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영국 총리

덤프버전 :



영국
관련 문서
⠀[ 정치 ]⠀

상징유니언 잭 (성 조지의 십자가) · 국장 · 국호 · God Save the King · 존 불 · 브리타니아
정치 전반정치 전반 · 연합왕국 · 의회(귀족원 · 서민원) · 총선 · 자치의회 · 총리 · 내각 · 행정조직 · 다우닝 가 10번지 · SIS · MI5 · MHRA · 웨스트민스터 · 웨스트민스터 궁전 · 마그나 카르타 · 권리청원 · 권리장전#영국의 권리장전 · 의전서열
왕실·귀족영국 국왕 · 영국 국왕의 배우자 · 윈저 왕조 · 영연방 왕국 · 웨일스 공 · 근위대 · 가터 기사단 · 영국 왕실 훈장 · 버킹엄 궁전 · 세인트 제임스 궁전 · 홀리루드 궁전 · 윈저 성 · 밸모럴 성 · 런던 탑 · 켄싱턴 궁전 · 클래런스 하우스 · 성 에드워드 왕관 · 영국 제국관 · 커타나 · 운명의 돌 · 영국 왕실과 정부의 전용기 · 벤틀리 스테이트 리무진 · 코이누르 · 왕실령 · 영국 왕실 인증 허가 브랜드 · 웨스트민스터 사원 · 귀족/영국 · 영국의 귀족 목록 · 요크 공작 · 콘월 공작 · 에든버러 공작 · 던세이니 남작 · 작위 요구자/유럽/영국
치안·사법영국의 법 집행 · 런던광역경찰청 · 영국 국립범죄청 · 영국 국경통제국 · 영국 이민단속국 · 사법 · 영미법 · 근로기준법 · 시민권 · 크라임 펌
정당정당 · 보수당(레드 토리 · 미들 잉글랜드 · 블루칼라 보수주의 · 일국 보수주의(코커스) · 자유시장 포럼) · 노동당(강성좌파 · 연성좌파) · 자유민주당
사상근력 자유주의 · 글래드스턴 자유주의 · 대처주의 · 블레어주의 · 왕당파#영국 · 일국 보수주의 · 하이 토리
사건·의제영국의 자치권 이양 · 스코틀랜드 독립운동 · 잉글랜드 자치(웨스트 로디언 질의 · English votes for English laws) · 브렉시트 · 플러브 게이트
외교외교 전반(옛 식민지 국가들과의 관계) · 여권 · 거주 허가 · 영연방 · 영연방 왕국 · CANZUK · 5개의 눈 · 상임이사국 · G7 · G20 · 오커스 · 영미권 · 브렉시트(탈퇴 과정과 이슈들 · 영국 내 영향 · 브렉시트/세계 각국의 영향) · 친영 · 반영 · 영빠 · 냉전 · 신냉전 · 미영관계 · 영불관계 · 영독관계 · 영국-캐나다 관계 · 영국-호주 관계 · 영국-뉴질랜드 관계 · 영국-이탈리아 관계 · 영국-스페인 관계 · 영국-포르투갈 관계 · 영국-아일랜드 관계 · 영국-싱가포르 관계 · 영국-남아프리카 공화국 관계 · 영인관계 · 영국-홍콩 관계 · 한영관계 · 영러관계 · 미국-캐나다-영국 관계 · 미영불관계 · 영프독 · 영국-아일랜드-북아일랜드 관계 · 영국-스페인-지브롤터 관계

