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포뮬러 1/1956시즌

덤프버전 :




1. 1956년 그랑프리
2. 시즌 전 이적시장 & 소식
3. 1956시즌 라인업
4. 포인트 규정 변화
5. 1956년 캘린더
6. 시즌 상세
6.1. 1R: 1956 아르헨티나 그랑프리 (아르헨티나 GP)
6.1.1. 퀄리파잉
6.1.2. 레이스
6.2. 2R: 1956 모나코 그랑프리 (모나코 GP)
6.2.1. 퀄리파잉
6.2.2. 레이스
6.3. 3R: 1956 인디애나폴리스 500 (인디 500)
6.3.1. 퀄리파잉
6.3.2. 레이스
6.4. 4R: 1956 벨기에 그랑프리 (벨기에 GP)
6.4.1. 퀄리파잉
6.4.2. 레이스
6.5. 5R: 1956 프랑스 그랑프리 (프랑스 GP)
6.5.1. 퀄리파잉
6.5.2. 레이스
6.6. 6R: 1956 영국 그랑프리 (영국 GP)
6.6.1. 퀄리파잉
6.6.2. 레이스
6.7. 7R: 1956 독일 그랑프리 (독일 GP)
6.7.1. 퀄리파잉
6.7.2. 레이스
6.8. 8R: 1956 이탈리아 그랑프리 (이탈리아 GP)
6.8.1. 퀄리파잉
6.8.2. 레이스
7. 챔피언십 포인트 순위
8. 총평


1. 1956년 그랑프리[편집]


1956년 포뮬러 원 시즌은 7번째 FIA 포뮬러 원 시즌이다. 이 시즌은 1월 22일 아르헨티나 그랑프리를 시작으로 9월 2일 이탈리아 그랑프리 까지 총 8경기로 치러졌다. 이 시즌은 던롭, 파이어스톤, 에이본 러버, 피렐리, 잉글버트가 타이어를 공급하였다. 후안 마누엘 판지오가 드라이버 챔피언십 우승을 차지했다. 스털링 모스가 2위, 피터 콜린스가 3위를 차지했다.

판지오가 우승했지만 전만큼 쉽진 않았고 치열한 챔피언 경쟁을 해야 했다. 마지막 경기였던 몬자 이탈리아 GP에서 콜린스는 그야말로 신사도가 뭔지 보여주는 장면을 연출한다. 판지오가 차 고장으로 리타이어하고[1], 콜린스는 3위로 달리던 중이라 2위로 마칠 시 챔피언이 될 수 있는 상황이었다. 페라리의 세 번째 드라이버였던 무소는 판지오와 차를 공유하자는 요청을 거절했고[2] 챔피언이 될 가능성이 있는 콜린스가 핏스탑을 위해 들어왔는데...콜린스는 지켜보는 판지오를 보자 그 즉시 차에서 내려 판지오에게 차를 넘긴다. 판지오는 그 차를 받아 모스 뒤에 2위로 경기를 마치고 챔피언을 차지한다. 이후 왜 그랬느냐는 질문을 받자 콜린스의 대답은 'Because he deserved it'. 이후 콜린스는 엔초 페라리의 사랑을 받고 페라리에서 꾸준히 활동하나 1958년 뉘르부르크링에서 사고로 사망했다.

하지만 판지오와 엔초 페라리의 불화는 꽤나 심각했고 판지오는 다시 팀을 옮기게 된다.


2. 시즌 전 이적시장 & 소식[편집]


지난 시즌 르망에서 일어난 참사로 인해 메르세데스가 F1에서 철수하자 메르세데스의 주요 드라이버였던 후안 마누엘 판지오스털링 모스는 각각 페라리와 마세라티로 이적하였다. 대부분의 라인업에는 변화가 없지만, 페라리는 영국의 기대주인 피터 콜린스를 추가로 영입함으로써 새 시즌에 대한 각오를 다졌다.


3. 1956시즌 라인업[편집]


#컨스트럭터팀 국적섀시
(엔진)
타이어드라이버출전 라운드
국적이름
1파일:Maserati 2006.png
오피치네 알피에리 마세라티
마세라티파일:이탈리아 국기.svg250F
(Maserati 250F1 2.5 L6)
파일:Pirelli 1948 logo.jpg파일:영국 국기.svg스털링 모스1-2, 4-8
파일:프랑스 국기.svg장 베라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카를로스 멘디테기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루이지 피오티
파일:브라질 국기.svg치코 랜디
파일:이탈리아 국기.svg제리노 게리니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호세 프로일란 곤잘레스
파일:이탈리아 국기.svg체사레 페르디사2, 4-7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파코 고디아4-8
파일:영국 국기.svg마이크 호손4
파일:이탈리아 국기.svg피에로 타루피5
파일:이탈리아 국기.svg움베르토 마그리올리7-8
파일:이탈리아 국기.svg루이지 빌로레시8
파일:스웨덴 국기.svg요아킴 보니에
2파일:BritishRacingMotorsLogo.png
오언 레이싱 기구
마세라티파일:영국 국기.svg250F
(Maserati 250F1 2.5 L6)
파일:Pirelli 1948 logo.jpg

파일:Dunlop classic logo.jpg
파일:영국 국기.svg마이크 호손1
BRMP25
(BRM P25 2.5 L4)
2, 6
파일:영국 국기.svg토니 브룩스2, 6
파일:영국 국기.svg론 플록하트6
3알베르토 우리아마세라티파일:우루과이 국기.svgA6GCM
(Maserati 250F1 2.5 L6)
파일:Pirelli 1948 logo.jpg파일:우루과이 국기.svg알베르토 우리아1
파일:우루과이 국기.svg오스카 곤잘레스
4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스쿠데리아 페라리
페라리파일:이탈리아 국기.svgD50
555
(Ferrari DS50 2.5 V8)
(Ferrari 555 2.5 L4)
파일:A9D51C0E-1CDF-455B-9454-CA6340D5C6F0.jpg

