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포뮬러 1/1998시즌

덤프버전 :




1. 1998년 그랑프리
1.1. 1998년 라인업
1.2. 1998년 캘린더
2. 메디컬 카
3. 경기 결과
3.1. 1전 호주 GP
3.2. 2전 브라질 GP
3.3. 3전 아르헨티나 GP
3.4. 4전 산 마리노 GP
3.5. 5전 스페인 GP
3.6. 6전 모나코 GP
3.7. 7전 캐나다 GP
3.8. 8전 프랑스 GP
3.9. 9전 영국 GP
3.10. 10전 오스트리아 GP
3.11. 11전 독일 GP
3.12. 12전 헝가리 GP
3.13. 13전 벨기에 GP
3.14. 14전 이탈리아 GP
3.15. 15전 룩셈부르크 GP
3.16. 16전 일본 GP
4. 챔피언십 포인트 순위
4.1. 드라이버 포인트
4.2. 컨스트럭터 포인트



1. 1998년 그랑프리[편집]


1998년 포뮬러 원 시즌은 49번째 FIA 포뮬러 원 시즌이다. 이 시즌은 3월 8일 호주 그랑프리를 시작으로 11월 1일 일본 그랑프리 까지 총 16경기로 치러졌다. 이 시즌은 굿이어와 브리지스톤이 타이어를 공급하였다. 맥라렌-메르세데스가 팀의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우승을 거두었고, 미카 하키넨이 드라이버 챔피언십 우승을 차지하였다. 미하엘 슈마허가 2위, 데이빗 쿨싸드가 3위를 차지했다.

1.1. 1998년 라인업[편집]


  • 시즌 개막일 기준.
  • 굵은 글씨는 소속을 옮긴 드라이버 또는 신인 드라이버

엔트리팀 로고팀 국적섀시
(파워유닛)
드라이버
번호국적이름
1파일:Winfield Williams logo.png
윈필드 윌리엄스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FW20
(Mecachrome GC37-01)
1파일:캐나다 국기.svg자크 빌르너브
2파일:독일 국기.svg하인츠하랄트 프렌첸
2파일:Scuderia Ferrari Marlboro logo.jpg
스쿠데리아 페라리 말보로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F300
(Ferrari 047)
3파일:독일 국기.svg미하엘 슈마허
4파일:영국 국기.svg에디 어바인
3파일:Benetton Formula logo.gif
마일드 세븐 베네통 플레이라이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B198
(Playlife GC37-01)
5파일:이탈리아 국기.svg지안카를로 피지켈라
6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알렉산더 우르츠
4파일:West Mclaren Mercedes logo.png
웨스트 맥라렌 메르세데스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MP4/13
(Mercedes FO110G)
7파일:영국 국기.svg데이빗 쿨싸드
8파일:핀란드 국기.svg미카 해키넨
5파일:Jordan GP logo.gif
벤슨 & 헤지스 조던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198
(Mugen-Honda MF-301 HC)
9파일:영국 국기.svg데이먼 힐
10파일:독일 국기.svg랄프 슈마허
6파일:Prost logo.png
골루아즈 프로스트 푸조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AP01
(Peugeot A16)
11파일:프랑스 국기.svg올리비에 파니스
12파일:이탈리아 국기.svg야르노 트룰리
7파일:Red Bull Sauber Petronas logo.png
레드불 자우버 페트로나스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C17
(Petronas SPE-01D)
14파일:프랑스 국기.svg장 알레시
15파일:영국 국기.svg조니 허버트
8파일:Arrows GP logo.jpg
단카 젭터 애로우즈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A19
(Arrows T2-F1)
16파일:브라질 국기.svg페드로 디니즈
17파일:핀란드 국기.svg미카 살로
9파일:stewart grand prix.png
HSBC 스튜어트 포드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SF2
(Ford VJ Zetec-R)
18파일:브라질 국기.svg루벤스 바리첼로
19파일:덴마크 국기.svg얀 마그누센
10파일:ECC3FA80-D61C-4F17-80B9-5E46D2A729B7.png
PIAA 티렐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026
(Ford JD Zetec-R)
20파일:브라질 국기.svg리카도 로셋
21파일:일본 국기.svg타카기 토라노스케
11파일:Minardi 2000 logo.png
폰드메탈 미나르디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M198
(Ford JD Zetec-R)
22파일:일본 국기.svg나카노 신지
23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에스테반 투에로

