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포뮬러 1/1964시즌

덤프버전 :

분류




1. 1964년 그랑프리
2. 시즌 전 이적시장 & 소식
3. 1964시즌 라인업
4. 1964시즌 캘린더
5. 시즌 상세
5.1. 1R: 1964 모나코 그랑프리 (모나코 GP)
5.1.1. 퀄리파잉
5.1.2. 레이스
5.2. 2R: 1964 네덜란드 그랑프리 (네덜란드 GP)
5.3. 3R: 1964 벨기에 그랑프리 (벨기에 GP)
5.4. 4R: 1964 프랑스 그랑프리 (프랑스 GP)
5.5. 5R: 1964 영국 그랑프리 (영국 GP)
5.6. 6R: 1964 독일 그랑프리 (독일 GP)
5.7. 7R: 1964 오스트리아 그랑프리 (오스트리아 GP)
5.8. 8R: 1964 이탈리아 그랑프리 (이탈리아 GP)
5.9. 9R: 1964 미국 그랑프리 (미국 GP)
5.10. 10R: 1964 멕시코 그랑프리 (멕시코 GP)
6. 챔피언십 포인트 순위
6.1. 드라이버 포인트
6.2. 컨스트럭터 포인트



1. 1964년 그랑프리[편집]


1964년 포뮬러 원 시즌은 15번째 FIA 포뮬러 원 시즌이다. 이 시즌은 5월 10일 모나코 그랑프리를 시작으로 10월 25일 멕시코 그랑프리 까지 총 10경기로 치러졌다. 이 시즌은 굳이어에게서 타이어를 공급받은 데링턴프란시스 레이싱 팀 1곳을 제외하고 모두 던롭에서 독점 공급하였다. 페라리가 팀의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우승을 거두었고, 존 서티스가 드라이버 챔피언십 우승을 차지하였다. 그레이엄 힐이 2위, 짐 클락이 3위를 차지했다.


2. 시즌 전 이적시장 & 소식[편집]


1964 시즌 주요 이적 선수
원소속팀 국적선수이적한 팀
파일:ATS 1963 로고.png파일:미국 국기.svg필 힐파일:쿠퍼 F1 로고.pn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지안카를로 바게티스쿠데리아 센트로 서드
파일:Team Lotus logo 1961.png파일:영국 국기.svg트레버 테일러파일:BRP F1 로고.png
파일:쿠퍼 F1 로고.png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토니 맥스스쿠데리아 센트로 서드
1964 시즌 주요 신인 선수 영입
국적 선수 소속팀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요헨 린트R.R.C. 워커 레이싱 팀
주요 계약 만료·해지 선수
기존 소속팀 국적 선수
파일:BRP F1 로고.png파일:미국 국기.svg짐 할

지난 시즌에 참가했던 주요 드라이버들의 이적은 그리 많이 일어나지 않았다. ATS 팀이 지난 시즌 5경기만을 레이스 엔트리하였으나 F1에서 철수하여 데링턴 프란시스 컨스트럭터에 인수되었고, 자연스레 ATS 팀 소속이던 필 힐과 지안카를로 바게티는 이적을 추진하였다. 힐은 1959, 1960 시즌 컨스트럭터 챔피언 팀인 쿠퍼 카 컴퍼니로 이적하여 상위권으로의 재도약을 추진하였다. 자연스레, 쿠퍼 소속이던 토니 맥스는 부진을 이유로 방출되었고, 결국 스쿠데리아 센트로 서드 팀으로 이적하게 되었다. 지안카를로 바게티 역시 센트로 서드로 이적하며 중위권으로의 재도약을 꿈꾸게 되었다.

로터스에도 변동이 있었는데, 지난 시즌 압도적인 활약을 보인 짐 클락의 팀메이트인 트레버 테일러는 계약이 종료되며 스쿠데리아 센트로 서드로 이적하였다. 이로써 센트로 서드는 트레버 테일러, 지안카를로 바게티, 토니 맥스라는 걸출한 드라이버 라인업을 구성함으로써 중위권의 강호로의 부상을 바라보고자 하였다.

한편 신인 선수로 7R 한정 출전하게 되었지만, 오스트리아 출신의 요헨 린트가 워커 레이싱 팀 소속으로 출전하게 됨에 따라 F1에 데뷔하게 되었다. 반면, BRP 소속이던 미국 출신의 짐 할은 계약이 종료되며 F1을 떠나게 되었다.