파일:Pirelli 1948 logo.jp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후안 마누엘 판지오1-2, 4-8
파일:이탈리아 국기.svg에우제니오 카스텔로티
파일:영국 국기.svg피터 콜린스
파일:이탈리아 국기.svg루이지 무소1-2, 7-8
파일:벨기에 국기.svg올리비에 겐드비엔1, 5
파일:벨기에 국기.svg폴 프레레4
파일:벨기에 국기.svg안드레 필레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알폰소 데 포르타고5-8
파일:독일 국기.svg볼프강 폰 트립스8
5파일:Gordini Logo.png
에퀴페 고디니
고디니파일:프랑스 국기.svgT16
T32
(Gordini 23 2.5 L6)
(Gordini 25 2.5 L8)
파일:A9D51C0E-1CDF-455B-9454-CA6340D5C6F0.jpg파일:프랑스 국기.svg로버트 만존2, 5-8
파일:프랑스 국기.svg엘리 바욜2
파일:벨기에 국기.svg안드레 필레2, 5, 7
파일:브라질 국기.svg헤르마노 다 시우바 라모스2, 5-6, 8
파일:벨기에 국기.svg안드레 밀호7
파일:프랑스 국기.svg안드레 시몬8
6에큐리에 로지에마세라티파일:프랑스 국기.svg250F
(Maserati 250F1 2.5 L6)
파일:Pirelli 1948 logo.jpg파일:프랑스 국기.svg루이 로지에2, 4-7
7파일:반월 F1 로고.png
반더벨 프로덕츠
반월파일:영국 국기.svgVW 2
(Vanwall 254 2.5 L4)
파일:Pirelli 1948 logo.jpg파일:프랑스 국기.svg모리스 트린티냥2, 4, 6, 8
파일:미국 국기.svg해리 쉘2, 4-6, 8
파일:영국 국기.svg마이크 호손5
파일:영국 국기.svg콜린 채프먼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호세 프로일란 곤잘레스6
파일:이탈리아 국기.svg피에로 타루피8
8굴드's 개러지 (브리스톨)
H.H. 굴드
마세라티파일:영국 국기.svg250F
(Maserati 250F1 2.5 L6)
파일:Dunlop classic logo.jpg파일:영국 국기.svg호레이스 굴드2, 4, 6-7
9조르지오 스칼라티페라리파일:이탈리아 국기.svg500
(Ferrari 500 2.0 L4)
파일:Pirelli 1948 logo.jpg파일:이탈리아 국기.svg조르지오 스칼라티2
10스쿠데리아 센트로 Sud마세라티파일:이탈리아 국기.svg250F
(Maserati 250F1 2.5 L6)
파일:Pirelli 1948 logo.jpg파일:모나코 국기.svg루이 시론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루이지 빌로레시4
파일:미국 국기.svg해리 쉘7
파일:스위스 국기.svg투올로 드 그라펜리드8
페라리500
(Ferrari 500 2.0 L4)
파일:이탈리아 국기.svg조르지오 스칼라티7
11피에로 스코티코너트-알타파일:이탈리아 국기.svgB
(Alta GP 2.5 L4)
파일:Pirelli 1948 logo.jpg파일:이탈리아 국기.svg피에로 스코티4
12파일:Bugatti-Logo-1920x1080.png
아우토모빌 부가티
부가티파일:프랑스 국기.svgT251
(Bugatti 2.5 L8)
파일:A9D51C0E-1CDF-455B-9454-CA6340D5C6F0.jpg파일:프랑스 국기.svg모리스 트린티냥5
13루이지 피오티마세라티파일:이탈리아 국기.svg250F
(Maserati 250F1 2.5 L6)
파일:Pirelli 1948 logo.jpg파일:이탈리아 국기.svg루이지 빌로레시5-7
파일:이탈리아 국기.svg루이지 피오티7-8
14안드레 시몬마세라티파일:프랑스 국기.svg250F
(Maserati 250F1 2.5 L6)
파일:Pirelli 1948 logo.jpg파일:프랑스 국기.svg안드레 시몬5
15스쿠데리아 과스탈라마세라티파일:이탈리아 국기.svg250F
(Maserati 250F1 2.5 L6)
파일:Pirelli 1948 logo.jpg파일:이탈리아 국기.svg움베르토 마그리올리6
파일:이탈리아 국기.svg제리노 게리니8
16파일:Connaught_Logo.png
코너트 엔지니어링
코너트-알타파일:영국 국기.svgB
(Alta GP 2.5 L4)
파일:Pirelli 1948 logo.jpg
Avon
파일:영국 국기.svg아치에 스콧 브라운6, 8
파일:영국 국기.svg잭 페어만
파일:영국 국기.svg데르몬드 티터링턴6
파일:영국 국기.svg레스 레스턴8
파일:영국 국기.svg론 플록하트
17밥 제라드쿠퍼-브리스톨파일:영국 국기.svgT23
(Bristol BS1 2.0 L6)
파일:Dunlop classic logo.jpg파일:영국 국기.svg밥 제라드6
18길비 엔지니어링마세라티파일:영국 국기.svg250F
(Maserati 250F1 2.5 L6)
파일:Dunlop classic logo.jpg파일:영국 국기.svg로이 살바도리6-8
19브루스 할포드마세라티파일:영국 국기.svg250F
(Maserati 250F1 2.5 L6)
파일:Dunlop classic logo.jpg파일:영국 국기.svg브루스 할포드6-8
20잭 브라밤마세라티파일:호주 국기.svg250F
(Maserati 250F1 2.5 L6)
파일:Dunlop classic logo.jpg파일:호주 국기.svg잭 브라밤6
21에메리손 카스에메리손-알타파일:영국 국기.svg56
(Alta GP 2.5 L4)
파일:Dunlop classic logo.jpg파일:영국 국기.svg폴 에메리6
22오토리노 볼론테리오마세라티파일:스위스 국기.svgA6GCM
(Maserati 250F1 2.5 L6)
파일:Pirelli 1948 logo.jpg파일:스위스 국기.svg오토리노 볼론테리오7


