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포뮬러 1/2001시즌

덤프버전 :




1. 2001년 그랑프리
1.1. 2001년 라인업
1.2. 2001년 캘린더
2. 세이프티 카 / 메디컬 카
3. 경기 결과
3.1. 1전 호주 GP
3.2. 2전 말레이시아 GP
3.3. 3전 브라질 GP
3.4. 4전 산 마리노 GP
3.5. 5전 스페인 GP
3.6. 6전 오스트리아 GP
3.7. 7전 모나코 GP
3.8. 8전 캐나다 GP
3.9. 9전 유럽(뉘르부르크) GP
3.10. 10전 프랑스 GP
3.11. 11전 영국 GP
3.12. 12전 독일 GP
3.13. 13전 헝가리 GP
3.14. 14전 벨기에 GP
3.15. 15전 이탈리아 GP
3.16. 16전 미국 GP
3.17. 17전 일본 GP
4. 챔피언십 포인트 순위
4.1. 드라이버 포인트
4.2. 컨스트럭터 포인트



1. 2001년 그랑프리[편집]


2001년 포뮬러 원 시즌은 52번째 FIA 포뮬러 원 시즌이다. 이 시즌은 3월 4일 호주 그랑프리를 시작으로 10월 14일 일본 그랑프리 까지 총 17경기로 치러졌다. 이 시즌은 미쉐린브리지스톤이 타이어를 공급하였다. 페라리가 팀의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우승을 거두었고, 미하엘 슈마허가 4번째 드라이버 챔피언십 우승을 차지하였다. 데이빗 쿨싸드가 2위, 루벤스 바리첼로가 3위를 차지했다.

1.1. 2001년 라인업[편집]


  • 시즌 개막일 기준.
  • 굵은 글씨는 소속을 옮긴 드라이버 또는 신인 드라이버

엔트리팀 로고팀 국적섀시
(파워유닛)
타이어드라이버
번호국적이름
1파일:Scuderia Ferrari Marlboro logo.jpg
스쿠데리아 페라리 말보로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F2001
(Ferrari 050)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1파일:독일 국기.svg미하엘 슈마허
2파일:브라질 국기.svg루벤스 바리첼로
2파일:West Mclaren Mercedes logo.png
웨스트 맥라렌 메르세데스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MP4-16
(Mercedes FO110K)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3파일:핀란드 국기.svg미카 해키넨
4파일:영국 국기.svg데이빗 쿨싸드
3파일:BMW Williams F1 logo.png
BMW 윌리엄스F1 팀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FW23
(BMW P80)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Michelin.svg.png5파일:독일 국기.svg랄프 슈마허
6파일:콜롬비아 국기.svg후안 파블로 몬토야
4파일:Mild Seven Benetton Renault logo.jpg
마일드 세븐 베네통 르노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B201
(Renault RS21)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Michelin.svg.png7파일:이탈리아 국기.svg지안카를로 피지켈라
8파일:영국 국기.svg젠슨 버튼
5파일:BAR Honda logo.png
럭키 스트라이크 BAR 혼다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003
(Honda RA001E)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9파일:프랑스 국기.svg올리비에 파니스
10파일:캐나다 국기.svg자크 빌르너브
6파일:Jordan_Grand_Prix_logo_old.png
벤슨 & 헤지스 조던 혼다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EJ11
(Honda RA001E)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11파일:독일 국기.svg하인츠하랄트 프렌첸
12파일:이탈리아 국기.svg야르노 트룰리
7파일:Orange Arrows logos.png
오렌지 애로우즈 아시아테크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A22
(Asiatech 001)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14파일:네덜란드 국기.svg요스 베르스타펜
15파일:브라질 국기.svg엔리케 베르놀디
8파일:Red Bull Sauber Petronas logo.png
레드불 자우버 페트로나스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C20
(Petronas 01A)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16파일:독일 국기.svg닉 하이트펠트
17파일:핀란드 국기.svg키미 래이쾨넨
9파일:Jaguar Racing.webp
재규어 레이싱 F1 팀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R2
(Cosworth CR-3)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Michelin.svg.png18파일:영국 국기.svg에디 어바인
19파일:브라질 국기.svg루치아노 버르티
10파일:minardi.jpg
유로피언 미나르디 F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PS01
(European)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Michelin.svg.png20파일:브라질 국기.svg타르소 마르케즈
21파일:스페인 민간기.svg페르난도 알론소
11파일:Prost logo.png
프로스트 그랑프리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AP04
(Acer 01A)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Michelin.svg.png22파일:프랑스 국기.svg장 알레시
23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가스통 마자카네


