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포뮬러 1/1992시즌

덤프버전 :




1. 1992년 그랑프리
1.1. 1992년 라인업
1.2. 1992년 캘린더
2. 경기 결과
2.1. 1전 남아프리카 공화국 GP
2.2. 2전 멕시코 GP
2.3. 3전 브라질 GP
2.4. 4전 스페인 GP
2.5. 5전 산 마리노 GP
2.6. 6전 모나코 GP
2.7. 7전 캐나다 GP
2.8. 8전 프랑스 GP
2.9. 9전 영국 GP
2.10. 10전 독일 GP
2.11. 11전 헝가리 GP
2.12. 12전 벨기에 GP
2.13. 13전 이탈리아 GP
2.14. 14전 포르투갈 GP
2.15. 15전 일본 GP
2.16. 16전 호주 GP
3. 챔피언십 포인트 순위
3.1. 드라이버 포인트
3.2. 컨스트럭터 포인트


1. 1992년 그랑프리[편집]


1992년 포뮬러 원 시즌은 43번째 FIA 포뮬러 원 시즌이다. 이 시즌은 3월 1일 남아공 그랑프리를 시작으로 11월 8일 호주 그랑프리 까지 총 16경기로 치러졌다. 이 시즌은 굿이어가 타이어를 독점 공급하였다. 윌리엄스-르노가 팀의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우승을 거두었고, 나이젤 만셀이 드라이버 챔피언십 우승을 차지하였다. 리카르도 파트레세가 2위, 미하엘 슈마허가 3위를 차지했다.

1.1. 1992년 라인업[편집]


  • 시즌 개막일 기준.
  • 굵은 글씨는 소속을 옮긴 드라이버 또는 신인 드라이버

엔트리팀 로고팀 국적섀시
(파워유닛)
드라이버
번호국적이름
1파일:Honda Marlboro McLaren logo.png
혼다 말보로 맥라렌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MP4/6B[1]
(Honda RA122E 3.5 V12)
1파일:브라질 국기.svg아일톤 세나
2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게르하르트 베르거
2파일:ECC3FA80-D61C-4F17-80B9-5E46D2A729B7.png
티렐 레이싱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020B
(Ilmor 2175A 3.5 V10)
3파일:프랑스 국기.svg올리비에 그루야드
4파일:이탈리아 국기.svg안드레아 드 체사리스
3파일:Canon Williams logo.png
캐논 윌리엄스 팀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FW14B
(Renault RS3C 3.5 V10)
5파일:영국 국기.svg나이젤 만셀
6파일:이탈리아 국기.svg리카르도 파트레제
4파일:Brabham 1992 logo.png
모터 레이싱 디벨롭먼트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BT60B
(Judd GV 3.5 V10)
7파일:벨기에 국기.svg에릭 반 더 푸엘레
8파일:이탈리아 국기.svg지오반나 아마티
5파일:Footwork 1993 logo.webp
풋워크 무겐 혼다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FA13
(Mugen-Honda MF-351H 3.5 V10)
9파일:이탈리아 국기.svg미셸 알보레토
10파일:일본 국기.svg스즈키 아구리
6파일:Team Lotus logo.jpg
팀 로터스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102D
(Ford HBA5 3.5 V8)
11파일:핀란드 국기.svg미카 해키넨
12파일:영국 국기.svg조니 허버트
7파일:Fondmetal logo.webp
폰드메탈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GR01
(Ford HBA5 3.5 V8)
14파일:스위스 국기.svg안드레아 치에사
15파일:이탈리아 국기.svg가브리엘 타퀴니
8파일:March Engineering logo.png
마치 F1[2]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CG911B
(Ilmor 2175A 3.5 V10)
16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칼 벤드링어
17파일:프랑스 국기.svg폴 벨몬도
9파일:Camel Benetton logo.jpg
카멜 베네통 포드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B191B
(Ford HBA5 3.5 V8)
19파일:독일 국기.svg미하엘 슈마허
20파일:영국 국기.svg마틴 브런들
10파일:Dallara logo.png
스쿠데리아 이탈리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F192
(Ferrari 037 3.5 V12)
21파일:핀란드 국기.svgJJ 레토
22파일:이탈리아 국기.svg피에르루이지 마티니
11파일:Minardi 1997 logo.png
미나르디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M191B
(Lamborghini 3512 3.5 V12)
23파일:브라질 국기.svg크리스티안 피티팔디
24파일:이탈리아 국기.svg지안니 모비델리
12파일:Equipe Ligier logo.jpg
리지에 지탄 블론드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JS37
(Renault RS3B 3.5 V10)
25파일:벨기에 국기.svg티에리 보우트센
26파일:프랑스 국기.svg에릭 코마스
13파일:Scuderia Ferrari 1996 logo.png
스쿠데리아 페라리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F92A
(Ferrari 038 3.5 V12)
27파일:프랑스 국기.svg장 알레시
28파일:이탈리아 국기.svg이반 카펠리
14파일:Venturi 1984 logo.jpg
센트럴 파크 벤투리 라루세[3]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LC92
(Lamborghini 3512 3.5 V12)
29파일:프랑스 국기.svg버트란드 가슈
30파일:일본 국기.svg카타야마 우쿄
15파일:Jordan 1994 logo.jpg
사솔 조던 야마하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192
(Yamaha OX99 3.5 V12)
32파일:이탈리아 국기.svg스테파노 모데나
33파일:브라질 국기.svg마우리시오 구겔민
16파일:Andrea Moda logo.png
안드레아 모다 포뮬러[4]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C4B
(Judd GV 3.5 V10)
34파일:이탈리아 국기.svg알렉스 카피
35파일:이탈리아 국기.svg엔리코 베르타기아