4. 포인트 규정 변화[편집]


이번 시즌부터는 지난 시즌에서 조금 더 추가된 포인트 시스템이 적용된다. 대부분은 지난 시즌과 동일하지만, 차량 문제 등으로 리타이어 한 드라이버가 같은 팀의 드라이버들과 1번 이상 드라이버 스왑을 하였을 때, 그 드라이버의 포인트는 공유했던 차량 중 높은 순위로 들어온 차량의 순위대로 포인트를 획득한다.[3] 아울러, 포뮬러 2 클래스 차량으로 출전한 드라이버들은 설령 5위 안에 들거나 패스티스트 랩을 세웠을지라도 포인트가 반영되지 않는다.


5. 1956년 캘린더[편집]


#경기 일정그랑프리(도시)서킷드라이버 우승컨스트럭터 우승비고
11/22아르헨티나(부에노스 아이레스)부에노스 아이레스 서킷후안 마누엘 판지오
루이지 무소
페라리
25/13모나코(몬테카를로)모나코 서킷스털링 모스마세라티
35/30인디애나폴리스 500
(인디애나폴리스)
인디애나폴리스
모터 스피드웨이
팻 플래허티왓슨-오펜하우저
46/3벨기에(스파-프랑코샹)스파-프랑코샹 서킷피터 콜린스페라리
57/1프랑스(랭스)랭스-괴피터 콜린스페라리
67/14영국(실버스톤)실버스톤 서킷후안 마누엘 판지오페라리
78/5독일(뉘르부르크)뉘르부르크링후안 마누엘 판지오페라리
89/2이탈리아(몬차)국립 몬차 자동차 경주장스털링 모스마세라티


6. 시즌 상세[편집]



6.1. 1R: 1956 아르헨티나 그랑프리 (아르헨티나 GP)[편집]



6.1.1. 퀄리파잉[편집]


퀄리파잉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출발 그리드
P1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후안 마누엘 판지오 (페라리)1:42.51번째
P2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에우제니오 카스텔로티 (페라리)+ 2.2s2번째
P3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루이지 무소 (페라리)+ 2.2s3번째
P4
파일:Maserati 2006.png
장 베라 (마세라티)+ 2.6s4번째
P5
파일:Maserati 2006.png
호세 프로일란 곤잘레스 (마세라티)+ 2.7s5번째

판지오의 압도적인 퀄리파잉이었다. 홈 그랑프리이자 개막전에서 판지오가 팀메이트들을 2.2초 이상의 격차로 벌리며 폴 포지션을 차지하였다.


6.1.2. 레이스[편집]


레이스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점수(pts)
우승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루이지 무소 (페라리)3:00:03.74[H]
후안 마누엘 판지오 (페라리)4+1[F][H]
2위
파일:Maserati 2006.png
장 베라 (마세라티)+ 24.4s6
3위
파일:BritishRacingMotorsLogo.png
마이크 호손 (마세라티)+ 2 Laps4
4위
파일:Maserati 2006.png
치코 랜디 (마세라티)+ 6 Laps1.5[H]
제리노 게리니 (마세라티)1.5[H]
5위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올리비에 겐드비엔 (페라리)+ 7 Laps2

패스티스트 랩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후안 마누엘 판지오 (페라리)1:45.3

1956 아르헨티나 GP 하이라이트

레이스 초반은 카를로스 멘디테기와 스털링 모스의 환상적인 페이스 아래 마세라티 팀이 리드하였다. 판지오는 22랩 째에 연료 펌프 문제로 리타이어하며 홈 그랑프리 우승을 놓치는 듯 하였다. 그러나 29랩 째에 루이지 무소로부터 차를 넘겨받아 5위로 다시 트랙에 복귀하였고, 이후에는 장 베라를 추월하던 과정에서 한 번 스핀하긴 하였지만 무서운 스피드로 레이스 후반부인 67랩 째에 리드를 되찾고 그대로 우승을 차지하였다.

페라리의 카스텔로티는 기어박스 이슈로, 마세라티의 멘디테기와 모스는 각각 드라이브샤프트와 엔진 문제로 리타이어하며 불운을 겪고 말았다.

레이스 종료 후 챔피언십 순위
1
파일:Maserati 2006.png
장 베라파일:프랑스 국기.svg마세라티6
2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후안 마누엘 판지오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페라리5
2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루이지 무소파일:이탈리아 국기.svg페라리4
4
파일:BritishRacingMotorsLogo.png
마이크 호손파일:영국 국기.svg마세라티4
5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올리비에 겐드비엔파일:벨기에 국기.svg마세라티2


6.2. 2R: 1956 모나코 그랑프리 (모나코 GP)[편집]


연습 주행에서, 오언 레이싱 기구 팀이 자신들이 직접 제작한 BRM 섀시와 엔진으로 레이스에 출전할 예정이었지만, 엔진 문제로 인해 이번 경기는 참가를 철회하였다.


6.2.1. 퀄리파잉[편집]


퀄리파잉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출발 그리드
P1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후안 마누엘 판지오 (페라리)1:44.01번째
P2
파일:Maserati 2006.png
스털링 모스 (마세라티)+ 0.6s2번째
P3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에우제니오 카스텔로티 (페라리)+ 0.9s3번째
P4
파일:Maserati 2006.png
장 베라 (마세라티)+ 1.3s4번째
P5
파일:반월 흰색 로고.png
해리 쉘 (반월)+ 1.6s5번째

판지오가 시즌 2연속으로 폴 포지션을 차지하였다.