1.2. 2001년 캘린더[편집]


경기일그랑프리(도시)서킷드라이버 우승컨스트럭터 우승
13/4호주(멜버른)앨버트 파크 서킷미하엘 슈마허페라리
23/18말레이시아(쿠알라룸프르)세팡 인터내셔널 서킷미하엘 슈마허페라리
34/1브라질(상파울루)호세 카를로스 파시 서킷데이빗 쿨싸드맥라렌 메르세데스
44/15산 마리노(이몰라)엔초 에 디노 페라리 자동차 경주장랄프 슈마허윌리엄스-BMW
54/29스페인(카탈루냐)카탈루냐 서킷미하엘 슈마허페라리
65/13오스트리아(스펠베르크)A1-링데이빗 쿨싸드맥라렌 메르세데스
75/27모나코(몬테카를로)모나코 서킷미하엘 슈마허페라리
86/10캐나다(몬트리올)질 빌르너브 서킷랄프 슈마허윌리엄스-BMW
96/24유럽(뉘르부르크)뉘르부르크링미하엘 슈마허페라리
107/1프랑스(마그니-쿠르)느베르 마그니-쿠르 서킷미하엘 슈마허페라리
117/29영국(실버스톤)실버스톤 서킷랄프 슈마허윌리엄스-BMW
127/15독일(호켄하임)호켄하임링미카 해키넨맥라렌 메르세데스
138/19헝가리(부다페스트)헝가로링미하엘 슈마허페라리
149/2벨기에(프랑코샹)스파-프랑코샹 서킷미하엘 슈마허페라리
159/16이탈리아(몬차)몬자 서킷후안 파블로 몬토야윌리엄스-BMW
169/30미국(인디애나폴리스)인디애나폴리스 모터 스피드웨이미카 해키넨맥라렌 메르세데스
1710/14일본(스즈카)스즈카 서킷미하엘 슈마허페라리


2. 세이프티 카 / 메디컬 카[편집]


파일:7E07C5EB-4C88-481A-B61E-FBA0B8CB75F5.png
파일:5FDAF603-2700-4AFE-A5DC-BE063145A3DF.png
이번 시즌의 세이프티 카, 메디컬 카는 기존의 CL 55 AMG에서 SL 55 AMG로, E 55 AMG T-모델에서 C 32 AMG 에스테이트로 변경되었다.


3. 경기 결과[편집]



3.1. 1전 호주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26.892우승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38:26.533
P2루벤스 바리첼로 (페라리)1:27.263 (+0.371s)2위데이빗 쿨싸드 (맥라렌)+ 1.718s
P3미카 해키넨 (맥라렌)1:27.461 (+0.569s)3위루벤스 바리첼로 (페라리)+ 33.491s

패스티스트랩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28.214 (Lap 34)

3.2. 2전 말레이시아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35.220우승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47:34.801
P2루벤스 바리첼로 (페라리)1:35.319 (+0.099s)2위루벤스 바리첼로 (페라리)+ 23.660s
P3랄프 슈마허 (윌리엄스)1:35.511 (+0.291s)3위데이빗 쿨싸드 (맥라렌)+ 28.555s

패스티스트랩미카 해키넨 (맥라렌)1:40.962 (Lap 48)

