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포뮬러 1/1953시즌

덤프버전 :




1. 1953년 그랑프리
2. 시즌 전 이적시장 & 소식
3. 1953 시즌 라인업
4. 경기 일정
5. 시즌 상세
5.1. 1R: 1953 아르헨티나 그랑프리 (아르헨티나 GP)
5.1.1. 퀄리파잉
5.1.2. 레이스
5.2. 2R: 1953 인디애나폴리스 500 (인디 500)
5.2.1. 퀄리파잉
5.2.2. 레이스
5.3. 3R: 1953 네덜란드 그랑프리 (네덜란드 GP)
5.3.1. 퀄리파잉
5.3.2. 레이스
5.4. 4R: 1953 벨기에 그랑프리 (벨기에 GP)
5.4.1. 퀄리파잉
5.4.2. 레이스
5.5. 5R: 1953 프랑스 그랑프리 (프랑스 GP)
5.5.1. 퀄리파잉
5.5.2. 레이스
5.6. 6R: 1953 영국 그랑프리 (영국 GP)
5.6.1. 퀄리파잉
5.6.2. 레이스
5.7. 7R: 1953 독일 그랑프리 (독일 GP)
5.7.1. 퀄리파잉
5.7.2. 레이스
5.8. 8R: 1953 스위스 그랑프리 (스위스 GP)
5.8.1. 퀄리파잉
5.8.2. 레이스
5.9. 9R: 1953 이탈리아 그랑프리 (이탈리아 GP)
5.9.1. 퀄리파잉
5.9.2. 레이스
6. 챔피언십 포인트 순위



1. 1953년 그랑프리[편집]


1953년 포뮬러 원 시즌은 4번째 FIA 포뮬러 원 시즌이다. 이 시즌은 1월 18일 아르헨티나 그랑프리를 시작으로 9월 13일 이탈리아 그랑프리 까지 총 9경기로 치러졌다. 이 시즌은 던롭, 파이어스톤, 피렐리, 잉글버트가 타이어를 공급하였다. 알베르토 아스카리가 드라이버 챔피언십 우승을 차지하였다. 후안 마누엘 판지오가 2위, 니나 파리나(=주세페 파리나)가 3위를 차지했다.

1953년 프랑스 GP는 역대 최고급 명경기로 꼽힌다.


2. 시즌 전 이적시장 & 소식[편집]


스쿠데리아 페라리에도 작은 변화가 있었다. 지난 시즌을 거의 독주하다시피 휩쓴 알베르토 아스카리와 함께 F1 초대 챔피언인 주세페 파리나가 페라리 시트를 유지했고, 페라리에 깊은 인상을 심어주지 못한 피에로 타루피는 방출되어 란치아의 스포츠카 프로그램 드라이버로 입단하였다. 그의 대체자로 지난 시즌 훌륭한 퍼포먼스를 보인 영국의 마이크 호손을 영입하여 더욱 더 강력한 스쿼드를 구축하였다. 루이지 빌로레시도 지난 시즌 말미에 좋은 레이스를 선보여 이번 시즌 풀타임 출전을 하게 된다.

이번 시즌 페라리의 최대 대항마로 예상되는 마세라티는 1951 시즌 챔피언인 후안 마누엘 판지오를 영입하였다. 지난 시즌 몬차에서 열린 그랑프리 레이스에서 심한 목 부상으로 시즌 아웃된 그가 부상을 회복하고 마세라티 소속으로 1년만에 F1에 복귀한 것이다. 또한 마세라티는 판지오와 함께 1951 시즌 알파 로메오를 더욱 강력하게 만들어준 지오아치노 콜롬보 엔지니어를 영입하며 페라리를 꺾고자 하는 열망을 내비췄다. 1951시즌 마지막까지 챔피언 타이틀을 경쟁한 호세 프로일란 곤잘레스를 이번 시즌 정규 드라이버로 출전시킬 예정이며, 기존의 드라이버인 펠리스 보네토 역시 유지하였다.

프랑스 팀인 에퀴페 고디니 팀은 팀의 드라이버 라인업을 유지한 채 시즌을 시작하게 되었고, 비록 F1의 일부 그랑프리만 참여할 예정이지만 쿠퍼 카 컴퍼니가 매뉴팩쳐러 팀으로 이번 시즌 첫 참전을 결정하였다. 지난 시즌 마이크 호손을 비롯한 여러 영국인 드라이버들에게 섀시를 제공하였고, 이들이 가능성을 보이자 이번 시즌 매뉴팩쳐러로 데뷔한 것이다.

지난 시즌보다 긍정적인 전망 속에서 F1은 1953 시즌을 맞이하였다.

3. 1953 시즌 라인업[편집]