1.2. 1992년 캘린더[편집]


경기일그랑프리(도시)서킷드라이버 우승컨스트럭터 우승
13/1남아공(요하네스버그)칼라미 서킷나이젤 만셀윌리엄스-르노
23/22멕시코(멕시코 시티)에르마노스 로드리게스 자동차 경주장나이젤 만셀윌리엄스-르노
34/5브라질(상 파울루)호세 카를로스 파시 서킷나이젤 만셀윌리엄스-르노
45/3스페인(카탈루냐)카탈루냐 서킷나이젤 만셀윌리엄스-르노
55/17산 마리노(이몰라)엔초 에 디노 페라리 자동차 경주장나이젤 만셀윌리엄스-르노
65/31모나코(몬테카를로)모나코 서킷아일톤 세나맥라렌-혼다
76/14캐나다(몬트리올)질 빌르너브 서킷게르하르트 베르거맥라렌-혼다
87/5프랑스(마그니-쿠르)느베르 마그니-쿠르 서킷나이젤 만셀윌리엄스-르노
97/12영국(실버스톤)실버스톤 서킷나이젤 만셀윌리엄스-르노
107/26독일(호켄하임)호켄하임링나이젤 만셀윌리엄스-르노
118/16헝가리(부다페스트)헝가로링아일톤 세나맥라렌-혼다
128/30벨기에(스파-프랑코샹)스파-프랑코샹 서킷미하엘 슈마허베네통-포드
139/13이탈리아(몬차)국립 몬차 자동차 경주장아일톤 세나맥라렌-혼다
149/27포르투갈(에스토릴)에스토릴 자동차 경주장나이젤 만셀윌리엄스-르노
1510/25일본(스즈카)스즈카 서킷리카르도 파트레제윌리엄스-르노
1611/8호주(애들레이드)애들레이드 시가지 서킷게르하르트 베르거맥라렌-혼다


2. 경기 결과[편집]



2.1. 1전 남아프리카 공화국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나이젤 만셀 (윌리엄스)1:15.486우승나이젤 만셀 (윌리엄스)1:36:45.320
P2아일톤 세나 (맥라렌)1:16.227 (+0.741s)2위리카르도 파트레제 (윌리엄스)+ 24.360s
P3게르하르트 베르거 (맥라렌)1:16.672 (+1.186s)3위아일톤 세나 (맥라렌)+ 34.675s