⠀[ 역사 ]⠀
⠀[ 사회 · 경제 ]⠀

경제경제 전반 · 산업 혁명 · 무역 · 파운드 스털링 · 영란은행 · 런던증권거래소 · 역사 속의 경제위기 · 한영 FTA · 영국제 · 에어버스 · 롤스로이스 plc
지리브리튼 · 그레이트브리튼 섬 · 아일랜드섬 · 구성국 · 잉글랜드(하위지역) · 스코틀랜드(하위지역) · 웨일스(하위지역) · 북아일랜드 · 카운티#영국(카운티 목록) · 지역 및 속령 목록 · 주요 도시 · 런던의 행정구역 · 하이랜드 · 미들섹스 · 왕실령 · 영국 해협(도버 해협) · 영국령 남극 지역
사회사회 전반 · OBE · 젠틀맨 · 신사 · 하이랜더 · 공휴일 · 인구 · NHS
민족영국인 · 잉글랜드인(앵글로색슨족) · 스코틀랜드인(게일인) · 웨일스인(브리튼인) · 콘월인 · 아일랜드계 · 영국 백인 · 프랑스계 · 폴란드계 · 인도계 · 재영 한인사회 · 러시아계 · 영국 흑인 · 파키스탄계 · 우크라이나계 · 일본계 · 네덜란드계 · 한국계
영국계영국계 미국인 · 영국계 호주인 · 영국계 뉴질랜드인 · 영국계 남아프리카 공화국인 · 잉글랜드계 캐나다인 · 스코틀랜드계 캐나다인 · 웨일스계 캐나다인 · 앵글로아일랜드인 · 영국계 아르헨티나인 · 영국계 칠레인 · 영국계 러시아인 · 영국계 멕시코인 · 재한 영국사회 · 영국계 브라질인
교육교육 전반 · 유학 · 장학금 · 급식 · 파운데이션 · 퍼블릭 스쿨 · 식스폼 · IELTS · PTE · A-Level · UCAS · 대학교 일람() · 대학 서열화(옥스브리지 · 러셀 그룹) · 기타 교육 관련 문서
교통교통 전반 · 공항 · 철도 환경(High Speed 1 · High Speed 2 · Eurostar · 내셔널 레일) · 런던 지하철 · 런던의 대중교통 · 좌측통행 · 채널 터널
기타그리니치 천문대(자오선) · 월드 와이드 웹(팀 버너스리) · 제국 단위계 · 생활비 절약 노하우 · 혐성국

⠀[ 문화 ]⠀


[ 펼치기 · 접기 ]

조지 1세
초대
로버트 월폴
조지 2세
초대제2대제3대제4대
로버트 월폴스펜서 컴프턴헨리 펠럼토머스 펠럼홀스
제5대제6대
윌리엄 캐번디시토머스 펠럼홀스
조지 3세
제6대제7대제8대제9대
토머스 펠럼홀스존 스튜어트조지 그렌빌찰스 왓슨웬트워스
제10대제11대제12대제13대
대 윌리엄 피트오거스터스 피츠로이프레더릭 노스찰스 왓슨웬트워스
제14대제15대제16대제17대
윌리엄 페티윌리엄 캐번디시벤팅크소 윌리엄 피트헨리 애딩턴
제18대제19대제20대제21대
소 윌리엄 피트윌리엄 그렌빌윌리엄 캐번디시벤팅크스펜서 퍼시벌
제22대
로버트 젠킨슨
조지 4세
제22대제23대제24대제25대
로버트 젠킨슨조지 캐닝F. J. 로빈슨아서 웰즐리
윌리엄 4세
제25대제26대제27대제28대
아서 웰즐리찰스 그레이윌리엄 램아서 웰즐리
제29대제30대
로버트 필윌리엄 램
빅토리아
제30대제31대제32대제33대
윌리엄 램로버트 필존 러셀에드워드 스미스스탠리
제34대제35대제36대제37대
조지 해밀턴고든헨리 존 템플에드워드 스미스스탠리헨리 존 템플
제38대제39대제40대제41대
존 러셀에드워드 스미스스탠리벤저민 디즈레일리윌리엄 이워트 글래드스턴
제42대제43대제44대제45대
벤저민 디즈레일리윌리엄 이워트 글래드스턴로버트 개스코인세실윌리엄 이워트 글래드스턴
제46대제47대제48대제49대
로버트 개스코인세실윌리엄 이워트 글래드스턴아치볼드 프림로즈로버트 개스코인세실
에드워드 7세
제49대제50대제51대제52대
로버트 개스코인세실아서 밸푸어헨리 캠벨배너먼허버트 헨리 애스퀴스
조지 5세
제52대제53대제54대제55대
허버트 헨리 애스퀴스데이비드 로이드 조지앤드루 보너 로스탠리 볼드윈
제56대제57대제58대제59대
램지 맥도널드스탠리 볼드윈램지 맥도널드스탠리 볼드윈
에드워드 8세
제59대
스탠리 볼드윈
조지 6세
제59대제60대제61대제62대
스탠리 볼드윈네빌 체임벌린윈스턴 처칠클레멘트 애틀리
제63대
윈스턴 처칠
엘리자베스 2세
제63대제64대제65대제66대
윈스턴 처칠앤서니 이든해럴드 맥밀런알렉 더글러스흄
제67대제68대제69대제70대
해럴드 윌슨에드워드 히스해럴드 윌슨제임스 캘러헌
제71대제72대제73대제74대
마거릿 대처존 메이저토니 블레어고든 브라운
제75대제76대제77대제78대
데이비드 캐머런테레사 메이보리스 존슨리즈 트러스
찰스 3세
제78대제79대
리즈 트러스리시 수낙





파일:영국 정부 문장.svg
그레이트브리튼 및 북아일랜드 연합왕국의 총리
Prime Minister of the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 Ireland
파일:리시 수낙2.jpg
현직리시 수낙 / 제79대
취임일2022년 10월 25일
정당

관저다우닝 가 10번지
링크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편집]


영국총리. 정부수반이자 정치적 실권을 지닌 실질적인 국가 지도자며 현직 총리이자 제1대장경은 리시 수낙이다.


