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포뮬러 1/2011시즌

덤프버전 :




1. 시즌 전 이적 시장
2. 규정 및 타이어 공급사 변화
3. 2011 시즌 라인업
4. 2011 시즌 일정
5. 메디컬 카 / 세이프티 카
6. 시즌 상세
6.1. 1R ~ 5R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호주, 말레이시아, 중국, 터키, 스페인)
6.2. 6R ~ 10R 파일:모나코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모나코, 캐나다, 유럽, 영국, 독일)
6.3. 11R ~ 15R 파일:헝가리 국기.svg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헝가리, 벨기에, 이탈리아, 싱가포르, 일본)
6.4. 16R ~ 19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대한민국, 인도, 아랍에미리트, 브라질)
7. 시즌 요약
8. 챔피언십 포인트 순위
8.1. 드라이버 포인트
8.2. 컨스트럭터 포인트



1. 시즌 전 이적 시장[편집]


2011 시즌 이적 드라이버
원 소속 팀국적드라이버이적한 팀
파일:BMW Sauber F1 Team.png파일:독일 국기.svg닉 하이트펠트[1]파일:로터스 르노 GP 로고.webp
파일:HRT F1 팀 2010 로고.webp파일:브라질 국기.svg브루노 세나[2]
파일:사하라 포스 인디아 로고.png파일:이탈리아 국기.svg비탄토니오 리우치파일:HRT F1 팀 2011 로고.webp
2011 시즌 신인·복귀 드라이버
국적드라이버소속 팀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파스토르 말도나도파일:윌리엄스 F1 2011 로고.webp
파일:영국 국기.svg폴 디 레스타파일:사하라 포스 인디아 로고.png
파일:멕시코 국기.svg세르히오 페레스파일:자우버 2011 로고.webp
파일:인도 국기.svg나레인 카티케얀[3]파일:HRT F1 팀 2011 로고.webp
파일:호주 국기.svg다니엘 리카도[4]
파일:벨기에 국기.svg제롬 담브로시오파일:마러시아 버진 레이싱 로고.webp
계약 만료·해지 드라이버
기존 소속 팀국적드라이버
파일:르노 F1 팀 2010 로고.webp파일:폴란드 국기.svg로버트 쿠비차
파일:AT&T Williams logo.png파일:독일 국기.svg니코 휠켄베르크
파일:BMW Sauber F1 Team.png파일:스페인 민간기.svg페드로 데 라 로사
파일:HRT F1 팀 2010 로고.webp파일:인도 국기.svg카룬 찬독
파일:일본 국기.svg야마모토 사콘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크리스티안 클리엔
파일:버진 레이싱 2010 로고.webp파일:브라질 국기.svg루카스 디 그라시

지난 시즌 톱4 팀인 레드불, 페라리, 맥라렌, 메르세데스는 드라이버 라인업을 유지하였다. 지니 캐피탈의 인수와 함께 로터스가 네이밍 스폰서로 들어선 로터스-르노 GP는 기존의 드라이버인 쿠비차와 페트로프 라인업을 유지할 계획이었지만, 쿠비차가 F1 비시즌 기간에 랠리 경기에 출전하다가 심각한 골절상으로 혼수 상태에 빠질 정도의 큰 사고를 당하여 사실상 F1을 더 이상 참가할 수 없을 정도가 되었다. 그나마 8년 뒤인 2019 시즌에 윌리엄스로 복귀하지만, 이 사고로 쿠비차는 F1에서의 창창한 커리어가 끊기고 말았다. 쿠비차의 부상으로 로터스-르노는 지난 시즌 자우버에서 마지막 5경기를 뛴 하이트펠트와 계약하여 전반기까지 닉과 동행하였다. 이후 닉이 팀을 떠나고 팀은 후반기를 위해 직전 시즌 HRT에서 데뷔한 아일톤 세나의 조카인 브루노 세나를 팀의 드라이버로 앉혔다.

윌리엄스는 신인이었던 니코 휠켄베르크와 동행을 이어가지 않을 것을 발표하였고, 그 자리를 베네수엘라 출신의 작년 GP2 챔피언인 말도나도로 대체하였다. 말도나도의 경우 베네수엘라의 대형 정유 스폰서인 PDVSA를 등에 얹고 있기에 윌리엄스에게 재정적으로 큰 도움을 줄 수 있었다. 포스 인디아는 수틸을 잔류시킨 반면, 리우치와 계약을 연장하지 않고, 그 자리를 작년 DTM 챔피언인 폴 디 레스타로 대체하였다. 시트를 잃은 리우치는 최하위권 팀인 HRT로 이적하여 F1 커리어를 이어나갔다.