패스티스트랩나이젤 만셀 (윌리엄스)1:17.578 (Lap 70)


2.2. 2전 멕시코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나이젤 만셀 (윌리엄스)1:16.346우승나이젤 만셀 (윌리엄스)1:31:53.587
P2리카르도 파트레제 (윌리엄스)1:16.362 (+0.016s)2위리카르도 파트레제 (윌리엄스)+ 12.971s
P3미하엘 슈마허 (베네통)1:17.292 (+0.946s)3위미하엘 슈마허 (베네통)+ 21.429s

패스티스트랩아일톤 세나 (맥라렌)1:17.711 (Lap 60)

미하엘 슈마허가 F1 커리어 첫 포디움에 올랐다.

2.3. 3전 브라질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나이젤 만셀 (윌리엄스)1:15.703우승나이젤 만셀 (윌리엄스)1:36:51.856
P2리카르도 파트레제 (윌리엄스)1:16.894 (+1.191s)2위리카르도 파트레제 (윌리엄스)+ 29.330s
P3아일톤 세나 (맥라렌)1:17.902 (+2.199s)3위미하엘 슈마허 (베네통)+ 1 Lap

패스티스트랩리카르도 파트레제 (윌리엄스)1:19.490 (Lap 34)


2.4. 4전 스페인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나이젤 만셀 (윌리엄스)1:20.190우승나이젤 만셀 (윌리엄스)1:56:10.674
P2미하엘 슈마허 (베네통)1:21.195 (+1.005s)2위미하엘 슈마허 (베네통)+ 23.914s
P3아일톤 세나 (맥라렌)1:21.209 (+1.019s)3위장 알레시 (페라리)+ 26.462s

패스티스트랩나이젤 만셀 (윌리엄스)1:42.503 (Lap 10)


2.5. 5전 산 마리노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나이젤 만셀 (윌리엄스)1:21.842우승나이젤 만셀 (윌리엄스)1:28:40.927
P2리카르도 파트레제 (윌리엄스)1:22.895 (+1.053s)2위리카르도 파트레제 (윌리엄스)+ 9.451s
P3아일톤 세나 (맥라렌)1:23.086 (+1.244s)3위아일톤 세나 (맥라렌)+ 48.984s

패스티스트랩리카르도 파트레제 (윌리엄스)1:26.100 (Lap 60)


2.6. 6전 모나코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나이젤 만셀 (윌리엄스)1:19.495우승아일톤 세나 (맥라렌)1:50:59.372
P2리카르도 파트레제 (윌리엄스)1:20.368 (+0.873s)2위나이젤 만셀 (윌리엄스)+ 0.215s
P3아일톤 세나 (맥라렌)1:20.608 (+1.113s)3위리카르도 파트레제 (윌리엄스)+ 31.843s

패스티스트랩나이젤 만셀 (윌리엄스)1:21.598 (Lap 74)

모나코의 황제, 최강 만셀을 상대로 승리하다

2.7. 7전 캐나다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아일톤 세나 (맥라렌)1:19.775우승게르하르트 베르거 (맥라렌)1:37:08.299
P2리카르도 파트레제 (윌리엄스)1:19.872 (+0.097s)2위미하엘 슈마허 (베네통)+ 12.401s
P3나이젤 만셀 (윌리엄스)1:19.948 (+0.173s)3위장 알레시 (페라리)+ 1:07.327s

패스티스트랩게르하르트 베르거 (맥라렌)1:22.325 (Lap 61)


2.8. 8전 프랑스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나이젤 만셀 (윌리엄스)1:13.864우승나이젤 만셀 (윌리엄스)1:38:08.459
P2리카르도 파트레제 (윌리엄스)1:14.332 (+0.468s)2위리카르도 파트레제 (윌리엄스)+ 46.447s
P3아일톤 세나 (맥라렌)1:15.199 (+1.335s)3위마틴 브런들 (베네통)+ 1:12.579s

패스티스트랩나이젤 만셀 (윌리엄스)1:17.070 (Lap 37)


