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포뮬러 1/1986시즌

덤프버전 :



1. 1986년 그랑프리
1.1. 1986년 라인업
1.2. 1986년 캘린더
2. 경기 결과
2.1. 1전 브라질 GP
2.2. 2전 스페인 GP
2.3. 3전 산 마리노 GP
2.4. 4전 모나코 GP
2.5. 5전 벨기에 GP
2.6. 6전 캐나다 GP
2.7. 7전 디트로이트 GP
2.8. 8전 프랑스 GP
2.9. 9전 영국 GP
2.10. 10전 독일 GP
2.11. 11전 헝가리 GP
2.12. 12전 오스트리아 GP
2.13. 13전 이탈리아 GP
2.14. 14전 포르투갈 GP
2.15. 15전 멕시코 GP
2.16. 16전 호주 GP
3. 챔피언십 포인트 순위
3.1. 드라이버 포인트
3.2. 컨스트럭터 포인트


1. 1986년 그랑프리[편집]


파일:80-90s F1 Legends.jpg
F1의 황금기를 이끈 전설들 - 왼쪽부터 아일톤 세나, 알랭 프로스트, 나이젤 만셀, 넬슨 피케

1986년 포뮬러 원 시즌은 37번째 FIA 포뮬러 원 시즌이다. 이 시즌은 3월 23일 브라질 그랑프리를 시작으로 10월 26일 호주 그랑프리 까지 총 16경기로 치러졌다. 이 시즌은 굿이어와 피렐리가 타이어를 공급하였다. 윌리엄스-혼다가 팀의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우승을 거두었고, 알랭 프로스트가 드라이버 챔피언십 우승을 차지하였다. 나이젤 만셀이 2위, 넬슨 피케가 3위를 차지했다.


1.1. 1986년 라인업[편집]


  • 시즌 개막일 기준.
  • 굵은 글씨는 소속을 옮긴 드라이버 또는 신인 드라이버

엔트리팀 로고팀 국적섀시
(파워유닛)
드라이버
번호국적이름
1파일:Marlboro Team McLaren logo.png
말보로 맥라렌 인터내셔널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MP4/2C
(TAG/Porsche TTE PO1 1.5 V6T)
1파일:프랑스 국기.svg알랭 프로스트
2파일:핀란드 국기.svg케케 로즈버그
2파일:ECC3FA80-D61C-4F17-80B9-5E46D2A729B7.png
데이터 제너럴 팀 티렐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014
(Renault EF4B 1.5 V6T)
3파일:영국 국기.svg마틴 브런들
4파일:프랑스 국기.svg필리페 스트레이프
3파일:Canon Williams Honda Team logo.jpg
캐논 윌리엄스 혼다 팀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FW11
(Honda RA166E 1.5 V6T)
5파일:영국 국기.svg나이젤 만셀
6파일:브라질 국기.svg넬슨 피케
4파일:Brabham f1 1989 logo.gif
모터 레이싱 디벨롭먼트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BT55
(BMW M12/13/1 1.5 L4T)
7파일:이탈리아 국기.svg리카르도 파트레제
8파일:이탈리아 국기.svg엘리오 드 안젤리스
5파일:JPS Team Lotus logo.jpg
존 플레이어 스페셜 팀 로터스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98T
(Renault EF15B 1.5 V6T)
11파일:영국 국기.svg조니 덤프리스
12파일:브라질 국기.svg아일톤 세나
6파일:West Zakspeed f1 logo.jpg
웨스트 작스피드 레이싱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861
(Zakspeed 1500/4 1.5 L4T)
14파일:영국 국기.svg조나단 팔머
29파일:네덜란드 국기.svg후브 로슨게터[1]
7파일:Team Haas 1985 logo.jpg
팀 하스 Ltd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THL1
(Hart 415T 1.5 L4T)[2]
15파일:호주 국기.svg앨런 존스
16파일:프랑스 국기.svg패트릭 톰베이
8파일:Baclays Arrows f1 logo.png
바클리스 애로우즈 BMW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A8
(BMW M12/13 1.5 L4T)
17파일:스위스 국기.svg마크 셔러
18파일:벨기에 국기.svg티에리 보우트센
9파일:Benetton Formula logo.gif
베네통 포뮬러 Ltd[3]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B186
(BMW M12/13 1.5 L4T)
19파일:이탈리아 국기.svg테오 파비
20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게르하르트 베르거
10파일:Osella F1 logo.png
오셀라 스콰드라 코르세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FA1G
(Alfa Romeo 890T 1.5 V8T)
21파일:이탈리아 국기.svg피에르카를로 긴자니
21파일:독일 국기.svg크리스티안 대너
11파일:Minardi 1997 logo.png
미나르디 팀 SpA]]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M185B
(Motori Moderni Tipo 615-90 1.5 V6T)
23파일:이탈리아 국기.svg안드레아 드 체사리스
24파일:이탈리아 국기.svg알레산드로 난니니
12파일:Equipe Ligier logo.jpg
에퀴페 리지에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JS27
(Renault EF4B 1.5 V6T)
25파일:프랑스 국기.svg르네 아르누
26파일:프랑스 국기.svg자크 라피테
13파일:Scuderia Ferrari 1996 logo.png
스쿠데리아 페라리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F1/86
(Ferrari 032 1.5 V6T)
27파일:이탈리아 국기.svg미셸 알보레토
28파일:스웨덴 국기.svg스테판 요한손
14파일:AGS logo.png
졸리 클럽 SpA[신]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JH21C
(Motori Moderni Tipo 615-90 1.5 V6T)
31파일:이탈리아 국기.svg이반 카펠리

