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포뮬러 1/2002시즌

덤프버전 :




1. 2002년 그랑프리
1.1. 2002년 라인업
1.2. 2002년 캘린더
2. 경기 결과
2.1. 1전 호주 GP
2.2. 2전 말레이시아 GP
2.3. 3전 브라질 GP
2.4. 4전 산 마리노 GP
2.5. 5전 스페인 GP
2.6. 6전 오스트리아 GP
2.7. 7전 모나코 GP
2.8. 8전 캐나다 GP
2.9. 9전 유럽(뉘르부르크) GP
2.10. 10전 영국 GP
2.11. 11전 프랑스 GP
2.12. 12전 독일 GP
2.13. 13전 헝가리 GP
2.14. 14전 벨기에 GP
2.15. 15전 이탈리아 GP
2.16. 16전 미국 GP
2.17. 17전 일본 GP
3. 챔피언십 포인트 순위
3.1. 드라이버 포인트
3.2. 컨스트럭터 포인트


||


  • 시즌 개막일 기준.
  • 굵은 글씨는 소속을 옮긴 드라이버 또는 신인 드라이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08bc848e028e7f9d65567f2ddc15951 data-hash-start=w-8a88357c916ad249f887b5162752f893 == 2002년 그랑프리 == 2002년 포뮬러 원 시즌은 53번째 FIA 포뮬러 원 시즌이다. 이 시즌은 3월 3일 호주 그랑프리를 시작으로 10월 13일 일본 그랑프리 까지 총 17경기로 치러졌다. 이 시즌은 미쉐린과 브리지스톤이 타이어를 공급하였다. 페라리가 팀의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우승을 거두었고, 미하엘 슈마허가 전 경기 포디움을 달성하며 5번째 드라이버 챔피언십 우승을 차지하였다. 루벤스 바리첼로가 2위, 후안 파블로 몬토야가 3위를 차지했다. === 2002년 라인업 ===
엔트리
팀 로고팀 국적섀시
(파워유닛)
타이어드라이버
번호국적이름
1파일:Scuderia Ferrari Marlboro logo.jpg
스쿠데리아 페라리 말보로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F2001
(Ferrari 050)[1]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1파일:독일 국기.svg미하엘 슈마허
2파일:브라질 국기.svg루벤스 바리첼로
2파일:West Mclaren Mercedes logo.png
웨스트 맥라렌 메르세데스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MP4-17
(Mercedes FO110M)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Michelin.svg.png3파일:영국 국기.svg데이빗 쿨싸드
4파일:핀란드 국기.svg키미 래이쾨넨
3파일:BMW Williams F1 logo.png
BMW 윌리엄스F1 팀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FW24
(BMW P82)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Michelin.svg.png5파일:독일 국기.svg랄프 슈마허
6파일:콜롬비아 국기.svg후안 파블로 몬토야
4파일:Red Bull Sauber Petronas logo.png
자우버 페트로나스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C21
(Petronas 02A)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7파일:독일 국기.svg닉 하이트펠트
8파일:브라질 국기.svg펠리페 마싸
5파일:Jordan_Grand_Prix_logo_old.png
DHL 조던 혼다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EJ12
(Honda RA002E)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9파일:이탈리아 국기.svg지안카를로 피지켈라
10파일:일본 국기.svg사토 타쿠마
6파일:BAR Honda logo.png
럭키 스트라이크 BAR 혼다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004
(Honda RA002E)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11파일:캐나다 국기.svg자크 빌르너브
12파일:프랑스 국기.svg올리비에 파니스
7파일:Mild Seven Renault f1 logo.jpg
마일드 세븐 르노 F1 팀[2][3]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R202
(Renault RS22)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Michelin.svg.png14파일:이탈리아 국기.svg야르노 트룰리
15파일:영국 국기.svg젠슨 버튼
8파일:Jaguar Racing.webp
재규어 레이싱 F1 팀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R3
(Cosworth CR-3)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Michelin.svg.png16파일:영국 국기.svg에디 어바인
17파일:스페인 민간기.svg페드로 데 라 로사
9파일:Orange Arrows logos.png
오렌지 애로우즈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A23
(Cosworth CR-3)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18파일:독일 국기.svg하인츠하랄트 프렌첸
19파일:브라질 국기.svg엔리케 베르놀디
10파일:minardi.jpg
KL 미나르디 아시아테크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PS02
(Asiatech AT02)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Michelin.svg.png20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알렉스 융
21파일:호주 국기.svg마크 웨버
11파일:Panasonic Toyota Racing logo.png
파나소닉 토요타 레이싱[4]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TF102
(Toyota RVX-02)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Michelin.svg.png22파일:핀란드 국기.svg미카 살로
23파일:영국 국기.svg앨런 맥니쉬