2.9. 9전 영국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나이젤 만셀 (윌리엄스)1:18.965우승나이젤 만셀 (윌리엄스)1:25:42.991
P2리카르도 파트레제 (윌리엄스)1:20.884 (+1.919s)2위리카르도 파트레제 (윌리엄스)+ 39.094s
P3아일톤 세나 (맥라렌)1:21.706 (+2.861s)3위마틴 브런들 (베네통)+ 48.395s

패스티스트랩나이젤 만셀 (윌리엄스)1:22.539 (Lap 57)


2.10. 10전 독일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나이젤 만셀 (윌리엄스)1:37.960우승나이젤 만셀 (윌리엄스)1:18:22.032
P2리카르도 파트레제 (윌리엄스)1:38.310 (+0.350s)2위아일톤 세나 (맥라렌)+ 4.500s
P3아일톤 세나 (맥라렌)1:39.106 (+1.146s)3위미하엘 슈마허 (베네통)+ 34.462s

패스티스트랩리카르도 파트레제 (윌리엄스)1:41.591 (Lap 36)


2.11. 11전 헝가리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리카르도 파트레제 (윌리엄스)1:15.476우승아일톤 세나 (맥라렌)1:46:19.216
P2나이젤 만셀 (윌리엄스)1:15.643 (+0.167s)2위나이젤 만셀 (윌리엄스)+ 40.139s
P3아일톤 세나 (맥라렌)1:16.267 (+0.791s)3위게르하르트 베르거 (맥라렌)+ 50.782s

패스티스트랩나이젤 만셀 (윌리엄스)1:18.308 (Lap 63)

나이젤 만셀이 남은 경기들 결과와 상관 없이, 데뷔 12년 만에 첫 월드 챔피언 타이틀 획득을 확정지었다. 39세 8일의 나이로 챔피언에 올라 역대 5번째 고령의 나이로 챔피언에 오른 선수가 되었다.


2.12. 12전 벨기에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나이젤 만셀 (윌리엄스)1:50.545우승미하엘 슈마허 (베네통)1:36:10.721
P2아일톤 세나 (맥라렌)1:52.743 (+2.198s)2위나이젤 만셀 (윌리엄스)+ 36.595s
P3미하엘 슈마허 (베네통)1:53.221 (+2.676s)3위리카르도 파트레제 (윌리엄스)+ 43.897s

패스티스트랩미하엘 슈마허 (베네통)1:53.791 (Lap 39)

풀타임 첫 시즌, 첫 우승을 맛보다

미하엘 슈마허가 F1 데뷔 첫 우승을 차지하였다. 3위에서 출발한 슈마허는 30랩까지 무서운 페이스의 만셀과 세나 뒤인 3위로 달리고 있었다. 이후 트랙을 벗어나는 실수로 그의 웻타이어는 성능을 잃었고, 베네통 팀은 그를 피트로 불러들여 드라이 타이어로 교체시킨다.

그 결과는 대성공이었다. 3랩 뒤에 만셀 역시 드라이 타이어로 교체하였으나, 이미 슈마허의 뒤로 트랙에 복귀하였고, 레이스 후반부에는 엔진 문제로 더 이상 슈마허에게 접근할 수 없었다. 그 결과는 슈마허의 데뷔 첫 우승이었다.

2.13. 13전 이탈리아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나이젤 만셀 (윌리엄스)1:22.221우승아일톤 세나 (맥라렌)1:18:15.349
P2아일톤 세나 (맥라렌)1:22.822 (+0.601s)2위마틴 브런들 (베네통)+ 17.050s
P3장 알레시 (페라리)1:22.976 (+0.755s)3위미하엘 슈마허 (베네통)+ 24.373s

패스티스트랩나이젤 만셀 (윌리엄스)1:26.119 (Lap 39)


2.14. 14전 포르투갈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나이젤 만셀 (윌리엄스)1:13.041우승나이젤 만셀 (윌리엄스)1:34:46.659
P2리카르도 파트레제 (윌리엄스)1:13.672 (+0.631s)2위게르하르트 베르거 (맥라렌)+ 37.533s
P3아일톤 세나 (맥라렌)1:14.258 (+1.217s)3위아일톤 세나 (맥라렌)+ 1 Lap