1.2. 1998년 캘린더[편집]


경기일그랑프리(도시)서킷드라이버 우승컨스트럭터 우승
13/8호주(멜버른)앨버트 파크 서킷미카 하키넨맥라렌-메르세데스
23/29브라질(상파울루)호세 카를로스 파시 서킷미카 하키넨맥라렌-메르세데스
34/12아르헨티나(부에노스 아이레스)오스카르 알프레도 갈베스 자동차 경주장미하엘 슈마허페라리
44/26산 마리노(이몰라)엔초 에 디노 페라리 자동차 경주장데이빗 쿨싸드맥라렌-메르세데스
55/10스페인(카탈루냐)카탈루냐 서킷미카 하키넨맥라렌-메르세데스
65/24모나코(몬테카를로)모나코 서킷미카 하키넨맥라렌-메르세데스
76/7캐나다(몬트리올)질 빌르너브 서킷미하엘 슈마허페라리
86/28프랑스(마그니-쿠르)느베르 마그니-쿠르 서킷미하엘 슈마허페라리
97/12영국(실버스톤)실버스톤 서킷미하엘 슈마허페라리
107/26오스트리아(스펠베르크)A1-링미카 하키넨맥라렌-메르세데스
118/2독일(호켄하임)호켄하임링미카 하키넨맥라렌-메르세데스
128/16헝가리(부다페스트)헝가로링미하엘 슈마허페라리
138/30벨기에(프랑코샹)스파-프랑코샹 서킷데이먼 힐조던-무겐-혼다
149/13이탈리아(몬차)국립 몬차 자동차 경주장미하엘 슈마허페라리
159/27룩셈부르크(뉘르부르크)뉘르부르크링미카 하키넨맥라렌-메르세데스
1611/1일본(스즈카)스즈카 서킷미카 하키넨맥라렌-메르세데스


2. 메디컬 카[편집]


파일:8985B28D-4C8B-468C-95F9-6F5F0010EB51.png
이번 시즌의 메디컬 카는 C 55 AMG 에스테이트로 변경되었다.


3. 경기 결과[편집]



3.1. 1전 호주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미카 해키넨 (맥라렌)1:30.010우승미카 해키넨 (맥라렌)1:31:45.996
P2데이빗 쿨싸드 (맥라렌)1:30.053 (+0.043s)2위데이빗 쿨싸드 (맥라렌)+ 0.702s
P3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30.767 (+0.757s)3위하인츠하랄트 프렌첸 (윌리엄스)+ 1 Lap

패스티스트랩미카 해키넨 (맥라렌)1:31.649 (Lap 38)

맥라렌이 충격적인 페이스와 함께 1998 시즌을 시작하였다. 두 선수만이 앞에서 나란히 붙어서 피니쉬하였을 뿐, 나머지 차량들을 모조리 백마커로 만들며 이번 시즌 최강자로 자리매김할 것임을 예고하였다.

아울러, 재밌는 일화가 있었는데, 맥라렌의 수장 론 데니스는 먼저 첫 코너를 지나는 선수가 레이스 우승자가 되도록 규칙을 정하였다. 레이스 중반, 맥라렌의 전략적인 실수로 쿨싸드가 해키넨을 앞서게 되었지만 쿨싸드가 신사적으로 정해진 팀 오더를 따르며 해키넨에게 우승을 양보하였다.

3.2. 2전 브라질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미카 해키넨 (맥라렌)1:17.092우승미카 해키넨 (맥라렌)1:37:11.747
P2데이빗 쿨싸드 (맥라렌)1:17.757 (+0.665s)2위데이빗 쿨싸드 (맥라렌)+ 1.102s
P3하인츠하랄트 프렌첸 (윌리엄스)1:18.109 (+1.017s)3위미하엘 슈마허 (페라리)+ 1:00.550s

패스티스트랩미카 해키넨 (맥라렌)1:19.337 (Lap 64)

3.3. 3전 아르헨티나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데이빗 쿨싸드 (맥라렌)1:25.852우승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48:36.175
P2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26.251 (+0.399s)2위미카 해키넨 (맥라렌)+ 22.899s
P3미카 해키넨 (맥라렌)1:26.632 (+0.780s)3위에디 어바인 (페라리)+ 57.745s

패스티스트랩알렉산더 우르츠 (베네통)1:28.179 (Lap 39)

아르헨티나에서 열리는 마지막 F1 그랑프리이다.