2. 역사[편집]


영국은 성문헌법[1]이 없고, 다른 나라에서는 헌법으로 규정할 정치 제도가 법률과 관습으로 규정된다. 그래서 영국의 총리도 영국의 정치인들의 행보가 쌓이고 쌓여 형성된 관습에서 시작된 것이다. 이런 식이라서 영국 총리는 18세기부터 존재했지만 그 존재가 법에서 처음 언급된 것은 1917년에 이르러서였다.

영국의 초대 총리는 로버트 월폴이지만 사실 그는 총리 직함을 가진 사람은 아니다. 그가 총리였다고 간주되는 기간에 그는 서민원 의원이었고 왕실의 재정을 관리하는 제1대장경(First Lord of Treasury)[2][3]이라는 직위에서 영국을 이끌었으며, 의원을 내각 각료로 앉히고 의회에서 그의 세력인 휘그당이 과반을 점하지 못하자 책임을 지고 제1대장경 직위에서 물러났다. 즉 어떠한 법이나 제도가 아닌 그의 행보 자체가 의원내각제의 효시였으며, 제1대장경에 임명된 후임자들이 로버트 월풀의 정치적 행보를 대체로 따라가면서[4] 영국식 의원내각제 관습이 확립된 것이다.

이러한 역사적 이유로 영국 총리는 제1대장경을 겸직하며, 실제로도 재무장관직을 수행했다.[5] 그러나 스탠리 볼드윈 이후의 총리들은 재무장관을 따로 임명하고 그에게 제2대장경도 겸하게 함으로써 재무 관련 사무는 수행하지 않게 되었다.

관습에 불과하던 총리의 직함과 권한은 20세기에 들어서 드디어 성문화되기 시작한다.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했기 때문인데, 가장 큰 문제는 제1차 세계 대전 때 불거졌다. 영국은 협상국의 중추로서 세계대전에 자기 편 국가를 하나라도 늘리려고 총리 이름으로 외교 서한들을 보냈는데, 영국 총리 직위가 명확하지 않다보니 외교서한을 받는 국가에서는 이를 영국 정부의 뜻으로 믿기가 애매했고, 또 어느 정도의 의전으로 상대해야 할지 난색을 표했던 것이다. 결국 영국에서는 총리직을 명문화하는 정부조직법 제정안을 1914년 9월 통과시켰다. 그 후 1968년에는 총리를 정부수반으로 명백히 규정할 필요성이 생기게 됨으로써 국가공무원부장관(Minister for the Civil Service of the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 Ireland)이라는 직책을 만들고 이 자리를 영국 총리(제1대장경)가 겸하게 한다.[6]

보리스 존슨 전임 총리는 총리, 제1대장경, 국가공무원부장관이라는 타이틀에 연합장관(Minister for the Union)이라는 타이틀도 추가했다. 브렉시트를 계기로 스코틀랜드 민족주의 진영과 북아일랜드 아일랜드 민족주의 진영에서 각각 스코틀랜드 독립론과 아일랜드 통일 운동을 띄워주는 데 맞서 연합왕국 체제를 수호하자는 취지로 붙인 타이틀이다. 일단 리즈 트러스리시 수낙도 이 직함을 계승했으나, 후임 총리들도 이 타이틀을 붙일지는 알 수 없다.

영국 총리가 궐석일 경우 보통 외무장관이 부총리[7] 자격으로 직무를 대행한다. 최근 사례로는 2020년 3월 27일에 보리스 존슨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아 자리를 비우게 되자 도미닉 랍 외무장관이 치료 후 자가격리 기간이 끝나는 4월 27일까지 한달간 직무를 대리한 바 있다.#


3. 임명[편집]


이론적으로 영국의 총리 임명 권한은 영국 국왕에게 속한다. 하지만, 관습 헌법에 따라 국왕은 총선에서 서민원의 과반을 차지한 정당의 당수를 총리로 임명하여야 한다.