트랙에 누출된 연료로 인해 미끄러진 페라리 듀오, 그러나 무서운 페이스로 1,2위를 가져오다

페라리와 슈마허-바리첼로의 퍼포먼스가 제대로 돋보인 경기였다. 레이스 초반 순항하던 페라리 듀오는 엔진 문제로 리타이어한 올리비에 파니스의 차량에서 누출된 연료를 밟고 트랙 밖으로 밀려나 버렸다. 설상가상, 열대 지역인 말레이시아였기에 스콜까지 내리고 말았고, 이들은 웻 타이어로 교체하기 위해 많은 시간을 소요하게 된다. 그러나 둘은 보란듯이 앞 차량들을 추월해 나가기 시작했고, 결국 그 많은 시간을 잃고도 1,2위를 가져오며 이번 시즌 페라리의 무서움을 제대로 보여주었다.

3.3. 3전 브라질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13.780우승데이빗 쿨싸드 (맥라렌)1:39:00.834
P2랄프 슈마허 (윌리엄스)1:14.090 (+0.310s)2위미하엘 슈마허 (페라리)+ 16.164s
P3미카 해키넨 (맥라렌)1:14.122 (+0.342s)3위닉 하이트펠트 (자우버)+ 1 Lap

패스티스트랩랄프 슈마허 (윌리엄스)1:15.693 (Lap 38)

대혼란 속의 레이스에서 닉 하이트펠트가 F1 데뷔 첫 포디움에 올랐다.

3.4. 4전 산 마리노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데이빗 쿨싸드 (맥라렌)1:23.054우승랄프 슈마허 (윌리엄스)1:30:44.817
P2미카 해키넨 (맥라렌)1:23.282 (+0.228s)2위데이빗 쿨싸드 (맥라렌)+ 4.352s
P3랄프 슈마허 (윌리엄스)1:23.357 (+0.303s)3위루벤스 바리첼로 (페라리)+ 34.766s

패스티스트랩랄프 슈마허 (윌리엄스)1:25.524 (Lap 27)

랄프 슈마허가 본인의 통산 F1 첫 우승을 이 경기에 기록하게 되었다.

3.5. 5전 스페인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18.201우승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31:03.305
P2미카 해키넨 (맥라렌)1:18.286 (+0.099s)2위후안 파블로 몬토야 (윌리엄스)+ 40.738s
P3데이빗 쿨싸드 (맥라렌)1:18.635 (+0.434s)3위자크 빌르너브 (BAR)+ 49.626s

패스티스트랩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21.151 (Lap 25)

해키넨의 불운, 마지막 랩에 리타이어하다

레이스 초반 슈마허와 함께 뒷 차량들과의 간격을 일찌감치 벌려놓았던 해키넨은 중반부에 슈마허를 추월하며 선두로 올라섰다. 이어 페이스를 끓어올리며 슈마허와의 격차마자 40초 가량 벌려놓았고, 이대로 해키넨의 무난한 우승이 예상되었다.

그러나 마지막 랩에 접어든 순간 해키넨의 엔진에 불이 나기 시작하였고, 점점 속력이 크게 줄기 시작. 결국 섹터 2를 지나기 전에 차를 세울 수밖에 없었다. 슈마허는 레이스 시상식이 끝난 후 인터뷰에서 '그에게 유감과 미안함을 표하고, 이 자리는 해키넨의 자리가 되었어야 했다.'라며 안타까움을 표하였다.

3.6. 6전 오스트리아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09.562우승데이빗 쿨싸드 (맥라렌)1:27:45.927
P2후안 파블로 몬토야 (윌리엄스)1:09.686 (+0.124s)2위미하엘 슈마허 (페라리)+ 2.191s
P3랄프 슈마허 (윌리엄스)1:09.769 (+0.207s)3위루벤스 바리첼로 (페라리)+ 2.528s

패스티스트랩데이빗 쿨싸드 (맥라렌)1:10.843 (Lap 48)

3.7. 7전 모나코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데이빗 쿨싸드 (맥라렌)1:17.430우승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47:22.561
P2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17.631 (+0.201s)2위루벤스 바리첼로 (페라리)+ 0.431s
P3미카 해키넨 (맥라렌)1:17.749 (+0.319s)3위에디 어바인 (재규어)+ 30.698s