패스티스트랩아일톤 세나 (맥라렌)1:16.272 (Lap 66)


2.15. 15전 일본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나이젤 만셀 (윌리엄스)1:37.360우승리카르도 파트레제 (윌리엄스)1:33:09.553
P2리카르도 파트레제 (윌리엄스)1:38.219 (+0.859s)2위게르하르트 베르거 (맥라렌)+ 13.729s
P3아일톤 세나 (맥라렌)1:38.375 (+1.015s)3위마틴 브런들 (베네통)+ 1:15.503s

패스티스트랩나이젤 만셀 (윌리엄스)1:40.646 (Lap 44)

리카르도 파트레제가 본인의 F1 마지막 우승을 이 경기에서 기록하였다.

2.16. 16전 호주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나이젤 만셀 (윌리엄스)1:13.732우승게르하르트 베르거 (맥라렌)1:46:54.786
P2아일톤 세나 (맥라렌)1:14.202 (+0.470s)2위미하엘 슈마허 (베네통)+ 0.741s
P3리카르도 파트레제 (윌리엄스)1:14.370 (+0.638s)3위마틴 브런들 (베네통)+ 54.156s

패스티스트랩미하엘 슈마허 (베네통)1:16.078 (Lap 68)

만셀과 세나의 충돌

만셀과 세나의 배틀의 일품일 뻔 했던 배틀이 하이라이트였다. 그러나 18랩 째에 세나가 브레이킹 미스로 만셀의 뒤를 쳐버리며 이 둘은 동시에 리타이어하고 말았다. 그 덕에 레이스 우승은 세나의 팀메이트 게르하르트 베르거가 차지하였다.

3. 챔피언십 포인트 순위[편집]



3.1. 드라이버 포인트[편집]


파일:Nigel Mansell 1992 champion.jpg
1992 포뮬러 1 월드 드라이버 챔피언 - 나이젤 만셀

WORLD DRIVER CHAMPIONSHIP
1나이젤 만셀파일:영국 국기.svg윌리엄스108WDC
2리카르도 파트레제파일:이탈리아 국기.svg윌리엄스56
3미하엘 슈마허파일:독일 국기.svg베네통53
4아일톤 세나파일:브라질 국기.svg맥라렌50
5게르하르트 베르거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맥라렌49
6마틴 브런들파일:영국 국기.svg베네통38
7장 알레시파일:프랑스 국기.svg페라리18
8미카 해키넨파일:핀란드 국기.svg로터스11
9안드레아 드 체사리스파일:이탈리아 국기.svg티렐8
10미셸 알보레토파일:이탈리아 국기.svg풋워크6
11에릭 코마스파일:프랑스 국기.svg리지에4
12칼 벤드링어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마치31R~14R 출전
13이반 카펠리파일:이탈리아 국기.svg페라리31R~14R 출전[5]
14티에리 보우트센파일:벨기에 국기.svg리지에2
15조니 허버트파일:영국 국기.svg로터스2
16피에르루이지 마티니파일:이탈리아 국기.svg달라라2
17스테파노 모데나파일:이탈리아 국기.svg조던1
18크리스티안 피티팔디파일:브라질 국기.svg미나르디1부상으로 9R~11R 결장
19버트란드 가슈파일:프랑스 국기.svg벤투리1
-스즈키 아구리파일:일본 국기.svg풋워크0
-JJ 레토파일:핀란드 국기.svg달라라0
-지안니 모비델리파일:이탈리아 국기.svg미나르디0
-마우리시오 구겔민파일:브라질 국기.svg조던0
-올리비에 그루야드파일:프랑스 국기.svg티렐0
-카타야마 우쿄파일:일본 국기.svg벤투리0
-폴 벨몬도파일:프랑스 국기.svg마치01R~11R 출전
-에릭 반 더 푸엘레파일:벨기에 국기.svg폰드메탈0치에사 대타로 11R~13R 출전
-에마누엘 나스페티파일:이탈리아 국기.svg마치0벨몬도 대타로 12R~16R 출전
-니콜라 라리니파일:이탈리아 국기.svg페라리0카펠리 대타로 15R~16R 출전
-데이먼 힐파일:영국 국기.svg브라밤0아마티 대타로 4R~11R 출전[6]
-얀 라머스파일:네덜란드 국기.svg마치0웬드링어 대타로 15R~16R 출전
-가브리엘 타퀴니파일:이탈리아 국기.svg폰드메탈01R~13R 출전[7]
-안드레아 치에사파일:스위스 국기.svg폰드메탈01R~10R 출전[8][9]
-로베르토 모레노파일:브라질 국기.svg안드레아 모다0카피 대타로 3R~7R, 9R~12R 출전[10]
-알레산드로 자나르디파일:이탈리아 국기.svg미나르디0부상으로 결장한 피티팔디 대신 9R~11R 출전
-지오반나 아마티파일:이탈리아 국기.svg브라밤01R~3R 출전[11]
-페리 매카시파일:영국 국기.svg안드레아 모다0버타지아 대타로 4R~6R, 9R~12R 출전
-알렉스 카피파일:이탈리아 국기.svg안드레아 모다01R~2R 출전[12]
-엔리코 베르타기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안드레아 모다01R~2R 출전[13]