6.2.2. 레이스[편집]


레이스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점수(pts)
우승
파일:Maserati 2006.png
스털링 모스 (마세라티)3:00:32.98
2위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피터 콜린스 (페라리)+ 6.1s3[H]
후안 마누엘 판지오 (페라리)3+1[F][H]
3위
파일:Maserati 2006.png
장 베라 (마세라티)+ 1 Lap4
4위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후안 마누엘 판지오 (페라리)+ 6 Laps0[X]
에우제니오 카스텔로티 (페라리)1.5[H]
5위
파일:Gordini white logo.png
헤르마노 다 시우바 라모스 (고디니)+ 7 Laps2

패스티스트 랩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후안 마누엘 판지오 (페라리)1:44.4

1956 모나코 GP 하이라이트

스타트 직후 모스가 빠른 스타트와 함께 일찍이 레이스 리더 자리를 빼앗았고, 일찌감치 판지오를 비롯한 후미권 드라이버들과의 격차를 벌려가며 크루징하기 시작하였다. 반면에 판지오는 좋지 않은 레이스를 펼쳤다. 2랩 째에 그답지 않은 실수로 짚으로 된 가드레일을 들이받아 잔해물을 늘어놓았고, 이로 인해 이를 피하지 못한 해리 쉘과 루이지 무소가 허무하게 리타이어 하고 말았다. 50년대 아이템전 설상가상, 판지오는 32랩 째에 항구 쪽의 벽을 들이받아 리어휠이 부러지는 사고를 일으킨다. 그는 결국 피트에 들어와 차에서 내려야 했고, 다시 한번 레이스를 이어가기 위해 약 30분 뒤엔 54랩 째에 피터 콜린스의 차를 넘겨받아 다시 레이스를 하고 2위로 완주한다. 판지오가 기존에 부러뜨린 차는 다시 수리되어 카스텔로티가 넘겨받아 4위로 완주하였다.

선두권에선 스털링 모스가 100랩 내내 1위를 유지하며 크루징에 성공, 시즌 첫 승을 완성하였고, 맹추격해온 판지오가 6.1초 뒤진 2위, 그리고 장 베라가 1바퀴 뒤진 3위로 들어오며 포디움을 구성하였다. 6랩 뒤쳐진 판지오의 차를 울며 겨자먹기로 끌고 온 카스텔로티가 4위를, 그리고 라모스가 F1 데뷔 첫 포인트 피니쉬를 성공하며 모나코 그랑프리는 마무리되었다.

레이스 종료 후 챔피언십 순위
1
파일:Maserati 2006.png
장 베라파일:프랑스 국기.svg마세라티10
2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후안 마누엘 판지오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페라리9
3
파일:Maserati 2006.png
스털링 모스파일:영국 국기.svg마세라티8
4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루이지 무소파일:이탈리아 국기.svg페라리4
5
파일:BritishRacingMotorsLogo.png
마이크 호손파일:영국 국기.svg마세라티4


6.3. 3R: 1956 인디애나폴리스 500 (인디 500)[편집]


이 경기는 F1 원년 챔피언인 주세페 파리나의 마지막 경기가 될 예정이었다. 하지만 아쉽게도, 페라리 섀시로 출전한 파리나는 예선을 통과하지 못하며 자신의 F1 마지막 레이스를 마무리하며 F1 무대를 퇴장하게 되었다.


6.3.1. 퀄리파잉[편집]


퀄리파잉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출발 그리드
P1
파일:Nothing.png
팻 플래허티 (왓슨)4:07.261번째
P2
파일:Nothing.png
짐 라스만 (커티스 크래프트)+ 0.81s2번째
P3
파일:Nothing.png
팻 오코너 (커티스 크래프트)+ 1.05s3번째
P4
파일:Nothing.png
딕 라스만 (커티스 크래프트)+ 1.46s4번째
P5
파일:Nothing.png
토니 베튼하우센 (커티스 크래프트)+ 1.70s5번째


6.3.2. 레이스[편집]


레이스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점수(pts)
우승
파일:Nothing.png
팻 플래허티 (왓슨)3:53:28.848
2위
파일:Nothing.png
샘 행크스 (커티스 크래프트)+ 20.46s6
3위
파일:Nothing.png
돈 프리랜드 (필립스)+ 1:30.234
4위
파일:Nothing.png
조니 파슨스 (커즈마)+ 3:25.643
5위
파일:Nothing.png
딕 라스만 (커티스 크래프트)+ 4:21.812

패스티스트 랩
파일:Nothing.png
폴 루소 (커티스 크래프트)1:03.67 (Lap 19)[F]

1956 인디 500 하이라이트

제 40회 인디 500의 우승은 팻 플래허티가 차지하였다.

레이스 종료 후 챔피언십 순위
1
파일:Maserati 2006.png
장 베라파일:프랑스 국기.svg마세라티10
2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후안 마누엘 판지오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페라리9
3
파일:Maserati 2006.png
스털링 모스파일:영국 국기.svg마세라티8
4
파일:Nothing.png
팻 플래허티파일:미국 국기.svg왓슨8
5
파일:Nothing.png
샘 행크스파일:미국 국기.svg커티스 크래프트6


6.4. 4R: 1956 벨기에 그랑프리 (벨기에 GP)[편집]



6.4.1. 퀄리파잉[편집]


퀄리파잉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출발 그리드
P1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후안 마누엘 판지오 (페라리)4:09.81번째
P2
파일:Maserati 2006.png
스털링 모스 (마세라티)+ 4.9s2번째
P3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피터 콜린스 (페라리)+ 5.5s3번째
P4
파일:Maserati 2006.png
장 베라 (마세라티)+ 6.9s4번째
P5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에우제니오 카스텔로티 (페라리)+ 6.9s5번째

판지오가 3연속 폴 포지션을 차지하는 데에 성공하였다. 라이벌인 모스와 콜린스 등을 4초 이상 누르고 압도적인 페이스를 보여준 것이 고무적이었다.