그 HRT 팀의 경우 지난 시즌에만 4명의 드라이버가 앉을 정도로 혼란스러운 분위기를 이어갔는데, 이번 시즌엔 리우치와 함께 6년 전 조던과 시즌을 함께 했던 나레인 카티케얀과 계약하였다. 하지만 HRT는 시즌 도중 레드불 주니어 출신의 다니엘 리카도와 정규 드라이버 계약을 맺고 카티케얀을 테스트 드라이버로 내리며 HRT는 이번 시즌에도 다소 혼란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하였다. 그나마 카티케얀을 위해 팀은 인도 GP에만 리우치 대신 카티케얀을 출전시켜주었다. 버진 레이싱은 글록을 잔류시키고, 루카스 디 그라시를 제롬 담브로시오로 교체하였다.

2. 규정 및 타이어 공급사 변화[편집]


2011년은 2010년에 비해 규정상 많은 변화가 생겼다. 리어 윙의 각도를 조절해 속력을 높이는 DRS가 채용되었고 2009년 이후 사장되었던 KERS가 부활하였다. 물론 의무장착이 아니라서 자금이 부족한 일부 하위 팀들은 부착하지 못했다. 그리고 브리지스톤을 대신해 피렐리가 새로운 타이어 공급 업체가 되었는데, 전체적으로 컴파운드의 내구성이 브리지스톤보다 많이 떨어져서 피트스탑 전략과 타이어 관리가 매우 중요해졌다. 시청자들은 볼거리가 많이 생겼다고 좋아하였지만 안그래도 변수가 많은 그랑프리가 더 복잡해지는 통에 각 팀의 레이스 엔지니어들은 머리를 싸맸다. 이러한 경향은 스페인 GP Q3에서 슈마허가 의도적으로 트라이하지 않고 타이어를 아끼면서 10위로 마무리한 전적에서 볼 수 있듯이 극단적인 타이어 마모 관리로 나타나였다. 이에 몇몇 팬들이 피렐리가 새로운 업체로 선정된 것에 대해 의구심을 품는 사람들도 있었고, 특히 BBC의 해설자인 마틴 브런들은 이러한 상황을 매우 싫어하였다. 서킷에서 제일 빠른 사람을 가리는 퀄리파잉의 의미가 희석됐다는 등, 피렐리의 타이어 제조 능력까지 안좋게 보는 여론의 시각이 늘어갔다.


3. 2011 시즌 라인업[편집]


  • 굵은 글씨는 소속을 옮긴 드라이버 혹은 데뷔하는 드라이버, 대체 드라이버.

#팀 로고팀 국적섀시
(파워유닛)
드라이버
번호국적이름출전 라운드
1파일:Red Bull Racing 2009 logo.png
레드불 레이싱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RB7
(Renault RS27-2011)
1파일:독일 국기.svg제바스티안 페텔All
2파일:호주 국기.svg마크 웨버
2파일:보다폰 맥라렌 메르세데스 로고2.webp
보다폰 맥라렌 메르세데스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MP4-26
(Mercedes FO 108Y)
3파일:영국 국기.svg루이스 해밀턴All
4파일:영국 국기.svg젠슨 버튼
3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2011 로고.svg
스쿠데리아 페라리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150º 이탈리아
(Ferrari 056)
5 파일:스페인 민간기.svg페르난도 알론소All
6 파일:브라질 국기.svg펠리페 마싸
4파일:메르세데스 F1 2010 로고.webp
메르세데스 GP 페트로나스 F1 팀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MGP W02
(Mercedes FO 108Y)
7
파일:독일 국기.svg미하엘 슈마허All
8
파일:독일 국기.svg니코 로즈버그
5파일:로터스 르노 GP 로고.webp
로터스 르노 GP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R31
(Renault RS27-2011)
9 파일:독일 국기.svg닉 하이트펠트1-11
파일:브라질 국기.svg브루노 세나12-19
10 파일:러시아 국기.svg비탈리 페트로프All
6파일:윌리엄스 F1 2011 로고.webp
윌리엄스 F1 팀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FW33
(Cosworth CA2011K)
11파일:브라질 국기.svg루벤스 바리첼로All
12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파스토르 말도나도
7파일:Force India 2009 logos.png
포스 인디아 F1 팀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VJM04
(Mercedes FO 108Y)
14파일:독일 국기.svg아드리안 수틸All
15파일:영국 국기.svg폴 디 레스타
8파일:자우버 2011 로고.webp
자우버 F1 팀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C30
(Ferrari 056)
16파일:일본 국기.svg고바야시 카무이All
17파일:멕시코 국기.svg세르히오 페레스
파일:스페인 민간기.svg페드로 데 라 로사7
9파일:토로 로쏘 2006 로고.webp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STR6
(Ferrari 056)
18파일:스위스 국기.svg세바스티앙 부에미All
19파일:스페인 민간기.svg하이메 알게수아리
10파일:로터스 F1 원형 로고.png
팀 로터스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T128
(Renault RS27-2011)
20
파일:핀란드 국기.svg헤이키 코발라이넨All
2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야르노 트룰리1-9, 11-19
파일:인도 국기.svg카룬 찬독10
11파일:HRT F1 팀 2011 로고.webp
HRT 포뮬러 1 팀
파일:스페인 민간기.svg
스페인
F111
(Cosworth CA2011)
22 파일:인도 국기.svg나레인 카티케얀1-8, 17
파일:호주 국기.svg다니엘 리카도9-16, 18-19
2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비탄토니오 리우치1-16, 18-19
파일:호주 국기.svg다니엘 리카도17
12파일:마러시아 버진 레이싱 로고.webp
마러시아 버진 레이싱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MVR-02
(Cosworth CA2011)
24 파일:독일 국기.svg티모 글록All
25 파일:벨기에 국기.svg제롬 담브로시오

