난니니가 헬리콥터 사고로 남은 경기를 더 이상 치룰 수 없게 되었다. 이에 베네통은 그의 대타로 브라질 출신의 로베르토 모레노를 출전시킨다.

폴포지션은 아일톤 세나가 차지하였다. 그런데 문제는 폴포지션 자리가 바깥쪽 라인의 클린 사이드가 아닌 안쪽의 더티 사이드에 위치해 있었고, 세나는 이에 대하여 스튜어드들에게 항의를 한다. 당시 관계자들은 이러한 세나의 모습에 다소 의아하였다고 하는데, 세나가 1,2년 전 프로스트와 챔피언십 경쟁을 하고 있을 때에도 폴포지션의 자리는 똑같이 안쪽 더티 사이드에 위치하였는데 그 당시에는 아무런 항의가 없었기 때문이었다. 스튜어드들은 세나의 항의를 기각하고 레이스를 그대로 진행하기로 결정하였고, 다음날 일요일 아침이 밝게 된다.

세나의 항의가 이유가 있다는 것을 증명한 레이스 스타트였다. 더티 사이드에서 출발한 폴포지션 아일톤 세나는 2위 프로스트에게 허무하게 자리를 내주었다. 하지만 직후, 세나는 슬립스트림으로 프로스트의 옆으로 다가왔고, 그렇게 첫 코너에서 다시 추월을 시도했지만 이 둘은 서로 충돌하여 리타이어한다. 챔피언십 경쟁자인 프로스트가 리타이어하였기에 자동으로 세나의 챔피언이 확정된 순간이었다. 레이스는 베네통 소속의 넬슨 피케와 로베르토 모레노의 원투 피니쉬였고, 스즈키 아구리는 F1 데뷔 처음이자 마지막 포디움을 조국에서 달성하였다.

레이스 종료 후, 세나는 "원치는 않았지만, 그럴 수밖에 없었다."라고 말하였고, 많은 이들은 지난 1989시즌에 겪은 일을 생각하면 그것이 옳은 행동이었다고 옹호하였다. 이에 반해, 프로스트는 세나의 인터뷰에 대해 "역겹고 가치 없는 인간"이라며 강력하게 비판하였다. 어찌됐든 세나는 이번 경기로 자신의 2번째 월드 챔피언 타이틀을 확정지었다.

2.16. 16전 호주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아일톤 세나 (맥라렌)1:15.671우승넬슨 피케 (베네통)1:49:44.570
P2게르하르트 베르거 (맥라렌)1:16.244 (+0.573s)2위나이젤 만셀 (페라리)+ 3.129s
P3나이젤 만셀 (페라리)1:16.352 (+0.681s)3위알랭 프로스트 (페라리)+ 37.259s

패스티스트랩나이젤 만셀 (페라리)1:18.203 (Lap 75)

3. 챔피언십 포인트 순위[편집]



3.1. 드라이버 포인트[편집]


파일:Ayrton Senna 1990 champion.jpg
1990 포뮬러 1 월드 드라이버 챔피언 - 아일톤 세나

WORLD DRIVER CHAMPIONSHIP
1아일톤 세나파일:브라질 국기.svg맥라렌78WDC
2알랭 프로스트파일:프랑스 국기.svg페라리71
3넬슨 피케파일:브라질 국기.svg베네통43
4게르하르트 베르거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맥라렌43
5나이젤 만셀파일:영국 국기.svg페라리37
6티에리 보우트센파일:벨기에 국기.svg윌리엄스34
7리카르도 파트레제파일:이탈리아 국기.svg윌리엄스23
8알레산드로 난니니파일:이탈리아 국기.svg베네통2115R~16R 결장[6]
9장 알레시파일:프랑스 국기.svg티렐13
10이반 카펠리파일:이탈리아 국기.svg레이튼 하우스6
11로베르토 모레노파일:브라질 국기.svg베네통6유로브런 소속 - 1R~14R 출전
베네통 소속 - 15R~16R 출전[7]
12스즈키 아구리파일:일본 국기.svg롤라6
13에릭 베르나르파일:프랑스 국기.svg롤라5
14데릭 워윅파일:영국 국기.svg로터스3
15나카지마 사토루파일:일본 국기.svg티렐2
16알렉스 카피파일:이탈리아 국기.svg애로우즈21R[8], 14R[9] 결장
17스테파노 모데나파일:이탈리아 국기.svg브라밤2
18마우리시오 구겔민파일:브라질 국기.svg레이튼 하우스1
-니콜라 라리니파일:이탈리아 국기.svg리지에0
-마틴 도넬리파일:영국 국기.svg로터스015R~16R 결장[10]
-피에르루이지 마티니파일:이탈리아 국기.svg미나르디0
-그레고르 포이텍파일:스위스 국기.svg오닉스0브라밤 소속 - 1R~2R 출전
오닉스 소속 - 3R~10R 출전[11][12]
-필리페 앨리엇파일:프랑스 국기.svg리지에0
-미셸 알보레토파일:이탈리아 국기.svg애로우즈0
-야닉 달마스파일:프랑스 국기.svgAGS0
-에마누엘 피로파일:이탈리아 국기.svg달라라0이적한 모비델리 대타로 3R~16R 출전
-안드레아 드 체사리스파일:이탈리아 국기.svg달라라0
-파올로 바릴라파일:이탈리아 국기.svg미나르디01R~14R 출전[13]
-JJ 레토파일:핀란드 국기.svg오닉스01R~10R 출전[14]
-베른트 슈나이더파일:독일 국기.svg애로우즈0카피 대타로 1R, 14R 출전
-올리비에 그루야드파일:프랑스 국기.svg오셀라0
-가브리엘 타퀴니파일:이탈리아 국기.svgAGS0
-지안니 모비델리파일:이탈리아 국기.svg달라라0달라라 소속 - 1R~2R 출전
미나르디 소속 - 15R~16R[15] 출전
-데이빗 브라밤파일:호주 국기.svg브라밤0이적한 포이텍 대타로 3R~16R 출전
-조니 허버트파일:영국 국기.svg로터스0부상으로 결장한 도넬리 대타로 15R~16R 출전
-버트란드 가슈파일:벨기에 국기.svg콜로니0
-스테판 요한손파일:스웨덴 국기.svg오닉스01R~2R 출전[16]
-클라우디오 랜지스파일:이탈리아 국기.svg유로브런01R~14R 출전[17]
-브루노 지아코멜리파일:이탈리아 국기.svg라이프0개리 브라밤의 대타로 3R~14R 출전[18]
-개리 브라밤파일:호주 국기.svg라이프01R~2R 출전[19]