넷플릭스 드라마 더 크라운에 이 절차가 자세히 묘사되는데 현재 의회 내 과반을 차지한 다수당의 당수나 총선에서 승리한 당의 당수를 엘리자베스 2세버킹엄 궁전으로 초대하여 의례적인 축하의 말을 건낸 후 당수가 "나의 이름으로 내각을 구성해달라."는 여왕의 요청을 받아 내각을 구성할 권한을 위임받는 장면이 자주 나온다.

총리에 선출될 수 있는 것은 하원인 서민원 의원에 한정되며, 상원에 해당하는 귀족원 의원이 임명된 사례는 없다. 이 역시 명문화된 것은 아니지만 관습 헌법에 의하여 엄격하게 준수되고 있다. 예외적으로 딱 한 차례, 1963년 알렉 더글러스흄이 귀족원 의원 신분으로 총리에 임명되었는데, 총리 임명 4일 후에 백작 작위를 포기하고 서민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면서 서민원의원 신분으로 총리직을 수행했다. 총리가 되기 위해서 귀족 작위를 포기해야 한다는 관례를 직접 보여준 셈이다.


4. 권한[편집]


마그나 카르타, 권리 장전, 권리청원으로 군주에서 의회로 권력이 보장받으며 의원들이 자체적으로 뽑은 수반인 총리는 국가의 실질적인 행정 권한을 수행한다.

행정부의 수장으로서 영국 국왕이 지닌 행정적 권한을 실질적으로 이행한다. 행정적인 측면에서 타국과 외교 조약을 수립하고 대외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외교권과 내각을 구성하는 고위 공무원의 임면권, 귀족원 의원 임명자에 대한 인사권, 그리고 의회해산권을 장악한다.[8]

영국 총리는 또한 영국 국왕이 형식적으로 지닌 영국군의 통수권을 실질적으로 이행하며, 실질적인 영국군의 통솔 및 최고위급 장교의 임명권을 지닌다. 선전포고의 경우 타국과 마찬가지로 서민원과 귀족원의 동의가 있어야 한다.


5. 권위[편집]


대영제국 시절에는 전 세계의 총리라고 생각해도 될 만큼 지구상에 존재했던 정부수반 중 가장 큰 영향력과 국제적 영향력을 가졌었던 직함 중 하나이다.

오늘날도 유엔 상임이사국인 정부의 수장으로서 영향력이 상당하다. 서방권 국가, 특히 영미권 국가에서는 아직도 미국 대통령 다음으로 영향력을 높게 쳐주는 분위기가 있으며, 특히 이는 영연방 왕국에서 두드러진 편이다.

다만, 정확한 임기가 정해져 있지 않기 때문에 국가 정책에 관한 입김이 매우 커질 수도, 매우 미미할 수도 있다. 재임 시기의 정국 상황과 총리 본인의 정치력에 따라 재임기간이 10년 이상이 될 수도, 두 달이 채 못될 수도 있다.

6. 관저[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다우닝 가 10번지#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원래 중세부터 내려오는 관직인 First Lord of the Treasury의 관저이다. 당연히 현재는 형식상의 직위이나 총리의 관저는 제1대장경의 자격으로 들어갈 수 있는것이며 관저의 저택 문에도 저 직책명이 황금색 명판에 새겨져 있다.

또한 재임 기간동안 버킹엄셔 아일즈버리에 있는 Chequers라는 저택이 전용 별장으로 주어진다. 엄연한 국가 보안 시설이라 지도에 검색하면 제대로 나오지 않는다.


7. 목록[편집]


1721년 이후 역대 영국 총리들과 군주들을 정리한 동영상.


7.1. 조지 1세[편집]


대수이름임기시작임기종료재임기간정당
1로버트 월폴1721.4.31742.2.1120년 315일휘그당


7.2. 조지 2세[편집]


대수이름임기시작임기종료재임기간정당
1로버트 월폴1721.4.31742.2.1120년 315일휘그당
2스펜서 컴프턴1742.2.161743.7.21년 137일
3헨리 펠럼1743.8.271754.3.610년 192일
4토머스 펠럼홀스1754.3.161756.11.112년 241일
5윌리엄 캐번디시1756.11.161757.6.29226일
6토머스 펠럼홀스1757.6.291762.5.264년 332일


7.3. 조지 3세[편집]