6.4.2. 레이스[편집]


레이스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점수(pts)
우승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피터 콜린스 (페라리)2:40:00.38
2위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폴 프레레 (페라리)+ 1:51.36
3위
파일:Maserati 2006.png
체사레 페르디사 (마세라티)+ 3:16.62[H]
스털링 모스 (마세라티)2+1[F][H]
4위
파일:반월 흰색 로고.png
해리 쉘 (반월)+ 1 Lap3
5위
파일:Nothing.png
루이지 빌로레시 (마세라티)+ 2 Laps2

패스티스트 랩
파일:Maserati 2006.png
스털링 모스 (마세라티)4:14.7

1956 벨기에 GP 하이라이트

빗길 속의 혈투, 영국의 젊은 신예의 데뷔 첫 승

레이스 시작 전, 많은 비가 이곳 스파에 내려 쉽지 않은 컨디션 속에서 레이스가 시작되었다. 디펜딩 챔피언인 후안 마누엘 판지오는 스타트 미스로 5위로 내려앉았고, 스털링 모스가 레이스 리더 자리를 빼앗았다. 하지만 판지오는 5랩 째에 다시 선두로 치고 올라오며 2위인 모스와의 격차를 8초까지 벌렸다. 이후 10랩 째에, 2위였던 모스가 오 루즈 다리에서 차량의 리어 휠이 빠지는 바람에 리타이어하였고, 모스는 빠르게 피트 쪽으로 내려와 달려오는 페르디사와 드라이버 스왑을 하여 트랙에 복귀한다. 그는 한 바퀴 뒤진 6위였지만, 23랩 째에 레이스 리더인 판지오가 트랜스미션 문제로 리타이어하며 순위를 3위까지 끌어올리는 데에 성공하였다.

판지오의 리타이어로 수혜를 본 드라이버는 피터 콜린스였다. 단숨에 넉넉한 격차로 레이스 리더가 된 콜린스는 크게 무리하지 않으며 크루징하였고, 그대로 피니쉬라인을 통과하며 본인의 F1 데뷔 첫 승을 이루어내었다. 홈 그랑프리를 맞이한 폴 프레레도 2위로 완주하며 조국에서 데뷔 첫 포디움을 기록하였고, 모스가 3위, 그리고 해리 쉘이 4위로 들어오며 반월에 F1 역사상 첫 포인트를 안겨다 주었다.

레이스 종료 후 챔피언십 순위
1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피터 콜린스파일:영국 국기.svg페라리11
2
파일:Maserati 2006.png
스털링 모스파일:영국 국기.svg마세라티11
3
파일:Maserati 2006.png
장 베라파일:프랑스 국기.svg마세라티10
4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후안 마누엘 판지오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페라리9
5
파일:Nothing.png
팻 플래허티파일:미국 국기.svg왓슨8


6.5. 5R: 1956 프랑스 그랑프리 (프랑스 GP)[편집]


프랑스의 슈퍼카 제조사인 부가티가 이번 경기 한정으로 F1에 모습을 드러내었다. 부가티는 이번 시즌 프랑스 GP에만 참가하였고, 이후에는 F1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아울러, 콜린 채프먼[4]이 반월 팀을 통해 처음으로 F1에 데뷔하였다.


6.5.1. 퀄리파잉[편집]


퀄리파잉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출발 그리드
P1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후안 마누엘 판지오 (페라리)2:23.31번째
P2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에우제니오 카스텔로티 (페라리)+ 1.3s2번째
P3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피터 콜린스 (페라리)+ 2.3s3번째
P4
파일:반월 흰색 로고.png
해리 쉘 (반월)+ 2.8s4번째
P5
파일:반월 흰색 로고.png
콜린 채프먼 (반월)+ 3.5sDNS[5]

판지오가 인디 500을 제외한 모든 F1 그랑프리에서 연속으로 폴 포지션을 차지하는 기록을 이어나갔다.레이스만 되면 차가 퍼진다

5위를 차지했던 콜린 채프먼이 큰 부상을 당하는 사건이 있었다. F1 공식 데뷔전을 치룬 채프먼은 팀메이트인 마이크 호손과의 충돌로 심각한 부상을 입었으며, 이로 인해 그는 시즌아웃은 물론 더 이상 레이싱 커리어를 이어나갈 수 없게 되었다.[6]


6.5.2. 레이스[편집]


레이스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점수(pts)
우승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피터 콜린스 (페라리)2:34:23.48
2위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에우제니오 카스텔로티 (페라리)+ 0.3s6
3위
파일:Maserati 2006.png
장 베라 (마세라티)+ 1:29.94
4위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후안 마누엘 판지오 (페라리)+ 1:35.13+1[F]
5위
파일:Maserati 2006.png
체사레 페르디사 (마세라티)+ 2 Laps1[H]
스털링 모스 (마세라티)1[H]

패스티스트 랩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후안 마누엘 판지오 (페라리)2:25.8

1956 프랑스 GP 하이라이트

피터 콜린스가 2연승을 질주하며 챔피언십 선두 자리를 유지함과 동시에 2위와의 격차를 벌려나갔다.

레이스 종료 후 챔피언십 순위
1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피터 콜린스파일:영국 국기.svg페라리19
2
파일:Maserati 2006.png
장 베라파일:프랑스 국기.svg마세라티14
3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후안 마누엘 판지오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페라리13
4
파일:Maserati 2006.png
스털링 모스파일:영국 국기.svg마세라티12
5
파일:Nothing.png
팻 플래허티파일:미국 국기.svg왓슨8


6.6. 6R: 1956 영국 그랑프리 (영국 GP)[편집]


이번 시즌은 다시 실버스톤 서킷으로 돌아와 영국 GP가 개최된다.