1.2. 1986년 캘린더[편집]


경기일그랑프리(도시)서킷드라이버 우승컨스트럭터 우승
13/23브라질(리우 데 자네이루)인터내셔널 넬슨 피케 자동차 경주장넬슨 피케윌리엄스-혼다
24/13스페인(헤레스)헤레스 서킷아일톤 세나로터스-르노
34/27산 마리노(이몰라)엔초 에 디노 페라리 자동차 경주장알랭 프로스트맥라렌-TAG
45/11모나코(몬테카를로)모나코 서킷알랭 프로스트맥라렌-TAG
55/25벨기에(스파-프랑코샹)스파-프랑코샹 서킷나이젤 만셀윌리엄스-혼다
66/15캐나다(몬트리올)질 빌르너브 서킷나이젤 만셀윌리엄스-혼다
76/22디트로이트(미시간)디트로이트 시가지 서킷아일톤 세나로터스-르노
87/6프랑스(라 카스텔레)폴 리카르 서킷나이젤 만셀윌리엄스-혼다
97/13영국(켄트)브랜즈 해치 서킷나이젤 만셀윌리엄스-혼다
107/27독일(호켄하임)호켄하임링넬슨 피케윌리엄스-혼다
118/10헝가리(부다페스트)헝가로링넬슨 피케윌리엄스-혼다
128/17오스트리아(스피엘베르크)외스터라이히링알랭 프로스트맥라렌-TAG
139/7이탈리아(몬차)국립 몬차 자동차 경주장넬슨 피케윌리엄스-혼다
149/21포르투갈(에스토릴)에스토릴 자동차 경주장나이젤 만셀윌리엄스-혼다
1510/12멕시코(멕시코 시티)에르마노스 로드리게스 자동차 경주장게르하르트 베르거베네통-BMW
1610/26호주(애들레이드)애들레이드 시가지 서킷알랭 프로스트맥라렌-TAG

2. 경기 결과[편집]



2.1. 1전 브라질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아일톤 세나 (로터스)1:25.501우승넬슨 피케 (윌리엄스)1:39:32.583
P2넬슨 피케 (윌리엄스)1:26.266 (+0.765s)2위아일톤 세나 (로터스)+ 34.827s
P3나이젤 만셀 (윌리엄스)1:26.749 (+1.248s)3위자크 라피테 (리지에)+ 59.759s

패스티스트랩넬슨 피케 (윌리엄스)1:33.546 (Lap 46)


2.2. 2전 스페인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아일톤 세나 (로터스)1:21.605우승아일톤 세나 (로터스)1:48:47.735
P2넬슨 피케 (윌리엄스)1:22.431 (+0.826s)2위나이젤 만셀 (윌리엄스)+ 0.014s
P3나이젤 만셀 (윌리엄스)1:22.576 (+0.971s)3위알랭 프로스트 (맥라렌)+ 21.552s