#컨스트럭터팀 국적섀시
(엔진)
타이어드라이버출전 라운드
국적이름
1파일:Maserati 2006.png
오피치네 알피에리 마세라티
마세라티파일:이탈리아 국기.svgA6GCM
(Maserati A6 2.0 L6)
파일:Pirelli 1948 logo.jpg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후안 마누엘 판지오1, 3-9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호세 프로일란 곤잘레스1, 3-6
파일:이탈리아 국기.svg펠리스 보네토1, 3, 5-9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오스카 갈베스1
파일:벨기에 국기.svg조니 클라에스4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오노프레 마리몬4-9
파일:독일 국기.svg헤르만 랭8
파일:이탈리아 국기.svg세르지오 만토바니9
파일:이탈리아 국기.svg루이지 무소
2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스쿠데리아 페라리
페라리파일:이탈리아 국기.svg500
553
(Ferrari 500 2.0 L4)
(Ferrari 553 2.0 L4)
파일:Pirelli 1948 logo.jpg파일:이탈리아 국기.svg알베르토 아스카리1, 3-9
파일:이탈리아 국기.svg주세페 파리나
파일:이탈리아 국기.svg루이지 빌로레시
파일:영국 국기.svg마이크 호손
파일:이탈리아 국기.svg움베르토 마그리올리9
파일:이탈리아 국기.svg피에로 카리니
3파일:쿠퍼 F1 로고.png
쿠퍼 카 컴퍼니
쿠퍼-브리스톨
쿠퍼-알타
파일:영국 국기.svgT20
T23
Special
T24
(Bristol BS1 2.0 L6)
(Alta GP 2.5 L4)
파일:Dunlop classic logo.jpg파일:영국 국기.svg앨런 브라운1
파일:영국 국기.svg존 바버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아돌포 슈웰름 크루즈
파일:영국 국기.svg스털링 모스5, 7, 9
4파일:Gordini Logo.png
에퀴페 고디니
고디니
심카-고디니
파일:프랑스 국기.svgType 16
Type 15
(Gordini 20 2.0 L6)
(Gordini 1500 1.5 L4)
파일:A9D51C0E-1CDF-455B-9454-CA6340D5C6F0.jpg파일:프랑스 국기.svg로버트 만존1
파일:미국 국기.svg해리 쉘1, 3-7, 9
파일:프랑스 국기.svg모리스 트린티냥1, 3-9
파일:프랑스 국기.svg장 베라1, 4-8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카를로스 멘디테기1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파블로 버거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로베르토 미에레스3, 5, 9
파일:미국 국기.svg프레드 워커3-4, 8
5에큐리에 로지에페라리파일:프랑스 국기.svg500
(Ferrari 500 2.0 L4)
파일:Dunlop classic logo.jpg파일:프랑스 국기.svg루이 로지에3-7, 9
파일:A9D51C0E-1CDF-455B-9454-CA6340D5C6F0.jpg8
6파일:Scuderia plate f1 logo.png
엔리코 플레이트
마세라티파일:스위스 국기.svgA6GCM
(Maserati A6 2.0 L6)
파일:Pirelli 1948 logo.jpg파일:스위스 국기.svg투올로 드 그라펜리드3
7파일:Connaught_Logo.png
코너트 엔지니어링
코너트-레아 프란시스파일:영국 국기.svgA
(Lea Francis 2.0 L4)
파일:Dunlop classic logo.jpg파일:영국 국기.svg로이 살바도리3, 5-7, 9
파일:영국 국기.svg케네스 맥알핀3, 6-7, 9
파일:영국 국기.svg스털링 모스3
파일:태국 국기.svg비라봉세 바누데흐5-7
파일:영국 국기.svg잭 페어만9
8에큐리에 벨즈코너트-레아 프란시스파일:벨기에 국기.svgA
(Lea-Francis 2.0 L4)
파일:A9D51C0E-1CDF-455B-9454-CA6340D5C6F0.jpg파일:벨기에 국기.svg조니 클라에스3, 5, 7, 9
파일:벨기에 국기.svg안드레 필렛4
9켄 와튼쿠퍼-브리스톨파일:영국 국기.svgT23
(Bristol BS1 2.0 L6)
파일:Dunlop classic logo.jpg파일:영국 국기.svg켄 와튼3, 5-6, 8-9
10파일:HWM logo.png
HW 모터스
HWM-알타파일:영국 국기.svg53
(Alta GP 2.5 L4)
파일:Dunlop classic logo.jpg파일:영국 국기.svg피터 콜린스3-6
파일:영국 국기.svg랜스 맥클린3-6, 8-9
파일:벨기에 국기.svg폴 프레레4, 8
파일:프랑스 국기.svg이브 지로 카반투5, 9
파일:영국 국기.svg던컨 해밀턴6
파일:영국 국기.svg잭 페어만
파일:스위스 국기.svg알베르트 쉐럴8
파일:미국 국기.svg존 피츠9
11임마누엘 드 그라펜리드마세라티파일:스위스 국기.svgA6GCM
(Maserati A6 2.0 L6)
파일:Pirelli 1948 logo.jpg파일:스위스 국기.svg투올로 드 그라펜리드4-9
12조르주 버거심카-고디니파일:벨기에 국기.svg15
(Gordini 1500 1.5 L4)
파일:A9D51C0E-1CDF-455B-9454-CA6340D5C6F0.jpg파일:벨기에 국기.svg조르주 버거4
13아서 레것베리타스파일:벨기에 국기.svgMeteor
(Veritas 2.0 L6)
파일:A9D51C0E-1CDF-455B-9454-CA6340D5C6F0.jpg파일:벨기에 국기.svg아서 레것4
14파일:Ecurie_Francorchamps_Logo.jpg
에큐리에 프랑코샹
페라리파일:벨기에 국기.svg500
(Ferrari 500 2.0 L4)
파일:A9D51C0E-1CDF-455B-9454-CA6340D5C6F0.jpg파일:벨기에 국기.svg자크 스웨이터스4, 7-8
파일:벨기에 국기.svg샤를 드 토네이코4
15루이 시론오스카파일:모나코 국기.svg20
(OSCA 2000 2.0 L6)
파일:Pirelli 1948 logo.jpg파일:모나코 국기.svg루이 시론5-6, 8-9
16엘리 바욜오스카파일:프랑스 국기.svg20
(OSCA 2000 2.0 L6)
파일:Pirelli 1948 logo.jpg파일:프랑스 국기.svg엘리 바욜5, 8
17밥 제라드쿠퍼-브리스톨파일:영국 국기.svgT23
(Bristol BS1 2.0 L6)
파일:Dunlop classic logo.jpg파일:영국 국기.svg밥 제라드5-6
18R.R.C. 워커 레이싱 팀코너트-레아 프란시스파일:영국 국기.svgA
(Lea-Francis 2.0 L4)
파일:Dunlop classic logo.jpg파일:영국 국기.svg토니 롤트6
19파일:Ecurie_Ecosse_Logo.png
에큐리에 에코세
코너트-레아 프란시스
쿠퍼-브리스톨
파일:영국 국기.svgA
T20
(Lea-Francis 2.0 L4)
(Bristol BS1 2.0 L6)
파일:Dunlop classic logo.jpg파일:영국 국기.svg이안 스튜어트6
파일:영국 국기.svg지미 스튜어트
20RJ. 체이스쿠퍼-브리스톨파일:영국 국기.svgT23
(Bristol BS1 2.0 L6)
파일:Dunlop classic logo.jpg파일:영국 국기.svg앨런 브라운6
21아틀란틱 스테이블쿠퍼-알타파일:영국 국기.svgT24
(Alta GP 2.5 L4)
파일:Dunlop classic logo.jpg파일:영국 국기.svg피터 화이트헤드6
22토니 크룩쿠퍼-브리스톨파일:영국 국기.svgT20
(Bristol BS1 2.0 L6)
파일:Dunlop classic logo.jpg파일:영국 국기.svg토니 크룩6
23한스 슈투크AFM-브리스톨파일:독일 국기.svg6
(Bristol BS1 2.0 L6)
파일:Dunlop classic logo.jpg파일:독일 국기.svg한스 슈투크7, 9
24볼프강 자이들베리타스파일:독일 국기.svgRS
(Veritas 2.0 L6)
파일:Dunlop classic logo.jpg파일:독일 국기.svg볼프강 자이들7
25윌리 힉스베리타스파일:독일 국기.svgMeteor
(Veritas 2.0 L6)
파일:Dunlop classic logo.jpg파일:독일 국기.svg윌리 힉스7
26테오 헬프리치베리타스파일:독일 국기.svgRS
(Veritas 2.0 L6)
파일:Dunlop classic logo.jpg파일:독일 국기.svg테오 헬프리치7
27오스발트 카르히베리타스파일:독일 국기.svgRS
(Veritas 2.0 L6)
파일:Dunlop classic logo.jpg파일:독일 국기.svg오스발트 카르히7
28헬무트 니더마이어AFM-BMW파일:독일 국기.svgU8
(BMW 328 2.0 L6)
파일:Dunlop classic logo.jpg파일:독일 국기.svg테오 피차우7
29에른스트 루프베리타스파일:독일 국기.svgMeteor
(Veritas 2.0 L6)
파일:Dunlop classic logo.jpg파일:독일 국기.svg에른스트 루프7
30한스 헤르만베리타스파일:독일 국기.svgMeteor
(Veritas 2.0 L6)
파일:Dunlop classic logo.jpg파일:독일 국기.svg한스 헤르만7
31에르윈 바우어베리타스파일:독일 국기.svgRS
(Veritas 2.0 L6)
파일:Dunlop classic logo.jpg파일:독일 국기.svg에르윈 바우어7
32에큐리에 에스퍼든페라리파일:스위스 국기.svg500
212
(Ferrari 500 2.0 L4)
(Ferrari 166 2.0 V12)
파일:Pirelli 1948 logo.jpg파일:독일 국기.svg커트 아돌프7
파일:스위스 국기.svg피터 허트8
파일:스위스 국기.svg막스 드 테라
33렌콜렉티프 EMWEMW파일:독일 국기.svgR2
(EMW 6 2.0 L6)
파일:Dunlop classic logo.jpg파일:독일 국기.svg에드가 바스7
34도라 그라이프추그라이프추-BMW파일:독일 국기.svgEigenbau
(BMW 328 2.0 L6)
파일:Dunlop classic logo.jpg파일:독일 국기.svg루돌프 크라우스7
35에른스트 클로드빅헥-BMW파일:독일 국기.svgEigenbau
(BMW 328 2.0 L6)
파일:Dunlop classic logo.jpg파일:독일 국기.svg에른스트 클로드빅7
36에퀴페 앙레이스쿠퍼-브리스톨파일:영국 국기.svgT23
(Bristol BS1 2.0 L6)
파일:Dunlop classic logo.jpg파일:영국 국기.svg앨런 브라운7, 9
파일:독일 국기.svg헬무트 글뢰클러7
37로드니 너키쿠퍼-브리스톨파일:영국 국기.svgT23
(Bristol BS1 2.0 L6)
파일:Dunlop classic logo.jpg파일:영국 국기.svg로드니 너키7
38귄터 베켐AFM-BMW파일:독일 국기.svg50-5
(BMW 328 2.0 L6)
파일:Dunlop classic logo.jpg파일:독일 국기.svg귄터 베켐7
39에스쿠데리아 반데이란츠마세라티파일:브라질 국기.svgA6GCM
(Maserati A6 2.0 L6)
파일:Pirelli 1948 logo.jpg파일:브라질 국기.svg치코 랜디8
40파일:OSCA 로고.png
오스카 오토모빌리
오스카파일:이탈리아 국기.svg20
(OSCA 2000 2.0 L6)
파일:Pirelli 1948 logo.jpg파일:프랑스 국기.svg엘리 바욜9
41파일:Scuderia Milano F1 logo.png
스쿠데리아 밀라노
마세라티파일:이탈리아 국기.svgA6GCM
(Maserati A6 2.0 L6)
파일:Pirelli 1948 logo.jpg파일:브라질 국기.svg치코 랜디9
파일:태국 국기.svg비라봉세 바누데흐