3.4. 4전 산 마리노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데이빗 쿨싸드 (맥라렌)1:25.973우승데이빗 쿨싸드 (맥라렌)1:34:24.593
P2미카 해키넨 (맥라렌)1:26.075 (+0.102s)2위미하엘 슈마허 (페라리)+ 4.554s
P3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26.437 (+0.464s)3위에디 어바인 (페라리)+ 51.776s

패스티스트랩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29.345 (Lap 46)

3.5. 5전 스페인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미카 해키넨 (맥라렌)1:20.262우승미카 해키넨 (맥라렌)1:33:37.621
P2데이빗 쿨싸드 (맥라렌)1:20.996 (+0.734s)2위데이빗 쿨싸드 (맥라렌)+ 9.439s
P3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21.785 (+1.523s)3위미하엘 슈마허 (페라리)+ 47.094s

패스티스트랩미카 해키넨 (맥라렌)1:24.275 (Lap 25)

3.6. 6전 모나코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미카 해키넨 (맥라렌)1:19.798우승미카 해키넨 (맥라렌)1:51:23.595
P2데이빗 쿨싸드 (맥라렌)1:20.137 (+0.339s)2위지안카를로 피지켈라 (베네통)+ 11.475s
P3지안카를로 피지켈라 (베네통)1:20.368 (+0.570s)3위에디 어바인 (페라리)+ 41.378s

패스티스트랩미카 해키넨 (맥라렌)1:22.948 (Lap 30)

3.7. 7전 캐나다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데이빗 쿨싸드 (맥라렌)1:18.213우승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40:57.355
P2미카 해키넨 (맥라렌)1:18.282 (+0.069s)2위지안카를로 피지켈라 (베네통)+ 16.662s
P3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18.497 (+0.284s)3위에디 어바인 (페라리)+ 1:00.058s

패스티스트랩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19.379 (Lap 47)

3.8. 8전 프랑스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미카 해키넨 (맥라렌)1:14.929우승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34:45.026
P2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15.159 (+0.230s)2위에디 어바인 (페라리)+ 19.575s
P3데이빗 쿨싸드 (맥라렌)1:15.333 (+0.404s)3위미카 해키넨 (맥라렌)+ 19.747s

패스티스트랩데이빗 쿨싸드 (맥라렌)1:17.523 (Lap 56)

3.9. 9전 영국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미카 해키넨 (맥라렌)1:23.271우승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47:02.450
P2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23.720 (+0.449s)2위미카 해키넨 (맥라렌)+ 22.465s
P3자크 빌르너브 (윌리엄스)1:24.102 (+0.831s)3위에디 어바인 (페라리)+ 29.199s

패스티스트랩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35.704 (Lap 12)

3.10. 10전 오스트리아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지안카를로 피지켈라 (베네통)1:29.598우승미카 해키넨 (맥라렌)1:30:44.086
P2장 알레시 (자우버)1:30.317 (+0.719s)2위데이빗 쿨싸드 (맥라렌)+ 5.289s
P3미카 해키넨 (맥라렌)1:30.517 (+0.919s)3위미하엘 슈마허 (페라리)+ 39.093s

패스티스트랩데이빗 쿨싸드 (맥라렌)1:12.878 (Lap 30)

3.11. 11전 독일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미카 해키넨 (맥라렌)1:41.838우승미카 해키넨 (맥라렌)1:20:47.984
P2데이빗 쿨싸드 (맥라렌)1:42.347 (+0.509s)2위데이빗 쿨싸드 (맥라렌)+ 0.427s
P3자크 빌르너브 (윌리엄스)1:42.365 (+0.527s)3위자크 빌르너브 (윌리엄스)+ 2.578s