대수이름임기시작임기종료재임기간정당
6토머스 펠럼홀스1757.6.291762.5.264년 332일휘그당
7존 스튜어트1762.5.261763.4.8318일토리당
8조지 그렌빌1763.4.161765.7.102년 86일휘그당
9찰스 왓슨웬트워스1765.7.131766.7.301년 18일
10대(大) 윌리엄 피트1766.7.301768.10.142년 77일
11오거스터스 피츠로이1768.10.141770.1.281년 107일
12프레더릭 노스1770.1.281782.3.2712년 59일토리당
13찰스 왓슨웬트워스1782.3.271782.7.197일휘그당
14윌리엄 페티1782.7.41783.3.26266일
15윌리엄 캐번디시벤팅크1783.4.21783.12.18261일
16소(小) 윌리엄 피트1783.12.191801.3.1417년 86일토리당
17헨리 애딩턴1801.3.171804.5.103년 55일
18소(小) 윌리엄 피트1804.5.101806.1.231년 259일
19윌리엄 그렌빌1806.2.111807.3.251년 43일휘그당
20윌리엄 캐번디시벤팅크1807.3.311809.10.42년 188일토리당
21스펜서 퍼시벌1809.10.41812.5.112년 221일
22로버트 젠킨슨1812.6.81827.4.914년 306일


7.4. 조지 4세[편집]


대수이름임기시작임기종료재임기간정당
22로버트 젠킨슨1812.6.81827.4.914년 306일토리당
23조지 캐닝1827.4.121827.8.8119일
24F. J. 로빈슨1827.8.311828.1.8131일
25아서 웰즐리1828.1.221830.11.162년 299일


7.5. 윌리엄 4세[편집]


대수이름임기시작임기종료재임기간정당
25아서 웰즐리1828.1.221830.11.162년 299일토리당
26찰스 그레이1830.11.221834.7.93년 230일휘그당
27윌리엄 램1834.7.161834.11.14122일
28아서 웰즐리1834.11.171834.12.923일토리당
29로버트 필1834.12.101835.4.8120일보수당
30윌리엄 램1835.4.181841.8.306년 135일휘그당


7.6. 빅토리아 여왕[편집]


대수이름임기시작임기종료재임기간정당
30윌리엄 램1835.4.181841.8.306년 135일휘그당
31로버트 필1841.8.301846.6.294년 304일보수당
32존 러셀1846.6.301852.2.215년 237일휘그당
33에드워드 스미스스탠리1852.2.231852.12.17299일보수당
34조지 해밀턴고든1852.12.191855.1.302년 43일
35헨리 존 템플1855.2.61858.2.193년 14일휘그당
36에드워드 스미스스탠리1858.2.201859.6.111년 112일보수당
37헨리 존 템플1859.6.121865.10.186년 129일자유당
38존 러셀1865.10.291866.6.26241일
39에드워드 스미스스탠리1866.6.281868.2.251년 243일보수당
40벤저민 디즈레일리1868.2.271868.12.1279일
41윌리엄 이워트 글래드스턴1868.12.31874.2.175년 77일자유당
42벤저민 디즈레일리1874.2.201880.4.216년 62일보수당
43윌리엄 이워트 글래드스턴1880.4.231885.6.95년 48일자유당
44로버트 개스코인세실1885.6.231886.1.28220일보수당
45윌리엄 이워트 글래드스턴1886.2.11886.7.20170일자유당
46로버트 개스코인세실1886.7.251892.8.116년 18일보수당
47윌리엄 이워트 글래드스턴1892.8.151894.3.21년 200일자유당
48아치볼드 프림로즈1894.3.51895.6.221년 110일
49로버트 개스코인세실1895.6.251902.7.117년 17일보수당


7.7. 에드워드 7세[편집]


대수이름임기시작임기종료재임기간정당
49로버트 개스코인세실1895.6.251902.7.117년 17일보수당
50아서 밸푸어1902.7.121905.12.43년 146일
51헨리 캠벨배너먼1905.12.51908.4.32년 121일자유당
52허버트 헨리 애스퀴스1908.4.81916.12.58년 243일


7.8. 조지 5세[편집]


대수이름임기시작임기종료재임기간정당
52허버트 헨리 애스퀴스1908.4.81916.12.58년 243일자유당
53데이비드 로이드 조지1916.12.61922.10.195년 318일
54앤드루 보너 로1922.10.231923.5.20210일보수당
55스탠리 볼드윈1923.5.221924.1.22246일
56램지 맥도널드1924.1.221924.11.4288일노동당
57스탠리 볼드윈1924.11.41929.6.44년 213일보수당
58램지 맥도널드1929.6.51935.6.76년 3일국민노동당
59스탠리 볼드윈1935.6.71937.5.281년 356일보수당