4. 경기 일정[편집]


#경기 일정그랑프리(도시)서킷드라이버 우승컨스트럭터 우승비고
11/18아르헨티나(부에노스 아이레스)부에노스 아이레스 서킷알베르토 아스카리페라리
25/30인디애나폴리스 500(인디애나폴리스)인디애나폴리스 모터 스피드웨이빌 부코비치커티스 크라프트-오펜하우저
36/7네덜란드(잔드보르트)파크 잔드보르트 서킷알베르토 아스카리페라리
46/21벨기에(스파-프랑코샹)스파-프랑코샹 서킷
57/5프랑스(랭스)랭스-괴마이크 호손
67/18영국(실버스톤)실버스톤 서킷알베르토 아스카리
78/2독일(뉘르부르크)뉘르부르크링
88/23스위스(브렘가르텐)브렘가르텐 서킷
99/13이탈리아(몬차)국립 몬차 자동차 경주장후안 마누엘 판지오마세라티


5. 시즌 상세[편집]



5.1. 1R: 1953 아르헨티나 그랑프리 (아르헨티나 GP)[편집]


F1 월드 챔피언십 역사상 인디 500을 제외한 첫 非 유럽 지역 그랑프리이다. F1 출범 이전, 1930, 40년대에도 그랑프리 레이스가 나름 열렸으나, F1 출범 이후로는 처음이며, 특히 조국의 스타인 후안 마누엘 판지오가 출전할 예정이라 열기는 더욱 뜨거워질 전망이다.


5.1.1. 퀄리파잉[편집]


퀄리파잉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출발 그리드
P1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알베르토 아스카리 (페라리)1:55.41번째
P2
파일:Maserati 2006.png
후안 마누엘 판지오 (마세라티)+ 0.7s2번째
P3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루이지 빌로레시 (페라리)+ 1.1s3번째
P4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주세페 파리나 (페라리)+ 1.7s4번째
P5
파일:Maserati 2006.png
호세 프로일란 곤잘레스 (마세라티)+ 3.1s5번째

개막전인 아르헨티나 GP의 폴 포지션은 알베르토 아스카리가 차지하였다. 지난 시즌의 기록까지 포함하며 4연속 폴 포지션이며, 그의 팀메이트인 빌로레시와 파리나는 복귀한 판지오에 뒤지는 3-4위를 기록하였다.

5.1.2. 레이스[편집]


레이스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점수(pts)
우승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알베르토 아스카리 (페라리)3:01:04.68+1[F]
2위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루이지 빌로레시 (페라리)+ 1 Lap6
3위
파일:Maserati 2006.png
호세 프로일란 곤잘레스 (마세라티)+ 1 Lap4
4위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마이크 호손 (페라리)+ 1 Lap3
5위
파일:Maserati 2006.png
오스카 알프레도 갈베스 (마세라티)+ 1 Lap2

패스티스트 랩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알베르토 아스카리 (페라리)1:48.4 (Lap 73)

1953 아르헨티나 GP 하이라이트

알베르토 아스카리가 개막전 폴투윈을 차지하며 7연승을 질주하였다. 이번 시즌 그의 가장 큰 라이벌로 손꼽히는 후안 마누엘 판지오는 36랩 째에 트랜스미션 문제로 리타이어하였고, 이 덕에 아스카리는 여유롭게 크루징하며 우승을 차지한다. 레이스 막판에는 마이크 호손이 3위를 질주하며 페라리 데뷔 첫 포디움을 장식하는 듯 하였으나, 아쉽게 뒤따르는 홈 그랑프리를 맞이한 곤잘레스에게 추월을 허용하며 4위로 완주하였다. 갈베스가 5위로 완주하며 마지막 포인트를 차지하였다.

한편, 이번 경기는 매우 큰 사고가 벌어져 어수선한 레이스이기도 하였다. 아르헨티나의 대통령인 후안 페론은 레이스 당일 많은 관중이 입장할 수 있도록 독려하기 위해 관중 제한을 풀어버렸고, 이 때문에 몇몇 관중은 관중석에 앉지 못한 채, 트랙 바로 옆에서 위험한 상태로 관람하여야 하였다. 이 때문에 한 관중이 트랙 중간으로 나오게 되어 상황이 심각해졌고, 결국 31랩 째에 트랙 중간을 달려오던 주세페 파리나가 이 관중을 피하려다 컨트롤을 잃고 관중석을 덮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이 사고로 13명의 관중이 즉사하였고, 그 직후에는 앨런 브라운이 트랙 중간으로 달려오는 소년을 들이받아 소년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이렇게 어수선했던 첫 F1 아르헨티나 GP는 알베르토 아스카리가 챔피언십 리드를 가져간 채 마무리되었다.

한편, 아스카리의 7연승 기록은 2013년 제바스티안 페텔이 9연승을 질주하며 기록을 깨기까지 약 60년간 깨지지 않았다.

레이스 종료 후 챔피언십 순위
1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알베르토 아스카리파일:이탈리아 국기.svg페라리9
2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루이지 빌로레시파일:이탈리아 국기.svg페라리6
3
파일:Maserati 2006.png
호세 프로일란 곤잘레스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마세라티4
4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마이크 호손파일:영국 국기.svg페라리3
5
파일:Maserati 2006.png
오스카 알프레도 갈베스파일:영국 국기.svg마세라티2

5.2. 2R: 1953 인디애나폴리스 500 (인디 500)[편집]


파일:Chet Miller Death.jpg
F1 역사상 첫 공식 세션 사망자가 발생하다
연습 주행 도중, 16년차 베테랑 드라이버인 쳇 밀러가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그는 1번 코너를 222.8km/h의 속도로 진입하다가 안쪽의 잔디를 살짝 밟아 차는 컨트롤을 잃고 그대로 바깥쪽 벽에 강하게 충돌하였다. 그의 아내가 레이스를 관람하기 위해 경기장에 있었으나, 남편의 죽음을 눈앞에서 지켜봐야하는 비극이 일어났다.