패스티스트랩데이빗 쿨싸드 (맥라렌)1:19.424 (Lap 68)

3.8. 8전 캐나다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15.782우승랄프 슈마허 (윌리엄스)1:34:31.522
P2랄프 슈마허 (윌리엄스)1:16.297 (+0.515s)2위미하엘 슈마허 (페라리)+ 20.235s
P3데이빗 쿨싸드 (맥라렌)1:16.423 (+0.641s)3위미카 해키넨 (맥라렌)+ 40.672s

패스티스트랩랄프 슈마허 (윌리엄스)1:17.205 (Lap 50)

형제의 첫 원투피니쉬, F1 판을 이끌고 있다

레이스 스타트 후, 미하엘 슈마허와 랄프 슈마허는 차례로 1,2위를 유지하며 뒷차와의 간격을 벌려 나갔다. 두 형제의 간격은 꾸준히 유지되어 갔는데, 이 두 형제의 순위를 뒤바꾼 것은 피트스톱이었다. 먼저 피트인 한 미하엘 슈마허와 달리 랄프 슈마허는 페이스를 최대치로 끌어올리며 형과의 간격을 좁혀 나갔고, 랄프가 피트작업을 마쳤을 때는 형보다 앞서 나가고 있었다. 결국 동생 랄프 슈마허의 우승, 형 미하엘 슈마허의 준우승. F1에서 형제의 첫 원투피니쉬 순간이었다.

3.9. 9전 유럽(뉘르부르크)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14.960우승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29:42.724
P2랄프 슈마허 (윌리엄스)1:15.226 (+0.266s)2위후안 파블로 몬토야 (윌리엄스)+ 4.217s
P3후안 파블로 몬토야 (윌리엄스)1:15.490 (+0.530s)3위데이빗 쿨싸드 (맥라렌)+ 24.993s

패스티스트랩후안 파블로 몬토야 (윌리엄스)1:18.354 (Lap 27)

3.10. 10전 프랑스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랄프 슈마허 (윌리엄스)1:12.989우승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33:35.636
P2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12.999 (+0.010s)2위랄프 슈마허 (윌리엄스)+ 10.399s
P3데이빗 쿨싸드 (맥라렌)1:13.186 (+0.197s)3위루벤스 바리첼로 (페라리)+ 16.381s

패스티스트랩데이빗 쿨싸드 (맥라렌)1:16.088 (Lap 53)

3.11. 11전 영국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20.447우승미카 해키넨 (맥라렌)1:25:33.770
P2미카 해키넨 (맥라렌)1:20.529 (+0.082s)2위미하엘 슈마허 (페라리)+ 33.646s
P3데이빗 쿨싸드 (맥라렌)1:20.927 (+0.480s)3위루벤스 바리첼로 (페라리)+ 59.280s

패스티스트랩미카 해키넨 (맥라렌)1:23.405 (Lap 34)

3.12. 12전 독일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후안 파블로 몬토야 (윌리엄스)1:38.117우승랄프 슈마허 (윌리엄스)1:18:17.873
P2랄프 슈마허 (윌리엄스)1:38.136 (+0.019s)2위루벤스 바리첼로 (페라리)+ 46.117s
P3미카 해키넨 (맥라렌)1:38.811 (+0.694s)3위자크 빌르너브 (BAR)+ 1:02.806s

패스티스트랩후안 파블로 몬토야 (윌리엄스)1:41.808 (Lap 20)

자크 빌르너브가 이 경기에서 F1 마지막 포디움을 기록하였다.

3.13. 13전 헝가리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14.059우승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41:49.675
P2데이빗 쿨싸드 (맥라렌)1:14.860 (+0.801s)2위루벤스 바리첼로 (페라리)+ 3.363s
P3루벤스 바리첼로 (페라리)1:14.953 (+0.894s)3위데이빗 쿨싸드 (맥라렌)+ 3.940s

패스티스트랩미카 해키넨 (맥라렌)1:16.723 (Lap 51)

파일:Michael Schumacher 2001 hungary.jpg
알랭 프로스트와 어깨를 나란히 하다, 미하엘 슈마허의 4번째 월드 챔피언 타이틀

미하엘 슈마허가 이 경기 우승으로 2001 시즌 월드 챔피언이 확정되었다. 이 경기 우승으로 그는 챔피언 타이틀 횟수뿐만 아니라 프로스트가 기록한 F1 최다 우승 수인 51회로 동률을 이루게 되었다.