1. 2002년 캘린더[편집]




2. 경기 결과[편집]



3. 1전 호주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루벤스 바리첼로 (페라리)1:25.843우승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35:36.792
P2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25.848 (+0.005s)2위후안 파블로 몬토야 (윌리엄스)+ 18.628s
P3랄프 슈마허 (윌리엄스)1:26.279 (+0.436s)3위키미 래이쾨넨 (맥라렌)+ 25.067s

패스티스트랩키미 래이쾨넨 (맥라렌)1:28.541 (Lap 37)

대혼란의 스타트, 그리고 자국에서의 화려한 데뷔

스타트부터 난장판으로 시작된 개막전이었다. 폴포지션을 차지한 바리첼로는 스타트 직후 쾌조의 스타트를 선보인 랄프 슈마허를 디펜스하였는데 좁디 좁은 앨버트 파크의 첫 코너 진입을 위해 속력을 크게 줄일 수밖에 없었고, 반응이 늦었던 랄프 슈마허가 바리첼로를 그대로 들이받아 대형사고가 일어나고 말았다. 사고가 난 직후, 중위권에서도 난장판이 일어났으며 이변이 많으면 많지, 적기란 힘든 개막전 호주 GP임을 그대로 보여준 장면이었다.

개막전 우승은 미하엘 슈마허가 차지하였다. 레이스 중반 몬토야와의 치열한 휠투휠 배틀을 보여준 것은 이 경기의 볼 거리 중 하나였으며, 가장 충격을 선사한 점은 바로 신인 마크 웨버의 개막전 자국 그랑프리 포인트 피니쉬였다. 물론 많은 선수들이 리타이어한 덕이 컸지만, 당시 미나르디의 퍼포먼스는 11팀 중 최하위였다는 점을 감안해도 신인이 개막전 자국에서 포인트 피니쉬를 한 점은 눈여겨 보기에 충분하였다.

아울러, 맥라렌에서의 데뷔전을 치룬 2년차 키미 래이쾨넨은 이번 경기에서 F1 통산 처음으로 시상대에 올랐다.

4. 2전 말레이시아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35.266우승랄프 슈마허 (윌리엄스)1:34:12.912
P2후안 파블로 몬토야 (윌리엄스)1:35.497 (+0.231s)2위후안 파블로 몬토야 (윌리엄스)+ 39.700s
P3루벤스 바리첼로 (페라리)1:35.891 (+0.625s)3위미하엘 슈마허 (페라리)+ 1:01.795s

패스티스트랩후안 파블로 몬토야 (윌리엄스)1:38.049 (Lap 38)

5. 3전 브라질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후안 파블로 몬토야 (윌리엄스)1:13.114우승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31:43.663
P2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13.241 (+0.127s)2위랄프 슈마허 (윌리엄스)+ 0.588s
P3랄프 슈마허 (윌리엄스)1:13.328 (+0.214s)3위데이빗 쿨싸드 (맥라렌)+ 59.109s

패스티스트랩후안 파블로 몬토야 (윌리엄스)1:16.079 (Lap 60)