4. 2011 시즌 일정[편집]


원래 바레인 그랑프리가 처음이었지만 바레인의 국내사정 악화로 인하여 취소되었다가, 한국 GP 이후로 일정이 잡히는 것으로 WMGC에서 결정되었다. 하지만 곧바로 각 팀의 반발로 다시 취소되었다. FOM 회장 버니 에클레스톤 역시 바레인 GP는 열리지 않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리고 원래 한국 이후로 일정이 잡혀있던 인도 GP가 서킷 건설 일정 문제(올해 첫 개최)등으로 인하여 시즌 피날레로 미뤄졌다가 바레인 GP의 취소로 인해 10월 말로 앞당겨져 확정되었다.

라운드경기일그랑프리(도시)서킷드라이버 우승컨스트럭터 우승
13/27호주(멜버른)앨버트 파크 서킷제바스티안 페텔레드불-르노
24/10말레이시아(쿠알라룸프르)세팡 인터내셔널 서킷제바스티안 페텔레드불-르노
34/17중국(상하이)상하이 인터내셔널 서킷루이스 해밀턴맥라렌-메르세데스
45/8터키(이스탄불)이스탄불 파크제바스티안 페텔레드불-르노
55/22스페인(카탈루냐)카탈루냐 서킷제바스티안 페텔레드불-르노
65/29모나코(몬테카를로)모나코 서킷제바스티안 페텔레드불-르노
76/12캐나다(몬트리올)질 빌르너브 서킷젠슨 버튼맥라렌-메르세데스
86/26유럽(발렌시아)발렌시아 시가지 서킷제바스티안 페텔레드불-르노
97/10영국(실버스톤)실버스톤 서킷페르난도 알론소페라리
107/24독일(뉘르부르크)뉘르부르크링루이스 해밀턴맥라렌-메르세데스
117/31헝가리(부다페스트)헝가로링젠슨 버튼맥라렌-메르세데스
128/29벨기에(프랑코샹)스파-프랑코샹 서킷제바스티안 페텔레드불-르노
139/11이탈리아(몬차)몬자 서킷제바스티안 페텔레드불-르노
149/25싱가포르(마리나 베이)마리나 베이 시가지 서킷제바스티안 페텔레드불-르노
1510/9일본(스즈카)스즈카 서킷젠슨 버튼맥라렌-메르세데스
1610/16한국(영암)코리아 인터내셔널 서킷제바스티안 페텔레드불-르노
1710/30인도(그레이터 노이다)부드 인터내셔널 서킷제바스티안 페텔레드불-르노
1811/13아부다비(야스 섬)야스 마리나 서킷루이스 해밀턴맥라렌-메르세데스
1911/27브라질(상파울루)호세 카를로스 파시 서킷마크 웨버레드불-르노


5. 메디컬 카 / 세이프티 카[편집]


파일:E8E5799B-7765-400B-84BC-FFDAAC308522.png
파일:E283EBB6-91D2-43B7-BC66-5017E22556CF.jpg
지난 시즌까지 쓰였던 W204 C63 AMG 에스테이트 메디컬 카는 전기형에서 후기형으로 페이스리프트 되면서 변경되었다.

파일:DAA164AF-9324-4D20-9C8B-C7EEBB01845D.jpg
그리고 이번 시즌부터 알리안츠가 F1을 후원하게 되면서 세이프티 카와 메디컬 카 전면 본넷에 로고가 부착되었다.