3. 1964시즌 라인업[편집]


#컨스트럭터팀 국적섀시
(엔진)
타이어드라이버출전 라운드
국적이름
1파일:Team Lotus logo 1961.png
팀 로터스
로터스-클라이맥스파일:영국 국기.svg25
33
(Climax FWMV 1.5 V8)
파일:Dunlop classic logo.jpg파일:영국 국기.svg짐 클락All
파일:영국 국기.svg피터 아룬델1-4
파일:영국 국기.svg마이크 스펜스5-10
파일:독일 국기.svg게르하르트 미터6
파일:미국 국기.svg월트 한스겐9
파일:멕시코 국기.svg모이세스 솔라나10
2파일:BritishRacingMotorsLogo.png
오언 레이싱 기구
BRM파일:영국 국기.svgP261
P67
(BRM P56 1.5 V8)
파일:Dunlop classic logo.jpg파일:미국 국기.svg리치 긴서All
파일:영국 국기.svg그레이엄 힐
파일:영국 국기.svg리차드 앳우드5
3파일:브라밤 F1 1962 로고.png
브라밤 레이싱 기구
브라밤-클라이맥스파일:영국 국기.svgBT7
BT11
(Climax FWMV 1.5 V8)
파일:Dunlop classic logo.jpg파일:호주 국기.svg잭 브라밤All
파일:미국 국기.svg댄 거니
4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스쿠데리아 페라리 SpA SEFAC

북아메리카 레이싱 팀
페라리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156
158
1512
(Ferrari 178 1.5 V6)
(Ferrari 205B 1.5 V8)
(Ferrari 207 1.5 F12)
파일:Dunlop classic logo.jpg파일:영국 국기.svg존 서티스All
파일:이탈리아 국기.svg로렌초 반디니
파일:이탈리아 국기.svg루도비코 스카피오티8
파일:멕시코 국기.svg페드로 로드리게스10
5파일:쿠퍼 F1 로고.png
쿠퍼 카 컴퍼니
쿠퍼-클라이맥스파일:영국 국기.svgT73
T66
(Climax FWMV 1.5 V8)
파일:Dunlop classic logo.jpg파일:뉴질랜드 국기.svg브루스 맥라렌All
파일:미국 국기.svg필 힐1-7, 9-10
파일:남로디지아 국기.svg존 러브8
6파일:BRP F1 로고.png
브리티시 레이싱 파트너십
로터스-BRM파일:영국 국기.svg24
(BRM P56 1.5 V8)
파일:Dunlop classic logo.jpg파일:영국 국기.svg이네스 아일랜드1
파일:영국 국기.svg트레버 테일러5
BRP-BRMMk 1
Mk 2
(BRM P56 1.5 V8)
파일:영국 국기.svg이네스 아일랜드3-5, 7-10
파일:영국 국기.svg트레버 테일러1, 3-4, 7-10
7파일:에큐리에 마르스베르겐 로고.jpg
에큐리에 마르스베르겐
포르쉐파일:네덜란드 국기.svg718
(Porsche 547/3 1.5 F4)
파일:Dunlop classic logo.jpg파일:네덜란드 국기.svg카렐 고딘 드 보포르2, 6
8시페르트 레이싱 팀로터스-BRM파일:스위스 국기.svg24
(BRM P56 1.5 V8)
파일:Dunlop classic logo.jpg파일:스위스 국기.svg조 시페르트1
브라밤-BRMBT11
(BRM P56 1.5 V8)
2-8
9레브손 레이싱로터스-BRM파일:미국 국기.svg24
(BRM P56 1.5 V8)
파일:Dunlop classic logo.jpg파일:미국 국기.svg피터 레브손1, 6, 8
10베르나르 콜롬로터스-클라이맥스파일:프랑스 국기.svg24
(Climax FWMV 1.5 V8)
파일:Dunlop classic logo.jpg파일:프랑스 국기.svg베르나르 콜롬1
11모리스 트린티냥BRM파일:프랑스 국기.svgP57
(BRM P56 1.5 V8)
파일:Dunlop classic logo.jpg파일:프랑스 국기.svg모리스 트린티냥1, 4-6, 8
12DW 레이싱 엔터프라이시스브라밤-클라이맥스파일:영국 국기.svgBT11
(Climax FWMV 1.5 V8)
파일:Dunlop classic logo.jpg파일:영국 국기.svg밥 엔더슨1-8
13레그 파넬 레이싱로터스-클라이맥스파일:영국 국기.svg25
(Climax FWMV 1.5 V8)
파일:Dunlop classic logo.jpg파일:뉴질랜드 국기.svg크리스 에이먼7
로터스-BRM25
24
(BRM P56 1.5 V8)
1-6, 9-10
파일:영국 국기.svg마이크 헤일우드1-2, 4-10
파일:미국 국기.svg피터 레브손3-5
14R.R.C. 워커 레이싱 팀쿠퍼-클라이맥스파일:영국 국기.svgT66
(Climax FWMV 1.5 V8)
파일:Dunlop classic logo.jpg파일:독일 국기.svg에드가 바스6
파일:스웨덴 국기.svg요아킴 보니에1
브라밤-클라이맥스BT7
(Climax FWMV 1.5 V8)
7-10
브라밤-BRMBT11
(BRM P56 1.5 V8)
2-3, 5-6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요헨 린트7
파일:이탈리아 국기.svg게키8
파일:스위스 국기.svg조 시페르트9-10
파일:미국 국기.svg햅 샤프
15스쿠데리아 센트로 서드BRM파일:이탈리아 국기.svgP57
(BRM P56 1.5 V8)
파일:Dunlop classic logo.jpg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토니 맥스2-3, 5-7
파일:이탈리아 국기.svg지안카를로 바게티2-3, 5-8
16에퀴페 시로코 벨즈시로코-클라이맥스파일:벨기에 국기.svgSP
(Climax FWMV 1.5 V8)
파일:Dunlop classic logo.jpg파일:벨기에 국기.svg안드레 필레3, 6
17밥 제라드 레이싱쿠퍼-포드파일:영국 국기.svgT71/73
(Ford 109E 1.5 L4)
파일:Dunlop classic logo.jpg파일:영국 국기.svg존 테일러5
18이안 라비 레이싱브라밤-BRM파일:영국 국기.svgBT3
(BRM P56 1.5 V8)
파일:Dunlop classic logo.jpg파일:영국 국기.svg이안 라비5, 8
19존 윌먼트 오토모빌스브라밤-포드파일:영국 국기.svgBT10
(Ford 109E 1.5 L4)
파일:Dunlop classic logo.jpg파일:호주 국기.svg프랭크 가드너5
20파일:혼다 1961 로고.png
혼다 R & D 컴퍼니
혼다파일:일본 국기.svgRA271
(Honda RA271E 1.5 V12)
파일:Dunlop classic logo.jpg파일:미국 국기.svg로니 벅넘6, 8-9
21데링턴프란시스 레이싱 팀데링턴프란시스-ATS파일:영국 국기.svgDF
(ATS 100 1.5 V8)
파일:굿이어 1942 로고.png파일:포르투갈 국기.svg마리우 드 아라우즈 카브랄8
22파브르 어뱅쿠퍼-클라이맥스파일:스위스 국기.svgT60
(Climax FWMV 1.5 V8)
파일:Dunlop classic logo.jpg파일:스위스 국기.svg장클라우드 루다스8