6. 4전 산 마리노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21.091우승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29:10.789
P2루벤스 바리첼로 (페라리)1:21.155 (+0.064s)2위루벤스 바리첼로 (페라리)+ 17.907s
P3랄프 슈마허 (윌리엄스)1:21.473 (+0.382s)3위랄프 슈마허 (윌리엄스)+ 19.755s

패스티스트랩루벤스 바리첼로 (페라리)1:24.170 (Lap 38)

7. 5전 스페인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16.364우승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30:29.981
P2루벤스 바리첼로 (페라리)1:16.690 (+0.326s)2위후안 파블로 몬토야 (윌리엄스)+ 35.630s
P3랄프 슈마허 (윌리엄스)1:17.277 (+0.913s)3위데이빗 쿨싸드 (맥라렌)+ 42.623s

패스티스트랩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20.355 (Lap 49)

8. 6전 오스트리아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루벤스 바리첼로 (페라리)1:08.082우승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33:51.562
P2랄프 슈마허 (윌리엄스)1:08.364 (+0.282s)2위루벤스 바리첼로 (페라리)+ 0.182s
P3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08.704 (+0.622s)3위후안 파블로 몬토야 (윌리엄스)+ 17.730s

패스티스트랩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09.298 (Lap 68)

슈마허와 페라리의 최대 흑역사, 지금도 회자되는 최악의 팀오더

믿을 수가 없습니다! 믿을 수 없어요! 무슨 일이 일어난 건가요! 미하엘 슈마허가 우승했지만, 그는 그럴 자격이 없습니다.
I do not believe it! I do not believe it! What's going on! Michael Schumacher wins the Austrian Grand Prix, but he doesn't deserve to win it.

제임스 앨런(당시 F1 중계 캐스터)


폴포지션을 차지한 루벤스 바리첼로는 3위에서 출발한 미하엘 슈마허와 함께 좋은 스타트를 보이며 일찌감치 1,2위로 앞서나갔다. 차량의 퍼포먼스와 드라이버들의 실력이 좋았기에 두 드라이버는 레이스 후반부까지 레이스를 리드해나갔고, 문제는 레이스 최후반부였다.

페라리에서는 바리첼로에게 슈마허에게 1위 자리를 양보하라고 하였는데, '자리를 내놓지 않으면 레이싱 커리어를 끝장내버리겠다.'라는 말과 함께 바리첼로에게 협박에 가까운 팀 오더를 날렸다. 2년동안 쌓일 게 쌓였던 그는 페라리에게 날린 응답은 바로 위 영상의 장면이었다. 마지막 랩, 마지막 코너를 지나자마자 바리첼로는 피니쉬 라인 91m~46m 정도를 남기고 브레이킹을 하였고 결국 슈마허가 이 경기의 우승자가 되었다.

레이스가 종료되고 피트의 차량 정차 구역(파크 페르메)에 정차하였을 때, 슈마허와 페라리는 관중들의 엄청난 비난과 야유를 받게 되었다. 당시 정차 후, 동생 랄프 슈마허가 형(미하엘 슈마허)을 바라보았을 때의 표정이 모든 감정을 말해주는 듯. 시상식 때에는 그래도 슈마허가 바리첼로에게 1위 단상 자리와 트로피를 양보하였지만, 여론과 팬들의 비난은 피하지 못했다.

이 경기를 중계한 중계진들을 비롯하여 관계자들은 이들의 행위에 개탄한다는 반응이 주를 이뤘으며, 이로 인해 페라리는 FIA로부터 1백만 달러의 벌금을 물게 되었다. 또한, 이 사건으로 인해 F1에서는 2003 시즌부터 공식적으로 팀 오더 규정이 금지가 되었다.[5] [6]