6. 시즌 상세[편집]



6.1. 1R ~ 5R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호주, 말레이시아, 중국, 터키, 스페인)[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포뮬러 1/2011시즌/1R~5R#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2. 6R ~ 10R 파일:모나코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모나코, 캐나다, 유럽, 영국, 독일)[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포뮬러 1/2011시즌/6R~10R#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3. 11R ~ 15R 파일:헝가리 국기.svg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헝가리, 벨기에, 이탈리아, 싱가포르, 일본)[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포뮬러 1/2011시즌/11R~15R#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4. 16R ~ 19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대한민국, 인도, 아랍에미리트, 브라질)[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포뮬러 1/2011시즌/16R~19R#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시즌 요약[편집]


뚜껑을 열어 본 2011시즌은 레드불과 제바스티안 페텔의 독주 체제로 이어졌다. 페텔은 초반 8경기중 6경기를 혼자 우승하며 트로피를 쓸어담았고, 일찌감치 챔프 자리를 예약하다시피 시즌을 리드했다. 전체 시즌 내내 강세를 보이며 4경기를 남겨둔 일본 GP에서 챔프를 확정지었고, 무엇보다 페텔이 세운 15회의 폴 포지션은 역대 F1에서의 단일 시즌 최고 기록을 갱신하였다. FIA에서는 이런 상황을 탐탁치 않아 하여 시즌 중반 레드불을 견제하기 위한 카드로 엔진 맵핑 규제를 꺼내들었는데, 레드불을 잡기는 커녕, 되려 애먼 르노와 자우버가 나락으로 떨어지는 결과를 낳기도 했다. 중위권에서는 윌리엄스가 몰락하면서 팀에 피바람이 몰아쳤고, 하위권에서는 팀 로터스가 포인트를 따지는 못했지만 중위권과의 격차를 서서히 좁히며 윌리엄즈를 위협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다.

8. 챔피언십 포인트 순위[편집]



8.1. 드라이버 포인트[편집]


파일:Sebastian Vettel 2011.jpg
2011 포뮬러 1 월드 드라이버 챔피언 - 제바스티안 페텔

WORLD DRIVER CHAMPIONSHIP
11.
파일:독일 국기.svg

제바스티안 페텔
레드불392WDC - V2
2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4.
파일:영국 국기.svg

젠슨 버튼
맥라렌270
32.
파일:호주 국기.svg

마크 웨버
레드불258
4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5.
파일:스페인 국기.svg

페르난도 알론소
페라리257
5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3.
파일:영국 국기.svg

루이스 해밀턴
맥라렌227
6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6.
파일:브라질 국기.svg

펠리페 마싸
페라리118
7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8.
파일:독일 국기.svg

니코 로즈버그
메르세데스89
8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7.
파일:독일 국기.svg

미하엘 슈마허
메르세데스76
9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4.
파일:독일 국기.svg

아드리안 수틸
포스 인디아42
10
파일:Lotus_F1_Team_logo.png
10.
파일:러시아 국기.svg

비탈리 페트로프
르노37
11
파일:Lotus_F1_Team_logo.png
9.
파일:독일 국기.svg

닉 하이트펠트
르노34전반기(1-11R) 출전
1216.
파일:일본 국기.svg

고바야시 카무이
자우버30
13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5.
파일:영국 국기.svg

폴 디 레스타
포스 인디아27
14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9.
파일:스페인 국기.svg

하이메 알게수아리
토로 로쏘26
15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8.
파일:스위스 국기.svg

세바스티앙 부에미
토로 로쏘15
1617. 세르히오 페레스자우버14부상으로 6-7R 결장
1711. 루벤스 바리첼로윌리엄스4
18
파일:Lotus_F1_Team_logo.png
9. 브루노 세나르노2후반기(12-19R) 출전
1912. 파스토르 말도나도윌리엄스1
2017. 페드로 데 라 로사자우버0페레스를 대신하여 7R 출전
21
파일:로터스 F1 원형 로고.png
21. 야르노 트룰리로터스010R 결장
22
파일:로터스 F1 원형 로고.png
20. 헤이키 코발라이넨로터스0
2323. 비탄토니오 리우치HRT0
2425. 제롬 담브로시오버진0
2524. 티모 글록버진0
2622. 나레인 카티케얀HRT0
2722. 23. 다니엘 리카도HRT0
28
파일:로터스 F1 원형 로고.png
21. 카룬 찬독로터스0

8.2. 컨스트럭터 포인트[편집]


파일:Redbull f1 2011.jpg
2011 포뮬러 1 월드 컨스트럭터 챔피언 - 레드불 레이싱




[1] 1-11R 참가[2] 12-19R 참가[3] 1-8, 17R(인도 GP) 참가[4] 9-19R 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