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덤프버전 :

일본의 주요 선거
[ 펼치기 · 접기 ]

종류지난 선거다음 선거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26회
2022년 7월 10일
27회
2025년 7월 28일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 9회 · 10회 · 11회 · 12회 · 13회 · 14회 · 15회 · 16회 · 17회 · 18회 · 19회 · 20회 · 21회 · 22회 · 23회 · 24회 · 25회 · 26회 · 27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49회
2021년 10월 31일
50회
2025년 이전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 9회 · 10회 · 11회 · 12회 · 13회 · 14회 · 15회 · 16회 · 17회 · 18회 · 19회 · 20회 · 21회 · 22회 · 23회 · 24회 · 25회 · 26회 · 27회 · 28회 · 29회 · 30회 · 31회 · 32회 · 33회 · 34회 · 35회 · 36회 · 37회 · 38회 · 39회 · 40회 · 41회 · 42회 · 43회 · 44회 · 45회 · 46회 · 47회 · 48회 · 49회 · 50회
국회의원 보궐선거2023년 하반기
2023년 10월 22일
2024년 상반기
2024년 4월 28일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통일지방선거20회
2023년 4월 9일23일
21회
2027년 4월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1회·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 9회 · 10회 · 11회 · 12회 · 13회 · 14회 · 15회 · 16회 · 17회 · 18회 · 19회 · 20회
도쿄도지사 선거2020년 도쿄도지사 선거
2020년 7월 5일
2024년 도쿄도지사 선거
2024년 7월 7일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일본 제43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第43回衆議院総選挙
(マニフェスト解散)
2000년 6월 25일
42회 중원선
(밀레니엄 총선)
2003년 11월 9일
43회 중원선
(매니페스토 총선)
2005년 9월 11일
44회 중원선
(우정 민영화 총선)
||

1. 개요
2. 선거 전
3. 선거 결과
3.1. 소선거구
3.2. 비례대표
4. 주요 정치인 당락
5. 정당별 획득 의석



1. 개요[편집]


2003년 11월 9일에 실시된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이다. 연립여당의 의석수가 다소 감소하기는 했어도 정권을 유지하기에는 충분해서 고이즈미 정권이 유지되기는 했지만 민주당이 비례대표 득표율에서 자민당을 앞서고 전체 의석수에서도 1958년 중의원 총선거에서 사회당이 얻었던 166석을 뛰어 넘으며 1955년 자민당이 창당된 이래 제1야당으로써 최다 의석을 따냈다.

반면 그간 나름의 입지를 다지고 있던 공산당과 사민당의 의석수는 절반 이하로 줄어들며 참패했는데 야당 지지층들이 본격적으로 민주당의 대안정당으로서의 가능성을 인식하고 전략적으로 표를 몰아주기를 시작했다는 뜻도 된다.

2. 선거 전[편집]




3. 선거 결과[편집]


선거일2003년 11월 9일
선거 내용지역구(소선거구제) 300명 + 권역별 비례대표 180명 (석패율제 시행)
선출 인원480명
투표율59.86%(소선거구), 59.81%(비례대표)

의석 구성
연립여당[1] - 275석 (57.2%)야당 - 193석 (40.2%)
정수 : 480석

선거결과
정당지역구(소선거구제)비례대표획득
의석
선거이전의석증감
여당자유민주당26,089,32643.85%16820,660,18534.96%69237247-10
공명당886,5071.49%98,733,44414.78%253431+3
보수신당791,5881.33%4불출마불출마049-5
야당민주당21,814,15436.66%10522,095,63637.39%72177137+40
일본 공산당4,837,9528.13%04,586,1727.76%9920-11
사회민주당1,708,6722.87%13,027,3905.12%5618-12
무소속회497,1080.84%1불출마불출마015-4
자유연합97,4230.16%1불출마불출마0110
제파51,5240.09%0불출마불출마002-2
무소속2,728,1184.58%11불출마불출마0115+6

자유민주당-공명당-보수신당으로 구성된 연립여당이 50%를 여유롭게 넘긴 57.2%의 의석을 확보했지만, 자민당은 다시 한번 단독 과반 의석 확보에 실패했다.(49.3%) 심지어 비례대표 1당 지위마저 제1야당인 민주당에게 뺏기면서 굴욕을 당한 것.


3.1. 소선거구[편집]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지역자유민주당민주당공명당일본 공산당사회민주당보수신당무소속회자유연합무소속합계
홋카이도57000000012
아오모리4000000004
이와테1300000004
미야기3300000006
아키타1100000013
야마가타2000000013
후쿠시마3100001005
이바라키6100000007
도치기5000000005
군마5000000005
사이타마78000000015
치바58000000013
가나가와98100000018
야마나시2100000003
도쿄1212100000025
니가타2300000016
도야마3000000003
이시카와2100000003
후쿠이3000000003
나가노3200000005
기후5000000005
시즈오카4300000018
아이치310000200015
미에3200000005
시가1300000004
교토3300000006
오사카69400000019
효고53200100112
나라2200000004
와카야마2000010003
돗토리1000000012
시마네2000000002
오카야마5000000005
히로시마6100000007
야마구치3100000004
도쿠시마2100000003
카가와3000000003
에히메4000000004
고치3000000003
후쿠오카55000000111
사가2100000003
나가사키3100000004
구마모토3100000015
오이타2000000013
미야자키1000000023
가고시마4000000105
오키나와2010100004
소선거구16810590141111300


3.2. 비례대표[편집]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지역자유민주당민주당공명당일본 공산당사회민주당보수신당무소속회자유연합합계
홋카이도341000008
도호쿠6511100014
기타간토8831000020
미나미칸토8931100022
도쿄6821000017
호쿠리쿠신에쓰5510000011
도카이8931000021
긴키91153100029
주고쿠5420000011
시코쿠321000006
규슈-오키나와8731200021
비례대표69722595000180

4. 주요 정치인 당락[편집]



4.1. 자유민주당[편집]



4.2. 민주당[편집]



4.3. 공명당[편집]




4.4. 일본 공산당[편집]




4.5. 사회민주당[편집]




4.6. 보수신당[편집]




4.7. 자유연합[편집]




4.8. 무소속[편집]




5. 정당별 획득 의석[편집]


정당대표의석수
자유민주당고이즈미 준이치로237석
민주당간 나오토177석
공명당오타 아키히로34석
일본 공산당시이 가즈오9석
사회민주당도이 다카코6석
보수신당구마가이 히로시4석
자유연합도쿠다 도라오1석
무소속12석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14:22:47에 나무위키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자유민주당, 공명당, 보수신당[2] 당 내 다른 의원들과 다르게 지역구에서 떨어지고 석패율제로 구제되었다. 왜 그렇게 되었는지는 문서업제연 사건(業際研事件) 문서를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