7.9. 에드워드 8세[편집]


대수이름임기시작임기종료재임기간정당
59스탠리 볼드윈1935.6.71937.5.281년 356일보수당


7.10. 조지 6세[편집]


대수이름임기시작임기종료재임기간정당
59스탠리 볼드윈1935.6.71937.5.281년 356일보수당
60네빌 체임벌린1937.5.281940.5.102년 349일
61윈스턴 처칠1940.5.101945.7.265년 78일
62클레멘트 애틀리1945.7.261951.10.26693일노동당
63윈스턴 처칠1951.10.261955.4.53년 162일보수당


7.11. 엘리자베스 2세[편집]


대수이름임기시작임기종료재임기간정당
63윈스턴 처칠1951.10.261955.4.53년 162일보수당
64앤서니 이든1955.4.61957.1.91년 279일
65해럴드 맥밀런1957.1.101963.10.186년 282일
66알렉 더글러스흄1963.10.181964.10.16364일
67해럴드 윌슨1964.10.161970.6.195년 247일노동당
68에드워드 히스1970.6.191974.3.43년 259일보수당
69해럴드 윌슨1974.3.41976.4.52년 33일노동당
70제임스 캘러헌1976.4.51979.5.43년 30일
71마거릿 대처1979.5.41990.11.2811년 209일보수당
72존 메이저1990.11.281997.5.26년 156일
73토니 블레어1997.5.22007.6.2710년 57일노동당
74고든 브라운2007.6.272010.5.112년 319일
75데이비드 캐머런2010.5.112016.7.136년 64일보수당
76테레사 메이2016.7.132019.7.243년 12일
77보리스 존슨2019.7.242022.9.63년 45일
78리즈 트러스2022.9.62022.10.2550일


7.12. 찰스 3세[편집]


대수이름임기시작임기종료재임기간정당
78리즈 트러스2022.9.62022.10.2550일보수당
79리시 수낙2022.10.25현직


8. 관련 문서[편집]




9. 둘러보기[편집]


파일:처칠-투명.svg윈스턴 처칠
관련 문서
||


파일:마거릿 대처 투명.svg마거릿 대처
관련 문서
||


||


파일:캐머런 투명.svg데이비드 캐머런
관련 문서
||


파일:테레사 투명.svg테레사 메이
관련 문서
||
[ 펼치기 · 접기 ]