그가 죽은 4일 뒤인 5월 19일, 인디애나폴리스 주의 Crown Hill Cemetery에서 밀러의 장례식이 치루어졌다.

5.2.1. 퀄리파잉[편집]


퀄리파잉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출발 그리드
P1
파일:Nothing.png
빌 부코비치 (커티스 크래프트)1:55.41번째
P2
파일:Nothing.png
프레드 아가바시안 (커티스 크래프트)+ 1.60s2번째
P3
파일:Nothing.png
잭 맥그라스 (커티스 크래프트)+ 3.41s3번째
P4
파일:Nothing.png
매니 아율로 (커즈마)+ 3.83s4번째
P5
파일:Nothing.png
앤디 린든 (스티븐스)+ 4.46s5번째


5.2.2. 레이스[편집]


레이스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점수(pts)
우승
파일:Nothing.png
빌 부코비치 (커티스 크래프트)3:53:01.698+1[F]
2위
파일:Nothing.png
아트 크로스 (커티스 크래프트)+ 3:30.876
3위
파일:Nothing.png
샘 행크스 (커티스 크래프트)+ 4:11.502[H]
파일:Nothing.png
두안 카터 (커티스 크래프트)2[H]
4위
파일:Nothing.png
프레드 아가바시안 (커티스 크래프트)+ 4:39.241.5[H]
폴 루소 (커티스 크래프트)1.5[H]
5위
파일:Nothing.png
잭 맥그라스 (커티스 크래프트)+ 7:49.642

패스티스트 랩
파일:Nothing.png
빌 부코비치 (커티스 크래프트)1:06.24

1953 인디 500 하이라이트

빌 부코비치가 패스티스트 랩 달성과 함께 200랩 중 195랩을 리드하며 제 37회 인디애나폴리스 500 경기에서 폴투윈을 차지하였다.

한편, 연습 주행에 이어 이번 인디 500 레이스에서도 또 하나의 비극이 일어났다. 레이스 당일, 기온은 섭씨 40도를 육박하였고, 이로 인해 경기 내내 커티스 크래프트 차량에 탑승한 스카보로는 레이스 내내 열사병과 어지럼증을 호소하였다. 설상가상 첫 번째 피트 스톱 도중, 연료가 새어나와 차량에 작은 화재가 발생하였고, 스카보로는 피트 월을 빨리 넘어 의자에 쓰러지고 말았다. 병원에 급히 후송되었으나, 그는 안타깝게 숨을 거두고 말았다.

레이스 종료 후 챔피언십 순위
1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알베르토 아스카리파일:이탈리아 국기.svg페라리9
2
파일:Nothing.png
빌 부코비치파일:미국 국기.svg커티스 크래프트9
3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루이지 빌로레시파일:이탈리아 국기.svg페라리6
4
파일:Nothing.png
아트 크로스파일:미국 국기.svg커티스 크래프트6
5
파일:Maserati 2006.png
호세 프로일란 곤잘레스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마세라티4

5.3. 3R: 1953 네덜란드 그랑프리 (네덜란드 GP)[편집]



5.3.1. 퀄리파잉[편집]


퀄리파잉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출발 그리드
P1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알베르토 아스카리 (페라리)1:51.11번째
P2
파일:Maserati 2006.png
후안 마누엘 판지오 (마세라티)+ 1.6s2번째
P3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주세페 파리나 (페라리)+ 1.9s3번째
P4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루이지 빌로레시 (페라리)+ 2.6s4번째
P5
파일:Maserati 2006.png
호세 프로일란 곤잘레스 (마세라티)+ 3.0s5번째

알베르토 아스카리가 개인 통산 F1 5연속 폴 포지션을 차지하였다. 압도적인 기록과 함께 이번 GP도 판지오 앞에서 스타트하게 되었고, 그들의 팀메이트인 파리나와 빌로레시도 판지오와 크게 뒤쳐지지 않는 기록을 보이며 페라리의 이번 GP 결과의 전망을 다시 밝게 하였다. 마이크 호손은 6위를 차지하며 아쉬운 모습을 보였다.

5.3.2. 레이스[편집]


레이스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점수(pts)
우승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알베르토 아스카리 (페라리)2:53:35.88
2위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주세페 파리나 (페라리)+ 10.4s6
3위
파일:Maserati 2006.png
펠리스 보네토 (마세라티)+ 1 Lap2[H]
호세 프로일란 곤잘레스 (마세라티)2[H]
4위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마이크 호손 (페라리)+ 1 Lap3
5위
파일:Scuderia plate f1 logo.png
투올로 드 그라펜리드 (마세라티)+ 2 Laps2

패스티스트 랩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루이지 빌로레시 (페라리)1:48.4 (Lap 73)[F]

1953 네덜란드 GP 하이라이트

레이스 당일 트랙 컨디션은 거의 최악에 가까웠다. 트랙에 작은 돌들과 먼지들이 가득 덮여 버린 것. 이런 악조건 상황 속에서도 알베르토 아스카리와 페라리는 라이벌팀 마세라티를 제치고 레이스를 독식해나갔다. 아스카리는 스타트 직후엔 파리나에게 리드를 빼앗겼지만, 오프닝 랩이 끝나기 전에 리드를 되찾았고, 90랩까지 모든 랩을 리드하며 또 다시 우승을 차지하였다. 파리나가 오랜만에 2위를 차지하며 포디움을 맛보게 되었다. 빌로레시 역시 파리나의 뒤에서 순항하고 있었으나 67랩 째에 스로틀에 문제가 생기며 리타이어하였다. 마이크 호손은 4위를 차지.

마세라티의 곤잘레스는 3랩을 남겨두고 서스펜션에 문제가 생기며 리타이어할 뻔하였으나, 보네토와 시트를 스왑하며 2점이나마 획득할 수 있었다. 후안 마누엘 판지오도 고전 끝에 차량 문제로 일찍이 차를 세워야만 했다. 5위는 그라펜리드가 차지하며 그라펜리드는 1951 스위스 GP 이후 2년만에 포인트 피니쉬를 달성하였다.

레이스 종료 후 챔피언십 순위
1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알베르토 아스카리파일:이탈리아 국기.svg페라리17
2
파일:Nothing.png
빌 부코비치파일:미국 국기.svg커티스 크래프트9
3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루이지 빌로레시파일:이탈리아 국기.svg페라리7
4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주세페 파리나파일:이탈리아 국기.svg페라리6
5
파일:Nothing.png
아트 크로스파일:미국 국기.svg커티스 크래프트6

5.4. 4R: 1953 벨기에 그랑프리 (벨기에 GP)[편집]



5.4.1. 퀄리파잉[편집]


퀄리파잉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출발 그리드
P1
파일:Maserati 2006.png
후안 마누엘 판지오 (마세라티)4:301번째
P2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알베르토 아스카리 (페라리)+ 2s2번째
P3
파일:Maserati 2006.png
호세 프로일란 곤잘레스 (마세라티)+ 2s3번째
P4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주세페 파리나 (페라리)+ 6s4번째
P5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루이지 빌로레시 (페라리)+ 9s5번째

후안 마누엘 판지오가 F1 그랑프리에서 오랜만에 폴 포지션을 차지하였다. 디펜딩 챔피언인 아스카리를 상대로 랩당 평균 스피드에서 큰 차이로 누르며 오래간만에 최고의 모습을 보여줄 수 있었다. 그의 팀메이트인 곤잘레스도 아스카리에 불과 0.x초 이내의 차이를 보이며 아슬아슬한 3위를 차지하였고, 나머지 페라리 드라이버들을 큰 차이로 누르며 화려한 퀄리파잉을 선보였다.