6.6.1. 퀄리파잉[편집]


퀄리파잉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출발 그리드
P1
파일:Maserati 2006.png
스털링 모스 (마세라티)1:41.01번째
P2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후안 마누엘 판지오 (페라리)+ 0.0s2번째
P3
파일:BritishRacingMotorsLogo.png
마이크 호손 (BRM)+ 2.0s3번째
P4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피터 콜린스 (페라리)+ 2.0s4번째
P5
파일:반월 흰색 로고.png
해리 쉘 (반월)+ 3.0s5번째

스털링 모스가 홈 그랑프리에서 판지오를 근소한 차이로 누르며 폴 포지션을 차지하였다. 올 시즌 인디 500을 제외한 F1 그랑프리에서 판지오를 제외한 드라이버가 폴 포지션을 기록한 첫 GP이다.


6.6.2. 레이스[편집]


레이스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점수(pts)
우승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후안 마누엘 판지오 (페라리)2:59:47.08
2위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알폰소 데 포르타고 (페라리)+ 1 Lap3[H]
피터 콜린스 (페라리)3[H]
3위
파일:Maserati 2006.png
장 베라 (마세라티)+ 2 Laps4
4위
파일:코너트 로고.png
잭 페어만 (코너트)+ 3 Laps3
5위
파일:Nothing.png
호레이스 굴드 (마세라티)+ 4 Laps2

패스티스트 랩
파일:Maserati 2006.png
스털링 모스 (마세라티)1:43.2[F]

1956 영국 GP 하이라이트

후안 마누엘 판지오가 시즌 2번째 우승을 차지하며 챔피언십 선두인 피터 콜린스와의 격차를 단 1점으로 좁혔다.

레이스 종료 후 챔피언십 순위
1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피터 콜린스파일:영국 국기.svg페라리22
2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후안 마누엘 판지오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페라리21
3
파일:Maserati 2006.png
장 베라파일:프랑스 국기.svg마세라티18
4
파일:Maserati 2006.png
스털링 모스파일:영국 국기.svg마세라티13
5
파일:Nothing.png
팻 플래허티파일:미국 국기.svg왓슨8


6.7. 7R: 1956 독일 그랑프리 (독일 GP)[편집]


지난 시즌의 르망 대참사로 인해 2년만에 캘린더에 복귀한 독일 GP이다. 남은 2경기를 두고도 이번 시즌은 일찍이 챔피언이 결정되지 않은 F1 출범 이래에 가장 치열한 시즌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6.7.1. 퀄리파잉[편집]


퀄리파잉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출발 그리드
P1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후안 마누엘 판지오 (페라리)9:51.21번째
P2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피터 콜린스 (페라리)+ 0.3s2번째
P3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에우제니오 카스텔로티 (페라리)+ 3.2s3번째
P4
파일:Maserati 2006.png
스털링 모스 (마세라티)+ 12.2s4번째
P5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루이지 무소 (페라리)+ 29.1s5번째

폴 포지션을 두고 매우 치열한 접전이 있었다. 판지오가 피터 콜린스를 상대로 길고 긴 뉘르부르크링에서 불과 0.3초 앞선 기록으로 폴 포지션을 차지하였다.


6.7.2. 레이스[편집]


레이스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점수(pts)
우승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후안 마누엘 판지오 (페라리)3:38:43.78+1[F]
2위
파일:Maserati 2006.png
스털링 모스 (마세라티)+ 46.4s6
3위
파일:Maserati 2006.png
장 베라 (마세라티)+ 7:38.34
4위
파일:Maserati 2006.png
파코 고디아 (마세라티)+ 2 Laps3
5위
파일:Nothing.png
루이 로지에 (마세라티)+ 3 Laps2

패스티스트 랩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후안 마누엘 판지오 (페라리)9:41.6

후안 마누엘 판지오가 2연승을 질주하며 챔피언십 선두 자리를 탈환하는 데에 성공하였다. 아울러, 판지오는 이날 경기에서 그랑프리 시절 메르세데스의 헤르만 랭[7]이 기록한 랩 레코드를 경신하는 데에 성공하였다.

레이스 종료 후 챔피언십 순위
1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후안 마누엘 판지오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페라리30
2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피터 콜린스파일:영국 국기.svg페라리22
3
파일:Maserati 2006.png
장 베라파일:프랑스 국기.svg마세라티22
4
파일:Maserati 2006.png
스털링 모스파일:영국 국기.svg마세라티19
5
파일:Nothing.png
팻 플래허티파일:미국 국기.svg왓슨8


6.8. 8R: 1956 이탈리아 그랑프리 (이탈리아 GP)[편집]


판지오가 콜린스를 상대로 8점 앞선 상황에서, 그가 리타이어하거나 낮은 순위를 기록하지 않는다면 3연속 월드 챔피언 타이틀 획득에 성공한다.

한편, 요아킴 보니에와 볼프강 폰 트립스[8], 그리고 레스 레스턴 등이 이번 최종전에서 F1 데뷔전을 치룬다. 하지만 폰 트립스는 연습 세션 도중의 사고로 차가 반파되어 퀄리파잉과 레이스에는 나서지 못했다.


6.8.1. 퀄리파잉[편집]


퀄리파잉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출발 그리드
P1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후안 마누엘 판지오 (페라리)2:42.61번째
P2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에우제니오 카스텔로티 (페라리)+ 0.8s2번째
P3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루이지 무소 (페라리)+ 1.1s3번째
P4
파일:반월 흰색 로고.png
피에로 타루피 (반월)+ 2.8s4번째
P5
파일:Maserati 2006.png
장 베라 (마세라티)+ 3.0s5번째

최종전의 퀄리파잉에서 판지오가 폴 포지션을 차지하며 유리한 고지를 점령하였다. 그의 챔피언십 라이벌인 모스와 콜린스는 3초 이상 뒤진 6위와 7위를 각각 기록하였다.