9. 7전 모나코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후안 파블로 몬토야 (윌리엄스)1:16.676우승데이빗 쿨싸드 (맥라렌)1:45:39.055
P2데이빗 쿨싸드 (맥라렌)1:17.068 (+0.392s)2위미하엘 슈마허 (페라리)+ 1.050s
P3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17.118 (+0.442s)3위랄프 슈마허 (윌리엄스)+ 1:17.450s

패스티스트랩루벤스 바리첼로 (페라리)1:18.023 (Lap 68)

10. 8전 캐나다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후안 파블로 몬토야 (윌리엄스)1:12.836우승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33:36.111
P2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13.018 (+0.182s)2위데이빗 쿨싸드 (맥라렌)+ 1.132s
P3루벤스 바리첼로 (페라리)1:13.280 (+0.444s)3위루벤스 바리첼로 (페라리)+ 7.082s

패스티스트랩후안 파블로 몬토야 (윌리엄스)1:15.960 (Lap 50)

11. 9전 유럽(뉘르부르크)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후안 파블로 몬토야 (윌리엄스)1:29.906우승루벤스 바리첼로 (페라리)1:35:07.426
P2랄프 슈마허 (윌리엄스)1:29.915 (+0.009s)2위미하엘 슈마허 (페라리)+ 0.294s
P3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30.035 (+0.129s)3위키미 래이쾨넨 (맥라렌)+ 46.435s

패스티스트랩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32.226 (Lap 26)

바리첼로가 이번 시즌 처음으로 우승을 차지하였다. 마지막 랩까지 팀메이트 슈마허와 치열한 접전을 벌인 끝에 차지한 값진 우승이었다. 여담으로, 당시 해설가 제임스 앨런은 "제발 바리첼로가 피니쉬 라인 앞에서 브레이크 밟지 말길 기원합니다."라고 하는 등, 지난 오스트리아에서의 충격적인 장면을 재고시켜주는 일이 있었다.

12. 10전 영국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후안 파블로 몬토야 (윌리엄스)1:18.998우승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31:45.015
P2루벤스 바리첼로 (페라리)1:19.032 (+0.034s)2위루벤스 바리첼로 (페라리)+ 14.578s
P3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19.042 (+0.044s)3위후안 파블로 몬토야 (윌리엄스)+ 31.661s

패스티스트랩루벤스 바리첼로 (페라리)1:23.083 (Lap 58)

13. 11전 프랑스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후안 파블로 몬토야 (윌리엄스)1:11.985우승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32:09.837
P2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12.008 (+0.023s)2위키미 래이쾨넨 (맥라렌)+ 1.105s
P3루벤스 바리첼로 (페라리)1:12.197 (+0.212s)3위데이빗 쿨싸드 (맥라렌)+ 31.976s

패스티스트랩데이빗 쿨싸드 (맥라렌)1:15.045 (Lap 62)

파일:Michael Schumacher 2002 france.jpg
언스토퍼블 미하엘 슈마허, 후안 마누엘 판지오와 어깨를 나란히 하다

미하엘 슈마허가 이번 경기 우승으로 남은 경기들의 결과와 상관 없이 그의 5번째 월드 챔피언 타이틀 획득을 확정지었다. 이로써 1957 시즌 후안 마누엘 판지오가 달성한 5회 챔피언 기록과 마침내 동률을 이루게 되었다.

14. 12전 독일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14.389우승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27:52.078
P2랄프 슈마허 (윌리엄스)1:14.570 (+0.181s)2위후안 파블로 몬토야 (윌리엄스)+ 10.503s
P3루벤스 바리첼로 (페라리)1:14.693 (+0.304s)3위랄프 슈마허 (윌리엄스)+ 14.466s

패스티스트랩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16.462 (Lap 44)

15. 13전 헝가리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루벤스 바리첼로 (페라리)1:13.333우승루벤스 바리첼로 (페라리)1:41:49.001
P2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13.392 (+0.059s)2위미하엘 슈마허 (페라리)+ 0.434s
P3랄프 슈마허 (윌리엄스)1:13.746 (+0.413s)3위랄프 슈마허 (윌리엄스)+ 13.355s