4. 1964시즌 캘린더[편집]


#경기 일정그랑프리(도시)서킷드라이버 우승컨스트럭터 우승비고
15/10모나코(몬테카를로)모나코 서킷그레이엄 힐BRM
25/24네덜란드(잔드보르트)파크 잔드보르트 서킷짐 클락로터스-클라이막스
36/14벨기에(스파-프랑코샹)스파-프랑코샹 서킷짐 클락로터스-클라이막스
46/28프랑스(그랑-쿠론)루앙-레제사르트댄 거니브라밤-클라이막스
57/11영국(켄트)브랜즈 해치 서킷짐 클락로터스-클라이막스
68/2독일(뉘르부르크)뉘르부르크링존 서티스페라리
78/23오스트리아(첼트베크)첼트베크 비행장 트랙로렌초 반디니페라리
89/6이탈리아(몬차)국립 몬차 자동차 경주장존 서티스페라리
910/4미국(뉴욕)왓킨스 글렌 인터내셔널그레이엄 힐BRM
1010/25멕시코(멕시코 시티)에르마노스 로드리게스 자동차 경주장댄 거니브라밤-클라이막스


5. 시즌 상세[편집]



5.1. 1R: 1964 모나코 그랑프리 (모나코 GP)[편집]



5.1.1. 퀄리파잉[편집]


퀄리파잉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기록출발 그리드
P1
파일:Team Lotus logo 1961.png
짐 클락 (로터스-클라이맥스)1:34.01번째
P2
파일:브라밤 F1 1962 로고.png
잭 브라밤 (브라밤-클라이맥스)+ 0.1s2번째
P3
파일:BritishRacingMotorsLogo.png
그레이엄 힐 (BRM)+ 0.5s3번째
P4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존 서티스 (페라리)+ 0.5s4번째
P5
파일:브라밤 F1 1962 로고.png
댄 거니 (브라밤-클라이맥스)+ 0.7s5번째
P6
파일:Team Lotus logo 1961.png
피터 아룬델 (로터스-클라이맥스)+ 1.5s6번째