5.4.2. 레이스[편집]


레이스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점수(pts)
우승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알베르토 아스카리 (페라리)2:48:30.38
2위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루이지 빌로레시 (페라리)+ 2:48.26
3위
파일:Maserati 2006.png
오노프레 마리몬 (마세라티)+ 1 Lap4
4위
파일:Nothing.png
투올로 드 그라펜리드 (마세라티)+ 1 Lap3
5위
파일:Gordini white logo.png
모리스 트린티냥 (고디니)+ 1 Lap2

패스티스트 랩
파일:Maserati 2006.png
호세 프로일란 곤잘레스 (마세라티)4:34.0 (Lap 2)[F]

1953 벨기에 GP 하이라이트

레이스 시작 직후, 곤잘레스가 아스카리와 판지오를 제치고 선두로 올라서며 모두를 놀라게 했다. 이후 무서운 속도로 판지오와 아스카리를 묶어둔 채 리드를 지켜나갔다. 하지만 11랩 이후, 스로틀 문제가 발생하며 허무하게 벨기에 GP를 마무리하였고, 뒤따르던 판지오는 이번 그랑프리엔 엔진 문제로 인해 또 다시 차량 문제로 리타이어하는 불상사를 겪고 말았다.

이 덕에 뒤따르던 마이크 호손과 오노프레 마리몬, 루이지 빌로레시는 2위권 경쟁을 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이쪽 역시 지나치게 길었던 스파-프랑코샹 서킷에선 차량의 한계에 직면해야 하였다. 마리몬이 엔진 문제로 인해 페이스가 급락하며 3위로 내려앉았고, 2위였던 호손은 연료 누수 문제를 겪어 마리몬보다 더욱 처참한 페이스를 보이며 포디움에서 멀어져갔다. 자연스럽게 빌로레시와 마리몬이 2위, 3위를 형성하였고, 포디움은 아스카리-빌로레시-마리몬 순으로 여유롭게 마무리된다.

한편, 레이스 초반에 일찍 차를 세운 판지오는 도전을 이어갔다. 팀메이트인 조니 클라에스와 드라이버 스왑을 통해 다시 선두권으로 올라가고자 하였다. 30랩 째에는 속력이 느려진 마리몬을 추월하며 3위까지 오르는 기염을 토했지만, 마지막랩에서 그답지 않은 실수를 범하며 크게 충돌하며 충격적인 리타이어를 맞이한다. 이러한 변수 덕에 포인트권은 개인 출전 선수인 그라펜리드와 고디니 소속의 트린티냥이 마지막 두 자리를 차지하였고, 레이스는 마무리되었다.

레이스 종료 후 챔피언십 순위
1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알베르토 아스카리파일:이탈리아 국기.svg페라리25
2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루이지 빌로레시파일:이탈리아 국기.svg페라리13
3
파일:Nothing.png
빌 부코비치파일:미국 국기.svg커티스 크래프트9
4
파일:Maserati 2006.png
호세 프로일란 곤잘레스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마세라티7
5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주세페 파리나파일:이탈리아 국기.svg페라리6

5.5. 5R: 1953 프랑스 그랑프리 (프랑스 GP)[편집]


랭스-괴 서킷의 레이아웃이 예년까지 쓰던 기존 레이아웃보다 더욱 길고 빠른 직선 주로의 서킷으로 변경되었다. 이 과정에서, 레이아웃 변경을 위해 괴(Gueux) 지역을 통과하는 구역을 폐쇄하였기에 이번 시즌부터 이 서킷은 랭스 서킷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5.5.1. 퀄리파잉[편집]


퀄리파잉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출발 그리드
P1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알베르토 아스카리 (페라리)2:41.21번째
P2
파일:Maserati 2006.png
펠리스 보네토 (마세라티)+ 0.3s2번째
P3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루이지 빌로레시 (페라리)+ 0.7s3번째
P4
파일:Maserati 2006.png
후안 마누엘 판지오 (마세라티)+ 0.8s4번째
P5
파일:Maserati 2006.png
호세 프로일란 곤잘레스 (마세라티)+ 1.2s5번째

폴 포지션을 차지한 아스카리의 기록이 2분 40초를 넘는 긴 서킷임에도 톱5 드라이버들의 격차는 1.2초 내에 불과하였다. 이 정도로 치열한 기록에서 페라리와 마세라티는 거의 차이가 없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의 페이스를 보이고 있다. 이 덕에 익일 레이스에 대한 기대감은 더욱 증폭되었다.

한편, 다음 날 F1 그랑프리가 열리기 전에 열린 12시간 스포츠카 내구레이스에서 레이스를 리드하던 페라리 소속의 움베르토 마그리올리(Umberto Maglioli)와 피에로 카리니(Piero Carini)가 푸쉬 스타트와 전조등을 제 시간 내에 켜지 않은 것을 이유로 실격당하는 사건이 있었다. 이 때문에 페라리를 비롯한 많은 티포시들은 분개하고 항의하였으며, F1 그랑프리에서 철수할 수도 있다는 소문이 돌았다. 라이벌 팀인 마세라티가 손쉽게 우승할 판국으로 돌아갔지만, 다행히 페라리 팀은 그랑프리에 정상적으로 참여하게 되었다. 하지만 뒤숭숭한 분위기로 인해 페라리가 판지오와 곤잘레스가 버티는 마세라티를 쉽게 이길 수 있을지는 의문이라는 예상이 많았다.

그러나 그랑프리 레이스에서 그들은 20세기 F1 레이스의 최고 경기 중 하나를 탄생시킨다.

5.5.2. 레이스[편집]


레이스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점수(pts)
우승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마이크 호손 (페라리)2:44:18.68
2위
파일:Maserati 2006.png
후안 마누엘 판지오 (마세라티)+ 1.0s6+1[F]
3위
파일:Maserati 2006.png
호세 프로일란 곤잘레스 (마세라티)+ 1.4s4
4위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알베르토 아스카리 (페라리)+ 4.6s3
5위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주세페 파리나 (페라리)+ 1:07.62

패스티스트 랩
파일:Maserati 2006.png
후안 마누엘 판지오 (마세라티)2:41.1 (Lap 25)

1953 프랑스 GP 하이라이트

레이스 시작 전, 곤잘레스는 다른 모든 선수와 달리 차량에 절반의 연료만 채우고 피트스톱을 계획하며 레이스에 임하기로 결정하였다. 프랑스기가 내려가며 1953 프랑스 GP가 시작되었고, 상대적으로 차량이 가벼운 곤잘레스는 단숨에 레이스 리더 자리를 빼앗는다. 프런트 로우였던 마세라티의 보네토와 페라리의 아스카리는 훌륭한 스타트와 함께 우선은 2위권 싸움을 형성한다. 곤잘레스는 오프닝 랩 직후 2.8초의 갭을 벌려나갔고, 2위~8위끼리의 격차는 단 2.2초만을 남겨둔 채 치열한 레이스가 형성되어갔다.