패스티스트랩나이젤 만셀 (윌리엄스)1:27.176 (Lap 65)

세나 vs 만셀, 세나의 간발의 차의 우승

F1 역사상 가장 근소했던 1,2위의 격차 중 하나로 꼽힌다. 폴포지션에서 출발한 세나는 레이스 초반을 선두 자리를 지켜가며 페이스를 유지하였다. 그러나 3위에서 출발한 만셀은 빠른 페이스로 팀메이트 피케를 제치고 세나를 위협하기 시작한다. 피트전략 싸움으로 세나가 앞서다가도 만셀이 앞서는 등, 서로 우승을 향한 신경전을 벌이고 있었다. 여러 신경전 끝에 세나는 공격적으로 만셀을 추월하는 데에 성공하고, 일찌감치 간격을 넓히고자 노력하였다.

이에 그치지 않는 만셀이었다. 피트에 들어와 새 타이어를 장착한 후 페이스를 더 끌어올려 빌빌거리는 세나를 맹추격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마지막 랩, 어느덧 만셀이 세나의 뒤를 거의 따라잡은 상태였고 마지막 코너에 접어들었을 때, 타이어 수명에서 훨씬 앞선 만셀이 탈출속도를 더 유리하게 가져갔다. 그러나 승자는 세나였다. 둘의 차이는 단 0.014초. 1971년 이탈리아 GP에 이어 가장 근소한 차이의 우승 기록이 나온 경기였다.

2.3. 3전 산 마리노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아일톤 세나 (로터스)1:25.050우승알랭 프로스트 (맥라렌)1:32:28.408
P2넬슨 피케 (윌리엄스)1:25.569 (+0.519s)2위넬슨 피케 (로터스)+ 7.645s
P3나이젤 만셀 (윌리엄스)1:26.159 (+1.109s)3위게르하르트 베르거 (베네통)+ 1 Lap

패스티스트랩넬슨 피케 (윌리엄스)1:28.667 (Lap 57)


2.4. 4전 모나코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알랭 프로스트 (맥라렌)1:22.627우승알랭 프로스트 (맥라렌)1:55:41.060
P2나이젤 만셀 (윌리엄스)1:23.047 (+0.420s)2위케케 로즈버그 (맥라렌)+ 25.022s
P3아일톤 세나 (로터스)1:23.175 (+0.548s)3위아일톤 세나 (로터스)+ 53.646s

패스티스트랩알랭 프로스트 (맥라렌)1:26.607 (Lap 51)


2.5. 5전 벨기에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넬슨 피케 (윌리엄스)1:54.331우승나이젤 만셀 (윌리엄스)1:27:57.925
P2게르하르트 베르거 (베네통)1:54.468 (+0.137s)2위아일톤 세나 (로터스)+ 19.827s
P3알랭 프로스트 (맥라렌)1:54.501 (+0.170s)3위스테판 요한손 (페라리)+ 26.592s

패스티스트랩알랭 프로스트 (맥라렌)1:59.282 (Lap 31)

경기에 앞서 브라밤 소속의 엘리오 드 안젤리스가 프랑스 폴 리카르 서킷에서의 테스트 도중 사고로 사망하고 말았다. 이에 브라밤 팀은 5R 벨기에 GP는 안젤리스 없이 리카르도 파트레제만 출전시켰다.

2.6. 6전 캐나다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나이젤 만셀 (윌리엄스)1:24.118우승나이젤 만셀 (윌리엄스)1:42:26.415
P2아일톤 세나 (로터스)1:24.188 (+0.070s)2위알랭 프로스트 (맥라렌)+ 20.659s
P3넬슨 피케 (윌리엄스)1:24.384 (+0.266s)3위넬슨 피케 (윌리엄스)+ 36.262s

패스티스트랩넬슨 피케 (윌리엄스)1:25.443 (Lap 63)

이번 캐나다 GP부터 브라밤 팀은 작고한 엘리오 드 안젤리스를 대신하여 데릭 워윅을 이번 시즌 끝까지 출전시키기로 하였다.