3.14. 14전 벨기에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후안 파블로 몬토야 (윌리엄스)1:52.072우승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08:05.002
P2랄프 슈마허 (윌리엄스)1:52.959 (+0.887s)2위데이빗 쿨싸드 (맥라렌)+ 10.098s
P3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54.685 (+2.613s)3위지안카를로 피지켈라 (베네통)+ 27.742s

패스티스트랩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49.758 (Lap 7)

3.15. 15전 이탈리아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후안 파블로 몬토야 (윌리엄스)1:22.216우승후안 파블로 몬토야 (윌리엄스)1:16:58.493
P2루벤스 바리첼로 (페라리)1:22.528 (+0.312s)2위루벤스 바리첼로 (페라리)+ 5.175s
P3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22.624 (+0.408s)3위랄프 슈마허 (윌리엄스)+ 17.335s

패스티스트랩랄프 슈마허 (윌리엄스)1:25.073 (Lap 39)

3.16. 16전 미국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11.708우승미카 해키넨 (맥라렌)1:32:42.840
P2미카 해키넨 (맥라렌)1:11.945 (+0.237s)2위미하엘 슈마허 (페라리)+ 11.046s
P3랄프 슈마허 (윌리엄스)1:11.986 (+0.278s)3위데이빗 쿨싸드 (맥라렌)+ 12.043s

패스티스트랩후안 파블로 몬토야 (윌리엄스)1:14.448 (Lap 35)

마지막 정상, 플라잉 핀

미카 해키넨이 이 경기에서 본인의 F1 마지막 우승을 기록하였다. 아울러, 1976 시즌부터 F1 중계 캐스터를 맡아 온 머레이 워커(Murray Walker) 경이 이 경기를 끝으로 캐스터 생활을 은퇴하게 되었다. 후임 캐스터로는 제임스 앨런(James Allen)이 맡게 된다.

3.17. 17전 일본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32.484우승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27:33.298
P2후안 파블로 몬토야 (윌리엄스)1:33.184 (+0.700s)2위후안 파블로 몬토야 (윌리엄스)+ 3.154s
P3랄프 슈마허 (윌리엄스)1:33.297 (+0.813s)3위데이빗 쿨싸드 (맥라렌)+ 23.262s

패스티스트랩랄프 슈마허 (윌리엄스)1:36.944 (Lap 46)

10여년동안 F1판의 상위권을 담당했던 미카 해키넨장 알레시가 이 경기를 끝으로 F1에서 은퇴하게 되었다. 해키넨은 4위로 레이스를 마무리하였으며, 장 알레시는 5랩 째에 서스펜션 문제로 미끄러지는 키미 래이쾨넨과 부딪히며 리타이어하게 되었다.

4. 챔피언십 포인트 순위[편집]



4.1. 드라이버 포인트[편집]