파일:보리스 투명.svg보리스 존슨
관련 문서
||


파일:트러스 투명.svg리즈 트러스
관련 문서
||


파일:블레어 투명.svg토니 블레어
관련 문서
||


파일:헤럴드 투명.svg해럴드 윌슨
관련 문서
||


파일:애틀리 투명.svg클레멘트 애틀리
관련 문서
||


파일:글래드스턴 투명.svg윌리엄 글래드스턴
관련 문서
||


파일:조지 투명.svg데이비드 로이드 조지
관련 문서
||



[ 아시아 ]
* 정부수반이 아닌 총리
** 공산국가의 수상
*** 대통령 권한대행
**** 사실상 군부 소속
***** 전제군주국, 혹은 사실상 전제군주국인 입헌군주국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파일:대만 국기.svg 대만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네팔 공산당 (마오주의 센터)
민주진보당
무소속
푸슈파 카말 다할 (3기)천젠런한덕수 (2기)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동티모르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티모르 재건국민회의
라오 인민혁명당
무소속
샤나나 구스망 (2기)쏜싸이 씨판돈나지브 미카티 (3기)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파일:몽골 국기.svg 몽골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인민정의당
몽골 인민당
무소속
안와르 이브라힘롭상남스랭 어용에르덴민 아웅 흘라잉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무소속
아와미 연맹
베트남 공산당
살만 빈 하마드 알할리파 (왕세자)셰이크 하시나 (4기)팜민찐
파일:부탄 국기.svg 부탄파일:북한 국기.svg 북한**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
부탄연합당
조선로동당
무소속
로타이 체링김덕훈하사날 볼키아 (국왕)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무소속
스리랑카 인민전선
바트당
무함마드 빈 살만 알사우드 (왕세자)디네쉬 구나와데나후세인 아르누스 (2기)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인민행동당
무소속
탈레반
리셴룽 (5기)무함마드 빈 라시드 알막툼
(두바이 아미르)
하산 아훈드 (권한대행)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파일:오만 국기.svg 오만*****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국민전체회의
무소속
무소속
마인 압둘말리크 사이드하이삼 빈 타리크 알사이드 (국왕)비셰르 알카사우네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우즈베키스탄 자유민주당
이슬람 다와당
리쿠드
압둘라 아리포프모하메드 시아 알수다니베냐민 네타냐후 (6기)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파일:일본 국기.svg 일본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인도 인민당
자유민주당
중국공산당
나렌드라 모디 (2기)기시다 후미오 (2기)리창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아마나트
무소속
캄보디아 인민당
앨리한 스마이을로프모하메드 빈 압둘라흐만 알사니 (왕족)훈 마넷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무소속
아르 나므스
타지키스탄 인민민주당
아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국왕의 장남)아킬베크 자파로프코히르 라술조다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태국인당
발루치스탄 아와미당
파타
세타 타위신안와르 울 하크 카카르 (권한대행)무함마드 이슈타이야
[ 유럽 ]
* 정부수반이 아닌 총리
** 바티칸 시국의 명목상 정부수반은 바티칸 시국 행정부 장관이다.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파일:남오세티야 국기.svg 남오세티야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신민주주의당
무소속
자유민주인민당
키리아코스 미초타키스 (2기)주소이트 콘스탄틴마르크 뤼터 (4기)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노동당
사회민주당
독일 사회민주당
요나스 가르 스퇴레메테 프레데릭센 (2기)올라프 숄츠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단결
무소속
사회민주당
크리샤니스 카린시 (2기)미하일 미슈스틴마르첼 치올라쿠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리히텐슈타인
민주당
무소속
애국연합
그자비에 베텔 (2기)잉그리다 시모니테다니엘 리쉬
파일:모나코 국기.svg 모나코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무소속
개혁행동연대
무소속
피에르 다르투드리탄 아바조비치도린 레체안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파일:바티칸 국기.svg 바티칸**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노동당
무소속
Open VLD
로버트 아벨라 (2기)피에트로 파롤린알렉산더르 더크로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북마케도니아
무소속
독립사회민주연대
마케도니아 사회민주주의 동맹
라만 할로우찬카 (2기)보랴나 크리슈토디미타르 코바체프스키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북키프로스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국민통일당
우리는 변화를 계속한다
세르비아 진보당
위날 위스텔니콜라이 덴코프아나 브르나비치 (3기)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온건당
중도당
스페인 사회노동당
울프 크리스테르손발터 투른헤어 (2기)페드로 산체스 (2기)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방향-사회민주주의
자유운동
시민계약
로베르트 피초로베르트 골로프니콜 파시냔 (3기)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좌파녹색운동
피너 게일
무소속
카트린 야콥스도티르 (2기)리오 버래드커알리 아사도프
파일:안도라 국기.svg 안도라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파일:압하지야 국기.svg 압하지야
안도라 민주당
알바니아 사회당
아이타이라
샤비에르 에스포트 자모라 (2기)에디 라마 (3기)알렉산드르 안콰브 (2기)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파일:영국 국기.svg 영국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에스토니아 개혁당
보수당
오스트리아 인민당
카야 칼라스 (3기)리시 수낙카를 네하머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무소속
이탈리아의 형제들
조지아의 꿈
데니스 시미할조르자 멜로니이라클리 가리바슈빌리 (2기)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시민민주당
자결당
크로아티아 민주연합
페트르 피알라알빈 쿠르티 (2기)안드레이 플렌코비치 (2기)
파일:트란스니스트리아 국기.svg 트란스니스트리아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무소속
사회당
법과 정의
알렉산드르 마르티노프안토니우 코스타 (3기)마테우시 모라비에츠키 (2기)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르네상스
국민연합당
청년민주동맹
엘리자베트 보른 (2기)페테리 오르포오르반 빅토르 (5기)
[ 아메리카 ]
[ 아프리카 ]
* 정부수반이 아닌 총리
** 군부에 의해 임명
*** 사실상 전제군주국인 입헌군주국
파일:가봉 국기.svg 가봉**파일:기니 국기.svg 기니*,**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기니비사우
무소속
무소속
기니카보베르데 아프리카독립당
레몽 은동 시마 (임시)베르나르 구무 (임시)제랄도 마틴스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나미비아*파일:니제르 국기.svg 니제르**파일:레소토 국기.svg 레소토
남서아프리카 인민기구
무소속
번영을 위한 혁명
사라 쿠공겔롸 (2기)알리 라민 제인샘 마테카네
파일:르완다 국기.svg 르완다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
사회민주당
무소속
무소속
에두아르 응기렌테 (2기)압둘 하미드 드베이베크리스티앙 은차이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모리셔스
무소속
독립국민연합
모리셔스 사회주의 운동
쇼겔 코칼라 마이가 (임시)아지즈 아칸누시프래빈드 주그노트 (2기)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파일:부룬디 국기.svg 부룬디*
공정당
모잠비크 해방전선
민주방위국민회의-민주방위군
모하메드 울드 빌랄아드리아누 말레이안제르베 은디라코부차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파일: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국기.svg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상투메 프린시페
무소속
폴리사리오 전선
독립민주행동당
아폴리네르 조아킴 키엘렘 드탐벨라 (임시)보우치라야 함무디 비요운파트리스 에메리 트루부아다 (2기)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무소속
평화개발연합당
무소속
아마두 바함자 압디 바레오스만 후세인 (권한대행)
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시에라리온*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에스와티니***
무소속
무소속
무소속
데이비드 모이니나 셍게아이멘 베나브데라마네음과과 가메체 (권한대행)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번영당
민족저항운동
무소속
아비 아머드로비나 나반자무스타파 아드불리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적도 기니*파일: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 공화국파일:지부티 국기.svg 지부티*
적도 기니 민주당
연합마음운동
진보인민연합
마누엘라 로카 보테이펠릭스 몰루아압둘카데르 카밀 모하메드 (3기)
파일:차드 국기.svg 차드*,**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카보베르데
민주재건국가연합
카메룬 인민민주운동
민주운동
살레 케브자보조셉 응구테울리스스 코헤이아 이 시우바 (2기)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콩고 공화국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콩고민주공화국
공화연합
콩고 노동당
콩고의 미래
로베르 뵈그레 맘베아나톨 콜리넷 마코소장미셸 사마 루콘데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파일:토고 국기.svg 토고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탄자니아 혁명당
공화국을 위한 연합
무소속
카심 마잘리와빅투아르 토메가 도그베아메드 하차니
재위 중인 군주 · 재임 중인 대통령 및 총통 · 집권 중인 공산국가 지도부