2.7. 7전 디트로이트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아일톤 세나 (로터스)1:38.301우승아일톤 세나 (로터스)1:51:12.847
P2나이젤 만셀 (윌리엄스)1:38.839 (+0.538s)2위자크 라피테 (리지에)+ 31.017s
P3넬슨 피케 (윌리엄스)1:39.076 (+0.775s)3위알랭 프로스트 (맥라렌)+ 31.824s

패스티스트랩넬슨 피케 (윌리엄스)1:41.233 (Lap 41)


2.8. 8전 프랑스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아일톤 세나 (로터스)1:06.526우승나이젤 만셀 (윌리엄스)1:37:19.272
P2나이젤 만셀 (윌리엄스)1:06.755 (+0.229s)2위알랭 프로스트 (맥라렌)+ 17.128s
P3넬슨 피케 (윌리엄스)1:06.797 (+0.271s)3위넬슨 피케 (윌리엄스)+ 37.545s

패스티스트랩나이젤 만셀 (윌리엄스)1:09.993 (Lap 57)


2.9. 9전 영국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넬슨 피케 (윌리엄스)1:06.961우승나이젤 만셀 (윌리엄스)1:30:38.471
P2나이젤 만셀 (윌리엄스)1:07.399 (+0.438s)2위넬슨 피케 (윌리엄스)+ 5.574s
P3아일톤 세나 (로터스)1:07.524 (+0.563s)3위알랭 프로스트 (맥라렌)+ 1 Lap

패스티스트랩나이젤 만셀 (윌리엄스)1:09.593 (Lap 69)


2.10. 10전 독일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케케 로즈버그 (맥라렌)1:42.013우승넬슨 피케 (윌리엄스)1:22:08.263
P2알랭 프로스트 (맥라렌)1:42.166 (+0.153s)2위아일톤 세나 (로터스)+ 15.437s
P3아일톤 세나 (로터스)1:42.329 (+0.316s)3위나이젤 만셀 (윌리엄스)+ 44.580s

패스티스트랩게르하르트 베르거 (베네통)1:46.604 (Lap 35)


2.11. 11전 헝가리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아일톤 세나 (로터스)1:29.450우승넬슨 피케 (윌리엄스)2:00:34.508
P2넬슨 피케 (윌리엄스)1:29.785 (+0.335s)2위아일톤 세나 (로터스)+ 17.673s
P3알랭 프로스트 (맥라렌)1:29.945 (+0.495s)3위나이젤 만셀 (윌리엄스)+ 1 Lap

패스티스트랩넬슨 피케 (윌리엄스)1:31.001 (Lap 73)


2.12. 12전 오스트리아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테오 파비 (베네통)1:23.549우승알랭 프로스트 (맥라렌)1:21:22.531
P2게르하르트 베르거 (베네통)1:23.743 (+0.196s)2위미셸 알보레토 (페라리)+ 1 Lap
P3케케 로즈버그 (맥라렌)1:23.903 (+0.354s)3위스테판 요한손 (페라리)+ 2 Laps

패스티스트랩게르하르트 베르거 (베네통)1:29.444 (Lap 49)


2.13. 13전 이탈리아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테오 파비 (베네통)1:24.078우승넬슨 피케 (윌리엄스)1:17:42.889
P2알랭 프로스트 (맥라렌)1:24.514 (+0.436s)2위나이젤 만셀 (윌리엄스)+ 9.828s
P3나이젤 만셀 (윌리엄스)1:24.882 (+0.804s)3위스테판 요한손 (페라리)+ 22.915s

패스티스트랩테오 파비 (베네통)1:28.099 (Lap 35)


2.14. 14전 포르투갈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아일톤 세나 (로터스)1:16.673우승나이젤 만셀 (윌리엄스)1:37:21.900
P2나이젤 만셀 (윌리엄스)1:17.489 (+0.816s)2위알랭 프로스트 (맥라렌)+ 18.772s
P3알랭 프로스트 (맥라렌)1:17.710 (+1.037s)3위넬슨 피케 (윌리엄스)+ 49.274s