6.8.2. 레이스[편집]


레이스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점수(pts)
우승
파일:Maserati 2006.png
스털링 모스 (마세라티)2:23:41.38+1[F]
2위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피터 콜린스 (페라리)+ 5.7s3[H]
후안 마누엘 판지오 (페라리)3[H]
3위
파일:코너트 로고.png
론 플록하트 (코너트)+ 1 Lap4
4위
파일:Maserati 2006.png
파코 고디아 (마세라티)+ 1 Lap3
5위
파일:코너트 로고.png
잭 페어만 (코너트)+ 3 Laps2

패스티스트 랩
파일:Maserati 2006.png
스털링 모스 (마세라티)2:45.5

1956 이탈리아 GP 하이라이트

4번째 정상을 맛보는 판지오, 그리고 콜린스의 멋진 신사도

나름대로 순항하던 판지오는 스티어링휠 축의 손상으로 인해 30랩 째에 피트에 차를 세워야만 했다. 갑작스러운 변수에 챔피언십은 당시 좋은 순위와 함께 데뷔 첫 월드 챔피언 타이틀이 유력해진 피터 콜린스에게 유리하게 흘러갔다. 페라리 팀은 이 문서의 첫 문단에서 서술되었듯이, 루이지 무소에게 먼저 판지오와 드라이버 스왑을 지시했지만 무소가 거절하였다. 이대로라면 콜린스에게 챔피언 타이틀이 돌아가는 상황. 그러나 35랩 째에, 피터 콜린스가 피트인 직후 차에서 내린다.

콜린스는 라이벌 드라이버들의 리타이어로 인해 포디움에 입성하기에 매우 수월한 상황이었다. 하지만 그는 판지오에게 차를 양보하였고, 그 자리에서 월드 챔피언 타이틀은 판지오가 가져가는 것으로 확정이 나고 말았다. 50랩에 접어들어 스털링 모스가 이탈리아 GP 우승을 차지하였고, 5.7초 뒤에 판지오가 들어오며 크게 기뻐하였다. 뒤이어 1바퀴 뒤진 론 플록하트가 피니쉬라인을 통과하며 F1 데뷔 첫 포디움을 달성하는 기쁨을 누렸다.

레이스 종료 후 챔피언십 순위
1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후안 마누엘 판지오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페라리30
2
파일:Maserati 2006.png
스털링 모스파일:영국 국기.svg마세라티27
3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피터 콜린스파일:영국 국기.svg페라리25
4
파일:Maserati 2006.png
장 베라파일:프랑스 국기.svg마세라티22
5
파일:Nothing.png
팻 플래허티파일:미국 국기.svg왓슨8


7. 챔피언십 포인트 순위[편집]