패스티스트랩데이빗 쿨싸드 (맥라렌)1:46.116 (Lap 17)

3.12. 12전 헝가리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미카 해키넨 (맥라렌)1:16.973우승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45:25.550
P2데이빗 쿨싸드 (맥라렌)1:17.131 (+0.158s)2위데이빗 쿨싸드 (맥라렌)+ 9.433s
P3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17.366 (+0.393s)3위자크 빌르너브 (윌리엄스)+ 44.444s

패스티스트랩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19.286 (Lap 60)

3.13. 13전 벨기에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미카 해키넨 (맥라렌)1:48.682우승데이먼 힐 (조던)1:43:47.404
P2데이빗 쿨싸드 (맥라렌)1:48.845 (+0.163s)2위랄프 슈마허 (조던)+ 0.932s
P3데이먼 힐 (조던)1:49.728 (+1.046s)3위장 알레시 (자우버)+ 7.240s

패스티스트랩미하엘 슈마허 (페라리)2:03.766 (Lap 9)

역대급 스타트, 역대급 결과

시작 직전에 서킷에는 비가 상당히 많이 내리고 있는 상황이었고, 악천후 속에 레이스는 진행되었다. 그리고 스타트 직후부터 F1 역사상 최대의 사고가 발생하였다. 첫 코너를 지나고 내리막 직선 구간에서 쿨싸드가 스핀을 하며 벽을 들이받았고, 물보라에 앞을 보지 못한 뒷 차량들과 연쇄추돌이 일어나며 10대 이상의 차량이 사고에 휘말린다. 중단됨과 동시에 많은 선수들이 티 카[1]에 탑승하기 위해 피트로 달려나갔고, 사고가 처리된 뒤 레이스는 다시 재개되었다.

다시 시작된 스타트에서 데이먼 힐이 쾌조의 스타트를 선보이며 선두 해키넨을 추월하였다. 첫 코너를 지나며 해키넨이 스핀하였고, 그대로 시동을 꺼뜨리며 리타이어한다. 직후, 우르츠와의 사고로 후미 그리드로 처진 쿨싸드와 그 외의 상위권 선수들의 부진으로 미하엘 슈마허는 빠른 페이스로 1위 힐까지 추월하며 독주하기 시작한다. 24랩 째에는 쿨싸드마저 백마커로 만들기 직전까지 간다. 여기서 문제가 발생한다.

미하엘 슈마허가 쿨싸드를 추월하기 위해 직선에서 인코스로 움직였으나, 쿨싸드의 리어윙을 들이받으며 앞바퀴 한쪽을 잃으며 리타이어한다. 페라리의 감독 장 토드는 맥라렌의 피트월로 가서 쿨싸드가 슈마허를 바로 양보하지 않은 것이 아니냐는 이의를 제기하였고, 슈마허 역시 피트복귀 후 쿨싸드를 향해 다가가 "나를 죽이려 했다."며 언성을 높였다. 그러나 맥라렌과 쿨싸드는 바로 비켜주었다고 반론하였고, 이 사고는 스튜어트의 조사로 슈마허가 물보라로 인해 좁아진 시야에서 충돌을 일으킨 것으로 결론이 났다. 그리고 쿨싸드는 리어윙을 교체하고 다시 트랙에 복귀하여 레이스를 마쳤다.

1위로 유유히 레이스를 이어가던 데이먼 힐이 벨기에 GP에서 우승을 차지하였다. 이어, 랄프 슈마허가 2위로 체커기를 받았고, 이 경기는 조던 팀의 역사상 처음이자 마지막 원투피니쉬 경기였다. 아울러, 장 알레시가 F1 커리어 마지막 포디움에 올랐다.