패스티스트랩나이젤 만셀 (윌리엄스)1:20.943 (Lap 53)


2.15. 15전 멕시코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아일톤 세나 (로터스)1:16.990우승게르하르트 베르거 (베네통)1:33:18.700
P2넬슨 피케 (윌리엄스)1:17.279 (+0.289s)2위알랭 프로스트 (맥라렌)+ 25.438s
P3나이젤 만셀 (윌리엄스)1:17.514 (+0.524s)3위아일톤 세나 (로터스)+ 52.513s

패스티스트랩넬슨 피케 (윌리엄스)1:19.360 (Lap 64)


2.16. 16전 호주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나이젤 만셀 (윌리엄스)1:18.403우승알랭 프로스트 (맥라렌)1:54:20.388
P2넬슨 피케 (윌리엄스)1:18.714 (+0.311s)2위넬슨 피케 (윌리엄스)+ 4.205s
P3아일톤 세나 (로터스)1:18.906 (+0.503s)3위스테판 요한손 (페라리)+ 1 Lap

패스티스트랩넬슨 피케 (윌리엄스)1:20.787 (Lap 82)

만셀, 피케와의 접전 끝에 챔피언 타이틀을 거머쥔 프로스트

폴포지션은 나이젤 만셀이 차지한 가운데, 레이스 스타트에서는 순위가 뒤죽박죽 바뀌었다. 세나가 쾌조의 스타트로 선두로 올라섰고 윌리엄스 듀오는 나란히 1계단 순위를 잃었다. 그러나 10번 코너를 지나 직선에 접어들자마자 세나는 2위 피케에게 순위를 내주었고, 이후 페이스가 급격히 떨어지며 만셀, 로즈버그, 프로스트 등의 경쟁자들에게 순위를 내주었다.

22랩 째에, 순항하던 피케가 스핀으로 프로스트와 만셀에게 자리를 내주며 순위를 많이 잃은 가운데, 프로스트 역시 타이어 펑쳐가 나며 4위로 순위가 하락하였다. 그러나 프로스트는 새 타이어 장착 후 빠른 속도로 앞 차와의 거리를 좁혀가며 44랩 째에는 피케, 만셀 윌리엄스 듀오와 나란히 배틀을 하게 되었다.

변수는 62랩과 63랩 째에 연이어 발생하였다. 7랩째부터 줄곧 레이스를 리드하였던 케케 로즈버그가 리어 타이어 펑쳐로 리타이어하였다. 그의 F1 마지막 경기는 이렇게 막을 내렸으며, 그의 리타이어로 챔피언십 경쟁을 이어나가는 3명 피케, 만셀, 프로스트는 더욱 치열해질 수밖에 없었다. 곧이어, 2위 프로스트를 추격하던 나이젤 만셀의 리어 타이어도 펑쳐가 나며 그 역시 챔피언십 경쟁에서 허무하게 탈락하고 말았다.[4]

레이스 우승은 프로스트가 차지하였다. 만셀의 리타이어와 피케보다 앞서 피니쉬하였기에, 그는 이전 경기까지 챔피언십 선두 나이젤 만셀과의 6점차이를 뒤집고 짜릿한 역전승을 만들었다. 그의 통산 2번째 월드 챔피언 타이틀이었다.

3. 챔피언십 포인트 순위[편집]



3.1. 드라이버 포인트[편집]