2랩 째, 곤잘레스가 크게 리드한 가운데 2위권은 아스카리-빌로레시-호손이 자리를 잡고 있었다. 그 뒤에는 파리나가 가까이 뒤따르는 가운데 마세라티의 판지오와 마리몬이 힘겹게 추격하고 있었고, 마찬가지로 추격하던 펠리스 보네토는 스핀을 하여 9위까지 떨어진다. 23랩 째에는 판지오가 패스티스트 랩을 기록하며 파리나를 추월하였다. 하지만 다음 랩인 24랩 째에 파리나가 판지오를 다시 추월하였고, 이에 응수하듯이 판지오가 다시 패스티스트 랩을 경신하며 파리나를 재추월하였다. 판지오는 단숨에 3위까지 올라섰고 29랩 째에 레이스 리더였던 곤잘레스가 피트스톱을 단행하며 판지오가 새로운 레이스 리더가 된다. 그의 뒤에는 이제 호손과 빌로레시, 마리몬이 뒤따르고 있었고, 피트스톱을 한 곤잘레스는 판지오에 27초 뒤진 6위로 달리고 있었다.

레이스 중반부에 접어들고, 판지오가 리드한 가운데 호손과 아스카리가 1초 내의 격차로 매우 치열하게 1위 경쟁을 이어가고 있었다. 뒤따르는 4위권 경쟁을 이어가는 파리나와 마리몬, 곤잘레스와 빌로레시도 판지오와 20초밖에 차이가 나지 않을 정도로 크지 않은 격차를 보이며 선두를 향한 기회를 엿보고 있었다.[1] 경쟁 상태가 지속되는 가운데 몇 랩이 흐르고, 마이크 호손이 반격을 시작하며 판지오를 추월하는 데에 성공한다. 하지만 판지오가 다시 페이스를 높이며 호손을 재추월하였고, 호손도 다시 페이스를 올리며 판지오를 추월하는 등 서로 엎치락뒤치락하는 판국이 형성되었다. 이 때문에 지난 시즌부터 독주를 이어온 아스카리가 선두 경쟁에 붙지 못하다가 페이스를 잃어 파리나와 곤잘레스, 마리몬과 배틀해야 하는 상황까지 오게 되었다.

이때, 피트스톱으로 페이스가 남달랐던 곤잘레스가 격차를 빠르게 좁히며 파리나와 아스카리를 37랩 째에 손쉽게 추월하였다. 아스카리는 이에 지지 않을세라 곤잘레스와 배틀하기 위해 다시 페이스를 끌어올렸고, 이 둘의 배틀 역시 20여랩동안 이어졌다. 이 둘은 경쟁하면서 선두 그룹인 호손-판지오와 지속적으로 격차를 줄여나갔고, 급기야 레이스 최후반부에는 1위~5위가 선두 경쟁을 이루게 되었다.

단 2랩만을 남겨둔 랭스 서킷에서, 판지오가 더욱 공격적으로 호손을 압박하기 시작하였다. 메인 스트레이트를 지나자 판지오는 호손과 사이드 바이 사이드를 이루었고, 이 덕에 곤잘레스와 아스카리도 호손-판지오와 1초 내로 붙는 데에 성공한다. 호손이 마지막 랩에 접어들 무렵에도 레이스를 리드하였고, 곤잘레스 역시 판지오와 호손을 맹추격하기 시작하였다. 챔피언십 선두인 아스카리는 그답지 않은 잔실수들을 범하며 선두 경쟁에서 갑작스레 멀어졌고, 이제 남은 3명의 드라이버가 피니쉬 라인을 먼저 통과하기 위해 사투를 벌였다. 마지막 랩 마지막 코너를 들어서기 전, 3위인 곤잘레스가 2위인 판지오를 거의 추월할 뻔하였고, 판지오는 그를 방어하는 데에 성공하였지만, 이 덕분에 마이크 호손이 단 1초의 차이로 먼저 결승선을 통과하며 1953 프랑스 GP를 우승, 포뮬러 1 데뷔 첫 승을 이루었다. 판지오가 2위, 곤잘레스가 2위 판지오와 불과 0.4초 차이로 3위를 차지하였다.

이 경기는 1950년대에 나온 역대 최고의 명경기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우선 스포츠카 내구 레이스에서 실격받은 페라리는 호손의 그랑프리 우승으로 제대로 설욕하는 스토리를 만들어내었고, 레이스 내용 측면에서도 4명의 라이벌이 시작부터 끝까지 손에 땀을 쥘만한 치열한 접전을 벌여왔다. 이 경기 덕분에 챔피언십에선 마이크 호손이 2위로 올라섰다.

레이스 종료 후 챔피언십 순위
1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알베르토 아스카리파일:이탈리아 국기.svg페라리28
2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마이크 호손파일:영국 국기.svg페라리14
3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루이지 빌로레시파일:이탈리아 국기.svg페라리13
4
파일:Maserati 2006.png
호세 프로일란 곤잘레스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마세라티11
5
파일:Nothing.png
빌 부코비치파일:미국 국기.svg커티스 크래프트9

5.6. 6R: 1953 영국 그랑프리 (영국 GP)[편집]



5.6.1. 퀄리파잉[편집]


퀄리파잉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출발 그리드
P1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알베르토 아스카리 (페라리)1:48.01번째
P2
파일:Maserati 2006.png
호세 프로일란 곤잘레스 (마세라티)+ 1.0s2번째
P3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마이크 호손 (페라리)+ 1.2s3번째
P4
파일:Maserati 2006.png
후안 마누엘 판지오 (마세라티)+ 2.0s4번째
P5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주세페 파리나 (페라리)+ 2.5s5번째

알베르토 아스카리가 영국 GP에서 다시 한번 폴 포지션을 차지하였다. 홈 그랑프리를 맞이한 호손 역시 3위에 오르며 기분 좋은 출발을 알렸다.

5.6.2. 레이스[편집]


레이스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점수(pts)
우승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알베르토 아스카리 (페라리)2:50:008+0.5[SF]
2위
파일:Maserati 2006.png
후안 마누엘 판지오 (마세라티)+ 1:006
3위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주세페 파리나 (페라리)+ 2 Laps4
4위
파일:Maserati 2006.png
호세 프로일란 곤잘레스 (마세라티)+ 2 Laps3+0.5[SF]
5위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마이크 호손 (페라리)+ 3 Laps2


1953 영국 GP 하이라이트

역대급 레이스를 연출한 지난 프랑스 GP와는 다르게 영국 GP는 아스카리가 90랩 전랩을 리드한 채 우승하며 마무리되었다. 홈 그랑프리를 맞이한 마이크 호손은 5위로 완주하는 데에 만족해야 했다.

레이스 종료 후 챔피언십 순위
1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알베르토 아스카리파일:이탈리아 국기.svg페라리33.5
2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마이크 호손파일:영국 국기.svg페라리16
3
파일:Maserati 2006.png
호세 프로일란 곤잘레스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마세라티13.5
4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루이지 빌로레시파일:이탈리아 국기.svg페라리13
5
파일:Maserati 2006.png
후안 마누엘 판지오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마세라티13

5.7. 7R: 1953 독일 그랑프리 (독일 GP)[편집]


이번 독일 GP에는 1년 전에 영국의 국왕으로 즉위한 엘리자베스 2세를 만난 19살의 아키히토 일본 황태자가 이번 독일 그랑프리 레이스에 참석하였다.

5.7.1. 퀄리파잉[편집]


퀄리파잉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출발 그리드
P1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알베르토 아스카리 (페라리)9:59.81번째
P2
파일:Maserati 2006.png
후안 마누엘 판지오 (마세라티)+ 3.9s2번째
P3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주세페 파리나 (페라리)+ 4.3s3번째
P4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마이크 호손 (페라리)+ 12.8s4번째
P5
파일:Gordini white logo.png
모리스 트린티냥 (고디니)+ 21.9s5번째

아스카리가 다시 한 번 폴 포지션을 차지하며 본인의 2번째 월드 챔피언 타이틀 획득에 한 발짝 더 다가서게 되었다.