파일:Juan Manuel Fangio 1956 champion.jpg
1956 포뮬러 1 월드 챔피언 - 후안 마누엘 판지오

WORLD CHAMPIONSHIP
1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후안 마누엘 판지오페라리30CHAMPION - V4
2파일:영국 국기.svg스털링 모스마세라티27
3파일:영국 국기.svg피터 콜린스페라리25
4파일:프랑스 국기.svg장 베라마세라티22
5파일:미국 국기.svg팻 플래허티왓슨8
6파일:이탈리아 국기.svg에우제니오 카스텔로티페라리7.5
7파일:미국 국기.svg샘 행크스커티스 크래프트6
=파일:벨기에 국기.svg폴 프레레페라리6
=파일:스페인 국기.svg파코 고디아마세라티6
10파일:영국 국기.svg잭 페어만코너트5
11파일:영국 국기.svg마이크 호손BRM4
=파일:이탈리아 국기.svg루이지 무소페라리4
=파일:미국 국기.svg돈 프리랜드필립스4
=파일:영국 국기.svg론 플로카트코너트4
15파일:미국 국기.svg조니 파슨스커즈마3
=파일:미국 국기.svg해리 쉘반월3
=파일:스페인 국기.svg알폰소 데 포르타고페라리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체사레 페르디사마세라티3
19파일:벨기에 국기.svg올리비에 겐드비엔페라리2
=파일:브라질 국기.svg헤르마노
다 시우바 라모스
고디니2
=파일:미국 국기.svg짐 라스만커티스 크래프트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루이지 빌로레시마세라티2
=파일:영국 국기.svg호레이스 굴드마세라티2
=파일:프랑스 국기.svg루이 로시어마세라티2
25파일:이탈리아 국기.svg제리노 게리니마세라티1.5
=파일:브라질 국기.svg치코 랜디마세라티1.5
27파일:미국 국기.svg폴 루소커티스 크래프트1
'''포인트 미획득 드라이버
[ 펼치기 · 접기 ]
-파일:벨기에 국기.svg안드레 필레고디니,
페라리
02R, 5R, 7R - 고디니
4R - 페라리
-파일:이탈리아 국기.svg루이지 피오티마세라티0
-파일:미국 국기.svg밥 스웨이커트커즈마0
-파일:우루과이 국기.svg오스카 곤잘레스마세라티0
-파일:우루과이 국기.svg알베르토 우리아마세라티0
-파일:프랑스 국기.svg엘리 바욜고디니0
-파일:미국 국기.svg밥 베이스커티스 크래프트0
-파일:스위스 국기.svg투올로 드 그라펜리에드마세라티0
-파일:미국 국기.svg로저 워드커티스 크래프트0
-파일:프랑스 국기.svg로버트 만존고디니0
-파일:프랑스 국기.svg안드레 시몬마세라티,
고디니
05R - 마세라티
8R - 고디니
-파일:미국 국기.svg지미 리스레소브스키0
-파일:미국 국기.svg클리프 그리피스스티븐스0
-파일:영국 국기.svg로이 살바도리마세라티0
-파일:미국 국기.svg진 하틀리커즈마0
-파일:영국 국기.svg밥 제라드쿠퍼0
-파일:미국 국기.svg프레드 아가바시안커티스 크래프트0
-파일:미국 국기.svg밥 크리스티에커티스 크래프트0
-파일:미국 국기.svg알 켈러커티스 크래프트0
-파일:미국 국기.svg에디 존슨커즈마0
-파일:미국 국기.svg빌리 가렛커즈마0
-파일:미국 국기.svg듀크 딘스모어커티스 크래프트0
-파일:미국 국기.svg팻 오코너커티스 크래프트0
-파일:미국 국기.svg지미 브라이언커즈마0
-파일:스위스 국기.svg오토리노 볼론테리오마세라티0
-파일:프랑스 국기.svg마우리스 트린티그넌트반월,
부가티
02R, 4R, 6R, 8R - 반월
5R - 부가티
-파일:이탈리아 국기.svg움베르토 마그리올리마세라티0
-파일:영국 국기.svg브루스 할포드마세라티0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호세 프로일란 곤잘레스마세라티,
반월
01R - 마세라티
6R - 반월
-파일:이탈리아 국기.svg피에로 타루피마세라티,
반월
05R - 마세라티
8R - 반월
-파일:영국 국기.svg토니 브룩스BRM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조르지오 스칼라티페라리0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카를로스 멘디테기마세라티0
-파일:미국 국기.svg짐 라스만커티스 크래프트0
-파일:미국 국기.svg조니 톨란커티스 크래프트0
-파일:미국 국기.svg토니 베튼하우센커티스 크래프트0
-파일:미국 국기.svg지미 데이월트커티스 크래프트0
-파일:미국 국기.svg잭 터너커티스 크래프트0
-파일:미국 국기.svg케이스 앤드류스커티스 크래프트0
-파일:미국 국기.svg앤디 린든커티스 크래프트0
-파일:미국 국기.svg알 헤르만커티스 크래프트0
-파일:미국 국기.svg레이 크로포드커티스 크래프트0
-파일:미국 국기.svg조니 보이드커티스 크래프트0
-파일:미국 국기.svg트로이 루트만커티스 크래프트0
-파일:미국 국기.svg조니 톰슨커즈마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피에로 스코티코너트0
-파일:영국 국기.svg데스몬드 티테링턴코너트0
-파일:영국 국기.svg아치 스콧 브라운코너트0
-파일:영국 국기.svg폴 에메리에메리슨0
-파일:호주 국기.svg잭 브라밤마세라티0
-파일:벨기에 국기.svg안드레 밀호고디니0
-파일:미국 국기.svg레스 레스턴코너트0
-파일:미국 국기.svg에드 엘리시안커티스 크래프트0
-파일:미국 국기.svg에디 루소커티스 크래프트0
-파일:스웨덴 국기.svg조 보니어마세라티0
-파일:모나코 국기.svg루이 시론마세라티0
-파일:영국 국기.svg콜린 채프먼반월0
-파일:독일 국기.svg볼프강 폰 트립스페라리0


8. 총평[편집]


이번 시즌은 마지막까지 누가 챔피언에 오를지 예측할 수 있는 치열함의 연속이었다. 메르세데스의 F1 철수 이후, 다시 양강구도에 오른 페라리와 마세라티의 경쟁 속에서 페라리는 디펜딩 챔피언이었던 후안 마누엘 판지오와 영국의 신예 피터 콜린스를, 마세라티는 스털링 모스와 장 베라 등을 내세워 치열한 접전을 이어왔다.

전체적인 페이스는 판지오가 거의 압도해왔지만, 그는 시즌 대부분의 경기에서 차량 고장으로 리타이어하거나 부분 포인트를 획득하는 불운을 겪어왔다. 이 덕분에 그의 팀메이트였던 피터 콜린스가 생애 처음으로 월드 챔피언 타이틀을 획득하는 데에 매우 가까웠고, 스털링 모스도 생애 첫 월드 챔피언 타이틀 획득에 다가갈 수 있었다. 그러나 시즌 후반부에 차량이 안정되자마자 그는 연승 행진을 이어갔고, 최종전에서 또 다시 차량 문제로 순위를 많이 잃었지만 콜린스의 빛나는 신사도 덕분에 챔피언에 올랐다. 피터 콜린스는 자신의 손으로 월드 챔피언 타이틀 획득을 내려놓았지만, 그는 페라리 팀의 사랑을 받아 내년에도 팀에 잔류하게 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4 01:40:30에 나무위키 포뮬러 1/1956시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그의 차는 카스텔로티가 차지해 8위로 마친다[2] 정작 무소의 차도 결국 판지오와 같은 이유로 리타이어했기에 오히려 판지오에겐 행운이었을 지도 모른다.[3] 1956 모나코 GP가 대표적이다.[H]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시트 공유로 포인트 나누어 부여.[F] A B C D E F G H 패스티스트 랩 달성으로 인한 1포인트 부여[X] 이미 2위로 완주하여 포인트를 획득했으므로 부여 X[4] 1960년대 로터스 F1 차량에 혁신적인 공기역학을 적용한 인물로 유명하다. 이 사람 덕분에, F1은 뚱뚱한 섀시에서 점차 벗어나 프런트윙과 리어윙이 달린 현대 F1 차량으로 변하게 되었다.[5] 부상으로 인해 레이스 기권.[6] 이후 그는 레이서를 그만두고 레이스카 연구에 몰두하는 쪽으로 길을 바꾸었고, 그는 F1에서 혁신을 일으키는 인물이 된다.[7] 당시 17세[8] 이 둘은 1960년대 F1을 이끈 조연들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