3.14. 14전 이탈리아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25.289우승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17:09.672
P2자크 빌르너브 (윌리엄스)1:25.561 (+0.272s)2위에디 어바인 (페라리)+ 37.977s
P3미카 해키넨 (맥라렌)1:25.679 (+0.390s)3위랄프 슈마허 (조던)+ 41.152s

패스티스트랩미카 해키넨 (맥라렌)1:25.139 (Lap 45)

3.15. 15전 룩셈부르크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18.561우승미카 해키넨 (맥라렌)1:32:14.789
P2에디 어바인 (페라리)1:18.907 (+0.346s)2위미하엘 슈마허 (페라리)+ 2.212s
P3미카 해키넨 (맥라렌)1:18.940 (+0.379s)3위데이빗 쿨싸드 (맥라렌)+ 34.164s

패스티스트랩미카 해키넨 (맥라렌)1:20.450 (Lap 25)

3.16. 16전 일본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36.293우승미카 해키넨 (맥라렌)1:27:22.535
P2미카 해키넨 (맥라렌)1:36.471 (+0.178s)2위에디 어바인 (페라리)+ 6.491s
P3데이빗 쿨싸드 (맥라렌)1:37.496 (+1.203s)3위데이빗 쿨싸드 (맥라렌)+ 27.662s

패스티스트랩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40.190 (Lap 19)

칠전팔기 미카 해키넨, 드디어 정상에 오르다

챔피언십 포인트는 해키넨이 90점, 슈마허가 86점으로 4점차이가 난 가운데, 폴포지션은 미하엘 슈마허가, 2그리드는 해키넨이 차지하였다. 치열한 공방이 펼쳐질 것으로 예상되었던 레이스였지만, 스타트 직전 슈마허의 차량이 스톨되어 챔피언십 경쟁은 다소 허무하게 해키넨의 승리로 끝났다.[2] 그렇게 해키넨이 데뷔 7년만에 챔피언십의 정상에 오르게 되었다. 또한, 핀란드인이 챔피언 자리에 오른 것은 1982년 케케 로즈버그 이후 16년 만이었다.

4. 챔피언십 포인트 순위[편집]



4.1. 드라이버 포인트[편집]


파일:Mika Hakkinen 1998 champion.jpg
1998 포뮬러 1 월드 드라이버 챔피언 - 미카 해키넨

WORLD DRIVER CHAMPIONSHIP
1미카 해키넨파일:핀란드 국기.svg맥라렌100WDC
2미하엘 슈마허파일:독일 국기.svg페라리86
3데이빗 쿨싸드파일:영국 국기.svg맥라렌56
4에디 어바인파일:영국 국기.svg페라리47
5자크 빌르너브파일:캐나다 국기.svg윌리엄스21
6데이먼 힐파일:영국 국기.svg조던20
7하인츠하랄트 프렌첸파일:독일 국기.svg윌리엄스17
8알렉산더 우르츠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베네통17
9지안카를로 피지켈라파일:이탈리아 국기.svg베네통16
10랄프 슈마허파일:독일 국기.svg조던14
11장 알레시파일:프랑스 국기.svg자우버9
12루벤스 바리첼로파일:브라질 국기.svg스튜어트4
13미카 살로파일:핀란드 국기.svg애로우즈3
14페드로 디니즈파일:브라질 국기.svg애로우즈3
15조니 허버트파일:영국 국기.svg자우버1
16얀 마그누센파일:덴마크 국기.svg스튜어트11R~7R 출전[3]
17야르노 트룰리파일:이탈리아 국기.svg프로스트1
-리카도 로셋파일:브라질 국기.svg티렐0
-올리비에 파니스파일:프랑스 국기.svg프로스트0
-타카기 토라노스케파일:일본 국기.svg티렐0
-나카노 신지파일:일본 국기.svg미나르디0
-에스테반 투에로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미나르디0
-요스 베르스타펜파일:네덜란드 국기.svg스튜어트0방출된 마그누센을 대체하여 8R~16R 출전

4.2. 컨스트럭터 포인트[편집]


파일:Mclaren f1 1998.jpg
1998 포뮬러 1 월드 컨스트럭터 챔피언 - 웨스트 맥라렌 메르세데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4 01:48:11에 나무위키 포뮬러 1/1998시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당시엔 사고 직후 다시 레이스를 할 수 있도록 스페어 차량이 피트에 준비되어 있었다. 그러나 비용 문제로 인해 티 카는 한 대만 준비되었다.[2] 또한 31랩 째에 슈마허의 타이어가 펑쳐가 나며 리타이어하였다.[3] 이후, 저조한 성적을 이유로 팀으로부터 방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