패스티스트랩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16.207 (Lap 72)

16. 14전 벨기에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43.726우승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21:20.634
P2키미 래이쾨넨 (맥라렌)1:44.150 (+0.424s)2위루벤스 바리첼로 (페라리)+ 1.977s
P3루벤스 바리첼로 (페라리)1:44.335 (+0.609s)3위후안 파블로 몬토야 (윌리엄스)+ 18.445s

패스티스트랩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47.176 (Lap 15)

17. 15전 이탈리아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후안 파블로 몬토야 (윌리엄스)1:20.264우승루벤스 바리첼로 (페라리)1:16:19.982
P2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20.521 (+0.257s)2위미하엘 슈마허 (페라리)+ 0.255s
P3랄프 슈마허 (윌리엄스)1:20.542 (+0.278s)3위에디 어바인 (재규어)+ 52.579s

패스티스트랩루벤스 바리첼로 (페라리)1:23.657 (Lap 15)

에디 어바인이 본인의 F1 통산 마지막 포디움을 기록하였다.

18. 16전 미국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10.790우승루벤스 바리첼로 (페라리)1:31:07.934
P2루벤스 바리첼로 (페라리)1:11.058 (+0.268s)2위미하엘 슈마허 (페라리)+ 0.011s
P3데이빗 쿨싸드 (맥라렌)1:11.413 (+0.623s)3위데이빗 쿨싸드 (맥라렌)+ 7.799s

패스티스트랩루벤스 바리첼로 (페라리)1:12.738 (Lap 27)

피니쉬 라인 앞에서 우승을 양보한 슈마허, 지난 오스트리아에서의 우승을 다시 돌려주다

지난 오스트리아 GP에서 팀 오더 논란으로 큰 비난을 받은 미하엘 슈마허가 이번 그랑프리에서 루벤스 바리첼로에게 우승을 양보하였다. 마지막 랩의 뱅크를 지나면서 속력을 일부러 줄인 모습이었고, 바짝 뒤따라오던 바리첼로는 그대로 속력을 올리며 피니쉬 라인을 통과. 지난 오스트리아에서 헌납한 우승을 되돌려받게 되었다.

19. 17전 일본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31.317우승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26:59.698
P2루벤스 바리첼로 (페라리)1:31.749 (+0.432s)2위루벤스 바리첼로 (페라리)+ 0.506s
P3데이빗 쿨싸드 (맥라렌)1:32.088 (+0.771s)3위키미 래이쾨넨 (맥라렌)+ 23.292s

패스티스트랩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36.125 (Lap 15)

전 경기 포디움 대기록 달성
전무후무한 역사를 세우다

미하엘 슈마허가 이번 경기를 우승하며 2002 시즌 전 경기에 포디움에 올랐다. 이는 F1 역사상 단 한 번도 없었던 기록이며, 지금도 깨지지 않고 있는 불멸의 기록이기도 하다. 차의 신뢰도와 퍼포먼스 모두 정상급이어야 했으며, 무엇보다도 슈마허 본인의 기량과 집중력이 절정이었기에 가능했던 기록이었다.

20. 챔피언십 포인트 순위[편집]



21. 드라이버 포인트[편집]