3.2. 컨스트럭터 포인트[편집]


파일:Williams f1 1992.jpg
1992 포뮬러 1 월드 컨스트럭터 챔피언 - 캐논 윌리엄스 팀

WORLD CONSTRUCTOR CHAMPIONSHIP
1윌리엄스 - 르노파일:영국 국기.svg164WCC
2맥라렌 - 혼다파일:영국 국기.svg99
3카멜 베네통 포드파일:영국 국기.svg91
4페라리파일:이탈리아 국기.svg21
5로터스 - 포드파일:영국 국기.svg13
6티렐 - 일모어파일:영국 국기.svg8
7풋워크 - 무겐 - 혼다파일:영국 국기.svg6
8리지에 - 르노파일:프랑스 국기.svg6
9마치 - 일모어파일:영국 국기.svg3
10달라라 - 페라리파일:이탈리아 국기.svg2
11조던 - 야마하파일:아일랜드 국기.svg1
12미나르디 - 람보르기니파일:이탈리아 국기.svg1
13벤투리 - 람보르기니파일:프랑스 국기.svg1
-폰드메탈 - 포드파일:이탈리아 국기.svg01R~13R 출전[14]
-브라밤 - 저드파일:영국 국기.svg01R~11R 출전[15]
-안드레아 모다 - 저드파일:이탈리아 국기.svg01R~7R, 9R~12R 출전[16][17]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4 01:48:08에 나무위키 포뮬러 1/1992시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3라운드 브라질 GP부터는 MP4/7A로 변경.[2] '레이튼 하우스'에서 '마치 F1'으로 팀 네임을 바꿔 참전한다.[3] 프랑스의 자동차 회사 '벤투리'가 F1에 라루세 섀시로 참전한다.[4] 이번 시즌 신생팀으로 출전한다.[5] 이후 성적 부진으로 방출되었다.[6] 이후 소속팀이 파산으로 철수함.[7] 이후 소속팀이 F1에서 철수.[8] 성적 부진으로 방출되었다.[9] 10경기 중 107% 기록을 통과하여 본 레이스에 출전한 경기가 3경기뿐이었다.[10] 이후 소속팀이 퇴출됨.[11] 이후 성적 부진으로 방출됨[12] 이후 소속팀으로부터 방출됨.[13] 이후 소속팀으로부터 방출됨.[14] 이후 F1에서 철수[15] 이후 파산으로 F1에서 철수[16] 성적 부진으로 FIA로부터 퇴출당하였다.[17] 얼마나 심각한 수준이었는지 기록으로 보자면, 안드레아 모다 팀이 출전한 12경기에서 본 레이스에 출전한 경기는 단 1경기, 그것도 로베르토 모레노 한 명만이 출전한 것이다. 나머지 기록들은 107% 기록을 초과하여 예선 탈락한 기록들 뿐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