5.7.2. 레이스[편집]


레이스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점수(pts)
우승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주세페 파리나 (페라리)3:02:25.08
2위
파일:Maserati 2006.png
후안 마누엘 판지오 (마세라티)+ 1:04.06
3위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마이크 호손 (페라리)+ 1:43.64
4위
파일:Maserati 2006.png
펠리스 보네토 (마세라티)+ 8:48.63
5위
파일:Nothing.png
투올로 드 그라펜리드 (마세라티)+ 1 Lap2

패스티스트 랩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알베르토 아스카리 (페라리)9:56.0 (Lap 12)[F]

1953 독일 GP 하이라이트

F1 역사상 최초의 연속 월드 챔피언 타이틀 획득, 페라리의 첫 레전드 드라이버 중 하나가 되다

스타트 이후 오프닝 랩부터 15랩까지 리드를 놓치지 않은 알베르토 아스카리였지만, 오늘은 그의 차량의 엔진에 문제가 발생하며 레이스 완주를 3랩 남겨두고 독일 그랑프리의 우승 트로피를 눈앞에서 놓치게 되었다. 하지만 그의 챔피언십 경쟁자였던 판지오와 호손이 우승하는 데에 실패하면서 그는 남은 경기 결과와 관계없이 1953시즌 F1 월드 챔피언이 되었다.

그랑프리 우승을 차지한 주세페 파리나 역시 1951 벨기에 GP 이후 약 2년만에 우승하며 오랜만에 기뻐할 수 있었다. 한편으로는, 이 레이스 우승은 그에게 있어 F1 마지막 우승이었다.


5.8. 8R: 1953 스위스 그랑프리 (스위스 GP)[편집]


스위스 GP가 치루어지기 전, 마세라티 소속의 호세 프로일란 곤잘레스가 부상을 당하여 이번 GP에 출전할 수 없게 되었다. 따라서 마세라티 팀은 그를 대신하여 45세의 전쟁 전(Pre-war) 그랑프리 레이스에서 많은 우승컵을 들어올린 베테랑 헤르만 랭(Hermann Lang)을 출전시킨다.


5.8.1. 퀄리파잉[편집]


퀄리파잉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출발 그리드
P1
파일:Maserati 2006.png
후안 마누엘 판지오 (마세라티)2:40.11번째
P2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알베르토 아스카리 (페라리)+ 0.6s2번째
P3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주세페 파리나 (페라리)+ 2.5s3번째
P4
파일:Gordini white logo.png
모리스 트린티냥 (고디니)+ 3.7s4번째
P5
파일:Maserati 2006.png
오노프레 마리몬 (마세라티)+ 4.4s5번째

챔피언십이 결정된 이후의 첫 레이스에서 판지오가 오랜만에 폴 포지션을 차지하였다.


5.8.2. 레이스[편집]


레이스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점수(pts)
우승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알베르토 아스카리 (페라리)3:01:34.408+1[F]
2위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주세페 파리나 (페라리)+ 1:12.936
3위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마이크 호손 (페라리)+ 1:35.964
4위
파일:Maserati 2006.png
후안 마누엘 판지오 (마세라티)+ 1 Lap1.5[H]
펠리스 보네토 (마세라티)1.5[H]
5위
파일:Maserati 2006.png
헤르만 랭 (마세라티)+ 3 Laps2

패스티스트 랩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알베르토 아스카리 (페라리)2:41.3 (Lap 50)

1953 스위스 GP 하이라이트

알베르토 아스카리가 지난 경기 리타이어에 설욕하며 다시 한 번 우승을 차지하였다. 그의 뒤를 이어 파리나와 호손이 결승선을 통과하며 페라리 드라이버들이 포디움을 싹쓸이하였다. 한편, 베테랑 헤르만 랭이 5위로 결승선을 통과하며 F1 역사상 첫 포인트를 획득하게 되었다. 판지오는 29랩 째에 엔진 문제로 인해 펠리스 보네토와 드라이버 스왑을 하여 4위로 완주하였다.

레이스 종료 후 챔피언십 순위
1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알베르토 아스카리파일:이탈리아 국기.svg페라리34.5
2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주세페 파리나파일:이탈리아 국기.svg페라리24
3
파일:Maserati 2006.png
후안 마누엘 판지오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마세라티20.5
4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마이크 호손파일:영국 국기.svg페라리19
5
파일:Maserati 2006.png
호세 프로일란 곤잘레스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마세라티13.5

5.9. 9R: 1953 이탈리아 그랑프리 (이탈리아 GP)[편집]



5.9.1. 퀄리파잉[편집]


퀄리파잉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출발 그리드
P1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알베르토 아스카리 (페라리)2:02.71번째
P2
파일:Maserati 2006.png
후안 마누엘 판지오 (마세라티)+ 0.5s2번째
P3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주세페 파리나 (페라리)+ 1.2s3번째
P4
파일:Maserati 2006.png
오노프레 마리몬 (마세라티)+ 1.4s4번째
P5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루이지 빌로레시 (페라리)+ 1.9s5번째

시즌 최종전의 폴 포지션의 주인공은 홈 그랑프리를 맞이한 알베르토 아스카리가 차지하였다.

5.9.2. 레이스[편집]


레이스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점수(pts)
우승
파일:Maserati 2006.png
후안 마누엘 판지오 (마세라티)2:49:45.98+1[F]
2위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주세페 파리나 (페라리)+ 1.4s6
3위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루이지 빌로레시 (페라리)+ 1 Lap4
4위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마이크 호손 (페라리)+ 1 Lap3
5위
파일:Gordini white logo.png
모리스 트린티냥 (고디니)+ 1 Lap2

패스티스트 랩
파일:Maserati 2006.png
후안 마누엘 판지오 (마세라티)2:04.5 (Lap 39)

1953 이탈리아 GP 하이라이트

레이스는 아스카리 vs 판지오 vs 마리몬 vs 파리나의 치열한 접전의 연속이었다. 레이스 전반에는 이 4명의 드라이버가 선두를 차지하기 위해 치열한 공방을 벌이며 순위가 자주 뒤바뀌었지만, 53랩부터는 아스카리가 안정적인 1위권을 차지하며 그대로 최종전에서 우승을 차지하는 듯 하였다. 그러나 그답지 않게 마지막 랩을 남겨두고 스핀을 하는 큰 실수를 저지르며 리타이어(...)하였고, 그대로 2위로 달리던 판지오가 얼떨결에 최종전에서 우승을 차지하였다. 3위였던 파리나는 아스카리를 피하려다 적지않은 시간을 지체하게 되었고, 이 때문에 판지오에 불과 1.4초 뒤진 2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전반적으로 아스카리의 독주가 이어진 시즌이었지만, 몇몇 레이스에서 그의 실수로 인한 이변의 드라마가 쓰여진 시즌이었다. 이 덕분에 F1은 알파 로메오가 떠난 지난 시즌과는 달리 매우 긍정적인 기류를 타며 점점 스포트라이트를 받는 스포츠로 발돋움해나가게 되었고, 다음 시즌인 1954시즌은 진정한 포뮬러 1 레귤레이션 아래에서 그랑프리를 진행할 수 있게 되었다.