5.1.2. 레이스[편집]



5.2. 2R: 1964 네덜란드 그랑프리 (네덜란드 GP)[편집]



5.3. 3R: 1964 벨기에 그랑프리 (벨기에 GP)[편집]



5.4. 4R: 1964 프랑스 그랑프리 (프랑스 GP)[편집]



5.5. 5R: 1964 영국 그랑프리 (영국 GP)[편집]



5.6. 6R: 1964 독일 그랑프리 (독일 GP)[편집]



5.7. 7R: 1964 오스트리아 그랑프리 (오스트리아 GP)[편집]



5.8. 8R: 1964 이탈리아 그랑프리 (이탈리아 GP)[편집]



5.9. 9R: 1964 미국 그랑프리 (미국 GP)[편집]



5.10. 10R: 1964 멕시코 그랑프리 (멕시코 GP)[편집]



6. 챔피언십 포인트 순위[편집]



6.1. 드라이버 포인트[편집]


파일:John Surtees 1964 champion.jpg
1964 포뮬러 1 월드 드라이버 챔피언 - 존 서티스

WORLD DRIVER CHAMPIONSHIP
1파일:영국 국기.svg존 서티스페라리40WDC - V1
2파일:영국 국기.svg그레이엄 힐BRM39
3파일:영국 국기.svg짐 클락로터스32
4파일:이탈리아 국기.svg로렌초 반디니페라리23
=파일:미국 국기.svg리치 긴서BRM23
6파일:미국 국기.svg댄 거니브라밤19
7파일:뉴질랜드 국기.svg브루스 맥라렌쿠퍼13
8파일:호주 국기.svg잭 브라밤브라밤11
=파일:영국 국기.svg피터 아룬델로터스11
10파일:스위스 국기.svg조 시페르트로터스,브라밤7
11파일:영국 국기.svg밥 앤더슨브라밤5
12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토니 맥스BRM4
=파일:영국 국기.svg마이크 스펜스로터스4
=파일:영국 국기.svg이네스 아일랜드로터스,BRP4
15파일:스웨덴 국기.svg요아킴 보니에쿠퍼,브라밤3
16파일:뉴질랜드 국기.svg크리스 에이먼로터스2
=파일:프랑스 국기.svg모리스 트린티냥BRM2
=파일:미국 국기.svg월트 한스겐로터스2
19파일:영국 국기.svg마이크 헤일우드로터스1
=파일:미국 국기.svg필 힐쿠퍼1
=파일:영국 국기.svg트레버 테일러BRP,로터스1
=파일:멕시코 국기.svg페드로 로드리게스페라리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지안카를로 바게티BRM0
-파일:독일 국기.svg게르하르트 미터로터스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루도비코 스카피오티페라리0
-파일:멕시코 국기.svg모이세스 솔라나로터스0
-파일:미국 국기.svg피터 레브슨로터스0
-파일:미국 국기.svg로니 벅넘혼다0
-파일:미국 국기.svg햅 샤프브라밤0
-파일:영국 국기.svg존 테일러쿠퍼0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카렐 고딘 드 보포르포르쉐0[1]
-파일:벨기에 국기.svg안드레 필렛시로코0
-파일:영국 국기.svg이안 라비브라밤0
-파일:호주 국기.svg프랭크 가드너브라밤0
-파일:독일 국기.svg에드가 바스쿠퍼0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요헨 린트브라밤0
-파일:포르투갈 국기.svg마리우
드 아라우주 카브랄
데링턴-프란시스0
-파일:영국 국기.svg리차드 앳우드BRM0
-파일:스위스 국기.svg장 클라우데 루다스쿠퍼0
-파일:프랑스 국기.svg베르나르 콜롬로터스0
-파일:남로디지아 국기.svg존 러브쿠퍼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게키[2]브라밤0
† : 경기 중 사고로 사망한 드라이버

6.2. 컨스트럭터 포인트[편집]


파일:Ferrari F1 1964.jpg
1964 포뮬러 1 월드 컨스트럭터 챔피언 - 스쿠데리아 페라리 SpA SEFAC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4 01:45:20에 나무위키 포뮬러 1/1964시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6R 독일 GP 연습 주행 도중, 차량의 컨트롤을 잃고 트랙을 이탈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이 과정에서 보포르는 튕겨져 나오다 머리와 가슴, 다리에 심각한 부상을 입었고, 급히 병원으로 후송되었다. 사고 당일까지 의식이 있었기에 익일에 대병원으로 후송하였으나, 안타깝게도 사망하였다.[2] 본명은 지아코모 루소(Giacomo Russ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