파일:Michael Schumacher 2001 champion.jpg
2001 포뮬러 1 월드 드라이버 챔피언 - 미하엘 슈마허

WORLD DRIVER CHAMPIONSHIP
1미하엘 슈마허파일:독일 국기.svg페라리123WDC
2데이빗 쿨싸드파일:영국 국기.svg맥라렌65
3루벤스 바리첼로파일:브라질 국기.svg페라리56
4랄프 슈마허파일:독일 국기.svg윌리엄스49
5미카 해키넨파일:핀란드 국기.svg맥라렌37
6후안 파블로 몬토야파일:콜롬비아 국기.svg윌리엄스31
7자크 빌르너브파일:캐나다 국기.svgBAR12
8닉 하이트펠트파일:독일 국기.svg자우버12
9야르노 트룰리파일:이탈리아 국기.svg조던12
10키미 래이쾨넨파일:핀란드 국기.svg자우버9
11지안카를로 피지켈라파일:이탈리아 국기.svg베네통8
12에디 어바인파일:영국 국기.svg재규어6
13하인츠하랄트 프렌첸파일:독일 국기.svg프로스트6조던 소속 - 1R~11R 출전[1][2]
프로스트 소속 - 13R~17R 출전
14올리비에 파니스파일:프랑스 국기.svgBAR5
15장 알레시파일:프랑스 국기.svg조던5프로스트 소속 - 1R~12R 출전[3]
조던 소속 - 13R~17R 출전
16페드로 데 라 로사파일:스페인 국기.svg재규어3프로스트로 이적한 버르티를 대체하여 5R~17R 출전
17젠슨 버튼파일:영국 국기.svg베네통2
18요스 베르스타펜파일:네덜란드 국기.svg애로우즈1
19리카르도 존타파일:브라질 국기.svg조던0프렌첸을 대신하여 8R, 12R 참가
20루치아노 버르티파일:브라질 국기.svg재규어0재규어 소속 - 1R~4R 출전[4]
프로스트 소속 - 5R~14R 출전[5]
21엔리케 베르놀디파일:브라질 국기.svg애로우즈0
22타르소 마르케즈파일:브라질 국기.svg미나르디01R~14R 참가[6]
23페르난도 알론소파일:스페인 국기.svg미나르디0
24토마스 엔게파일:체코 국기.svg프로스트0부상으로 시즌아웃된 버르티를 대신하여 15R~17R 출전
25가스통 마자카네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프로스트01R~4R 참가[7]
26알렉스 융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미나르디0마르케즈를 대체하여 15R~17R 출전

4.2. 컨스트럭터 포인트[편집]


파일:Ferrari f1 2001.jpg
2001 포뮬러 1 월드 컨스트럭터 챔피언 - 스쿠데리아 페라리 말보로

WORLD CONSTRUCTOR CHAMPIONSHIP
1페라리파일:이탈리아 국기.svg179WCC
2맥라렌 - 메르세데스파일:영국 국기.svg102
3윌리엄스 - BMW파일:영국 국기.svg80
4자우버 - 페트로나스파일:스위스 국기.svg21
5조던 - 혼다파일:아일랜드 국기.svg19
6BAR - 혼다파일:영국 국기.svg17
7베네통 - 르노파일:이탈리아 국기.svg10
8재규어 - 코스워스파일:영국 국기.svg9
9프로스트 - 에이서[8]파일:프랑스 국기.svg4
10애로우즈 - 아시아테크파일:영국 국기.svg1
11미나르디 - 유로피언[9]파일:이탈리아 국기.svg0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4 00:42:30에 나무위키 포뮬러 1/2001시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8R는 부상으로 존타가 대신하여 뛰었다.[2] 11R 이후, 조던 측에서 계약을 종료시켜버리며 프렌첸은 이후 13R에 프로스트 팀으로 이적하게 된다. 12R에는 그의 빈자리를 존타가 대신하였다.[3] 알레시는 12R 이후 팀에서 퇴단하였는데, 그는 프렌첸이 나간 조던과 계약하고, 프렌첸이 프로스트 팀과 계약하는 스왑딜의 형식으로 이적하게 된다.[4] 이후, 마자카네가 프로스트 팀으로부터 해고되자 프로스트 팀으로 이적하게 되었다.[5] 14R 벨기에 GP에서 에디 어바인과의 사고로 큰 부상을 입어 시즌아웃되었다. 어바인이 뛰쳐나와 트랙마샬과 함께 긴박하게 사고처리를 하는 장면은 이 사고가 얼마나 크고 위험했는지를 보여준다.[6] 이후, 알렉스 융과 교체됨.[7] 이후, 팀으로부터 방출됨.[8] 페라리 엔진 리뱃징.[9] 포드의 엔진을 유로피언이라는 이름으로 리뱃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