파일:Alain prost 1986 champion.jpg
1986 포뮬러 1 월드 드라이버 챔피언 - 알랭 프로스트

WORLD DRIVER CHAMPIONSHIP
1알랭 프로스트파일:프랑스 국기.svg맥라렌72WDC
2나이젤 만셀파일:영국 국기.svg윌리엄스70
3넬슨 피케파일:브라질 국기.svg윌리엄스69
4아일톤 세나파일:브라질 국기.svg로터스55
5스테판 요한손파일:스웨덴 국기.svg페라리23
6케케 로즈버그파일:핀란드 국기.svg맥라렌22
7게르하르트 베르거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베네통17
8자크 라피테파일:프랑스 국기.svg리지에14
9미셸 알보레토파일:이탈리아 국기.svg페라리14
10르네 아르누파일:프랑스 국기.svg리지에14
11마틴 브런들파일:영국 국기.svg티렐8
12앨런 존스파일:호주 국기.svg롤라4
13조니 덤프리스파일:영국 국기.svg로터스3
14필리페 스트레이프파일:프랑스 국기.svg티렐3
15패트릭 톰베이파일:프랑스 국기.svg롤라2
16테오 파비파일:이탈리아 국기.svg베네통2
17리카르도 파트레제파일:이탈리아 국기.svg브라밤2
18크리스티안 대너파일:독일 국기.svg애로우즈1
19필리페 앨리엇파일:프랑스 국기.svg리지에1
-티에리 보우트센파일:벨기에 국기.svg애로우즈0
-데릭 워윅파일:영국 국기.svg브라밤0
-조나단 팔머파일:영국 국기.svg작스피드0
-후브 로슨개터파일:네덜란드 국기.svg작스피드0
-안드레아 드 체사리스파일:이탈리아 국기.svg미나르디0
-엘리오 드 안젤리스파일:이탈리아 국기.svg브라밤0[5][6]
-마크 셔러파일:스위스 국기.svg애로우즈0
-피에르카를로 긴자니파일:이탈리아 국기.svg오셀라0
-알렌 베르그파일:캐나다 국기.svg오셀라0
-알레산드로 난니니파일:이탈리아 국기.svg미나르디0
-알렉스 카피파일:이탈리아 국기.svg오셀라0
-이반 카펠리파일:이탈리아 국기.svgAGS0
-에디 치버파일:미국 국기.svg롤라0
* † : 시즌 중 사고로 사망한 드라이버

3.2. 컨스트럭터 포인트[편집]


파일:Williams f1 1986.jpg
1986 포뮬러 1 월드 컨스트럭터 챔피언 - 캐논 윌리엄스 혼다 팀

WORLD CONSTRUCTOR CHAMPIONSHIP
1윌리엄스 - 혼다파일:영국 국기.svg141WCC
2맥라렌 - TAG파일:영국 국기.svg96
3로터스 - 르노파일:영국 국기.svg58
4페라리파일:이탈리아 국기.svg37
5리지에 - 르노파일:프랑스 국기.svg29
6베네통 - BMW파일:영국 국기.svg19
7티렐 - 르노파일:영국 국기.svg11
8롤라 - 포드파일:미국 국기.svg6
9브라밤 - BMW파일:영국 국기.svg2
10애로우즈 - BMW파일:영국 국기.svg1
-작스피드파일:독일 국기.svg0
-미나르디 - 모토리 모더니파일:이탈리아 국기.svg0
-롤라 - 하트파일:미국 국기.svg0[7]
-오셀라 - 알파 로메오파일:이탈리아 국기.svg0
-AGS - 모토리 모더니파일:프랑스 국기.svg0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4 01:47:53에 나무위키 포뮬러 1/1986시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3R부터 참가[2] 3라운드부터 포드 코스워스 엔진 사용[3] 베네통이 톨만을 인수하여 F1에 참가한다.[신] 이번 시즌 신생 팀으로 참가한다.[4] 만셀 입장에서는 이대로 순위를 유지하면 챔피언이었기에 그에겐 더욱 아쉬운 상황이었다.[5] 4R 이후 폴 리카르 서킷에서의 테스트 도중, 높은 속도로 미끄러지며 벽을 들이받았다. 이 사고로 그의 차에 불이 옮겨붙었는데, 여기서 문제는 테스트 세션이었기에 트랙 근처에 마샬이 너무나 적게 배치되었던 것이었다. 화재를 진압 후 후송 헬리콥터가 사고 현장에 도착하는 데 30분이나 걸렸고, 후송되었으나 그는 다음 날 숨을 거두고 말았다.[6] 사고 직후 그는 등의 약한 화상과 몇몇 부위의 가벼운 골절만이 있었을 뿐이었다. 하지만 늦은 사고 대응이 화를 일으켰고, 이로 인해 폴 리카르 서킷을 더 짧은 코스로만 사용하게 되는 등의 변화가 일어났다.[7] 엔진만 다르게 사용하였다. 섀시와 드라이버는 동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