6. 챔피언십 포인트 순위[편집]


파일:F943B1A7-BF13-4747-BED9-75EC6B2AA1FE.jpg
1953 포뮬러 1 월드 챔피언 - 알베르토 아스카리

WORLD CHAMPIONSHIP
1파일:이탈리아 국기.svg알베르토 아스카리페라리34.5CHAMPION - V2
2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후안 마누엘 판지오마세라티27.5
3파일:이탈리아 국기.svg주세페 파리나페라리26
4파일:영국 국기.svg마이크 호손페라리19
5파일:이탈리아 국기.svg루이지 빌로레시페라리17
6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호세 프로일란 곤잘레스마세라티13.5
7파일:미국 국기.svg빌 부코비치커티스 크래프트9
8파일:스위스 국기.svg투올로 드 그라펜리에드마세라티7
9파일:이탈리아 국기.svg펠리스 보네토마세라티6.5
10파일:미국 국기.svg아트 크로스커티스 크래프트6
11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오노프레 마리몬마세라티4
=파일:프랑스 국기.svg마우리스 트린티그넌트고디니4
13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오스카 알프레도 갈베스마세라티2
=파일:독일 국기.svg헤르만 랭마세라티2
=파일:미국 국기.svg샘 행크스커티스 크래프트2
=파일:미국 국기.svg두안 카터커티스 크래프트2
=파일:미국 국기.svg잭 맥그라스커티스 크래프트2
18파일:미국 국기.svg프레드 아가바시안커티스 크래프트1.5
=파일:미국 국기.svg폴 루소커티스 크래프트1.5
'''포인트 미획득 드라이버
[ 펼치기 · 접기 ]
-파일:영국 국기.svg스털링 모스코너트
쿠퍼
03R - 코너트
5R, 7R, 9R - 쿠퍼
-파일:프랑스 국기.svg장 베라고디니0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로베르토 미에레스고디니0
-파일:미국 국기.svg지미 데이월트커티스 크래프트0
-파일:미국 국기.svg해리 쉘고디니0
-파일:프랑스 국기.svg루이 로시어페라리0
-파일:영국 국기.svg켄 워튼쿠퍼0
-파일:태국 국기.svg비라 왕자코너트
마세라티
05R~7R - 코너트
9R - 마세라티
-파일:벨기에 국기.svg자크 스웨이터스페라리0
-파일:미국 국기.svg짐 라스만커티스 크래프트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세르지오 만토바니마세라티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루이지 무소마세라티0
-파일:영국 국기.svg피터 콜린스HWM0
-파일:영국 국기.svg존 바버쿠퍼0
-파일:미국 국기.svg어니 맥코이스티븐스0
-파일:스위스 국기.svg막스 드 테라페라리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엄베르토 마그리올리페라리0
-파일:영국 국기.svg앨런 브라운쿠퍼0
-파일:미국 국기.svg프레드 워커고디니0
-파일:미국 국기.svg토니 베튼하우센커즈마0
-파일:영국 국기.svg피터 화이트헤드쿠퍼0
-파일:독일 국기.svg한스 헤르만베리타스0
-파일:스위스 국기.svg알베르트 쉐럴HWM0
-파일:모나코 국기.svg루이 시론오스카0
-파일:벨기에 국기.svg폴 프레레HWM0
-파일:미국 국기.svg지미 데이비스커티스 크래프트0
-파일:미국 국기.svg듀크 네일런커티스 크래프트0
-파일:벨기에 국기.svg안드레 필렛코너트0
-파일:영국 국기.svg밥 제라드쿠퍼0
-파일:영국 국기.svg로드니 너키쿠퍼0
-파일:벨기에 국기.svg조니 클라에스코너트
마세라티
03R, 5R, 7R, 9R - 코너트
4R - 마세라티
-파일:미국 국기.svg† 칼 스카보로커티스 크래프트0
-파일:독일 국기.svg테오 헬프리치베리타스0
-파일:영국 국기.svg케네스 맥알파인코너트0
-파일:미국 국기.svg매니 아율로커즈마0
-파일:프랑스 국기.svg이브 지로 카반투스HWM0
-파일:독일 국기.svg한스 슈투크AFM0
-파일:미국 국기.svg지미 브라이언슈뢰더0
-파일:독일 국기.svg루돌프 크라우스그라이프스0
-파일:미국 국기.svg빌 홀란드커티스 크래프트0
-파일:독일 국기.svg에른스트 클로드빅0
-파일:미국 국기.svg로저 워드커티스 크래프트0
-파일:독일 국기.svg볼프강 사이들베리타스0
-파일:미국 국기.svg월트 포크너커티스 크래프트0
-파일:영국 국기.svg잭 페어맨HWM
코너트
06R - HWM
9R - 코너트
-파일:영국 국기.svg랜스 맥클린HWM0
-파일:영국 국기.svg로이 살바도리코너트0
-파일:프랑스 국기.svg엘리 바욜오스카0
-파일:브라질 국기.svg치코 랜디마세라티0
-파일:프랑스 국기.svg로버트 만존고디니0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카를로스 멘디테기고디니0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파블로 버거고디니0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아돌포 슈웰름 크루즈쿠퍼0
-파일:미국 국기.svg마셜 티그커티스 크래프트0
-파일:미국 국기.svg스파이더 웹커티스 크래프트0
-파일:미국 국기.svg밥 스웨이커트커즈마0
-파일:미국 국기.svg팻 플래허티커즈마0
-파일:미국 국기.svg제리 호이트커티스 크래프트0
-파일:미국 국기.svg조니 파슨스커티스 크래프트0
-파일:미국 국기.svg돈 프리랜드왓슨0
-파일:미국 국기.svg진 하틀리커티스 크래프트0
-파일:미국 국기.svg처크 스티븐슨커즈마0
-파일:미국 국기.svg칼 니데이커티스 크래프트0
-파일:미국 국기.svg밥 스캇브롬0
-파일:미국 국기.svg앤디 린든스티븐스0
-파일:미국 국기.svg조니 톰슨델 로이0
-파일:벨기에 국기.svg조르주 버거심카0
-파일:벨기에 국기.svg아서 레것베리타스0
-파일:영국 국기.svg지미 스튜어트쿠퍼0
-파일:영국 국기.svg토니 롤트코너트0
-파일:영국 국기.svg이안 스튜어트코너트0
-파일:영국 국기.svg던컨 해밀턴HWM0
-파일:영국 국기.svg토니 크룩쿠퍼0
-파일:독일 국기.svg에드가 바스EMW0
-파일:독일 국기.svg오스발트 카르히베리타스0
-파일:독일 국기.svg윌리 힉스베리타스0
-파일:독일 국기.svg테오 피차우AFM0
-파일:독일 국기.svg쿠르트 아돌프페라리0
-파일:독일 국기.svg귄터 베켐AFM0
-파일:독일 국기.svg에른스트 루프베리타스0
-파일:독일 국기.svg에르윈 바우어베리타스0
-파일:스위스 국기.svg피터 허트페라리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피에로 카리니페라리0
-파일:미국 국기.svg존 피치HWM0
-파일:벨기에 국기.svg샤를 드 토네이코페라리0
-파일:독일 국기.svg헬무트 글뢰클러쿠퍼0
† : 경기 중 사고로 사망한 드라이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4 00:41:22에 나무위키 포뮬러 1/1953시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F] A B C D E F G H 패스티스트 랩 달성으로 인한 1포인트 부여[H] A B C D E F G H 시트 공유로 포인트 절반 부여.[1] 이날, 이러한 선두 경쟁이 거의 레이스 내내 이루어졌다.[SF] A B 공동으로 패스티스트 랩을 달성하여 0.5점 부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