3.2. 컨스트럭터 포인트[편집]


파일:Mclaren f1 1990.jpg
1990 포뮬러 1 월드 컨스트럭터 챔피언 - 혼다 말보로 맥라렌

WORLD CONSTRUCTOR CHAMPIONSHIP
1혼다 말보로 맥라렌파일:영국 국기.svg121WCC
2페라리파일:이탈리아 국기.svg110
3베네통 - 포드파일:영국 국기.svg71
4윌리엄스 - 르노파일:영국 국기.svg57
5티렐 - 포드파일:영국 국기.svg16
6라루세 - 람보르기니파일:프랑스 국기.svg11
7레이튼 하우스 - 저드파일:영국 국기.svg7
8로터스 - 람보르기니파일:영국 국기.svg3
9애로우즈 - 포드파일:영국 국기.svg2
10브라밤 - 저드파일:영국 국기.svg2
-리지에 - 포드파일:프랑스 국기.svg0
-미나르디 - 포드파일:이탈리아 국기.svg0
-오닉스 - 포드파일:영국 국기.svg01R~10R 출전
-AGS - 포드파일:프랑스 국기.svg0
-달라라 - 포드파일:이탈리아 국기.svg0
-오셀라 - 포드파일:이탈리아 국기.svg0
-유로브런 - 저드파일:이탈리아 국기.svg01R~14R 출전
-콜로니 - 포드파일:이탈리아 국기.svg01R~8R 출전
-라이프파일:이탈리아 국기.svg01R~12R 출전
-콜로니 - 스바루파일:이탈리아 국기.svg09R~16R 출전[20]
-라이프 - 저드파일:이탈리아 국기.svg013R~14R 출전[21]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4 01:48:05에 나무위키 포뮬러 1/1990시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후 스바루와의 스폰서쉽이 조기 종료되며 팀 네임도 '콜로니 레이싱'으로 바뀌고 엔진도 스바루 엔진에서 포드-코스워스 엔진으로 변경하였다.[2] 신생팀으로 출전.[3] 아쉽게도 알레시는 이후 1승밖에 거두지 못했다.[4] 마치 F1의 후속 팀[5] 당시에는 타이어 의무 교체 규정이 존재하지 않았다.[6] 헬리콥터 사고로 인해 사고 직후 오른팔이 절단되었다. 다행히 빠른 수술을 통해 그의 팔은 다시 붙을 수 있었지만 그의 F1 커리어는 이렇게 끝나게 되었다.[7] 부상으로 결장한 나니니 대타로 출전. 시즌이 끝나고 베네통으로 완전이적하였다.[8] 프리시즌 때 자전거 사고로 인해 개막전을 결장하였다.[9] (20초부터)13R(포르투갈 GP)에서 스즈키 아구리와의 충돌로 벽을 들이받아 발에 부상을 입었다. 이로 인해 다음 경기를 결장하게 되었다.[10] (충격적일 수 있으니 주의 바람.)14R(스페인 GP) 예선 도중, 서킷 내의 초고속 코너에서 서스펜션이 고장 나며 배리어를 그대로 박아버렸다. 이로 인해 사고 직후, 다리 골절과 뇌와 폐에 손상을 입었다. 다행히 목숨은 건졌지만, 더 이상 레이싱 커리어를 이어나갈 수 없었다.[11] 방출된 요한손 대타로 출전.[12] 이후 소속팀이 F1에서 철수.[13] 이후 성적 부진으로 방출되었다.[14] 이후 소속팀이 F1에서 철수.[15] 방출된 바릴라 대타로 출전.[16] 이후 소속팀으로부터 방출됨.[17] 이후 소속팀이 F1에서 철수.[18] 이후 소속팀이 F1에서 철수.[19] 이후 성적부진으로 방출됨.[20] 엔진만 다르게 사용하였다. 드라이버와 팀 네임은 유지.[21] 엔진만 다르게 사용하였다. 팀 네임은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