파일:Michael Schumacher 2002 champion.jpg
2002 포뮬러 1 월드 드라이버 챔피언 - 미하엘 슈마허

WORLD DRIVER CHAMPIONSHIP
1미하엘 슈마허파일:독일 국기.svg페라리144WDC
2루벤스 바리첼로파일:브라질 국기.svg페라리77
3후안 파블로 몬토야파일:콜롬비아 국기.svg윌리엄스50
4랄프 슈마허파일:독일 국기.svg윌리엄스42
5데이빗 쿨싸드파일:영국 국기.svg맥라렌41
6키미 래이쾨넨파일:핀란드 국기.svg맥라렌24
7젠슨 버튼파일:영국 국기.svg르노14
8야르노 트룰리파일:이탈리아 국기.svg르노9
9에디 어바인파일:영국 국기.svg재규어8
10닉 하이트펠트파일:독일 국기.svg자우버7
11지안카를로 피지켈라파일:이탈리아 국기.svg조던7
12자크 빌르너브파일:캐나다 국기.svgBAR4
13펠리페 마싸파일:브라질 국기.svg자우버416R 결장[7]
14올리비에 파니스파일:프랑스 국기.svgBAR3
15사토 타쿠마파일:일본 국기.svg조던2
16마크 웨버파일:호주 국기.svg미나르디2
17미카 살로파일:핀란드 국기.svg토요타2
18하인츠하랄트 프렌첸파일:독일 국기.svg자우버21R~12R - 애로우즈 소속으로 출전
16R - 자우버 소속으로 출전
19앨런 맥니쉬파일:영국 국기.svg토요타0
20알렉스 융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미나르디013R~14R 결장[8][9]
21페드로 데 라 로사파일:스페인 국기.svg재규어0
22엔리케 베르놀디파일:브라질 국기.svg애로우즈01R~12R 출전[10]

22. 컨스트럭터 포인트[편집]


파일:Ferrari f1 2002.jpg
2002 포뮬러 1 월드 컨스트럭터 챔피언 - 스쿠데리아 페라리 말보로

WORLD CONSTRUCTOR CHAMPIONSHIP
1페라리파일:이탈리아 국기.svg221WCC
2윌리엄스 - BMW파일:영국 국기.svg92
3맥라렌 - 메르세데스파일:영국 국기.svg65
4르노파일:프랑스 국기.svg23
5자우버 - 페트로나스파일:스위스 국기.svg11
6조던 - 혼다파일:아일랜드 국기.svg9
7재규어 - 코스워스파일:영국 국기.svg8
8BAR 혼다파일:영국 국기.svg7
9미나르디 - 아시아테크파일:이탈리아 국기.svg2
10토요타파일:일본 국기.svg2
11애로우즈 - 코스워스파일:영국 국기.svg21R~12R 출전[11]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4 01:48:20에 나무위키 포뮬러 1/2002시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후 시즌 중에 섀시와 엔진을 각각 'F2002'와 '051'로 변경하였다.[2] 르노가 베네통 F1 팀을 인수하며 메인 컨스트럭터로 F1에 복귀하였다.[3] 2000년에 베네통 F1 팀을 인수하였고 이번 시즌에서야 비로소 팀 이름까지 '르노'로 변경한 채 참가하였다.[4] 2001년 팀 설립 이후 이번 시즌 정식으로 F1에 출전한다.[5] 그러나 팀 오더는 현재까지도 암암리에 이루어지고 있다.[6] 현재는 팀 오더 금지 규정은 사라졌다[7] 자우버는 시즌 도중 애로우즈에서 퇴단한 프렌첸과 2003 시즌에 뛰기로 계약하였다. 그런데 마싸가 15R까지 페널티 포인트가 10점을 얻었는데, 이를 없애기 위해 자우버는 마싸를 1경기 휴식시키고 프렌첸을 시트에 앉히는 결정을 하였다.[8] 융이 12R까지 3경기를 본선 레이스에 참가하기 위한 107% 기록을 내지 못해 예선탈락하자, 미나르디는 그를 앤써니 데이빗슨과 교체하는 결단을 내린다.[9] 이후, 그를 저스틴 윌슨과 교체하여 그의 시즌 출전을 허락하지 않았으나, 저스틴 윌슨의 키가 너무 커서(...) 윌슨을 위한 시트를 빠른 시간 안에 미나르디가 만들 수 없었다. 하는 수 없이, 미나르디는 융을 2경기 만에 팀으로 복귀시킨다.[10] 소속 팀의 재정난으로 12R 이후 방출.[11] 12라운드 이후 재정난으로 F1에서 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