[1] 마그나 카르타권리 장전 및 국가 통치 체계를 담은 여러 법률이 헌법의 역할을 대신한다.[2] 당시에는 왕실재산을 관리하는 대장성과 국가재정을 담당하는 재무성이 병립했고 기능의 중복으로 재무성이 대장성에 흡수당했지만 그 수장의 명칭만은 남아서 대장성의 장관이 재무장관이고 총리는 제1대장경을 재무장관은 제2대장경을 겸한다.[3] 대장성이라는 번역어는 과거 일본의 재무부처였던 대장성을 따온 말이다. 대장(大蔵)이란 국고, 금고 등을 의미하는데 영국 대장성(HM Treasury)에서도 Treasury가 국고, 금고 등을 의미하는 말이기도 해서 대장성을 번역어로 사용한다.[4] 그래서 이 때에는 국왕의 신임으로 내각불신임 따위 생까고 총리직을 유지한 사람도 있었다.[5] 제1대장경의 지위에 있지 않으면서 총리직을 수행한 사람도 있었다. 로버트 개스코인세실이 그 예.[6] 관습적으로 영국의 모든 공무원은 His(왕)/Her(여왕) Majesty's Civil Service라는 기관에 속해 있는데 명목으로만 존재하는 기관이고 여기서 하는 일은 없었다. 여기의 장을 총리가 겸하게 하면 총리를 정부수반으로 규정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갖게 된다.[7] 영국은 일반적으로 부총리직이 존재하지 않으나, 일부 내각에서는 특정 내각 인사에게 부총리 직함을 파주고 총리가 궐석일 때 직무 대행을 맡기기도 한다.[8] 2011년부터 고정임기법이 시행됨에 따라 내각불신임 결의가 하원을 통과했거나 의회의 ⅔이상 동의로 조기총선이 의결되었을 때만 의회를 해산할 수 있다. 그런데 보리스 존슨 총리는 2019년에 서민원영국 귀족원 과반의 찬성으로 별도의 원포인트 법률 제정을 통해 의회를 해산하는 선례를 만든 바 있다. 이렇게 치러진 총선이 제58회 영국 총선. 그리고 관련 법이 2022년에 폐지되어 이제 총리는 자의적인 의회 해산이 가능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9 18:21:41에 나무위키 영국 총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관련 문서